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985A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8985A KR20240018985A KR1020220097007A KR20220097007A KR20240018985A KR 20240018985 A KR20240018985 A KR 20240018985A KR 1020220097007 A KR1020220097007 A KR 1020220097007A KR 20220097007 A KR20220097007 A KR 20220097007A KR 20240018985 A KR20240018985 A KR 202400189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oupled
- main body
- roller
- exercise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운동기구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결합되는 손잡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 또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력 향상을 위한 운동기구의 운동방식은 설치된 공간의 주변에 단계별 무게추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하를 조절하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운동부하의 제공을 위해 일정한 무게의 무게추가 적층되어야 하므로, 운동기구의 무게 및 부피 증가에 따른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게추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상 발생의 위험이 있다.
나아가, 종래 기구에 따른 운동기구들은 어느 하나의 동작만이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운동을 통하여 신체 다양한 부위에 자극을 제공하고 싶은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고, 무게추 제거에 따른 소형화가 가능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결합되는 손잡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 또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손잡이 모듈의 결합 위치 변경에 의해 와이어의 연장 방향이 달라지므로, 하나의 운동 기구로 서로 다른 종류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게추와 같은 수단이 필요 없고, 베이스가 본체에 대하여 폴딩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운동 모드에서의 운동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운동 모드에서의 운동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2의 C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운동 모드에서의 베이스와 손잡이 모듈 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의 D를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대하여 베이스가 폴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운동 모드에서의 와이어 가이드와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운동 모드에서의 와이어 가이드와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내 모터와 센서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운동 모드에서의 운동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2의 C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운동 모드에서의 베이스와 손잡이 모듈 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의 D를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대하여 베이스가 폴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운동 모드에서의 와이어 가이드와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운동 모드에서의 와이어 가이드와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내 모터와 센서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운동 모드에서의 운동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운동 모드에서의 운동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C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운동 모드에서의 베이스와 손잡이 모듈 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D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대하여 베이스가 폴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운동 모드에서의 와이어 가이드와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운동 모드에서의 와이어 가이드와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내 모터와 센서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는, 본체(100), 프레임(200), 베이스(300), 손잡이 모듈(400), 와이어(500) 및 와이어 가이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하우징(10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2) 내에는 상기 운동기구(10)의 동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1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2)은 측단면이 사다리꼴인 박스(box)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2)은 복수의 판부(107) 간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판부(107) 각각에는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홀(10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07a)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02) 내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300)가 배치되는 면을 상기 본체(100)의 전면으로, 상기 프레임(200)이 결합되는 면을 상기 본체(100)의 측면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00) 내에는 모터(120), 와이어 드럼(130) 및 센서(15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 내에는 상기 와이어(5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하우징(102)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모터(120)는 구동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120)는 샤프트(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를 통하여 회전 구동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는 사용자의 양손에 파지되도록 상기 와이어(500) 및 손잡이 모듈(400)이 각각 2개씩 구비되므로, 상기 모터(120)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0) 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120)의 출력축, 즉 샤프트는 상기 와이어 드럼(13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120)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모터(120)의 부하(토크)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터(120)의 부하가 달라질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와이어(500)가 당겨지는 힘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모터(120)의 부하 방향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와이어(500)에 작용되는 힘의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30)은 상기 모터(1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30)은 상기 모터(120)의 샤프트와 연결되며,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500)가 권선될 수 있다. 상기 모터(120) 또는 상기 와이어 드럼(130)에는 상기 샤프트 또는 상기 와이어 드럼(13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엔코더(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150)는 상기 모터(120) 및 상기 와이어 드럼(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150)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150)는 상기 와이어(500)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일 수 있다. 