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184A -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 Google Patents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184A
KR20130039184A KR1020110103685A KR20110103685A KR20130039184A KR 20130039184 A KR20130039184 A KR 20130039184A KR 1020110103685 A KR1020110103685 A KR 1020110103685A KR 20110103685 A KR20110103685 A KR 20110103685A KR 20130039184 A KR20130039184 A KR 20130039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m
rotation
bracket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317B1 (ko
Inventor
장용주
Original Assignee
장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주 filed Critical 장용주
Priority to KR1020110103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3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 근력 강화를 위한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전방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 양단부에 각각 손잡이를 구비한 회전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켜주면서 허리를 상하 웨이브 동작(굴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A Wave-type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허리 근력 강화를 위한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전방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 양단부에 각각 손잡이를 구비한 회전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켜주면서 허리를 상하 웨이브 동작(굴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의 하중을 신체의 소정 부분 근육에 반복적으로 작용시켜 근육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운동을 웨이트트레이닝(Weight training)이라 하고, 이와 같은 운동을 하기 위한 기구를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라 불리워 왔으며, 많은 헬쓰장에는 매우 다양한 트레이닝기구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초기의 웨이트트레이닝으로는 아령(啞鈴) 및 역기(力器) 등과 같은 단순한 기구를 사용하여 향해져 왔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삼두근, 가슴근육, 삼각근, 활배근, 이두근, 상두근, 사두근, 대퇴근 등을 단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합적인 구조로 구성된 웨이트 트레이닝기구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대표적인 운동기구 중 하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05529호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공지되어 있는바,
여기서 종래의 상기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50)의 구성을 살펴 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는, 지지프레임(51)의 내부에 수직하게 입설된 한쌍의 안내봉(52)에 상하방으로 슬라이딩 되게 적층되는 다수개의 웨이트 스텍(53)과, 웨이트 스텍(53)의 상부에 안내봉(52)을 따라 와이어(54)의 견인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55) 및 플레이트(55)의 하부에 장착되어 웨이트 스텍(53)을 고정하는 고정봉(56)으로 이루어지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웨이트 스텍 (53)의 양단에 안내봉(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안내공(57)이 양단이 개방되도록 관통되고, 외면에 형성된 연질수지피복층의 중심공(59) 양측부에 보다 높이 돌출되는 후육부(60)가 형성되며, 고정봉(56)에 괘정키판(61)이 끼워지는 요입홈(63)이 웨이트 스텍(53)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이 되게 다단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괘정키판(61)은 웨이트 스텍(53)을 적층할때 후육부(60)에 의해 형성된 중심공(59) 부위의 간격(62)에 대응하는 두께와 넓이로서 요입홈(63)의 축경부 (64)가 끼워지는 절결홈이 형성되며 선단에 키판 손잡이가 일체로 입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50)는 상기 와이어(54)의 선단에 부착된 손잡이(68)를 당기면 와이어(54)가 가이드 로울러(69)에 의해 당겨지면서 이의 끝단에 연결된 플레이트(55)가 안내봉(5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하로 승강하게 되므로 고정봉(56)에 원하는 무게의 웨이트 스텍(53)을 괘정키판(61)으로 고정시켜 와이어(54)를 당기고 놓는 운동을 반복하게 되면 플레이트(55)와 함께 안내봉(5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웨이트 스텍(53)의 중량으로 인해 근육을 단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와 로울러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수직하게 입설된 안내봉을 따라 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트레이닝기구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00705호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와 등록특허 제10-0855179호의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장치'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구조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주로 삼두근, 가슴근육, 삼각근, 이두근, 상두근, 대퇴근 등을 단련시켜 근육질 몸매을 통해 건강미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통해서는 인체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허리 근력을 단련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허리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트레이닝 기구는 주로 웨이트를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근력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 등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정한 높이의 의자 전방부에 설치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양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부에 각각 손잡이를 구비하여 이를 잡고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 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설치되어 회전수단의 회전력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력을 사용자의 근력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켜주면서 허리를 상하 웨이브 동작(굴절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근력에 맞게 회전력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들을 포함한 전 계층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허리 근력 강화용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팔길이나 허리높이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반경과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계층이 단일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그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체를 굽히거나 펴주는 웨이브 동작을 실시하면서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닝기구에 있어서,
