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514B1 -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514B1
KR101315514B1 KR1020120116884A KR20120116884A KR101315514B1 KR 101315514 B1 KR101315514 B1 KR 101315514B1 KR 1020120116884 A KR1020120116884 A KR 1020120116884A KR 20120116884 A KR20120116884 A KR 20120116884A KR 101315514 B1 KR101315514 B1 KR 10131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lider
sprocket
sprockets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이주희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희,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주희
Priority to KR102012011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Abstract

본 발명은 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운동을 하는 손잡이에 회전 저항수단을 연결하여 팔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별다른 조작 없이도 사용자 신체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는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 봉과; 안내 봉을 따라 승하강 하며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슬라이더와; 안내 봉의 양 말단에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양 스프로킷에 감겨 설치되며 어느 일 부분이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체인과;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에 축 결합되는 유압 감속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회전 저항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별다른 조작 없이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이송거리 제한이 없으며 여러 방법으로 응용하여 운동할 수 있고, 수평의 바 없이 운동 가능하므로 바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vertical type whole body athletic apparatus}
본 발명은 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운동을 하는 손잡이에 저항수단을 연결하여 팔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별다른 조작 없이도 사용자 신체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는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 운동을 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운동기구는 바벨과 벤치 프레스이다. 바벨은 가로의 봉 양단에 여러 개의 원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맞추어 무게를 가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벤치 프레스는 사용자가 바벨을 이용해 벤치에 누운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벤치의 양측에 바벨 거치대가 구비된 운동기구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주민들이 쉽게 운동기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 등에 운동시설을 갖추고 있는 지역이 많이 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원에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바벨이나 벤치 프레스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는 기구 특성상 들고 운동해야 하는데 도난되지 않도록 한 곳에 고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노인이나 아이들 이용시 자칫 잘못하면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운동기구가 특허 제10-0864108호로 등록되었으며 그 구조를 살펴보면, 가압기구를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과, 서포트 프레임에 일단이 힌지식으로 지지되는 리드 암과, 서포트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는 가이드블록과, 일단이 가이드블록에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타단은 리드 암의 타단에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되면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식 스프링과, 서포트 프레임과 유압식 스프링 간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로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와이어를 당기면 유압식 스프링에 의해 저항력이 발생하여 팔 운동을 할 수 있으나 오로지 당기는 방법에 의한 운동만 가능할 뿐 미는 운동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와이어를 양 손으로 잡고 당겨야 하므로 양 손을 벌려서 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제10-0965916호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기구는 외부와 차단된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유동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케이스이 내부에 위치하여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을 통해 유동액의 유입에 따른 유압이 생성되도록 하는 실린더와, 피스톤의 상승 또는 하강시 피스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과, 피스톤의 하강시 저장탱크 내의 유동액이 실린더로 유입되도록 구동하는 유압 펌프와,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여 각종 운동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피스톤의 이동 범위 및 저항력의 설정치를 입력하는 표시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운동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피스톤과 연결된 와이어를 당기면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내부의 유압에 의해 저항력이 발생하여 팔 운동을 할 수 있지만, 이 또한 당기는 운동만 할 수 있을뿐 미는 운동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를 당길 수 있는 구간이 길면 피스톤과 실린더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되어 사실상 와이어를 당길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KR, B1, 10-0864108(2008.10.10) KR, B1, 10-0965916(2010.06.16)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회전에 대한 저항을 가지는 저항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별다른 조작 없이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이송거리에 관계없이 저항수단의 크기가 변하지 않으며 여러 방법을 응용하여 운동할 수 있고, 수평의 바 없이도 운동 가능하므로 안전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 봉;
