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876B1 -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 Google Patents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876B1
KR101392876B1 KR1020110095707A KR20110095707A KR101392876B1 KR 101392876 B1 KR101392876 B1 KR 101392876B1 KR 1020110095707 A KR1020110095707 A KR 1020110095707A KR 20110095707 A KR20110095707 A KR 20110095707A KR 101392876 B1 KR101392876 B1 KR 101392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eight
plate
fixed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041A (ko
Inventor
장용주
Original Assignee
장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주 filed Critical 장용주
Priority to KR102011009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87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63B21/063Weight sel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63B21/063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the weights being lifted by rig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안내봉을 따라 웨이트가 상하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하부면에 각각 한 쌍의 도르레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도르레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와이어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를 인체의 발뒤꿈치 또는 팔꿈치에 걸어 이를 당겨주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허리의 근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A Weight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안내봉을 따라 웨이트가 상하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하부면에 각각 한 쌍의 도르레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도르레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와이어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를 인체의 발뒤꿈치 또는 팔꿈치에 걸어 이를 당겨주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허리의 근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의 하중을 신체의 소정 부분 근육에 반복적으로 작용시켜 근육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운동을 웨이트트레이닝(Weight training)이라 하고, 이와 같은 운동을 하기 위한 기구를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라 불리워 왔으며, 많은 헬쓰장에는 매우 다양한 트레이닝기구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초기의 웨이트트레이닝으로는 아령(啞鈴) 및 역기(力器) 등과 같은 단순한 기구를 사용하여 향해져 왔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삼두근, 가슴근육, 삼각근, 활배근, 이두근, 상두근, 사두근, 대퇴근 등을 단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합적인 구조로 구성된 웨이트 트레이닝기구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대표적인 운동기구 중 하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05529호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공지되어 있는바,
여기서 종래의 상기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50)의 구성을 살펴 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는, 지지프레임(51)의 내부에 수직하게 입설된 한쌍의 안내봉(52)에 상하방으로 슬라이딩 되게 적층되는 다수개의 웨이트 스텍(53)과, 웨이트 스텍(53)의 상부에 안내봉(52)을 따라 와이어(54)의 견인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55) 및 플레이트(55)의 하부에 장착되어 웨이트 스텍(53)을 고정하는 고정봉(56)으로 이루어지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웨이트 스텍 (53)의 양단에 안내봉(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안내공(57)이 양단이 개방되도록 관통되고, 외면에 형성된 연질수지피복층의 중심공(59) 양측부에 보다 높이 돌출되는 후육부(60)가 형성되며, 고정봉(56)에 괘정키판(61)이 끼워지는 요입홈(63)이 웨이트 스텍(53)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이 되게 다단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괘정키판(61)은 웨이트 스텍(53)을 적층할때 후육부(60)에 의해 형성된 중심공(59) 부위의 간격(62)에 대응하는 두께와 넓이로서 요입홈(63)의 축경부 (64)가 끼워지는 절결홈이 형성되며 선단에 키판 손잡이가 일체로 입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50)는 상기 와이어(54)의 선단에 부착된 손잡이(68)를 당기면 와이어(54)가 가이드 로울러(69)에 의해 당겨지면서 이의 끝단에 연결된 플레이트(55)가 안내봉(5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하로 승강하게 되므로 고정봉(56)에 원하는 무게의 웨이트 스텍(53)을 괘정키판(61)으로 고정시켜 와이어(54)를 당기고 놓는 운동을 반복하게 되면 플레이트(55)와 함께 안내봉(5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웨이트 스텍(53)의 중량으로 인해 근육을 단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와 로울러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수직하게 입설된 안내봉을 따라 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트레이닝기구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00705호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와 등록특허 제10-0855179호의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장치'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구조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주로 삼두근, 가슴근육, 삼각근, 이두근, 상두근, 대퇴근 등을 단련시켜 근육질 몸매을 통해 건강미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기와 같은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통해서는 인체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허리 근력을 단련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안내봉을 따라 웨이트가 상하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하부면에 각각 한 쌍의 도르레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도르레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와이어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를 인체의 발뒤꿈치 또는 팔꿈치에 걸어 이를 당겨주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허리의 근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공간이 협소하고 작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트레이닝을 실시 할 수 있도록 구성을 최소화하여 제작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체의 발이나 상체를 이용하여 웨이트(weight)를 상하로 승강(昇降) 슬라이딩하면서 트레이닝을 하여 허리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있어서,
