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518B1 - 안전 벤치 프레스 - Google Patents

안전 벤치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518B1
KR101315518B1 KR1020130043808A KR20130043808A KR101315518B1 KR 101315518 B1 KR101315518 B1 KR 101315518B1 KR 1020130043808 A KR1020130043808 A KR 1020130043808A KR 20130043808 A KR20130043808 A KR 20130043808A KR 101315518 B1 KR101315518 B1 KR 10131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device
roll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이주희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희,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주희
Priority to KR1020130043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including rotating or oscillating elements rubbing against fix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벤치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봉 낙하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고 신체에 맞추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무게가 조절되는 안전 벤치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승강 지지대; 양 승강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벤치; 승강 지지대를 타고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 승하강대에 고정되는 손잡이 ; 승강 지지대의 상하부에 회전체를 설치하고 양 회전체를 감싸는 벨트류를 구비하며 벨트류의 일부분이 승하강대 또는 손잡이와 연결된 동력전달장치;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압박하여 동력전달장치의 구동을 방해하는 압박식 저항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안전 벤치 프레스{a Bench Press}
본 발명은 안전 벤치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봉 낙하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고 신체에 맞추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무게가 조절되는 안전 벤치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 운동을 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운동기구는 바벨과 벤치 프레스이다. 바벨은 가로의 봉 양단에 여러 개의 원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맞추어 무게를 가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벤치 프레스는 사용자가 바벨을 이용해 벤치에 누운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벤치의 양측에 바벨 거치대가 구비된 운동기구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주민들이 쉽게 운동기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 등에 운동시설을 갖추고 있는 지역이 많이 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원에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바벨이나 벤치 프레스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는 기구 특성상 들고 운동해야 하는데 도난되지 않도록 한 곳에 고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노인이나 아이들 이용시 자칫 잘못하면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운동기구가 특허 제10-0864108호로 등록되었으며 그 구조를 살펴보면, 가압기구를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과, 서포트 프레임에 일단이 힌지 식으로 지지되는 리드 암과, 서포트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는 가이드블록과, 일단이 가이드블록에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타단은 리드 암의 타단에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되면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식 스프링과, 서포트 프레임과 유압식 스프링 간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로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와이어를 당기면 유압식 스프링에 의해 저항력이 발생하여 팔 운동을 할 수 있으나 오로지 당기는 방법에 의한 운동만 가능할 뿐 미는 운동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와이어를 양손으로 잡고 당겨야 하므로 양손을 벌려서 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제10-0965916호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기구는 외부와 차단된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유동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케이스가 내부에 위치하여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을 통해 유동액의 유입에 따른 유압이 생성되도록 하는 실린더와, 피스톤의 상승 또는 하강시 피스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과, 피스톤의 하강시 저장탱크 내의 유동액이 실린더로 유입되도록 구동하는 유압 펌프와,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여 각종 운동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피스톤의 이동 