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064A - 하체 스트레칭 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스트레칭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064A
KR20010065064A KR1019990065353A KR19990065353A KR20010065064A KR 20010065064 A KR20010065064 A KR 20010065064A KR 1019990065353 A KR1019990065353 A KR 1019990065353A KR 19990065353 A KR19990065353 A KR 19990065353A KR 20010065064 A KR20010065064 A KR 20010065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wer body
trainer
exercise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진상
Original Assignee
마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진상 filed Critical 마진상
Priority to KR101999006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5064A/ko
Publication of KR2001006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0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horizontal plane, e.g. skating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의 유연성을 단련하기 위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로서, 훈련자가 앉아서 운동할 수 있는 앉음 판과; 상기 앉음 판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쪽 단부가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타단부와, 훈련자가 양쪽 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상부와 하부 측에 굴절된 연결지점을 갖고 좌측 발판지지대 및 우측 발판지지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좌측 발판지지대와 우측 발판지지대의 단부에 올려지는 발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체 스트레칭 기구{An Stretching Appliance for the lower part of Body}
본 발명은 하체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권도, 체조, 무용 등의 제반 운동을 하는데 필수적인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는 하체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체의 유연성을 기르기 위한 스트레칭 훈련은 특별한 장치가 훈련기구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운동선수 서로간이나 선수 자신이 다리를 벌리거나 앉은 자세에서 힘을 가함으로써 근육은 이완시키는 훈련을 하고 있다. 즉 운동장이나 실내체육관 등에서 개인이 다리벌리기 운동(일반적으로 다리 찢기라고도 함)을 하여 다리 근육에 반복적인 자극을 가하여 다리의 유연성을 기르는 훈련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다리벌리기 운동방법으로는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유연성을 얻도록 훈련하는 것이 곤란할 뿐 아니라, 자신의 신체에 과다한 힘을 가하여 훈련하는 것은 가혹한 신체적 고통을 수반하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훈련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운동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면서도 부상의 두려움을 갖게 되어 운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운동량을 훈련자 스스로 조절해가면서 하체의 유연성 향상과 모든 운동의 기초가 되는 하체 근육운동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최초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할 때 양쪽 발을 충분히 벌린 상태에서 운동을 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도 2에서의 Ⅰ-Ⅰ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을 도시하는 부호의 설명*
10 : 결합부 12 : 볼트
14 : 와셔 16 : 너트
20, 20′: 발판지지대 22, 22′: 상부 손잡이
24, 24′: 하부 손잡이 26, 26′: 발판지지대 단부
30, 30′: 발판 30a, 40a : 로울러
40, 40′: 앉음 판 42 : 이탈방지홈
44 : 하부받침대 46 : 하부받침대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체 스트레칭 기구는 하체의 유연성을 단련하기 위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로서,
훈련자가 앉아서 운동할 수 있는 앉음 판과;
상기 앉음 판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쪽 단부가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타단부와, 훈련자가 양쪽 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상부와 하부 측에 굴절된 연결지점을 갖고 좌측 발판지지대 및 우측 발판지지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좌측 발판지지대와 우측 발판지지대의 단부에 올려지는 발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각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운동량을 조절하며 신체 훈련을 실시할 수 있어, 모든 운동에 기본이 되는 유연한 몸 상태를 유지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발판지지대는, 그 상부와 하부 측의 굴절된 연결지점 상에 상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발판지지대는, 그 상부와 하부 측의 굴절된 연결지점 상에 상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를 설치하여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훈련자의 신체조건과 운동능력에 맞도록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조작하면서 운동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 실시예 )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첨부도면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는 훈련자가 앉음 판(seat plate)에 앉아서 양발을 벌려 발판 위에 양발을 각각 올려놓고 양손으로 좌우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앉음 판이 앞으로 이동하면서 다리를 벌리게 하는 기구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는 결합부(10)와, 양측으로 전개된 발판지지대(20, 20′)와, 양 발판지지대의 단부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는 발판(30, 30′) 및 훈련자가 앉을 수 있는 앉음 판(40)으로 구성된다.