상기 센서(150)는 복수의 롤러(154)와, 상기 복수의 롤러(154) 사이에 배치되는 변위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부(152)의 변위 측정에 의해 상기 와이어(500)에 가해지는 장력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150)를 통해 감지된 상기 와이어(500)의 장력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상기 모터(120)의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500)가 관통하도록 홀(1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08)은 상기 하우징(102)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200)의 양단이 프레임 브라켓(29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고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프레임(200)의 양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 또는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은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과, 상기 복수의 기둥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둥의 하단은 상기 프레임 브라켓(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30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브라켓(290)은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기둥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기둥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브라켓(230) 내 공간의 단면 형상 또한 상기 복수의 기둥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은 제1브라켓(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10)에는 상기 손잡이 모듈(40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1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10)은 상기 복수의 기둥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10)은 상기 기둥의 외면을 감싸도록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10)은 상기 기둥과 핀(220)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10)의 후면 및 상기 기둥의 후면에는 상기 핀(220)이 결합되도록 핀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홀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기둥의 후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에서 상기 제1브라켓(210)의 높이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10)의 전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판부(212, 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판부(212, 214)는 각각 홀(216)이 형성되며, 상기 홀(216)에는 후술할 상기 손잡이 모듈(400)의 고정핀(45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프레임(20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본체(100) 또는 상기 프레임(2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10)의 사용 시에는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본체(100) 또는 상기 프레임(200)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10)가 사용 중이 아닌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회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의 일 측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신체가 결합되는 홈(302,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는 힌지바(31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바(31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30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결합된 상기 힌지바(310)의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바(310)의 일단은 토크 힌지(170, 도 6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크 힌지(170)는 상기 본체(100) 내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바(31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크 힌지(170)는 일 방향으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운동을 위해, 상기 베이스(300)가 상기 프레임(200)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하방으로 회전 시 상기 토크 힌지(170)에 의해 소정 마찰력이 제공되어, 상기 베이스(300)와 바닥 간 충돌이 방지되고,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힌지바(310)의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500)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지지부(320)는 상기 힌지바(31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지지부(320)는 상기 와이어(500)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운동기구(10)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와이어(500)를 이격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320)는 상기 힌지바(310)의 측면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50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50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의 측면에는 제2브라켓(3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330)에는 상기 손잡이 모듈(40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33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3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330)은 상기 베이스(300)의 측면에 핀(미도시)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330) 및 상기 베이스(300)의 측면에는 상기 핀이 결합되도록 핀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홀(309)은 상기 베이스(300)의 측면에서 복수로 구비되어, 전, 후방(수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300)의 측면에서 상기 제2브라켓(330)의 위치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330)의 외면에는 제2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판부(332, 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판부(332, 334)는 각각 홀(336)이 형성되며, 상기 홀(336)에는 후술할 상기 손잡이 모듈(400)의 고정핀(45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 모듈(400)이 상기 프레임(200)의 제1브라켓(210)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와이어(500)가 하방으로 당겨지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1운동 모드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 모듈(400)이 상기 베이스(300)의 제2브라켓(330)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와이어(500)가 전방으로 당겨지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2운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운동기구(10) 내에서 상기 손잡이 모듈(400)의 상기 제1브라켓(210) 또는 상기 제2브라켓(330)으로의 택일적 결합에 의해 서로 다른 종류의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 모듈(400)은 상기 와이어(50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손잡이 모듈(400) 및 상기 와이어(500)가 당겨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모터(120)의 부하 이상으로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모듈(400)은, 몸체(410), 손잡이 롤러(430), 손잡이(470) 및 고정핀(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410)는 상기 제1브라켓(210) 또는 상기 제2브라켓(3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410)는 내측에 상기 손잡이 롤러(430)가 결합되는 제3판부(412, 도 3 참조)와, 상기 제1브라켓(210)의 제1판부(212, 214) 또는 제2브라켓(330)의 제2판부(332, 334)와 결합되는 제4판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판부(41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판부(412)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 롤러(4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롤러(43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모듈(400)은 양단이 각각 상기 복수의 제3판부(412)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 