범위 및 저항력의 설정치를 입력하는 표시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운동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피스톤과 연결된 와이어를 당기면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내부의 유압에 의해 저항력이 발생하여 팔 운동을 할 수 있지만, 이 또한 당기는 운동만 할 수 있을 뿐 미는 운동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를 당길 수 있는 구간이 길면 피스톤과 실린더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여 사실상 와이어를 당길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KR, B1, 10-0864108(2008.10.10) KR, B1, 10-0965916(2010.06.16)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기다란 봉이 아닌 짧은 손잡이를 구비하여 봉의 낙하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며 저항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는 안전 벤치 프레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승강 지지대; 양 승강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벤치; 승강 지지대를 타고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 승하강대에 고정되는 손잡이 ; 승강 지지대의 상하부에 회전체를 설치하고 양 회전체를 감싸는 벨트류를 구비하며 벨트류의 일부분이 승하강대 또는 손잡이와 연결된 동력전달장치;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압박하여 동력전달장치의 구동을 방해하는 압박식 저항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승강 지지대; 양 승강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벤치; 승강 지지대를 타고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 승하강대에 고정되는 손잡이 ; 승강 지지대의 상하부에 회전체를 설치하고 양 회전체를 감싸는 벨트류를 구비하며 벨트류의 일부분이 승하강대 또는 손잡이와 연결된 동력전달장치; 상기 동력전달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전달장치의 구동을 방해하는 회전식 저항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수직의 안내홈을 구비한 한 쌍의 지주; 양 지주 사이에 구비되는 벤치; 양 지주의 안내홈에 끼워져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하는 손잡이; 지주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회전체를 설치하고 양 회전체를 감싸는 벨트류를 구비하되 벨트류의 일부분에 손잡이를 연결한 동력전달장치;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압박하여 동력전달장치의 구동을 방해하는 압박식 저항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지지대는 두 개 이상이 평행하게 설치되며, 이들 승강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면서 둘레에 승강 지지대와 구름 접촉하는 롤러가 구비된 승하강대를 설치하며, 승하강대에 손잡이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 또는 승강 지지대는 그 표면에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쿠션코팅층이 구비되어 승하강대 이송시 소음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식 저항수단은 감속기나 유압펌프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박식 저항수단은 벨트류와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압박하는 가압 롤러; 일단에 가압 롤러가 설치되 타단에 핸들이 설치되며 지주에 나선 결합되는 가압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는 압박식 저항수단을 이용하여 운동함으로써 손잡이의 낙하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손잡이의 무게감을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식 저항수단을 이용할 경우 별다른 조작 없이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고 특히 여러 방법으로 응용하여 운동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평의 바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승하강대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압박식 저항수단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저항수단을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승하강대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압박식 저항수단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승강 지지대(10); 양 승강 지지대(10) 사이에 구비되는 벤치(20); 승강 지지대(10)를 타고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30); 승하강대(30)에 고정되는 손잡이(40) ; 승강 지지대(10)의 상하부에 회전체(51)를 설치하고 양 회전체(51)를 감싸는 벨트류(52)를 구비하며 벨트류(52)의 일부분이 승하강대(30) 또는 손잡이(40)와 연결된 동력전달장치(50); 상기 동력전달장치(50)를 압박하여 동력전달장치(50)의 구동을 방해하는 압박식 저항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지지대(10)는 기다란 관이 수직으로 설치된 것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평행하게 설치하되 규칙적인 배열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가 설치된 것으로, 상부에서 볼 때 네 개가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한 조를 이룬다. 