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130A - 실내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실내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130A
KR20180106130A KR1020170033778A KR20170033778A KR20180106130A KR 20180106130 A KR20180106130 A KR 20180106130A KR 1020170033778 A KR1020170033778 A KR 1020170033778A KR 20170033778 A KR20170033778 A KR 20170033778A KR 20180106130 A KR20180106130 A KR 20180106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supporting
screw memb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일
Original Assignee
(주)가포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포넷 filed Critical (주)가포넷
Priority to KR1020170033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130A/ko
Publication of KR2018010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암벽타기와 유사한 전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실내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는 지지면으로부터 두 개의 가이드바가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본체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사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패달이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승강지지부와,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지지면으로 상기 가이드바와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지본체를 상하로 연장되는 상태로 지지하는 경사지지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와 지지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경사지지부는 상기 지지본체와 연결되는 연결지점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경사지지부가 상기 지지본체를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실내 운동 기구 {Indoor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실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암벽타기와 유사한 전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실내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꾸준한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운동을 위해 정기적으로 자전거나 등산 등을 즐기기도하고, 피트니스센터와 같은 곳을 방문해 운동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외출시간이 자류롭지 못하거나, 집에서 운동을 즐기기를 원하는 사람들은 간단한 실내 운동기구를 실내에 설치하고 이용하기도 한다.
종래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실내 운동기구로는 자전거와 트레드밀이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실내에서 자전거 타기나 조깅 또는 워킹 운동을 실시하는 효과를 거두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날씨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 자전거 또는 트레드밀과 같은 운동기구는 유산소 운동을 위한 기구이며, 전신 운동보다는 하체 운동이 중심이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신운동이며, 유산소 운동과 함께 근력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실내 등산 운동 기구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실내 등산 운동기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실내에 설치했을 때,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0182호 : 암벽등반기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92172호 :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10721호 :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실내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클라이밍과 같은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비 사용시에는 실내에 거치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내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는 지지면으로부터 두 개의 가이드바가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본체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사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패달이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승강지지부와,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지지면으로 상기 가이드바와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지본체를 상하로 연장되는 상태로 지지하는 경사지지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와 지지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경사지지부는 상기 지지본체와 연결되는 연결지점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경사지지부가 상기 지지본체를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경사지지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결로드와, 상기 제1 연결로드의 단부에서 상기 경사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로드와 제2 연결로드는 힌지핀을 통해 연결부분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연결로드와 제2 연결로드가 각각 지지본체 및 경사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분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승강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바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중공형의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로드에 체결되고, 승강로드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 인출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승강지지부는 상기 인출로드가 상기 승강로드에 대하여 인출되는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지지부에는 각각 상기 지지패달이 하강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패달을 지지하는 패달지지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패달지지부재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지지본체가 지지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본체와 상기 경사지지부의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경사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폭조절부와, 상기 폭조절부와 상기 지지본체를 연결하는 스크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스크류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경사지지부의 하단과 지지본체의 하부를 연결하는 스크류부재의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스크류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스크류부재와 결합되는 웜휠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일 수 있다.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부에 로드결합부재에 회전 및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로드결합부재와 분리되어 있는 스크류부재가 상기 경사지지부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바의 전방에는 상기 가이드바와 제1 및 제2 승강지지부의 접촉부에 신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기구.
본 발명의 실내 운동 기구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유산소 및 근력 운동을 동시에 실내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비 사용시 거치 공간이 최소화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내 운동 기구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실내 운동 기구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2의 실내 운동 기구가 접힘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내 운동 기구의 풀리 및 벨트를 확대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내 운동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실내 운동 기구의 폭조절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폭조절부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1)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내 운동 기구(10)는 지지본체(100)와, 지지본체(100)를 지지하는 경사지지부(200)와, 상기 지지본체(100)에 설치되는 제1 승강지지부(301) 및 제2 승강지지부(302)와, 상기 지지본체(100)와 경사지지부(200)를 연결하는 연결유닛(4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내 운동 기구(10)의 제2 실시예이다.