롤러(43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핀(4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손잡이 롤러(430)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손잡이(47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운동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손잡이 롤러(430)의 회전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4판부(420)는 상기 제1브라켓(210)의 제1판부(212, 214)의 사이 또는 제2브라켓(330)의 제2판부(332, 33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판부(420) 또한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판부(420)에는 상기 제1판부(212, 214)의 홀(216) 또는 상기 제2판부(332, 334)의 홀(336)과 마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모듈(400)이 상기 제1브라켓(210)에 결합 시, 상기 고정핀(450)이 상기 제1판부(212, 214)의 홀(216)과 상기 제4판부(420)의 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모듈(400)이 상기 제2브라켓(330)에 결합 시, 상기 고정핀(450)이 상기 제2판부(332, 334)의 홀(336)과 상기 제4판부(420)의 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450)은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제1판부(212, 214)의 홀(216) 또는 상기 제2판부(332, 334)의 홀(336)과, 상기 제4판부(420)의 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7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와이어(500)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00)는 일 영역이 상기 몸체(410)의 내측에서 상기 손잡이 롤러(430)의 외면을 따라 권선되고, 단부가 상기 손잡이(47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운동 모드에서 상기 본체(100)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50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운동기구(10)는 와이어 가이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600)는 상기 와이어(500)가 외부로 연장되는 영역인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600)는 상기 하우징(102)의 홀(108)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6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600)는, 제1롤러(610), 제2롤러(630) 및 가이드 커버(6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610)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610)의 외면에는 상기 본체(100)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상기 와이어(500)가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제1운동 모드에서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제1롤러(610)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제2운동 모드에서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제1롤러(610)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610)는 제1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600)는 상기 제1롤러(61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제1축(6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600)는 상기 제1축(610)의 상, 하단이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620)은 상, 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롤러(610)와 상기 제2롤러(630)는 상기 복수의 판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630)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630)는 상기 제1롤러(6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630)의 외면에는 상기 본체(100)로부터 연장된 상기 와이어(500)가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제1운동 모드에서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제2롤러(630)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제2운동 모드에서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제2롤러(630)에 권선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롤러(630)는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600)는 상기 제2롤러(63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제2축(6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630)의 회전 중심은 상기 제1롤러(610)의 회전 중심과 수직할 수 있다. 상기 제2축(632)은 상기 본체(1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축(632)은 상기 제1축(612)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운동기구(10)가 제1운동 모드일 경우,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제1롤러(610)의 외면 및 상기 제2롤러(630)의 외면에 각각 권선되고, 사용자의 운동 과정에서 상기 제1롤러(610)와 상기 제2롤러(630)는 회전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500)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기구(10)가 제2운동 모드일 경우,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제1롤러(610)의 외면에 권선되고, 사용자의 운동 과정에서 상기 제1롤러(61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500)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커버(690)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롤러(610), 상기 제2롤러(630)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손잡이 모듈의 결합 위치 변경에 의해 와이어의 연장 방향이 달라지므로, 하나의 운동 기구로 서로 다른 종류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게추와 같은 수단이 필요 없고, 베이스가 본체에 대하여 폴딩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결합되는 손잡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 또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운동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는 상기 손잡이 모듈이 결합되는 제1브라켓이 배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판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손잡이 모듈이 결합되는 제2브라켓이 배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판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모듈은,
내측에 상기 와이어가 배치되는 제3판부와, 상기 제1판부 또는 상기 제2판부와 결합되는 제4판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3판부 내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는 손잡이 롤러; 및
상기 와이어의 끝단이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부, 상기 제2판부 및 상기 제4판부는 각각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판부 또는 상기 제2판부의 홀과, 상기 제4판부의 홀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운동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 모듈의 결합 영역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된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2롤러의 회전 중심은 상호 수직한 운동기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모듈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 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의 외면에 권선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손잡이 모듈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 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롤러의 외면에 권선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운동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와이어 드럼에 출력축이 연결되며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부하를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운동기구.