지면이나 바닥면에 설치 고정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 좌측하면에 구비되는 상부좌측도르레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하부 좌측상면에 구비되는 하부좌측도르레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고정 설치되는 좌측가이드봉에 삽설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된 좌측웨이트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 우측하면에 구비되는 상부우측도르레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 우측상면에 구비되는 하부우측도르레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고정 설치되는 우측가이드봉에 삽설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된 우측웨이트수단;과 상기 상부좌측도르레수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좌측도르레수단까지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좌측웨이트수단을 승강시켜줄 수 있도록 된 좌측와이어수단;과 상기 상부우측도르레수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우측도르레수단까지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우측웨이트수단을 승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우측와이어수단;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면 하부에서부터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와이어수단을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서 이를 당겨줄 수 있도록 하는 평면좌판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는, 프레임의 상단부측에는 양쪽 발뒤꿈치에 걸어 각각 다리의 힘으로 이를 당겨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1와이어가 구비되고 또 프레임의 중간부측에는 인체의 양팔꿈치에 걸어 허리를 굽히거나 펴주는 힘으로 이를 당겨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2와이어가 구비되는 구성을 통해 인체의 발뒤꿈치 또는 팔꿈치를 이용하여 웨이트를 반복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려줄 수 있도록 하는 운동을 행함으로써 편리하게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는 웨이트를 측면에서 가감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게 중량조절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는 설치 공간이 협소하고 작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트레이닝을 실시 할 수 있는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쉽게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허리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분리 사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적용되는 개략적인 도르레수단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웨이트수단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발꿈치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작동상태도(a)와, 팔꿈치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작동상태도(b)이고,
도 7은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면이나 바닥면에 설치 고정되는 하면플레이트(111)와, 상기 하면플레이트(111)에 대향되어 상부측에 구비되는 상면플레이트(112),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주프레임(113)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110);과
상기 상면플레이트(112)의 좌측 하면에 구비되되, 그 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전방좌측도르레(121)와, 중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중간좌측도르레(122), 및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후방좌측도르레(123)로 구성되는 상부좌측도르레수단(120);과,
상기 하면플레이트(111)의 좌측에 구비되되, 그 전방부 상부측에 상기 상면전방좌측도르레(121)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전방좌측도르레(131)와, 중간부 상면에 상기 상면중간좌측도르레(122)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중간좌측도르레(132), 및 후방부 상면에 상기 상면후방좌측도르레(123)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후방좌측도르레(133)로 구성되는 하부좌측도르레수단(130);과,
상기 하면플레이트(111)에서부터 상기 상면플레이트(112)까지 설치 고정되는 좌측가이드봉(140)에 삽설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좌측웨이트슬라이딩도르레(151)가 구비된 좌측웨이트수단(150);과
상기 상면플레이트(112)의 우측 하면에 구비되되, 그 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전방우측도르레(161)와, 중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중간우측도르레(162), 및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후방우측도르레(163)로 구성되는 상부우측도르레수단(160);과,
상기 하면플레이트(111)의 타측에 구비되되, 그 전방부 상부측에 상기 상면전방우측도르레(161)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전방우측도르레(171)와, 중간부 상면에 상기 상면중간우측도르레(162)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중간우측도르레(172), 및 후방부 상면에 상기 상면후방우측도르레(163)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후방우측도르레(173)로 구성되는 하부우측도르레수단(170);과,
상기 하면플레이트(111)에서부터 상기 상면플레이트(112)까지 설치 고정되는 우측가이드봉(180)에 삽설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우측웨이트슬라이딩도르레(191)가 구비된 우측웨이트수단(190);과
상기 상부좌측도르레수단(120)으로부터 상기 하부좌측도르레수단(130)까지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좌측웨이트수단(150)을 승강(昇降)시켜줄 수 있도록 된 좌측와이어수단(200);과
상기 상부우측도르레수단(160)으로부터 상기 하부우측도르레수단(170)까지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우측웨이트수단(190)을 승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우측와이어수단(210); 및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서 상기 좌우측와이어수단(200,210)을 당겨줄 수 있도록 상기 지주프레임(113)의 일측면 하부에서부터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된 평면좌판플레이트(220);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좌측 및 우측은 사용자가 상기 평면좌판플레이트(220)를 그 전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바라보고 서 있을 경우를 상정(기준)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웨이트수단(150,190)은 각각 'ㄷ'자 형상으로 된 몸체플레이트(152,192)와, 상기 몸체플레이트(152,192)의 양측면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좌우측가이드봉(140,180)을 그 전후에서 각각 삽설 지지하여 이를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설치 구비된 전방로울러(153,193)와 후방로울러(154,194), 및 상기 몸체플레이트(152,192)의 전면에 구비되어 웨이트(W)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웨이트조절봉(155,19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조절봉(155,195)의 단부측에는 상기 몸체플레이트(152,192)와 연접하여 상기 좌우측와이어수단(200,21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측웨이트슬라이딩도르레(151,191)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로울러(153,193)의 하부에는 상기 좌우측가이드봉(140,180)을 지지하여 흔들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보조로울러(156,196)가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조절봉(155,195)에는 그 단부측에 탄성적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하는 쐐기 형상의 안전돌기(157,197)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웨이트(W)가 상기 웨이트조절봉(155,195)에 끼워질 때는 상기 안전돌기(157,197)가 탄성적으로 눌려지면서 쐐기형상의 경사면을 따라 삽설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웨이트(W)를 상기 웨이트조절봉(155,195)에서 빼낼 때에는 인위적으로 상기 안전돌기(157,197)를 눌러주어야만 된다.