도 1에서 결합부(10)는 볼트(12)와 와셔(14) 및 너트(16)를 이용하여 양측으로 전개된 발판지지대(20, 20′)를 결합시키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2)를 이용하여 와셔(14)를 개재하여, 좌·우측으로 전개된 발판지지대(20, 20′)의 단부를 관통하여 너트(16)로 체결하고, 이 발판지지대(20, 20′)의 단부에 훈련자가 앉아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앉음 판(40)의 하부받침대(44)가 결합된다. 즉결합부(10)는 양측으로 전개된 발판지지대(20, 20′)의 연결(joint)부위를 고정시켜주면서 기구가 바닥에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한다.
또 결합부(10)는 양측으로 전개된 발판지지대(20, 20′)가 서로 수평을 유지하며 안정되고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부분은 양측으로 전개된 발판지지대(20, 20′)가 이동할 때 원활하게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조인트 역할만 해주면 되는 것이다. 도 1에서 좌측에 배치된 발판지지대(20)의 단부는 대략 Y 자 형상(도시 생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결합되는 발판지지대(20′)는 이와 같은 좌측 발판지지대(20)의 단부에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1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양측의 발판지지대(20, 20′)가 상하에 설치된 볼트(10) 및 너트(16)를 조임으로써 단단히 결합된다.
다음으로 발판지지대(20, 20′)는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벌어지며 양다리가 180 ˚에 가깝게 벌어지도록 유도한다. 이 좌우의 발판지지대(20, 20′)는 훈련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결합부(10)의 볼트(10) 및 너트(16)를 이용하여 훈련자의 신장이 작으면 각도를 줄이고, 훈련자의 신장이 클 경우에는 각도를 크게 하여 훈련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크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발판지지대(20, 20′)는 좌우로 원형을 그리며 벌렸다 오므렸다 하여 발을 벌리는데 이용된다. 이 발판지지대(2O, 2O′)의 각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첫 번째 굴절은 양 발판지지대(20, 20′)가 수평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굴절된 것이고, 결합부(1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첫 번째 굴절부위에 상부 손잡이(22, 22′)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에 있는 두 번째 굴절은 세 번째의 굴절을 돕기 위한 것으로, 이곳에는 하부 손잡이(24, 24′)가 형성되어 있다. 세 번째 굴절부위는 일자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다소의 굴절각을 갖고 형성된다. 이 세 번째 굴절부위가 일자방향으로 했을 때와 다른 점은, 성인들이 이용할 때는 손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부담없이 잡을 수 있게 되지만 어린이들이 할 때는 손이 잘 닿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을 굴절시켜서 어린이들도 이용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에는 상부와 하부의 2곳에 각각 손잡이를 형성하여 두고 있다. 이 중 상부 손잡이(222, 22′)는 초보훈련자가 발이 어느 정도 벌어지면 앉음 판(40)에서 앉아서 벌릴 수도 있지만 대부분 엉덩이 부분을 일으켜 세워 위에서 밑으로 체중을 누르면서 발을 벌리게 되는데, 그때 손잡이가 반드시 있어야 몸에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 또 하부 손잡이(24, 24′)는 처음 발을 벌릴 때는 좀처럼 상체가 전진이 안되고 발도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가까운 곳에 손잡이가 없다면 양쪽 발에 힘을 줄 수가 없다. 따라서 이 하부 손잡이(24, 24′)를 잡고 힘을 서서히 가하면서 발을 찢는다면 혼자서도 충분히 발을 벌릴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30, 30′는 양쪽 발을 올려놓는 발판이다. 상술한 발판지지대(20, 20′)의 단부에 발판지지대 단부(26, 26′)를 형성하여 두고, 이 발판지지대 단부(26, 26′)에 볼트(12)를 끼워 발판(30, 30′)을 힌지(hinge)식으로 결합시킨후 와셔(14)와 너트(16)를 이용하여 채결한다. 이와 같이 양쪽 발판(30, 30′)은 볼트식 조인트로 연결되어 원활한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밑부분에는 원형의 로울러(30a)가 각각 2곳씩 설치되어 미끄러짐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상술한 좌우측의 발판지지대는 볼트(12)와 너트(16)를 이용하여 결합부 지지대(18)에서 단단히 결합된다.