- 제 1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바의 일단과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마찰력을 제공하는 토크 힌지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운동기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면 및 상기 제1브라켓에는 핀이 결합되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은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운동기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외면 및 상기 제2브라켓에는 핀이 결합되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복수로 구비되어,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운동기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7007A KR102707844B1 (ko) | 2022-08-03 | 2022-08-03 | 운동기구 |
PCT/KR2023/005969 WO2024029685A1 (ko) | 2022-08-03 | 2023-05-02 | 운동기구, 사용자의 운동 수행 측정 및 보상방법 및 그 시스템, 전동화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제어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7007A KR102707844B1 (ko) | 2022-08-03 | 2022-08-03 | 운동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8985A true KR20240018985A (ko) | 2024-02-14 |
KR102707844B1 KR102707844B1 (ko) | 2024-09-23 |
Family
ID=8989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7007A KR102707844B1 (ko) | 2022-08-03 | 2022-08-03 | 운동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7844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65400B1 (en) * | 2007-03-16 | 2013-06-18 | Roger Batca | Linearly adjustable multi resistance ratio exercise apparatus |
KR20140045763A (ko) * | 2012-10-09 | 2014-04-1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케이블 운동기구 |
JP2015163108A (ja) * | 2014-02-28 | 2015-09-10 | 株式会社フォーカルワークス | 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制御ユニット |
US20180140887A1 (en) * | 2013-12-13 | 2018-05-24 | Liberty Active Body & Mind Inc. | Exercise machine having elastic exercise resistance cables |
US20190076691A1 (en) * | 2015-12-31 | 2019-03-14 | Nautilus, Inc. | Exercise machine having non-matched cable pairing |
KR102092669B1 (ko) * | 2019-04-16 | 2020-03-24 | 지용진 |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
US20210153471A1 (en) * | 2019-11-22 | 2021-05-27 | Lg Electronics Inc. | Treadmill having thermoelectric assembly |
KR102337722B1 (ko) | 2021-03-09 | 2021-12-08 | 김범석 |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
-
2022
- 2022-08-03 KR KR1020220097007A patent/KR1027078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65400B1 (en) * | 2007-03-16 | 2013-06-18 | Roger Batca | Linearly adjustable multi resistance ratio exercise apparatus |
KR20140045763A (ko) * | 2012-10-09 | 2014-04-1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케이블 운동기구 |
US20180140887A1 (en) * | 2013-12-13 | 2018-05-24 | Liberty Active Body & Mind Inc. | Exercise machine having elastic exercise resistance cables |
JP2015163108A (ja) * | 2014-02-28 | 2015-09-10 | 株式会社フォーカルワークス | 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制御ユニット |
US20190076691A1 (en) * | 2015-12-31 | 2019-03-14 | Nautilus, Inc. | Exercise machine having non-matched cable pairing |
KR102092669B1 (ko) * | 2019-04-16 | 2020-03-24 | 지용진 |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
US20210153471A1 (en) * | 2019-11-22 | 2021-05-27 | Lg Electronics Inc. | Treadmill having thermoelectric assembly |
KR102337722B1 (ko) | 2021-03-09 | 2021-12-08 | 김범석 |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7844B1 (ko) | 2024-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00448C2 (ru) | Тренажер, имеющий гибкий элемент | |
US20210236876A1 (en) | Fitness training apparatus and system | |
US12017108B2 (en) | Floor-based exercise machine configurations | |
US20190046830A1 (en) | Exercise machine | |
KR101833940B1 (ko) | 운동기구 | |
KR101375810B1 (ko) | 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부하 제어 장치 | |
ITBO20080267A1 (it) | Dispositivo di modulazione della forza per una macchina ginnica. | |
US20230103725A1 (en) | Motorize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with selectable force multiplication | |
CN114028776B (zh) | 一种健身镜及卡路里计算方法 | |
KR101716773B1 (ko) | 무전원 트레드밀 | |
KR20240018985A (ko) | 운동기구 | |
CN110353402B (zh) | 一种折叠排桌 | |
CN211722222U (zh) | 电动升降桌 | |
CN112405513B (zh) | 连续体变刚度调节机械手指 | |
JP3881139B2 (ja) | 家具昇降装置 | |
CN111109842A (zh) | 电动升降桌 | |
KR20240106948A (ko) | 운동 기기 | |
CN215025667U (zh) | 可携式健身器材的定位装置 | |
CN114614748B (zh) | 可双向调节的光伏支撑装置 | |
JP2009039283A (ja) | 歩行支援装置 | |
KR102128080B1 (ko) | 동력수단 저항 운동장치 | |
GB2615350A (en) | Sports goal wheel assembly and sports goal | |
KR20240033922A (ko) | 매트형 운동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구동 모터 | |
KR19990015923U (ko) | 회전을 이용한 점프운동구 | |
KR20180106130A (ko) | 실내 운동 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