KR100867117B1 - 다용도 헬스기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헬스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117B1
KR100867117B1 KR1020070074467A KR20070074467A KR100867117B1 KR 100867117 B1 KR100867117 B1 KR 100867117B1 KR 1020070074467 A KR1020070074467 A KR 1020070074467A KR 20070074467 A KR20070074467 A KR 20070074467A KR 100867117 B1 KR100867117 B1 KR 10086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bench
fitness equipment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준
Original Assignee
홍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준 filed Critical 홍성준
Priority to KR102007007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7Abdomen moving torso or lower limbs laterally, i.e. substantially in the fr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기구에 관한 것으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메인프레임과 직교되게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과 힌지축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발고정부를 형성한 벤치와, 상기 벤치의 회동 시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프레임의 눕힌 상태 또는 세운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에 관한 것이다.
헬스기구, 물구나무서기 운동, 벤치, 각도조절부재, 각도표시장치

Description

다용도 헬스기구{MULTIFUNCTIONAL HEALTH-G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헬스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의 눕힌 상태 또는 세운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운동을 할 수 있어 한가지의 헬스기구로 여러 운동을 할 수 있는 다용도 헬스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기구는 실내에 설치하여 신체를 단련시키게 되며, 이러한 헬스기구는 신체의 각 부위에 따라 단련시키고자 하는 부위에 맞게 헬스기구의 형태 및 기능이 각각 달라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헬스기구는 신체의 다리 및 심폐기능의 단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자전거의 형태를 이용한 것과, 로울러를 이용하여 조깅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 등이 있으며, 그리고 신체의 복부와 같은 상체 및 허리 등의 단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윗몸일으키기용 헬스기구 또는 허리돌리기용 헬스기구 및 물구나무서기용 헬스기구 등으로 구분되어 지고 있다.
종래의 헬스기구는 평벤치, 윗몸일이키기용 벤치, 물구나무서기용 헬스기구 등은 각각 개별적인 운동만 가능함으로 다양한 운동을 즐길 수 없었고, 사용자가 부위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해야 함으로써, 다수의 헬스기구를 실내에 구비함에 따라 실내공간은 많이 차지하여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의 눕힌 상태 또는 세운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운동을 할 수 있어 한가지의 헬스기구로 여러 운동을 할 수 있는 다용도 헬스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메인프레임과 직교되게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과 힌지축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발고정부를 형성한 벤치와, 상기 벤치의 회동 시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프레임의 눕힌 상태 또는 세운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지지바의 중심에서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메 인바와, 상기 메인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바를 연결하고, 상기 벤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연결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벤치와 지지바 사이에는 상기 벤치의 회동 시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지지바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사용자의 상체길이에 따라 길이조절하는 길이조절부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편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벤치의 하면 중심에 힌지 연결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단에는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지지다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고, 로킹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지지다리를 연통되는 다수개의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일정 각도에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힌지축과 고정되는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와 치합되도록 내면에 기어치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래치하우징과, 상기 래치하우징의 내부의 래치기어만 상기 힌지축과 회전되도록 상기 래치하우징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래치하우징의 외면을 감싸며 마찰에 의해 상기 래치하우징을 고정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와 연결되어 벨트를 잡아당겨 상기 래치하우징 의 표면과 벨트에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 시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홀드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래치하우징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치기어와 치합되도록 내면에 기어치를 형성한 회전덮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드부재는 상기 레버에 힌지 연결되고, 일측 끝단은 상기 레버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타측 끝단은 걸림돌기를 형성한 고리와, 상기 고리의 걸림돌기가 걸려 레버가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돌출 형성한 고정돌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벤치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각도표시장치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각도표시장치는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일단이 연결되어 힌지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판에 감키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거리를 각도로 표시하는 각도표시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표시부재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롤러의 외측을 감싸고, 상면에는 상기 롤러가 일부 표시되도록 표시창을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롤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롤러를 원상태로 복원하는 테옆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조는 메인프레임의 눕힌 상태 또는 세운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운동을 할 수 있어 한가지의 헬스기구로 여러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헬스기구에 의하면 메인프레임의 눕힌 상태 또는 세운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운동을 할 수 있어 한가지의 헬스기구로 여러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한가지 헬스기구만을 구비해도 됨으로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래치기어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물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므로 