이는 상기 본체프레임(110)을 이동하거나 예기치 못하게 전도될 경우 무거운 상기 웨이트(W)가 임으로 빠져나가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면플레이트(111)에는 상기 좌우측가이드봉(140,180) 사이에 상기 몸체플레이트(152,192)가 최하단으로 슬라이딩하여 하강할 때 이를 지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판(23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판(230)은 상기 웨이트(W)의 크기를 감안하여 일정 높이로 설치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지지대(240)의 상단부에 고정 된다.
따라서 상기 웨이트(W)가 구비된 상기 몸체플레이트(152,192)가 최하단으로 슬라이딩하여 하강했을 때 그 하단 모서리가 상기 고무판(230)에 지지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평면좌판플레이트(220)는 사용자의 엉덩이부 또는 발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그 양단부에 구비된 확장부(221)와 상기 확장부(22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222)로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221)는 상기 연결부(222) 보다 넓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는 상기 확장부(221)에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발 등을 안정적으로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113)측으로 형성된 상기 확장부(221)에는 발바닥을 안정적으로 걸어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발걸이(223)가 구비된 발지지판(22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와이어수단(200,210)은 그 일단부에 상기 상면전방좌측도르레(121)와 상기 하면전방우측도로레(131)에 지지되면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록킹구(201,211)가 각각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사용자의 발뒤꿈치 또는 팔꿈치에 벌려서 걸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벌어지는 걸이고정끈(202,212)이 각각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중간좌우측도로레(122,162)와 상기 상면후방좌우측도로레(123,163)는 상기 좌우측웨이트슬라이딩도르레(151,191)에 상기 좌우측와이어수단(200,210)이 잘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일정각도란 상기 하면중간좌우측도로레(132,172)와 상기 하면후방좌우측도로레(133,173)의 설치 방향에 대한 상기 상면중간좌우측도로레(122,162)와 상기 상면후방좌우측도로레(123,163)의 설치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와이어수단(200,210)의 연결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은 상기 상면전방좌측도르레(121)에 그 한 쪽 끝이 구비되고, 이어 상기 하면후방좌측도르레(133)를 지나 상기 상면후방좌측도르레(123)를 통과한 다음, 상기 좌측웨이트슬라이딩도르레(151)를 지나 다시 상기 상면중간좌측도로레(122)를 통과하고, 연이어 상기 하면중간좌측도로레(132)를 지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의 다른 쪽 끝이 상기 하면전방좌측도르레(131)에 구비되어 한 쪽(좌측) 와이어수단의 싸이클이 완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전방좌측도르레(121)에 구비된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의 일단을 서서히 당겨주게 되면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에 구비된 다른 쪽 끝단이 상기 하면전방좌측도르레(131)에 걸려 고정되는 순간부터 상기 좌측웨이트수단(150)이 상승하면서 웨이트트레이닝이 이루어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상면전방좌측도르레(121)에 구비된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의 일단을 서서히 놓아주게 되면 상기 좌측웨이트수단(150)이 상기 고무판지지대(240)에 구비된 상기 고무판(230)에 닿아 지지될 때 까지 하강하면서 웨이트트레이닝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우측와이어수단(210)은 상기 상면전방우측도르레(161)에 그 한 쪽 끝이 구비되고, 이어 상기 하면후방우측도르레(173)를 지나 상기 상면후방우측도르레(163)를 통과한 다음, 상기 우측웨이트슬라이딩도르레(191)를 지나 다시 상기 상면중간우측도로레(162)를 통과하고, 연이어 상기 하면중간우측도로레(172)를 지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우측와이어수단(210)의 다른 쪽 끝이 상기 하면전방우측도르레(171)에 구비되어 한 쪽(우측) 