바닥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판프레임과 바닥프레임 및 이들이 일정 높이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의자프레임과, 상기 상판프레임의 일단부에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이 일정간격의 이격이 형성되도록 설치 고정되고 그 사이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핀에 의해 각각의 회동아암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아암몸체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회동아암 끝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삽설된 회동롤러와, 상기 회동롤러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그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면서 단부에 각각 손잡이가 구비된 회전브라케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는, 의자의 전방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 양단부에 각각 손잡이를 구비한 회전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켜주면서 허리를 상하 웨이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는 사용자의 근력에 맞게 회전력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들을 포함한 전 계층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는 사용자의 팔길이나 허리높이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반경과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기구의 조작과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의 사사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의 분리 사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의 개략적인 평면도와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개략적인 상태단면도(a)와 작동상태도(b)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의 요부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를 이용하여 트레이닝하는 작동상태도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굽히면서 팔을 최대로 벌려준 상태도(a)와 최대로 밀어준 상태도(b) 및 허리를 펴면서 최대로 당겨준 상태도(c)이고,
도 7은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아 그 하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판프레임(111)과 바닥프레임(112) 및 이들이 일정 높이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113)으로 구성되는 의자프레임(110)과,
상기 상판프레임(111)의 일단부에 하부프레임(141)과 상부프레임(142)이 일정간격의 이격이 형성되도록 설치 고정되고 그 사이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핀(121,131)에 의해 각각의 회동아암(120,130)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아암몸체프레임(140)과,
상기 각각의 회동아암(120,130) 끝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삽설된 회동롤러(150,160)와,
상기 회동롤러(150,160)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그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면서 단부에 각각 손잡이(171,181)가 구비된 회전브라케트(170,180)와,
상기 회동아암(120,130)의 상부면에 설치되되 상기 회동롤러(150,160)에 연결 설치되면서 마찰력에 의해 그 회전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제어벨트(191,201)를 조절하는 조정구(192,202)가 구비된 회전조절수단(190,2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몸체프레임(140)에 구비된 상기 상부프레임(142)의 양단부에는 반원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회동아암(120,130)의 회전반경을 각각 조절하여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슬롯(143)이 형성 구비되고, 상기 슬롯(143)에는 상기 회동아암(120,130)에 연결 설치되어 그 회전을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볼트(144)가 삽설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아암(120,130)을 적절히 회전하여 그 회전반경을 설정한 다음 상기 잠금볼트(144)를 돌려 상기 슬롯(143)에 체결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아암(120,130)의 회동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케트(170,180)는 상기 회동롤러(150,160)의 상부측에 각각 고정 장착되는 중공형의 외측브라케트(172,182)와 상기 외측브라케트(172,182)의 내부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내측브라케트(173,18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브라케트(173,183)의 끝단부에는 상기 손잡이(171,181)가 각각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브라케트(172,182)에는 상기 내측브라케트(173,183)가 슬라이딩되면서 조절된 길이를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볼트(174,184)가 각각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브라케트(173,183)를 슬라이딩시킨 다음 상기 길이조절볼트(174,184)를 돌려 이를 체결 고정 시키게 되면 상기 내측브라케트(173,183)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조절수단(190,200)에 구비된 상기 회전제어벨트(191,201)가 상기 회동롤러(150,160)에 연결되는 구성은 일반적인 벨트와 풀리의 연결 구성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회동롤러(150,160)에 원주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상기 회전제어벨트(191,201)를 설치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어벨트(191,201)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동롤러(150,160)를 회전시켜 주는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수단(190,200)은 몸체(193,203)와, 상기 몸체(193,203) 내부에 삽설되어 상기 회동롤러(150,160)에 걸어 연결된 상기 회전제어벨트(191,201)의 끝단부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로드(194,204), 상기 회전제어벨트(191,201)가 벌어진 것을 눌러줄 수 있도록 하여 그 인장력을 크게 하거나 그 반대로 하여 인장력을 작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정구(192,202)에 의해 가압 또는 가압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브라케트(195,205), 상기 몸체(193,203)를 덮어주는 커버(196,206)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압브라케트(195,205)는 그 일단부가 상기 몸체(193,203)의 측면 내벽에 구비된 힌지핀(197,207)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정구(192,202)를 돌려 상기 가압브라케트(195,205)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힌지핀(197,207)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압브라케트(195,205)가 눌려지면서 상기 회전제어벨트(191,201)를 가압시켜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100)는 도 6에서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상기 상판프레임(111)에 앉아서 상기 회전브리케트(170,180)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171,181)를 각각 잡아준다.