비용절감에 효과가 있으며, 상기 래치하우징을 고정하는 벨트를 마찰계수를 갖는 섬유로 함으로써,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헬스기구에는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되어 벤치의 회전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헬스기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 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눕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각도조절부재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각도조절부재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각도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물구나무서기 운동 사용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윗몸일으키기 운동 사용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등 및 허리운동 사용 상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옆구리 운동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100)는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메인프레임(110)과 직교되게 형성된 지지바(115)와, 상기 메인프레임(1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타측과 힌지축(120)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발고정부(135)를 형성한 벤치(130)와, 상기 벤치(130)의 회동 시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재(200)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눕힌 상태 또는 세운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상기 지지바(115)의 중심에서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메인바(112)와, 상기 메인바(11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바(112)를 연결하고, 상기 벤치(13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연결바(1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벤치(130)와 지지바(115) 사이에는 상기 벤치(130)의 회동 시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상기 지지바(115)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사용자의 상체길이에 따라 길이조절하는 길이조절부(117)가 구비된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117)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메인바(112)는 중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115)의 중심은 메인바(112)측으로 연장되어 메인바(112)에 삽입되고, 다수개의 홀을 형성한 슬라이드바(118)와 상기 메인바(112)의 외측에서 관통되어 상기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로킹핀(11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고정부(135)는 상기 벤치(13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발바닥을 지지하는 'T'자 형상의 발지지대(136)와 상기 발지지대(136)에서 외부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발목을 전후로 잡아주는 발목지지대(137)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고정부(135)는 길이가변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 가능하다.
상기 발고정부(135)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봉으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홀에 선택적으로 핀을 고정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발목지지대(137)는 발목지지 시 발목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 충진재와 피혁으로 감싸져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연결편(114)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벤치(130)의 하면 중심에 힌지 연결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140)인 실린더는 상기 벤치(130)의 하면 중심에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지지바(115)와 인접한 연결바(114)의 중심에 형성된 브라켓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벤치(130)의 회동 시 급회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타단에는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지지다리(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다리(15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타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로킹부재(16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로킹부재(16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타단과 상기 지지다리(150)가 연통되는 다수개의 고정홀(162)과, 상기 고정홀(162)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다리(150)를 일정 각도에 고정하는 고정핀(16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재(200)는 상기 힌지축(120)과 고정되는 래치기어(210)와, 상기 래치기어(210)와 치합되도록 내면에 기어치(225)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에 형성된 래치하우징(220)과, 상기 래치하우징(220)의 내부의 래치기어(210)만 상기 힌지축(120)과 회전되도록 상기 래치하우징(22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기어(210)는 상기 힌지축(120)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요철을 형성한 몸체(212)와, 상기 몸체(212)의 각 요철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래치하우징(220)의 기어치(225)와 치합되며, 상기 몸체(212)에서 탄동되도록 연결된 치 형(2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형(214)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래치하우징(220)의 내면의 기어치(225)와 치합되어 일측으로는 래치기어(210)만 회전할 수 있지만, 타측으로는 상기 래치하우징(220)과 함께 움직이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래치하우징(220)이 고정될 경우에는 상기 래치기어(210)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상기 래치기어(210)는 상기 힌지축(120)과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바(112)의 외측으로 돌출된 힌지축(12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래치하우징(22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체(222)와, 상기 고정체(2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치기어(210)와 치합되도록 내면에 기어치(225)를 형성한 회전덮개(22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래치하우징(220)의 회전덮개(224)가 상기 래치기어(210)의 치형(214)와 치합되어 힌지축(120)의 회전 시 회전덮개(224)와 래치기어(210)가 함께 또는 래치기어(210)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30)는 상기 래치하우징(220)의 외면을 감싸며 마찰에 의해 상기 래치하우징(220)을 고정하는 벨트(240)와, 상기 벨트(240)와 연결되어 벨트(240)를 잡아당겨 상기 래치하우징(220)의 표면과 벨트(240)에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힌지 연결된 레버(245)와, 상기 레버(245)의 회동 시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홀드부재(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240)는 일단은 상기 레버(24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덮 개(224)를 감은 뒤 벨트(240)와 연결되도록 연결고리(242)를 형성한다.