제2 실시예의 실내 운동 기구(10) 역시 지지본체(100)와, 지지본체(100)를 지지하는 경사지지부(200)와, 상기 지지본체(100)에 설치되는 제1 승강지지부(301) 및 제2 승강지지부(302)와, 상기 지지본체(100)와 경사지지부(200)를 연결하는 연결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본체(100)는 지지면에 안착되는 하단지지부(110)에 두 개의 가이드바(120)가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120)의 상단부에는 운동시간, 칼로리 소모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동 중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보조손잡이(140)가 수평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120)와 후술하는 제1 승강지지부(301)와 제2 승강지지부(302)의 승강로드(310)의 전방부에는 제1 보호커버(121)가 사용자가 운동중 또는 운동기구의 세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을 비롯한 신체 일부가 가이드바(120)와 승강로드(310)의 사이에 끼이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승강지지부(301)와 제2 승강지지부(302)는 두 개의 가이드바(120)에 각각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가이드바(120)를 따라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승강지지부(301)와 제2 승강지지부(302)에는 각각 가이드바(120)와 접촉하는 접촉부분의 상단과 하단에 베어링 또는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승강지지부(301)와 제2 승강지지부(302)는 각각 가이드바(120)에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공형의 승강로드(310)와, 이 승강로드(310)의 상부에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결합되는 인출로드(320)를 포함한다.
승강로드(310)는 상단이 개구된 중공형의 부재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복수개의 길이조절홀(311)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출로드(320)는 상기 승강로드(310)의 상단으로부터 승강로드(3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되는데, 인출로드(320)의 하단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홀(311)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멍과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도록 결합핀 또는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인출로드(320)와 승강로드(310)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인출로드(320)가 승강로드(310)로부터 인출되는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인출로드(320)의 인출길이는 사용자의 키에 맞춰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인출로드(320)의 상단에는 양 옆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3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21)를 잡고 운동을 실시하거나 상기 보조손잡이(140)를 잡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승강로드(310)의 하단부에는 지지패달(330)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패달(330)은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양 발을 제1 승강지지부(301)와 제2 승강지지부(302)의 지지패달(330)에 각각 올려두고 양 손으로 상기 손잡이(321) 또는 보조손잡이(140)를 잡은 상태에서 제1 승강지지부(301)와 제2 승강지지부(302)를 교호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제1 승강지지부(301)와 제2 승강지지부(302)가 교호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본체(100)의 후면에 풀리(3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이 상기 제1 승강지지부(301)와 제2 승강지지부(302)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풀리(340)를 거쳐 연장되는 연결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350)는 가죽이나 합성수지재의 벨트 또는 체인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50)와 풀리(340)에 의해 제1 승강지지부(301)와 제2 승강지지부(302)는 교호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풀리(340)는 제2 보호커버(341)에 감싸져 있어서, 풀리(340)에 신체가 끼이는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부(110)에는 상기 지지패달(330)이 하강하는 하강위치에 패달지지부재(15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패달지지부재(150)는 지지패달(330)의 하면과 접촉하는 완충부재(151)와, 완충부재(1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재(151)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52)을 포함한다.
상기 패달지지부재(150)는 지지패달(330)의 하강위치를 한정하며, 일측 지지패달(330)이 하강할 때 강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경사지지부(200)는 상기 지지본체(10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본체(100)와 지지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지지본체(100)가 상하로 연장된 상태에서 지지본체(100)로부터 지지면을 향해 연장된 상기 경사지지부(200)가 상기 지지본체(100)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연장됨으로써, 실내 운동기구는 지지본체(100)의 하단지지부(110)와 경사지지부(200)의 하단이 각각 지지면에 지지되어 지지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경사지지부(200)는 지지본체(100)와 결합되는 상단부가 상기 지지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경사지지부(200)와 지지본체(10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400)이 마련된다.
