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293Y1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293Y1
KR200407293Y1 KR2020050031934U KR20050031934U KR200407293Y1 KR 200407293 Y1 KR200407293 Y1 KR 200407293Y1 KR 2020050031934 U KR2020050031934 U KR 2020050031934U KR 20050031934 U KR20050031934 U KR 20050031934U KR 200407293 Y1 KR200407293 Y1 KR 200407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nkle
hook portion
support
ankl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택
Original Assignee
오준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택 filed Critical 오준택
Priority to KR2020050031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2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63B21/0783Safety features for bar-bells, e.g. drop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역기운동시 역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 들기 운동으로 다리 및 복근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전방에 역기바 지지부를 형성하고, 후방에 발목지지부를 형성시킨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등받이(11)의 하측 전,후방에 지지다리(12)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11)의 전방 양측으로 역기바 지지부(13)가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역기바 지지부(1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동축(20)과, 상기 이동축(20)에 수평방향에 결합되어진 역기바(30)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어지고, 중앙의 힌지(41)를 중심으로 상부발목걸이부(42)와 하부발목걸이부(43)로 이루어진 발목걸이부(40)와, 상기 발목걸이부(40)와 프레임(10)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를 설치한 것이다.
프레임, 이동축, 역기바, 발목걸이부, 탄성부재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 sports instrument}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역기 벤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등받이
12: 지지다리 13: 역기바 지지부
20: 이동축 21: 벨로즈
30: 역기바 31: 중량체
40: 발목걸이부 41: 힌지
42: 상부발목걸이부 43: 하부발목걸이부
50: 탄성부재
본 고안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기운동과 다 리 들기 운동을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에서는 육체적인 일보다는 정신적인 일이 대부분이며, 이로 인해 운동부족현상에 따른 각종 질병이 발생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운동기구 중에서 역기 운동은 가슴부위의 운동으로 가슴주변의 근육을 활성화하므로 폐활량을 높이며 혈관에 피의 유동량을 증대시켜 건강상태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운동으로 알려져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역기 벤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등의 강재가 절곡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제조된 프레임(1)의 상단에 등받이(2)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역기안착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역기안착부(3)에 역기(4)가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역기 벤치는 운동자의 운동량에 맞게 역기(4)에 중량체를 결합하고, 등받이(2)에 누운 상태에서 역기(4)를 수직방향으로 이탈시켜 가슴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역기 운동중에 운동자가 균형을 잃게 되는 경우 역기 안착부(3)에서 이탈된 역기에 의해 운동자가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항상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역기 벤치는 단순히 역기 운동만이 가능하고, 윗몸일으키기 등의 다른 운동을 할 수 있는 벤처 프레스 등도 있으나 이는 너무 고가인 문제점이 있 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역기운동시 역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 들기 운동으로 다리 및 복근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전방에 역기바 지지부를 형성하고, 후방에 발목지지부를 형성시킨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등받이의 하측 전,후방에 지지다리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의 전방 양측으로 역기바 지지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역기바 지지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에 수평방향에 결합되어진 역기바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지고, 중앙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발목걸이부와 하부발목걸이부로 이루어진 발목걸이부와, 상기 발목걸이부와 프레임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축의 외주면에는 완충력을 갖는 벨로즈가 설치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기능 운동기구는 프레임(10), 이동축(20), 역기바(30), 발목걸이부(40) 및 탄성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등받이(11)의 하측 전,후방에 지지다리(12)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11)의 전방 양측으로 역기바 지지부(1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이동축(20)은 상기 역기바 지지부(1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축(20)의 외주면에는 완충력을 갖는 벨로즈(bellows)(21)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기바(30)는 상기 이동축(20)에 수평방향에 결합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역기바(30)의 양측에는 일정 무게를 갖는 중량체(31)를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맞게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역기바(30)가 이동축(20)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게 됨으로, 역기바(30)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목걸이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어지고, 중앙의 힌지(41)를 중심으로 상부발목걸이부(42)와 하부발목걸이부(43)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발목걸이부(42)는 운동자가 등받이(11)에 누워 양발목을 상부발목걸이부(42)에 걸고, 다리를 상측으로 