여기서 승강 지지대(10)는 그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이나 삼각 또는 다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지지대(10) 들의 배열 중앙에는 승하강대(30)를 구비하고 승하강대(30)의 둘레에는 승강 지지대(10)에 각각 대응되어 밀착되고 회전하는 롤러(3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롤러(31)는 이 층으로 구성하여 승하강대(30)가 기울지 않으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토록 한다. 여기서 롤러(31)는 중앙이 오목하게 함몰된 장구통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승강 지지대(10)의 모서리가 이 함몰된 부위로 위치하여 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승강 지지대(10)에 롤러(31)가 밀착 설치됨으로써 승하강대(30)는 측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하고 오로지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롤러(31)는 자체 쿠션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승강 지지대(10)를 항상 압박하며 회전하고, 상기 승강 지지대(10)는 롤러(31)와 접하는 면에 고무판이 부착되거나 우레탄과 같은 연질의 재료를 분무하여 쿠션 코팅층(1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고무판 또는 우레탄이 코팅된 승강 지지대(10)에 쿠션을 가지는 롤러(31)가 항상 압박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구름 접촉과 함께 회전하며 이송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동력전달장치(50)는 양 승하강대(30)의 내부 상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체(51)와, 양 회전체(51)를 감싸며 팽팽하게 설치되는 벨트류(52)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체(51)는 롤러, 풀리, 스프로킷 등이 이용되고, 벨트류(52)는 벨트, 로프, 와이어, 체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류(52)의 일 부분을 승하강대(30) 또는 손잡이(40)에 연결하여 손잡이(40)가 이동하면 승하강대(30)의 이송과 벨트류(52)의 움직임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양 승강 지지대(10)의 둘레에는 승강 지지대(10)를 감싸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 및 보호하는 케이스(12)가 설치된다. 케이스(12)의 일측에는 안내홈(13)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 안내홈(13)을 통해 손잡이(40)가 노출된다. 여기서 양 케이스(12)의 안내홈(13)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노출되는 손잡이(40)의 길이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정도로 짧게 형성하여 손잡이(40) 낙하에 의한 부상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양 승강 지지대(10)의 하부에는 받침대(15)가 구비되어 받침대(15)의 양단으로부터 승강 지지대(10)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받침대(15)의 상면 중앙 즉 양 승강 지지대(10)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벤치(20)가 길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벤치(20)에 누워서 손잡이(40)를 잡고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 지지대(10)의 양측에 압박식 저항수단(60)이 설치된다. 상기 압박식 저항수단(60)은 핸들(61), 가압봉(62), 가압 롤러(63), 저항 롤러(64), 회동대(65)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봉(62)은 압박식 저항수단(60) 둘레를 감싸는 케이스(2)에 나선 결합되고 외부로 노출된 말단에 핸들(61)을 설치하여 핸들(61) 회전 방향에 따라 가압봉(62)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그 일측에는 저항 롤러(64)를 구비하여 동력전달장치(50)의 회전체(51)와 축 연결 또는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가압봉(62)의 말단과 저항 롤러(64) 사이에 회동대(65)를 구비한다. 회동대(65)의 말단에는 가압 롤러(63)를 설치하여 저항 롤러(64)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회동대(65)의 일 부분이 받침대와 축 결합되어 시소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가압 롤러(63)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 가압봉(62)이 접하도록 하여 핸들(61)에 의해 가압봉(62)이 움직이면 가압봉(62)이 회동대(65)를 눌러 말단의 가압 롤러(63)가 이동하여 저항 롤러(64)를 압박함으로써 회전을 방해한다.
상기 압박식 저항수단(60)은 회동대(65)를 생략하고 설치할 수 있다. 즉, 핸들(61) 조작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가압봉(62)과, 가압봉(62)의 말단에 설치되는 가압 롤러(63)로 구성하되, 상기 가압 롤러(63)는 동력전달장치(50)의 벨트류(52)를 직접 압박하도록 한다. 따라서 핸들(61)에 의해 가압봉(62)이 이동함에 따라 말단의 가압 롤러(63)가 벨트류(52)를 압박하여 벨트류(52)의 이동을 방해한다. 여기서 가압 롤러(63)와 가압봉(62)을 여러 개 구비하여 사용자의 힘에 따라 단계별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팔 운동을 하기 위해 벤치(20)에 눕고 양손으로 손잡이(40)를 파지하고 힘을 주어 들어올린다. 그러면 손잡이(40)가 승강하면서 이와 연결된 승하강대(30)가 승강 지지대(10)를 타고 승강한다. 이때, 승하강대(30)의 둘레에 구비된 롤러(31)가 회전하면서 승강 지지대(10)를 따라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지는데, 롤러(31)의 표면과 승강 지지대(10)의 표면에 구비된 쿠션 코팅층(11)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함께 승하강대(30) 또는 손잡이(40)와 연결된 벨트류(52)가 같이 이동하고 이와 연결된 회전체(51)가 회전하며, 회전체(51)와 연결된 압박식 저항수단의 저항 롤러(64)가 회전한다. 