상기 연결유닛(400)은 경사지지부(200)의 하단과 지지본체(100)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고, 경사지지부(200)가 지지본체(100)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지지본체(100)가 지지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유지하고 지지본체(1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데, 지지본체(100)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결로드(411)와, 제1 연결로드(411)와 연결되고 경사지지부(200)로부터 연장되는 제2 연결로드(41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로드(411)와 제2 연결로드(412)에는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분이 힌지홀이 형성되어 있고, 힌지핀(413)이 상기 힌지홀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제1 연결로드(411)와 제2 연결로드(412)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이 상기 힌지핀(41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1 연결로드(411)와 제2 연결로드(412)가 각각 결합되는 지지본체(100)의 연결부분과 경사지지부(200)의 연결부분 역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 운동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힌지핀(413)을 중심으로 제1 연결로드(411)와 제2 연결로드(412)를 회동시켜 경사지지부(200)가 지지본체(100)와 인접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운동기구는 세워서 협소한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내 운동 기구(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본체(100)와 제1 승강지지부(301) 및 제2 승강지지부(302), 경사지지부(200)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실내 운동 기구(10)는 연결유닛(400)이 스크류부재(420)와, 경사지지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폭조절부(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유닛(400)이 경사지지부(200)와 지지본체(100) 사이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본체(100)가 지지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강도를 조절한다.
상기 스크류부재(420)는 일측이 지지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로드결합부재(16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스크류부재(420)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로드결합부재(160)는 상기 스크류부재(420)의 일측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이 형성되며, 스크류부재(420)가 인입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61)를 스크류부재(42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로드결합부재(160)와 스크류부재(420)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체결부재(161)를 해제하여 스크류부재(420)를 로드결합부재(16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로드결합부재(160)는 지지본체(100)와 연결되는 일단과 스크류부재(420)와 연결되는 타단의 사이 구간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류부재(420)가 로드결합부재(160)에 결합되었을 때, 스크류부재(420)가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폭조절부(430)는 스크루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432)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431)와, 구동모터(433)와, 상기 구동모터(433)에 의해 회전하는 웜휠(434)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433)는 몸체부(431)와 연결되어 있는 케이스(435)에 장착되어 있으며, 구동모터(433)에 의해 회전하는 웜휠(434)은 상기 몸체부(431)를 관통해 연장되는 스크류부재(420)와 치합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435)는 구동모터(433) 및 웜휠(434)을 함께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웜휠(434)과 구동모터(43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구동모터(433)와 웜휠(434) 사이에 감속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웜휠(434)은 감속된 상태로 스크류부재(420)를 회전시킨다.
스크류부재(420)는 상기 웜휠(434)과 치합될 수 있는 웜이며, 따라서 웜휠(434)의 회전으로 인해 스크류부재(420)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반대로 스크류부재(420)의 회전력이 웜휠(434)로 전달될 수는 없다.
상기 구동모터(433)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데,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DC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공급부는 지지본체(100)나 경사지지부(200)에 장착되는 배터리일 수도 있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모터(433)에 의해 웜휠(434)이 회전하면 스크류부재(420)가 웜휠(434)에 의해 회전하면서 웜휠(434)과 스크류부재(420)의 연결위치가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폭조절부(430)가 설치되어 있는 경사지지부(200)와 지지본체(1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경사지지부(200)와 지지본체(100) 사이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면 지지본체(100)가 지지면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도가 수직에 가까워지면서 운동강도가 높아지고, 반대로 경사지지부(200)와 지지본체(100) 사이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면 지지본체(100)가 지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서 운동강도가 낮아진다.