이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71,181)를 잡은 상태에서 허리를 굽히면서 손을 좌우로 벌리면서 쭈욱 전방으로 펼쳐준다.
이때의 동작이 마치 물결치는 모습과 같이 이루어진다고 하여 웨이브(wave)동작 또는 굴신운동이라 한다.
그러면 상기 회동롤러(150,160)가 회전되면서 이와 일체로 된 상기 회전브라케트(170,180)가 자연스럽게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71,181)를 잡은 상태에서 허리를 펴면서 팔을 최대한 당겨준다.
본 발명의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100)는 이와 같은 웨이브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작 전이나 중간에 상기 트레이닝기구(100)에 구비된 상기 회동아암(120,130)의 작동범위와 상기 회동롤러(150,160)의 회전력 및 상기 회전브라케트(170,180)의 팔길이를 모두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허리 근력 강화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아암(120,130)의 작동범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동아암(120,130)을 적절히 회전하여 그 회전반경을 설정한 다음 상기 잠금볼트(144)를 돌려 상기 슬롯(143)에 체결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아암(120,130)의 작동범위가 조정되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롤러(150,160)의 회전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정구(192,202)를 돌려 상기 가압브라케트(195,205)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힌지핀(197,207)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압브라케트(195,205)가 눌려지면서 상기 회전제어벨트(191,201)를 가압시켜 주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제어벨트(191,201)가 상기 회동롤러(150,160)를 당겨주는 인장력이 발생되어 보다 많은 회전력이 요구되게 된다. 이때 회전력을 약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조정구(192,202)를 적절히 풀어주면서 고정시켜 주면 된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케트(170,180)의 팔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길이조절볼트(174,184)를 풀어준 다음 상기 내측브라케트(173,183)를 적당한 길이로 슬라이딩시킨 다음 상기 길이조절볼트(174,184)를 다시 돌려 이를 체결 고정 시키게 되면 상기 내측브라케트(173,183)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100)는 신체조건에 따라 개별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허리 근력 강화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100)는 상기 손잡이(171,181) 중 어느 한 쪽의 손잡이만 양손으로 잡고 운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3)은 양단이 회동가능한 핀(관절) 구조로 되어 일단은 상기 상판프레임(111)의 하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프레임(11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양단이 회동가능한 핀(관절) 구조로 되어 일단은 상기 아암몸체프레임(140)의 하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프레임(112)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아암몸체지지브라케트(210)가 설치 구비되고,
상기 아암몸체지지브라케트(210)와 상기 지지프레임(113)에는 각각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면서 단부에는 일정길이까지 볼트 형상의 조절부가 형성된 조절로드(230)가 설치 구비되며,
상기 바닥프레임(112)에는 그 일단부에 상기 조절로드(230)의 조절부를 삽설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플레이트(240)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로드(230)의 단부에는 상기 아암몸체지지브라케트(210)와 상기 지지프레임(113)을 회전시켜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버(250)가 설치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레버(250)는 구동모터 등으로 하여 이를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맞게 상기 상판프레임(11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절레버(250)를 회전시켜 상기 아암몸체지지브라케트(210)와 상기 지지프레임(113)을 관절 회동시켜주게 되면 상기 상판프레임(111)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 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는 의자의 전방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 양단부에 각각 손잡이를 구비한 회전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켜주면서 허리를 상하 웨이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는 사용자의 근력에 맞게 회전력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들을 포함한 전 계층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는 사용자의 팔길이나 허리높이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반경과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기구의 조작과 사용이 편리하다.