여기서 가압 롤러(63)가 저항 롤러(64)에 밀착된 경우라면 가압 롤러(63)가 저항 롤러(64)의 회전을 방해하여 손잡이(40)가 쉽게 올라가지 않아 큰 힘을 주어야 올라가므로 팔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더욱 큰 힘을 주거나 아니면 작은 힘을 주어 운동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핸들(61)을 돌려 가압봉(62)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가압 롤러(63)의 압박 정도를 조절하면 웨이트 가감 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운동은 벤치에 걸터앉아서 하거나 또는 앉고 일어서면서 또는 서서 할 수 있으므로 팔 운동은 물론 다리와 무릎, 허디 등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승강 지지대(10)와 승하강대(30) 없이 안내홈을 가지는 지주만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주는 내부에 동력전달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손잡이는 지주의 안내홈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을 양측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벤치 프레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저항수단을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며, 도 7은 요부확대 정면도로서, 양 손잡이(40)와 승하강대(30) 및 동력전달장치(50)가 축(53)에 의해 연동하도록 하여 하나의 저항수단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축(53)은 받침대(15)의 내부에 설치하되 양단을 하부에 설치된 양 회전체(51)와 일체로 연결하고, 압박식 저항수단(60)을 하나만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압박식 저항수단(60)이 설치될 경우 조작의 편의성과 유지 보수를 위해 받침대(15)의 일측에 별도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압박식 저항수단(6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양 회전체(51)가 축(53)에 의해 일체화됐기 때문에 양 손잡이(40)는 항상 같이 움직이고 같은 저항을 받게 된다. 또한, 양 손잡이(40)가 서로 마주보고 같이 움직임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봉(41)을 구비하고 봉(41)의 양단에 손잡이(40)를 끼움으로써 철봉 운동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식 저항수단(60) 대신 회전식 저항수단(7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저항수단(70)은 감속기나 유압펌프가 이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감속기나 유압펌프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를 필히 제거하고 모터가 연결되는 입구를 차단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식 저항수단(70)이 유압펌프인 경우 유동액의 마찰 저항을 이용한 것으로서, 유동액이 내장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임펠러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며 공간 내에 유동액이 내장되고, 좌우로 관통하는 회전축을 횡설하되 양측으로 길게 돌출된다. 상기 하우징 내의 회전축에는 여러 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임펠러가 설치되어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유동액과의 마찰로 인한 저항력이 발생한다. 아울러 임펠러의 일측에는 회전하지 않는 저항판을 설치하여 유동액의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저항판은 원형판의 일면에 중심을 향하는 다수 개의 선형 돌부를 원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형 돌부는 임펠러에 의해 회전하는 유동액과 마찰저항을 일으킴으로써 유동액의 회전을 방해한다. 따라서 임펠러의 회전이 가속될수록 저항력은 커지며 감속될수록 저항력은 작아진다. 결국, 손잡이를 들어올릴 때 큰 힘을 가할수록 저항력은 크게 발생한다.
회전식 저항수단(70)이 감속기의 경우 엔진 브레이크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기어는 이 수를 달리하되 동력전달장치와 근접한 기어는 이수가 많고 멀수록 점차 적도록 하여 큰 마찰저항이 발생하도록 한다. 결국, 손잡이를 들어올릴 때 큰 힘을 가할수록 저항력은 크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회전식 저항수단(70)은 압박식 저항수단(60)과 같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10 : 승강 지지대 11 : 쿠션 코팅층 12 : 케이스
13 : 안내홈 20 : 벤치 30 : 승하강대
31 : 롤러 40 : 손잡이 50 : 동력전달장치
51 : 회전체 52 : 벨트류 60 : 압박식 저항수단
61 : 핸들 62 : 가압봉 63 : 가압 롤러
64 : 저항 롤러 65 : 회동대 70 : 회전식 저항수단

Claims (6)

  1.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승강 지지대(10); 양 승강 지지대(10) 사이에 구비되는 벤치(20); 승강 지지대(10)를 타고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30); 승하강대(30)에 고정되는 손잡이(40); 승강 지지대(10)의 상하부에 회전체(51)를 설치하고 양 회전체(51)를 감싸는 벨트류(52)를 구비하며 벨트류(52)의 일부분이 승하강대(30) 또는 손잡이(40)와 연결된 동력전달장치(50); 동력전달장치(50)를 압박하여 동력전달장치(50)의 구동을 방해하는 압박식 저항수단(60); 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박식 저항수단(60)은 벨트류(52)와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압박하는 가압 롤러(63); 일단에 가압 롤러(63)가 설치되고 타단에 핸들(61)이 설치되며 나선 결합 방식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봉(6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벤치 프레스.