상기 폭조절부(430)는 상기 몸체부(431)와 케이스(435)가 경사지지부(200)의 상단측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스크류부재(420)를 상기 로드결합부재(16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케이스(435)와 몸체부(431)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스크류부재(420)는 경사지지부(200)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태가 되면서 경사지지부(200)를 지지본체(100)에 인접하도록 접어 보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경사지지부(200)의 하단에는 지지본체(100)측으로 인접하게 접었을 때, 하단지지부(110)와 자석으로 결합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자석체결부재(210)가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사지지부(200)에는 케이스(435)와 몸체부(431)를 상방으로 회동시켰을 때, 회동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마련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수단은 경사지지부(200)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일 수도 있고, 케이스(435)와 자기장에 의해 결합되는 자석일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436은 회동된 케이스(435)를 상기 스크류부재(420)가 경사지지부(200)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태로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가이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10)는 실내에서 클라이밍과 같은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비 사용시 경사지지부(200)를 지지본체(100) 측으로 접어 보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실내 운동 기구
100: 지지본체 110: 하단지지부
120: 가이드바 130: 디스플레이
140: 보조손잡이 150: 패달지지부재
151: 완충부재 152: 스프링
160: 로드결합부재 161: 체결부재
200: 경사지지부 210: 자석체결부재
301: 제1 승강지지부 302: 제2 승강지지부
310: 승강로드 311: 길이조절홀
320: 인출로드 321: 손잡이
330: 지지패달 340: 풀리
350: 연결부재 400: 연결유닛
411: 제1 연결로드 412: 제2 연결로드
413: 힌지핀 420: 스크류부재
430: 폭조절부 431: 몸체부
432: 관통홀 433: 구동모터
434: 웜휠 435: 케이스

Claims (9)

  1. 지지면으로부터 두 개의 가이드바가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본체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사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패달이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승강지지부와;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지지면으로 상기 가이드바와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지본체를 상하로 연장되는 상태로 지지하는 경사지지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와 지지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경사지지부는 상기 지지본체와 연결되는 연결지점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경사지지부가 상기 지지본체를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경사지지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결로드와, 상기 제1 연결로드의 단부에서 상기 경사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로드와 제2 연결로드는 힌지핀을 통해 연결부분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연결로드와 제2 연결로드가 각각 지지본체 및 경사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분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강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바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중공형의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로드에 체결되고, 승강로드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 인출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승강지지부는 상기 인출로드가 상기 승강로드에 대하여 인출되는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지지부에는 각각 상기 지지패달이 하강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패달을 지지하는 패달지지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패달지지부재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지지본체가 지지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본체와 상기 경사지지부의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경사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폭조절부와,
    상기 폭조절부와 상기 지지본체를 연결하는 스크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스크류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경사지지부의 하단과 지지본체의 하부를 연결하는 스크류부재의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스크류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스크류부재와 결합되는 웜휠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부에 로드결합부재에 회전 및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로드결합부재와 분리되어 있는 스크류부재가 상기 경사지지부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의 전방에는 상기 가이드바와 제1 및 제2 승강지지부의 접촉부에 신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기구.
KR1020170033778A 2017-03-17 2017-03-17 실내 운동 기구 KR20180106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78A KR20180106130A (ko) 2017-03-17 2017-03-17 실내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78A KR20180106130A (ko) 2017-03-17 2017-03-17 실내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30A true KR20180106130A (ko) 2018-10-01

Family

ID=6387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778A KR20180106130A (ko) 2017-03-17 2017-03-17 실내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1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5411B2 (en) Multimotio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9968823B2 (en) Treadmill with suspended tread belt
US8926480B2 (en) Three-point adjustment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US10426989B2 (en) Cabl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readmill
US9480874B2 (en) Locking mechanism for a vertically storable exercise machine
US4958830A (en) Exercise apparatus
US20090111663A1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US20110152032A1 (en) Fitness machine with automated variable resistance
TWI618559B (zh) Climbing climber
US20070213180A1 (en) Verticle exercise bicycle conversion kit
KR101315514B1 (ko)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WO2018120981A1 (zh) 划船器
WO2021164384A1 (zh) 攀爬机
US5409440A (en) Exercise mechanism having multiple functions
KR20180106130A (ko) 실내 운동 기구
KR20230153121A (ko)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BR102022005955A2 (pt) Aparelho de exercício
KR20190002555U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12369524U (zh) 攀爬机
CN109200534B (zh) 攀爬登山机
CN218853388U (zh) 一种体育健身用拉伸器材
CN201423121Y (zh) 一种多功能健身机
KR20030016939A (ko) 하체운동기구
KR200317960Y1 (ko) 근육단련 운동구를 구비한 런닝머신
CN215461860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