안내 봉을 따라 승하강 하며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슬라이더;
안내 봉의 양 말단에 설치되는 스프로킷;
양 스프로킷에 감겨 설치되며 어느 일 부분이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체인; 및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에 축 결합되는 회전 저항수단;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저항수단은 감속기나 유압펌프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 봉, 슬라이더, 스프로킷, 체인은 좌우 대칭되도록 양측에 설치되며 이들 장치 사이에 벤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 손잡이에 봉을 연결하여 양 슬라이더가 같이 승하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는 회전에 대한 저항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별다른 조작 없이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이송거리 제한이 없으며 여러 방법으로 응용하여 운동할 수 있고, 수평의 바 없이 운동 가능하므로 바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전신 운동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전신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 5는 전신 운동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는 바닥판(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 봉(10)과, 안내 봉(10)을 따라 승하강 하며 일측에 손잡이(22)가 구비된 슬라이더(20)와, 안내 봉(10)의 양 말단에 근접 설치되는 스프로킷(30)과, 양 스프로킷(30)에 감겨 설치되며 어느 일 부분이 슬라이더(20)에 고정되는 체인(40)과,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30)에 축 결합되는 회전 저항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은 지면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에 골조가 대칭되게 수직 설치되고 골조 둘레에 마감판재(2)가 부착되어 그 내부에 수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골조는 여러 개의 수평의 프레임과 수직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으로 마감판재(2)의 내구성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생략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골조 또는 마감판재(2)는 그 내부 공간에 안내 봉(10), 슬라이더(20), 스프로킷(30), 체인(4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 봉(10)은 바닥판(1)으로부터 수직 설치되는 것으로 브라켓(3)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3)은 양 측에 안내 봉(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홀(3')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양 지지홀(3') 사이에 수평의 축공이 관통 형성된 축받이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브라켓(3)은 골조의 상단 또는 마감판재(2)의 상단에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되며, 양 브라켓(3)의 지지홀(3')에 안내 봉(10)의 말단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양 브라켓(3)의 축받이에는 스프로킷(30)이 샤프트에 의해 공회전 되도록 설치되며, 양 스프로킷(30)에는 체인(40)이 감겨 서로 연동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별도의 브라켓(3)과 보조 스프로킷(30')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더 설치하고 상기 체인(40)을 감아 양 스프로킷(30)과 연동되도록 하면 체인(40)의 장력 조절을 용이하게 하면서 회전 저항수단(50)과의 연결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0)는 양측에 수직의 슬라이드 공(21)을 형성하여 안내 봉(10)이 끼워지도록 하고, 그 일단에는 봉 형상의 손잡이(22)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슬라이더(20)는 두 개의 안내 봉(10)과 결합함으로써 측 방향으로의 회전은 불가하고 오직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슬라이더(20)는 손잡이(22)의 반대쪽에 체인(40)이 근접하게 위치하는데, 체인(40)의 어느 일 부분을 슬라이더(20)와 고정하여 스프로킷(30) 회전시 이동하는 체인(40)에 의해 슬라이더(20)도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20)는 마감판재(2) 내부에 위치하지만 측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22)는 마감판재(2)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손잡이(22)가 노출되는 마감판재(2)는 수직의 안내 홈(2')을 형성하여 손잡이(22)가 이송하는 데 있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양 손잡이(22)에 원형의 관으로 이루어진 바(23)를 끼워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바닥판(1)의 중앙에는 벤치(4)가 설치되어 양 골조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한다. 상기 벤치(4)는 수평의 판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안거나 누울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벤치(4)의 하부에는 회전 저항수단(50)이 설치되며 벤치(4)의 양측으로 회전축(52)이 횡설된다. 이러한 회전축(52)은 보조 스프로킷(30')에 연결되고, 그 둘레에 보호캡(52')이 설치되어 회전축(52)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상기 회전 저항수단(50)은 감속기나 유압펌프가 이용되는데, 모터가 연결되는 입구를 차단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는 유동액의 마찰 저항을 이용한 회전 저항수단(50)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유동액이 내장된 하우징(51)과, 하우징(51)에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52)과,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임펠러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51)은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며 공간 내에 유동액이 내장되고, 좌우로 관통하는 회전축(52)을 횡설하되 양측으로 길게 돌출된다. 상기 하우징(51) 내의 회전축(52)에는 여러 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임펠러(미도시)가 설치되어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유동액과의 마찰로 인한 저항력이 발생한다. 아울러 임펠러의 일측에는 회전하지 않는 저항판(미도시)을 설치하여 유동액의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저항판은 원형판의 일면에 중심을 향하는 다수 개의 선형 돌부를 원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형 돌부는 임펠러에 의해 회전하는 유동액과 마찰저항을 일으킴으로써 유동액의 회전을 방해한다. 따라서 임펠러의 회전이 가속될수록 저항력은 커지며 감속될수록 저항력은 작아진다.