와이어수단의 싸이클이 완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전방우측도르레(161)에 구비된 상기 우측와이어수단(210)의 일단을 서서히 당겨주게 되면 상기 우측와이어수단(210)에 구비된 다른 쪽 끝단이 상기 하면전방우측도르레(171)에 걸려 고정되는 순간부터 상기 우측웨이트수단(190)이 상승하면서 웨이트트레이닝이 이루어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상면전방우측도르레(161)에 구비된 상기 우측와이어수단(210)의 일단을 서서히 놓아주게 되면 상기 우측웨이트수단(190)이 상기 고무판지지대(240)에 구비된 상기 고무판(230)에 닿아 지지될 때 까지 하강하면서 웨이트트레이닝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100)는 도 6에서와 같이,
인체의 허리 근력을 보강하기 위한 트레이닝을 위해서는 하체의 발을 이용하는 방법과 상체의 팔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하체의 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누워 머리와 엉덩이를 상기 평면좌판플레이트(220)에 구비된 상기 확장부(221)에 위치 시킨다.
이어, 사용자의 우측 발뒤꿈치에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에 구비된 상기 걸이고정끈(202)을 벌려 걸어주고, 또 사용자의 좌측 발뒤꿈치에 상기 우측와이어수단(210)에 구비된 상기 걸이고정끈(212)을 벌려 걸어준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의 양손을 도면 6(a)과 같이 상기 확장부(221)의 양측을 잡아주고 양발을 번갈아 가면서 서서히 올리거나 내리면서 웨이트트레이닝을 실시한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100)에 대해 등지고 누운 상태이기 때문에 우측발이 상기 상부좌측도르레수단(120)을 사용하게 되고 좌측발이 상기 상부우측도르레수단(160)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우측 발뒤꿈치에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에 구비된 상기 걸이고정끈(202)을 벌려 걸어준 다음 우측발을 세운 상태에서 이를 쭉 뻗어서 서서히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상부좌측도르레수단(120)에 구비된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의 일단이 상기 상면전방좌측도르레(121)로부터 서서히 당겨지게 되고, 이어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에 구비된 다른 쪽 끝단이 상기 하면전방좌측도르레(131)에 걸려 고정되는 순간부터 상기 좌측웨이트수단(150)이 상기 좌측웨이트슬라이딩도르레(151)에 의해 상기 좌측가이등봉(140)을 따라 상승하면서 승강웨이트트레이닝이 이루어지게 되고,
반대로 우측발을 서서히 세워 상승시켜주게 되면, 상기 상면전방좌측도르레(121)에 구비된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의 일단이 서서히 풀어지게 되면서 상기 좌측웨이트수단(150)이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좌측가이등봉(140)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고무판지지대(240)에 구비된 상기 고무판(230)에 닿아 지지될 때 까지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면서 하강웨이트트레이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좌측발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상부우측도르레수단((160)을 이용해 번갈아 가면서 웨이트트레이닝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특히 사용자의 양발은 수직으로 번갈아 가면서 상하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할 수도 있고, 또 양발을 바깥쪽으로 벌렸다 오므려주면서 타원형 모양으로 상하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허리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구는 종래에 전혀 존재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상체의 팔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프레임(110)을 바라보고 발과 엉덩이를 상기 평면좌판플레이트(220)에 구비된 상기 확장부(221)에 위치 시킨다.
이어 발을 상기 확장부(221)에 구비된 상기 발걸이지지판(224)과 상기 발걸이(223)에 끼워 발등을 지지시킨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의 좌측 팔꿈치에 상기 좌측와이어수단(200)에 구비된 상기 걸이고정끈(202)을 벌려 걸어주고, 또 사용자의 우측 팔꿈치에 상기 우측와이어수단(210)에 구비된 상기 걸이고정끈(212)을 벌려 걸어준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프레임(110)을 바라보고 앉게되므로 좌측 팔꿈치에 상기 하부좌측도르레수단(130)을, 우측 팔꿈치에 상기 하부우측도르레수단(170)을 각각 걸쳐서 실시하게 된다.