100: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110:의자프레임
111:상판프레임 112:바닥프레임 113:지지프레임
120,130:회동아암
140:아암몸체프레임
141:하부프레임 142:상부프레임 143:슬롯 144:잠금볼트
150,160:회동롤러
170,180:회전브라케트
171,781:손잡이 172,182:외측브라케트 173,183:내측브라케트
174,184:길이조절볼트
190:200:회전조절수단
191,201:회전제어벨트 192,202:조정구 193,203:몸체
194,204:고정로드 195,205:가압브라케트 196,206:커버
197,207:힌지핀

Claims (8)

  1. 상체를 굽히거나 펴주는 웨이브 동작을 실시하면서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닝기구에 있어서,
    바닥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판프레임과 바닥프레임 및 이들이 일정 높이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의자프레임과,
    상기 상판프레임의 일단부에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이 일정간격의 이격이 형성되도록 설치 고정되고 그 사이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핀에 의해 각각의 회동아암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아암몸체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회동아암 끝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삽설된 회동롤러와,
    상기 회동롤러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그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면서 단부에 각각 손잡이가 구비된 회전브라케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아암의 상부면에 설치되되 상기 회동롤러에 연결 설치되면서 마찰력에 의해 그 회전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제어벨트를 조절하는 조정구가 구비된 회전조절수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부에는 반원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회동아암의 회전반경을 각각 조절하여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슬롯이 형성 구비되고, 상기 슬롯에는 상기 회동아암에 연결 설치되어 그 회전을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볼트가 삽설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케트는 상기 회동롤러의 상부측에 각각 고정 장착되는 중공형의 외측브라케트와 상기 외측브라케트의 내부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내측브라케트로 구성되되,
    상기 내측브라케트의 일단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외측브라케트에는 상기 내측브라케트가 슬라이딩되면서 그 길이를 조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볼트가 각각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수단은 몸체와, 상기 회동롤러에 걸어 연결된 상기 회전제어벨트의 끝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삽설 고정되는 고정로드, 상기 회전제어벨트를 제어하여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정구에 의해 가압 또는 가압해제되는 가압브라케트, 및 상기 몸체를 덮어주는 커버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 내벽에는 상기 가압브라케트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핀이 더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양단이 회동가능한 핀 구조로 되어 일단은 상기 상판프레임의 하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되,
    상기 아암몸체프레임에는 양단이 회동가능한 핀 구조로 되어 일단은 상기 아암몸체프레임의 하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아암몸체지지브라케트가 설치되고,
    상기 아암몸체지지브라케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각각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면서 단부에는 일정길이까지 볼트 형상의 조절부가 형성된 조절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그 일단부에 상기 조절로드의 조절부를 삽설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플레이트가 더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아암몸체지지브라케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회전시켜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버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KR1020110103685A 2011-10-11 2011-10-11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KR101348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685A KR101348317B1 (ko) 2011-10-11 2011-10-11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685A KR101348317B1 (ko) 2011-10-11 2011-10-11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184A true KR20130039184A (ko) 2013-04-19
KR101348317B1 KR101348317B1 (ko) 2014-01-06

Family

ID=4843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685A KR101348317B1 (ko) 2011-10-11 2011-10-11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899B1 (ko) * 2015-11-06 2016-06-20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허리지지대가 구비된 런닝머신
CN108775179A (zh) * 2018-06-13 2018-11-09 广东怡丰智能车库有限公司 一种皮带式车辆搬运器及其夹持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541B1 (ko) 2016-08-30 2018-06-12 박홍석 근력 측정 및 운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9791Y2 (ja) * 1990-02-28 1996-09-04 秋江 山田 貴重品入れ部を形成する多目的ヘア―キャップ
KR20010065064A (ko) * 1999-12-21 2001-07-11 마진상 하체 스트레칭 기구
KR200451492Y1 (ko) 2009-07-10 2010-12-17 주식회사 비에스 로윙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899B1 (ko) * 2015-11-06 2016-06-20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허리지지대가 구비된 런닝머신
CN108775179A (zh) * 2018-06-13 2018-11-09 广东怡丰智能车库有限公司 一种皮带式车辆搬运器及其夹持臂
CN108775179B (zh) * 2018-06-13 2023-12-29 广东怡丰智能车库有限公司 一种皮带式车辆搬运器及其夹持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317B1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817B2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US6203474B1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US9993683B2 (en)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lower body ped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5468205A (en) Portable door mounted exercise apparatus
US5941800A (en)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EP1722868A2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US20150297948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KR101166981B1 (ko) 멀티 다관절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WO2008079676A2 (en) Shoulder stretcher assembly
US7070548B2 (en) Lean ABS machine
KR20100100758A (ko)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그립
US7670270B2 (en) Exercising machine
KR101348317B1 (ko)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KR100651259B1 (ko)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WO1991012854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50290486A1 (en) Apparatus for exercise
CN216418216U (zh) 站式推拉臂
EP2892622B1 (en) Gym machine for dip exercises and twist workout
US20190336816A1 (en)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lower body ped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212262334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健身器材
KR200464221Y1 (ko) 복근 운동기
KR101392876B1 (ko)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WO2011146541A2 (en) Pulley for body-weight exercise with attached tri-circular exercise device
KR200463831Y1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102472866B1 (ko) 필라테스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