그리고 상기 스프로킷과 체인은 풀리, 벨트, 로프, 와이어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팔 운동을 하기 위해 벤치(4)에 앉거나 눕고 또는 선 상태에서 양 손으로 손잡이(22)를 파지하고 힘을 주어 들어올린다. 그러면 손잡이(22)가 승강하면서 이와 일체화된 슬라이더(20)가 승강하고 슬라이더(20)와 연결된 체인(40)이 정해진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로킷(30) 및 스프로킷(30)과 연결된 회전축(52)을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회전축(52)에 의해 임펠러도 회전하며 임펠러 회전시 유동액과의 마찰로 저항력이 발생한다. 즉, 손잡이(22)를 들어올리면 임펠러가 회전하게 되는데, 임펠러 회전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손잡이(22)의 승강을 방해함으로써 팔 운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손잡이(22)를 빠르게 움직일수록 임펠러와 유동액과의 마찰저항이 커져 쉽게 이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손잡이(22)를 하강할 때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힘을 적게 주면 임펠러의 회전이 느려 저항력도 작아지므로 손잡이(22)를 쉽게 승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힘이 좋은 사람이나 힘이 없는 사람 누구나 자기 체형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서서하거나 벤치에 안아서 하거나 또는 앉고 일어서면서 또는 벤치에 누어서 할 수 있으므로 팔 운동은 물론 다리와 무릎, 허디 등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봐와 같이 상기 골조 대신 각관으로 이루어진 지주(5)가 설치되고 지주(5)의 내부 상하부에 스프로킷(30)이 브라켓(3)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양 스프로킷(30)에 체인(40) 감겨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5)는 그 일면에 수직의 안내 홈(5')이 형성되며, 손잡이(22)의 일단이 체인(40)에 직접 고정되고 그 타단은 안내 홈(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손잡이(22)는 양면에 수직 방향의 슬라이드 홈(25)을 형성하여 안내홈(5') 끼워져 슬라이딩 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2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손잡이(22)의 기울임 없이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지주(5)를 이용할 경우 안내 봉 없이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1 : 바닥판 2 : 마감판재 2', 5' : 안내홈
3 : 브라켓 3' : 지지홀 4 : 벤치
5 : 지주 10 : 안내 봉 20 : 슬라이더
21 : 슬라이드 공 22 : 손잡이 25 : 슬라이드 홈
30 : 스프로킷 30' : 보조 스프로킷 40 : 체인
50 : 회전 저항수단 51 : 하우징 52 : 회전축
52' : 보호캡

Claims (5)

  1. 두 개가 한 쌍으로 평행하게 수직 설치되는 안내 봉(10);
    안내 봉(10)이 끼워지는 슬라이드 공(21)을 한 쌍 형성하여 안내 봉(10)을 따라 승하강 하고 일측에 손잡이(22)가 구비된 슬라이더(20);
    안내 봉(10)의 양 말단에 근접 설치되는 스프로킷(30);
    양 스프로킷(30)에 감겨 설치되며 어느 일 부분이 슬라이더(20)에 고정되는 체인(40); 및
    스프로킷(30)에 연결되는 회전 저항수단(50); 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 봉(10), 슬라이더(20), 손잡이(22), 스프로킷(30), 체인(40)은 각각 두 조를 구비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양측에 설치되며 이들 장치 사이에 벤치(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2.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일면에 수직의 안내 홈(5')이 형성된 지주(5);
    지주(5)의 내부 상하단에 구비되는 스프로킷(30);
    양 스프로킷(30)에 감기는 체인(40);
    일단이 체인(40)의 일 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주(5)의 안내 홈(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22); 및
    스프로킷(30)에 연결되는 회전 저항수단(50); 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5), 손잡이(22), 스프로킷(30), 체인(40)은 각각 두 조를 구비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양측에 설치되며 이들 장치 사이에 벤치(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저항수단(50)은 감속기 또는 유압펌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4. 삭제
  5. 삭제
KR1020120116884A 2012-10-19 2012-10-19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KR10131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884A KR101315514B1 (ko) 2012-10-19 2012-10-19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884A KR101315514B1 (ko) 2012-10-19 2012-10-19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514B1 true KR101315514B1 (ko) 2013-10-07