상기 벨트(240)는 마찰계수를 갖는 섬유, 고무 및 복합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드부재(250)는 상기 레버(245)에 힌지 연결되고, 일측 끝단은 상기 레버(245)와 스프링(253)에 의해 연결되며, 타측 끝단은 걸림돌기(254)를 형성한 고리(252)와, 상기 고리(252)의 걸림돌기(254)가 걸려 상기 레버(245)가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에 돌출 형성한 고정돌기(257)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253)은 상기 레버(245)와 고리(252)를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힌지축(120)에는 상기 벤치(130)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각도표시장치(2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각도표시장치(260)는 상기 힌지축(120)에 고정되는 회전판(262)과, 상기 회전판(262)에 일단이 연결되어 힌지축(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판(262)에 감키는 와이어(264)와, 상기 와이어(264)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64)의 이동거리를 각도로 표시하는 각도표시부재(2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264)는 피복(265)에 의해 감싸져 형성되고, 상기 피복(265)은 상기 와이어(26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표시장치(260)는 일반적인 자전거의 브레이크 시스템과 같은 원리이다.
상기 각도표시부재(270)는 상기 와이어(264)와 연결되는 롤러(272)와, 상기 롤러(272)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275)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롤러(272)의 외측을 감싸고, 상면에는 상기 롤러(272)가 일부 표시되도록 표시창(276)을 형성한 케이스(274)와, 상기 케이스(274)와 상기 롤러(272)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64)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롤러(272)를 원상태로 복원하는 테옆스프링(27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74)의 표시창(276)은 반원 형상이며, 상기 표시창(276)의 상하 가장자리에는 각도계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롤러(272)의 상면에는 상기 표시창(276)과 반대방향으로 육안 확인이 명확한 색상이 칠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표시부재(270)는 상기 지지바(115)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헬스기구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세워진 상태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을 할 경우, 사용자는 하체를 상기 벤치(130)에 접하고 상기 발목지지대(137)에 발목을 끼움과 동시에 발을 발지지부(136)에 걸친 후 상체를 기울려 하체를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레버(245)를 하방으로 밀어 벨트(240)를 잡아당긴 후 상기 고리(252)의 걸림돌기(254)를 상기 고정돌기(257)에 걸어 고정하게 되면, 상기 래치하우징(220)의 회전덮개(224)는 벨트(240)와의 마찰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리(252)와 상기 레버(245)는 스프링(253)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탄동지지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레버(245)와 고리(252)를 파지하여 고 리(252)의 반경을 확보한 후 걸어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리(252)를 놔주게 되면 스프링(253)의 탄성에 의해 상기 레버(245)와 고리(252)는 다시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상기 걸림돌기(254)와 상기 고정돌기(257)의 걸림이 유지된다.
상기 회전덮개(224)가 고정된 상태에서의 상기 래치기어(210)는 상기 벤치(130)와 일체로 이루어진 힌지축(120)과 동일한 방향인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회전덮개(224)의 고정에 의해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체를 기울려 전측 회전방향으로 벤치(130)가 회전시키면, 회전되지만 그 고정위치에서 회전 반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아 일정 기울기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벨트(240)는 마찰계수를 갖는 섬유를 사용하여 만약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이상이 가해지면 상기 벨트(240)와 회전덮개(224) 사이에 슬립이 발생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오히려 회전덮개(224)와 래치기어(21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벤치(130)는 지지부재(140)인 실린더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벤치(130)의 하중을 지지하며 벤치(130)의 회동 시 회동이 급하게 진행되지 않아 보다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도 9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벤치(130)의 각도를 조절하여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하게 된다.