이어 사용자가 상체의 허리를 도면 6(b)과 같이 전방으로 굽혀주거나 펴주는 운동을 번갈아 가면서 서서히 웨이트트레이닝을 실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하부좌우측도르레수단(130,170)을 이용하여 실시하게 된다.(물론, 상기 상부좌우측도르레수단(120,160)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우측 팔꿈치에 상기 하부좌우측도르레수단(130,170)에 구비된 상기 걸이고정끈(202,212)를 벌려 걸어 준 다음 허리를 펴면서 이를 당겨주면 상기 좌우측와이어수단(200,210)에 의해 상기 좌우측웨이트수단(150,190)이 각각 상기 좌우측가이드봉(140,180)을 따라 상승하면서 웨이트 트레이닝이 실시된다.
반대로 허리를 굽혀주면 상기와 반대로 상기 좌우측웨이트수단(150,190)이 각각 상기 좌우측가이드봉(140,180)을 따라 하강하면서 웨이트 트레이닝이 실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100)는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안내봉을 따라 웨이트가 상하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하부면에 각각 한 쌍의 도르레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도르레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와이어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를 인체의 발뒤꿈치 또는 팔꿈치에 걸어 이를 당겨주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허리의 근력을 획기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110:본체프레임
111:하면플레이트 112:상면플레이트 113:지주프레임
120:상부좌측도르레수단
121:상면전방좌측도르레 122:상면중간좌측도르레 123:상면후방좌측도르레
130:하부좌측도르레수단
131:하면전방좌측도르레 132:하면중간좌측도르레 133:하면후방좌측도르레
140:좌측가이드봉
150:좌측웨이트수단
151:좌측웨이트슬라이딩도르레 152:몸체플레이트 153:전방로울러
154:후방로울러 155:웨이트조절봉 156:보조로울러 157:안전돌기
160:상부우측도르레수단
161:상면전방우측도르레 162:상면중간우측도르레 163:상면후방우측도르레
170:하부우측도르레수단
171:하면전방우측도르레 172:하면중간우측도르레 173:하면후방우측도르레
180:우측가이드봉
190:우측웨이트수단
191:우측웨이트슬라이딩도르레 192:몸체플레이트 193:전방로울러
194:후방로울러 195:웨이트조절봉 196:보조로울러 197:안전돌기
200:좌측와이어수단 201:록킹구 202:걸이고정끈
210:우측와이어수단 211:록킹구 212:걸이고정끈
220:평면좌판플레이트
221:확장부 222:연결부 223:발걸이 224:발지지판
230:고무판 240:고무판지지대

Claims (8)

  1. 인체의 발이나 상체를 이용하여 웨이트(weight)를 상하로 승강(昇降) 슬라이딩하면서 트레이닝을 하여 허리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있어서,
    지면이나 바닥면에 설치 고정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 좌측하면에 구비되는 상부좌측도르레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하부 좌측상면에 구비되는 하부좌측도르레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고정 설치되는 좌측가이드봉에 삽설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된 좌측웨이트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 우측하면에 구비되는 상부우측도르레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 우측상면에 구비되는 하부우측도르레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고정 설치되는 우측가이드봉에 삽설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된 우측웨이트수단;과
    상기 상부좌측도르레수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좌측도르레수단까지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좌측웨이트수단을 승강시켜줄 수 있도록 된 좌측와이어수단;과
    상기 상부우측도르레수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우측도르레수단까지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우측웨이트수단을 승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우측와이어수단;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면 하부에서부터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와이어수단을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서 이를 당겨줄 수 있도록 하는 평면좌판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지면이나 바닥면에 설치 고정되는 하면플레이트와, 상기 하면플레이트에 대향되어 상부측에 구비되는 상면플레이트,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주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좌측도르레수단은 상기 상면플레이트의 좌측 하면에 구비되되, 그 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전방좌측도르레와, 중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중간좌측도르레, 및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후방좌측도르레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좌측도르레수단은 상기 하면플레이트의 좌측에 구비되되, 그 전방부 상부측에 상기 상면전방좌측도르레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전방좌측도르레와, 중간부 상면에 상기 상면중간좌측도르레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중간좌측도르레, 및 후방부 상면에 상기 상면후방좌측도르레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후방좌측도르레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우측도르레수단은 상기 상면플레이트의 우측 하면에 구비되되, 그 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전방우측도르레와, 중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중간우측도르레, 및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면후방우측도르레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우측도르레수단은 상기 하면플레이트의 타측에 구비되되, 그 전방부 상부측에 상기 상면전방우측도르레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전방우측도르레와, 중간부 상면에 상기 상면중간우측도르레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중간우측도르레, 및 후방부 상면에 상기 상면후방우측도르레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면후방우측도르레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웨이트수단은 'ㄷ'자 형상으로 된 몸체플레이트와, 상기 몸체플레이트의 