다음으로 40은 앉음 판으로 훈련자의 양쪽다리가 벌어지면 앉음 판(40)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체를 이동시켜준다. 이 앉음 판(40)의 밑부분에는 원형의 로울러(40a)가 4곳에 설치되어 있어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했고, 하부받침대(44)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할 때 하부받침대 홈(후술하는 도 4의 46 참조)선상에서 이탈방지홈(도 4의 42 참조)과 맞물려 전후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이용한 구체적인 운동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최초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훈련자는 앉음 판(40)에 앉아서 좌우 양발을 각각의 발판(30, 30′)에 올려 놓고, 양손을 이용하여 하부 손잡이(24, 24′)를 잡는다. 이 상태에서 가볍게양손에 힘을 가하면서 하체를 벌려 양발을 벌리는 운동을 실시한다. 처음에는 비교적 약한 힘을 가하다가, 몸(특히 하체)이 풀리는 상태를 감안하면서 하부 손잡이(24, 24′)를 당기는 힘을 증가시켜간다. 이렇게 하면 자연스럽게 다리의 근육이 풀리면서 발을 벌리게 되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훈련자는 옆방향으로 발을 벌려 찢는 옆발찢기 운동을 실시한 후에, 발의 이완 운동이 실시된 후에는 옆으로 벌린 상태에서 상체를 발의 방향과 일치시켜 앞발을 찢는 앞발찢기 운동을 단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훈련자의 발을 발판(30, 30′) 위에 올려 놓고 다리를 벌릴 때 몸이 앞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는데 도움을 주며, 초보자가 발 벌리기를 할 때 처음에는 앉아서 벌리는 것이 신체균형에도 좋고 대퇴부 인대 손상도 막을 수 있어 좋다. 또한 후술하는 도 4에 도시하겠지만, 앉음 판(40)의 하부에 설치된 이탈방지홈(42)이 하부받침대 홈(4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앉음 판(40) 외부로 하부받침대(46)가 돌출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전방이나 후방으로 최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하부받침대(46)가 운동기기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아 운동하는데 시각적인 측면이나 안전성 면을 모두 고려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때 앉음 판(40)이나 발판(30, 30′)의 표면은 안전을 위해 그 내부에 스펀지를 넣어 인조가죽이나 인조세모로 덮어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앉음 판(40) 밑부분의 원형 로울러(40a)는 도르래 형식이 아닌 좌우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예를 들어앉는 의자의 발 로울러처럼 부드럽게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앉음 판(40)의 밑부분에서 4곳을 지탱해 주면서 전후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연하게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할 때 양쪽 발을 충분히 벌린 상태에서 운동을 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에서도 도 2와 마찬가지로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훈련자가 최초에 하부 손잡이(24, 24′)를 잡은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기초 운동을 하여 양발의 근육을 이완시킨 상태가 된 다음에, 상체를 앞으로 숙여 전방에 위치하는 상부 손잡이(22, 22′)를 잡고 서서히 힘을 가하면서 당기게 된다. 이렇게 하면 양쪽 발판(30, 30′)에 자연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양발이 차츰 바깥쪽을 향해 움직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훈련자가 힘을 서서히 조절하면서 단계적으로 양발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 상부 손잡이(22, 22′)를 잡고 양발을 찢는 훈련을 하게 됨으로써 훈련자의 하체가 차츰 평형("-" 자) 상태가 되고, 이렇게 하여 하체의 근육이 유연해지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운동의 기초는 부드러운 몸의 상태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외부로부터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훈련자 스스로 힘을 조절하면서 하체를 유연하게 하는 운동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하체 스트레칭 기구에서 앉음 판(40)과 하부받침대(44)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Ⅰ-Ⅰ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즉 도 4는 도 2에서의 Ⅰ-Ⅰ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부호 40은 앉음 판으로, 하부받침대(44)에 형성된 하부받침대 홈(46)에 결합되기 위해 그 하부에 대략 역 "T" 자 형의 이탈방지홈(42)을 가공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홈(42)이 하부받침대(44)에형성된 하부받침대 홈(46)에 삽입 설치되어 훈련자의 운동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40a는 앉음 판(40)의 하부에 4개가 설치된 원형의 로울러(40a)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모든 운동은 유연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므로 태권도, 체조, 무용 등의 제반 운동을 하는데 있어 다리를 벌려 하체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때 어려서부터 연습을 하지 않은 경우 양다리를 혼자서 벌리기란 쉽지 않다. 또한 하체가 유연하면 인체에 오는 피로감도 줄어들고 좌우 골반도 부드러워서 척추 및 허리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일반운동은 물론 생활체육을 하는 성인에게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의 구조에 의하면, 훈련자의 신체조건이나 운동능력을 감안하여 무리없이 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며, 훈련자 독립적으로도 훈련을 실시할 수 있고 신체의 유연성을 강화하는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하체의 유연성을 단련하기 위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로서,