올리고 내림으로서, 복근 운동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발목걸이부(43)는 운동자가 등받이(11)에 앉은 상태에서 양발목을 하부발목걸이부(43)에 걸고, 다리를 상측으로 올리고 내림으로서, 허벅지 운동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발목걸이부(40)와 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발목걸이부(42)(43)에 발목을 걸은 상태에서 다리를 올리게 되면 인장력을 가하게 되고, 반대로 다리를 내리게 되면 인장된 탄성부재(50)가 복귀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다기능 운동기구는 역기운동 및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역기운동을 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역기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운동자가 프레임(10)의 등받이(11)에 누운 상태에서 양손으로 역기바(30)를 잡고,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시키게 되면, 역기바(30)에 고정되어진 이동축(20)에 의해 역기바(30)는 프레임(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승하강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운동자의 체력에 따라 역기바(30)의 양측에 중량체(31)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축(20)의 외주면에 설치된 벨로즈(21)에 의해 역기바(30)의 하강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역기바(30)가 이동축(20)에 고정되어 승하강 함으로서, 역기바(30)가 프레임(10)에서 이탈되어 운동자에게 가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운동자가 복근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프레임(10)의 등받이(11)에 누운 상태에서 상부발목걸이부(42)에 양발목을 걸은 상태에서 다리를 상측으로 올리 고 내리게 되면, 발목걸이부(40)와 프레임(10) 사이에 고정되어진 탄성부재(50)가 인장 또는 복귀하면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운동자가 허벅지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프레임(10)의 등받이(11)에 앉은 상태에서 하부발목걸이부(43)에 양발목을 걸은 상태에서 다리를 상측으로 올리고 내리게 되면, 발목걸이부(40)와 프레임(10) 사이에 고정되어진 탄성부재(50)가 인장 또는 복귀하면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프레임의 전방에 역기바 지지부를 형성하고, 후방에 발목지지부를 형성시킴으로서, 역기운동시 역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 들기 운동으로 다리 및 복근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등받이(11)의 하측 전,후방에 지지다리(12)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11)의 전방 양측으로 역기바 지지부(13)가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역기바 지지부(1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동축(20)과,
    상기 이동축(20)에 수평방향에 결합되어진 역기바(30)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어지고, 중앙의 힌지(41)를 중심으로 상부발목걸이부(42)와 하부발목걸이부(43)로 이루어진 발목걸이부(40)와,
    상기 발목걸이부(40)와 프레임(10)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20)의 외주면에는 완충력을 갖는 벨로즈(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2020050031934U 2005-11-10 2005-11-10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07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934U KR200407293Y1 (ko) 2005-11-10 2005-11-10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934U KR200407293Y1 (ko) 2005-11-10 2005-11-10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293Y1 true KR200407293Y1 (ko) 2006-01-26

Family

ID=4175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934U KR200407293Y1 (ko) 2005-11-10 2005-11-10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2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17B1 (ko) 2007-07-25 2008-11-06 홍성준 다용도 헬스기구
KR101392056B1 (ko) * 2012-09-05 2014-05-27 주식회사 런텍 체중을 이용한 복합 운동기구
KR101928651B1 (ko) 2017-05-10 2018-12-12 노태진 발목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17B1 (ko) 2007-07-25 2008-11-06 홍성준 다용도 헬스기구
KR101392056B1 (ko) * 2012-09-05 2014-05-27 주식회사 런텍 체중을 이용한 복합 운동기구
KR101928651B1 (ko) 2017-05-10 2018-12-12 노태진 발목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7141B2 (ja)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518197B1 (ko) 웨이트 운동기구
US11260267B2 (en) Weighted-squat exercise machine and belt
US8096930B1 (en) Exercise apparatus adapted to facilitate stand-up crunches
CA2634856A1 (en) Exercise equipment with system to position elastic bands to assist or oppose one another
WO2004012820A1 (en) Workout equipment
JP6999953B2 (ja)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WO2007001208A1 (en) Gluteus training device
KR100973650B1 (ko)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US20070173390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KR200407293Y1 (ko) 다기능 운동기구
JP5116064B2 (ja) ベンチプレス・フルスクワット・懸垂装置
WO2013157158A1 (ja) ベンチプレス・フルスクワット・懸垂装置
WO2008126084A1 (en)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EP1529555A2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US20150224360A1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CN109331413B (zh) 一种蹲立式健腹运动器材
KR101600627B1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기구
KR101064309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2269871B1 (ko) 복합 운동기구
KR20140021920A (ko)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CN105664428A (zh) 双臂推举负重架
CN211434963U (zh) 一种体育健身用拉伸器
CN211410877U (zh) 一种健身臂部力量训练器
CN210355867U (zh) 一种带有脉冲治疗的肌力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