양측면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좌측가이드봉을 그 전후에서 각각 삽설 지지하여 이를 상하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설치 구비된 전방로울러와 후방로울러, 및 상기 몸체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어 웨이트(W)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웨이트조절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우측웨이트수단은 'ㄷ'자 형상으로 된 몸체플레이트와, 상기 몸체플레이트의 양측면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좌우측가이드봉을 그 전후에서 각각 삽설 지지하여 이를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설치 구비된 전방로울러와 후방로울러, 및 상기 몸체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어 웨이트(W)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웨이트조절봉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방로울러의 하부측에는 상기 각 좌우측가이드봉을 지지하여 이들이 흔들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보조로울러가 각각 더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조절봉의 단부측에는 상기 몸체플레이트와 연접하여 상기 좌우측와이어수단이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측웨이트슬라이딩도르레이 각각 더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조절봉에는 그 일단부측에 탄성적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하는 쐐기 형상의 안전돌기가 각각 더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플레이트에는 상기 좌우측가이드봉 사이에 상기 몸체플레이트가 최하단으로 슬라이딩하여 하강할 때 이를 지지하면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판이 더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좌판플레이트는 사용자의 엉덩이부 또는 발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그 양단부에 확장부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양단부는 연결부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연결부 보다 넓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1020110095707A 2011-09-22 2011-09-22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101392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707A KR101392876B1 (ko) 2011-09-22 2011-09-22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707A KR101392876B1 (ko) 2011-09-22 2011-09-22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041A KR20130032041A (ko) 2013-04-01
KR101392876B1 true KR101392876B1 (ko) 2014-05-08

Family

ID=4843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707A KR101392876B1 (ko) 2011-09-22 2011-09-22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8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3803A (zh) * 2018-06-27 2018-09-21 贵州大学 一种力度可调式拉力健身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962A (en) 1995-01-26 1996-12-24 Hallmark; Timothy M. Multiple sport training and exercise apparatus
KR200322637Y1 (ko) 2003-04-26 2003-08-14 김진태 허리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KR100843255B1 (ko) 2008-02-22 2008-07-02 차충환 회전체 직경 변위를 이용한 변력장치
US7666124B2 (en) 2004-03-08 2010-02-23 John Vaes Exercise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962A (en) 1995-01-26 1996-12-24 Hallmark; Timothy M. Multiple sport training and exercise apparatus
KR200322637Y1 (ko) 2003-04-26 2003-08-14 김진태 허리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US7666124B2 (en) 2004-03-08 2010-02-23 John Vaes Exercise machine
KR100843255B1 (ko) 2008-02-22 2008-07-02 차충환 회전체 직경 변위를 이용한 변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041A (ko) 201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3474B1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US4286782A (en) Multi-purpose exercise enhancing device
US7608020B2 (en) Arm and shoulder lift apparatus
US8449438B2 (en) Adjustable standing muscular releasing and stretching exercise device
US7070548B2 (en) Lean ABS machine
CN211188936U (zh) 一种安全型多功能卧推器
US20100022362A1 (en) Assisted-exercise apparatus
US8025615B1 (en) Exercise roll bar device
US20150224360A1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US11045680B2 (en) Free weight exercise swing attachment
KR101392876B1 (ko)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CN105597266A (zh) 后蹬练习架
KR101348317B1 (ko)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EP2892622B1 (en) Gym machine for dip exercises and twist workout
CN203017672U (zh) 一种仰卧式健身器
CN212016564U (zh) 一种多功能综合训练器
CN108704272A (zh) 用于平卧两用健身的运动器械
CN211050816U (zh) 具有手部拉引式训练结构的跑步机
KR200451925Y1 (ko) 로윙 운동기구
US20130210592A1 (en) Resistance band tensioner
CN216023000U (zh) 多功能一体健身椅
CN211611452U (zh) 箱体折叠锻炼器
CN108992856A (zh) 一种体育多功能健身拉伸器
EP4166203A1 (en) Fitness exercise apparatus
CN219050226U (zh) 一种上下肢复合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