Family

ID=4963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884A KR101315514B1 (ko) 2012-10-19 2012-10-19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51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197B1 (ko) * 2015-02-09 2015-05-15 서정근 웨이트 운동기구
KR101622082B1 (ko) * 2015-04-06 2016-05-17 이덕근 아령
WO2017082644A1 (ko) * 2015-11-13 2017-05-18 이병돈 각도조절 및 스윙 가능한 스미스 머신
KR101793904B1 (ko) 2016-10-12 2017-11-06 임예린 다기능 운동기구
KR101970984B1 (ko) * 2017-11-28 2019-04-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트 안전 운동기구
AU2016352500B2 (en) * 2015-11-13 2020-01-23 Byung Don Lee Angle-adjustable and swingable smith machine
KR102127633B1 (ko) * 2020-03-27 2020-06-30 이상민 전신 운동기구
KR20210158158A (ko) * 2020-06-23 2021-12-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바벨 머신
KR20230024460A (ko) * 2021-08-11 2023-02-21 신영철 줄타기형 운동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172A (ko) * 2002-05-27 2003-12-06 신형서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172A (ko) * 2002-05-27 2003-12-06 신형서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197B1 (ko) * 2015-02-09 2015-05-15 서정근 웨이트 운동기구
KR101622082B1 (ko) * 2015-04-06 2016-05-17 이덕근 아령
WO2016163677A1 (ko) * 2015-04-06 2016-10-13 이덕근 아령
US10646740B2 (en) 2015-11-13 2020-05-12 Byung Don Lee Angle-adjustable and swingable smith machine
WO2017082644A1 (ko) * 2015-11-13 2017-05-18 이병돈 각도조절 및 스윙 가능한 스미스 머신
AU2016352500B2 (en) * 2015-11-13 2020-01-23 Byung Don Lee Angle-adjustable and swingable smith machine
KR101793904B1 (ko) 2016-10-12 2017-11-06 임예린 다기능 운동기구
WO2018070569A1 (ko) * 2016-10-12 2018-04-19 임예린 다기능 운동기구
KR101970984B1 (ko) * 2017-11-28 2019-04-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트 안전 운동기구
KR102127633B1 (ko) * 2020-03-27 2020-06-30 이상민 전신 운동기구
KR20210158158A (ko) * 2020-06-23 2021-12-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바벨 머신
KR102376985B1 (ko) * 2020-06-23 2022-03-2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바벨 머신
KR20230024460A (ko) * 2021-08-11 2023-02-21 신영철 줄타기형 운동기구
KR102643683B1 (ko) * 2021-08-11 2024-03-05 신영철 줄타기형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514B1 (ko)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US10569118B2 (en) Reversible resistance exercise machine
US10426989B2 (en) Cabl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readmill
JP6920772B2 (ja) ウエイト運動器具
US7789812B2 (en) Rope climbing exercise apparatus
KR101394117B1 (ko) 케이블 운동기구
KR101970984B1 (ko) 웨이트 안전 운동기구
US20130035216A1 (en) Rowing machine simulator
WO2021164384A1 (zh) 攀爬机
CN209809406U (zh) 一种用于健身房的四肢力量训练椅
KR101315518B1 (ko) 안전 벤치 프레스
KR102163557B1 (ko) 근력측정장치
KR20100020599A (ko) 웨이트 운동기구
CN206924337U (zh) 一种安全性高的儿童游乐拉架
CN211724550U (zh) 一种蹲举训练器
CN112843621A (zh) 一种用于臂部训练的拉伸锻炼装置
US20170120097A1 (en) Exercise Weight Selection Device and Method
KR20120131629A (ko) 안전장치를 갖는 역기내리기 운동기구
CN105854223A (zh) 脚踏式健身器械
CN210992783U (zh) 一种健身房运动用划船器
KR101315515B1 (ko) 수평식 팔 운동기구
CN212369524U (zh) 攀爬机
EP0788816A1 (en) Gymnastic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2127633B1 (ko) 전신 운동기구
KR20130096368A (ko) 야외용 상체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