반대로 운동을 끝내고 싶을 때는 상기 고리(252)의 걸림돌기(254)를 고정돌 기(257)에서 이탈시킨 후 레버(245)를 잡아당겨주면 벨트(240)가 풀어져 상기 회전덮개(224)와 래치기어(210)가 동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해짐에 따라 상기 벤치(130)를 최초상태로 원위치 시켜 운동을 끝내면 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메인바(112)는 길이조절부(117)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상체길이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분리도 가능함으로써, 보관 시 해체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각도표시장치(260)가 구비되어 상기 벤치(130)의 회전각도를 사용자가 확인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도표시부재(270)는 상기 지지바(115)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하면서 벤치(130)의 회전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20)에 결합되어 힌지축(120)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회전판(262)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판(262)에 연결된 와이어(264)가 상기 회전판(262)의 둘레를 감게 되면서, 이동되면 상기 와이어(264)의 타단에 연결된 롤러(272)가 상기 케이스(274) 내부에서 회전되어 케이스(274)의 상면에 형성된 표시창(276)에 각도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롤러(272) 상면의 육안 확인이 명확한 색상으로 칠해진 부분이 표시창(276)에 드러나는 범위와 표시창(276)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각도계를 참고하여 현재 각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64)는 피복(265)에 의해 감싸져서 형성되는데 상기 피복(265)은 상기 와이어(264)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벤치(130)가 최초 위치로 돌아올 경우 상기 힌지축(120)이 반대로 회전하여 회전판(262)이 반대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264)의 장력이 줄어들어 상기 케이스(274)와 롤러(272)를 연결한 테옆스프링(278)의 탄성에 의해 줄어든 장력만큼 롤러(272)를 복귀시킨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령을 이용한 운동이나, 윗몸일으키기 운동 등을 하고자 할 때는 상기 헬스기구(100)를 전측으로 기울려 벤치가 수평이 되도록 하여 운동하면 된다.
상기 메인바(112)의 끝단에는 절첩 가능한 지지다리(150)가 구비되어 상기 벤치(130)를 경사지게 또는 평평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150)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홀(162)에 고정핀(164)을 삽입하여 고정한 뒤 사용자는 발고정부(135)에 발을 걸어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고정부(135)는 상기 벤치에서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헬스기구(100)는 평벤치로 사용하여 아령을 이용한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엎드린 상태에서의 등 및 허리운동, 옆으로 누워서 옆구리운동 등을 할 수 있어 하나의 헬스기구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눕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각도조절부재의 내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각도조절부재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각도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물구나무서기 운동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윗몸일으키기 운동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등 및 허리운동 사용 상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의 옆구리 운동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헬스기구 110 : 메인프레임
112 : 메인바 114 : 연결바
115 : 지지바 117 : 길이조절부
118 : 슬라이드바 119 : 로킹핀
120 : 힌지축 130 : 벤치
135 : 발고정부 136 : 발지지대
137 : 발목지지대 140 : 지지부재
150 : 지지다리 160 : 로킹부재
162 : 고정홀 164 : 고정핀
200 : 각도조절부재 210 : 래치기어
220 : 래치하우징 230 : 고정부재
240 : 벨트 242 : 연결고리
245 : 레버 250 : 홀드부재
252 : 고리 253 : 스프링
254 : 걸림돌기 257 : 고정돌기
260 : 각도표시장치 262 : 회전판
264 : 와이어 265 : 피복
270 : 각도표시부재 272 : 롤러
274 : 케이스 275 : 회전축
276 : 표시창 278 : 테옆스프링

Claims (15)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메인프레임과 직교되게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과 힌지축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회동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발고정부를 형성한 벤치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프레임의 눕힌 상태 또는 세운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지지바의 중심에서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바를 연결하고, 상기 벤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연결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벤치와 지지바 사이에는 상기 벤치의 회동 시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편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벤치의 하면 중심에 힌지 연결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지지바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사용자의 상체길이에 따라 길이조절하는 길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고정부는 상기 벤치에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단에는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지지다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고, 로킹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지지다리를 연통되는 다수개의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일정 각도에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치의 회동 시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힌지축과 고정되는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와 치합되도록 내면에 기어치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래치하우징과;