    훈련자가 앉아서 운동할 수 있는 앉음 판과;
    상기 앉음 판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쪽 단부가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타단부와, 훈련자가 양쪽 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상부와 하부 측에 굴절된 연결지점을 갖고 좌측 발판지지대 및 우측 발판지지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좌측 발판지지대와 우측 발판지지대의 단부에 올려지는 발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스트레칭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발판지지대는, 그 상부와 하부 측의 굴절된 연결지점 상에 상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스트레칭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발판지지대는, 그 상부와 하부 측의 굴절된 연결지점 상에 상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스트레칭 기구.
KR1019990065353A 1999-12-21 1999-12-21 하체 스트레칭 기구 KR20010065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353A KR20010065064A (ko) 1999-12-21 1999-12-21 하체 스트레칭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353A KR20010065064A (ko) 1999-12-21 1999-12-21 하체 스트레칭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064A true KR20010065064A (ko) 2001-07-11

Family

ID=1963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353A KR20010065064A (ko) 1999-12-21 1999-12-21 하체 스트레칭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50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619B1 (ko) * 2009-10-06 2010-08-27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50173Y1 (ko) * 2010-06-07 2010-09-08 김영봉 스트레칭 운동기구
WO2010140808A2 (ko) * 2009-06-01 2010-12-09 Kim Jaeyoung 다목적 운동기구
KR101348317B1 (ko) * 2011-10-11 2014-01-06 장용주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0808A2 (ko) * 2009-06-01 2010-12-09 Kim Jaeyoung 다목적 운동기구
WO2010140808A3 (ko) * 2009-06-01 2011-04-21 Kim Jaeyoung 다목적 운동기구
KR100978619B1 (ko) * 2009-10-06 2010-08-27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50173Y1 (ko) * 2010-06-07 2010-09-08 김영봉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348317B1 (ko) * 2011-10-11 2014-01-06 장용주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734B1 (en) Exercising and physiotherapy system
KR100436899B1 (ko) 스트레치치료기
US5080353A (en) Aerobic exercise chair
US6056675A (en) Knee and hip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7090628B2 (en) Exercise apparatus
US11607580B2 (en) VARRI, a vertical running machine, vertical, anti-gravity, rehabilitation, recovery, impact resistant
US7857742B2 (en) Hip training apparatus
US7014602B2 (en) Leg stretching apparatus
CN108905151B (zh) 一种网球训练用的身体柔韧性训练装置
KR101946783B1 (ko) 수동식 스트레칭 운동기구
US5324245A (en) Knee bending machine
US4468026A (en) Leg exercise apparatus with elevated stand and lower line grinding member
JP4523988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US8328702B2 (en) Lower back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KR20010065064A (ko) 하체 스트레칭 기구
US20110015047A1 (en) Exercise apparatus
JP4802336B2 (ja) 重力負荷運動装置
US6733429B2 (en) Multi-mode exerciser
JP2008237785A5 (ko)
KR100931850B1 (ko) 요동을 이용한 다이어트 및 재활 운동기구
CN210992810U (zh) 一种舞蹈训练用身体柔韧度训练装置
US4949960A (en) Butterfly chair stretching apparatus
KR200450114Y1 (ko)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SU17452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нировки шпагата
JPH11319145A (ja) 脚部および腹部の美容運動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