    상기 래치하우징의 내부의 래치기어만 상기 힌지축과 회전되도록 상기 래치하우징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래치하우징의 외면을 감싸며 마찰에 의해 상기 래치하우징을 고정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와 연결되어 벨트를 잡아당겨 상기 래치하우징의 표면과 벨트에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 시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홀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부재는 상기 레버에 힌지 연결되고, 일측 끝단은 상기 레버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타측 끝단은 걸림돌기를 형성한 고리와;
    상기 고리의 걸림돌기가 걸려 레버가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돌출 형성한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하우징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치기어와 치합되도록 내면에 기어치를 형성한 회전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벤치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각도표시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표시장치는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일단이 연결되어 힌지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판에 감키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거리를 각도로 표시하는 각도표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표시부재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외측으로 감싸고, 상면에는 상기 롤러가 일부 표시되도록 표시창을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롤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롤러를 원상태로 복원하는 테옆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헬스기구.
KR1020070074467A 2007-07-25 2007-07-25 다용도 헬스기구 KR100867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67A KR100867117B1 (ko) 2007-07-25 2007-07-25 다용도 헬스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67A KR100867117B1 (ko) 2007-07-25 2007-07-25 다용도 헬스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117B1 true KR100867117B1 (ko) 2008-11-06

Family

ID=4028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467A KR100867117B1 (ko) 2007-07-25 2007-07-25 다용도 헬스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22B1 (ko) 2021-03-09 2021-12-08 김범석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KR20240000357U (ko) 2022-08-18 2024-02-27 신광철 운동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518Y1 (ko) 2005-01-07 2005-03-30 주식회사은성헬스빌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07293Y1 (ko) 2005-11-10 2006-01-26 오준택 다기능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518Y1 (ko) 2005-01-07 2005-03-30 주식회사은성헬스빌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07293Y1 (ko) 2005-11-10 2006-01-26 오준택 다기능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22B1 (ko) 2021-03-09 2021-12-08 김범석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KR20240000357U (ko) 2022-08-18 2024-02-27 신광철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5200A (en) Home exercising apparatus
EP3002048B1 (en) Treadmill with removable handles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US20080004166A1 (en) Compact office exercise unit
JP5650213B2 (ja) 多目的可搬全身エクササイズ器具
JP2004520897A (ja) 空間効率の高い多用途運動装置
US6872170B2 (en) Multi-function physical training machine
US6689025B2 (en) Exercise device utilizing rubber tubing
US11266875B2 (en) Space-saving exercise equipment
US9884220B2 (en) Potable cable resistance pulley exercise equipment and related methods
EP3868449B1 (en) Apparatus aiding body balance
KR100867117B1 (ko) 다용도 헬스기구
KR101271529B1 (ko) 등판지지부가 가변되는 거꾸리 운동기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EP3181198B1 (en) Portable abs exercise device
JP2018011617A (ja) 運動器具
KR100582108B1 (ko) 하체 운동기구
KR20130039184A (ko)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KR101386260B1 (ko) 근력 운동기구
CN217854391U (zh) 综合训练设备
CN217854390U (zh) 训练臂及综合训练设备
KR102159758B1 (ko) 휴대용 운동기구
CN217852052U (zh) 靠背角度调节机构及综合训练设备
KR200463896Y1 (ko) 체중을 이용한 플라이운동기구
KR200434032Y1 (ko) 전신 운동 기구
KR100666852B1 (ko) 다용도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