  2.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수직의 안내홈을 구비한 한 쌍의 지주;
    양 지주 사이에 구비되는 벤치;
    양 지주의 안내홈에 끼워져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하는 손잡이;
    지주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회전체를 설치하고 양 회전체를 감싸는 벨트류를 구비하되 벨트류의 일부분에 손잡이를 연결한 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압박하여 동력전달장치의 구동을 방해하는 압박식 저항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벤치 프레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식 저항수단(60)은 벨트류(52)와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압박하는 가압 롤러(63); 일단에 가압 롤러(63)가 설치되고 타단에 핸들(61)이 설치되며 나선 결합 방식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봉(6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벤치 프레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지지대(10)는 두 개 이상이 평행하게 설치되며, 이들 승강 지지대(10) 사이에 위치하면서 둘레에 승강 지지대(10)와 구름 접촉하는 롤러(31)가 구비된 승하강대(30)를 설치하며, 승하강대(30)에 손잡이(40)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벤치 프레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1) 또는 승강 지지대(10)는 그 표면에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쿠션 코팅층(11)이 구비되어 승하강대(30) 이송시 소음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벤치 프레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50)에 회전식 저항수단(70)을 연결하되, 회전식 저항수단(70)은 감속기나 유압펌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벤치 프레스.
KR1020130043808A 2013-04-19 2013-04-19 안전 벤치 프레스 KR10131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808A KR101315518B1 (ko) 2013-04-19 2013-04-19 안전 벤치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808A KR101315518B1 (ko) 2013-04-19 2013-04-19 안전 벤치 프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518B1 true KR101315518B1 (ko) 2013-10-07

Family

ID=4963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808A KR101315518B1 (ko) 2013-04-19 2013-04-19 안전 벤치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5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464A (ko) * 2014-05-29 2015-12-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WO2017065538A1 (ko) * 2015-10-15 2017-04-20 백준영 전동식 운동보조장치
KR20190061152A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론픽 전동제어식 복합 피트니스 머신
KR102127633B1 (ko) * 2020-03-27 2020-06-30 이상민 전신 운동기구
KR102630835B1 (ko) 2023-07-10 2024-01-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벤치프레스 안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354A (ja) * 1994-03-02 1995-09-19 Kallios Demetrios ウェイトリフターのための運動装置
US8047972B1 (en) * 2010-10-15 2011-11-01 Randy Theodore Dean Easily adjustable and lockable exercise bar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354A (ja) * 1994-03-02 1995-09-19 Kallios Demetrios ウェイトリフターのための運動装置
US8047972B1 (en) * 2010-10-15 2011-11-01 Randy Theodore Dean Easily adjustable and lockable exercise bar apparatu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464A (ko) * 2014-05-29 2015-12-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KR101602783B1 (ko) 2014-05-29 2016-03-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WO2017065538A1 (ko) * 2015-10-15 2017-04-20 백준영 전동식 운동보조장치
US10561882B2 (en) 2015-10-15 2020-02-18 Jun Young BAEK Electric exercise assistance device
KR20190061152A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론픽 전동제어식 복합 피트니스 머신
KR102053685B1 (ko) 2017-11-27 2019-12-09 주식회사 론픽 전동제어식 복합 피트니스 머신
KR102127633B1 (ko) * 2020-03-27 2020-06-30 이상민 전신 운동기구
KR102630835B1 (ko) 2023-07-10 2024-01-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벤치프레스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518B1 (ko) 안전 벤치 프레스
KR101315514B1 (ko)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US20180117392A1 (en) Exercise Machine Inclination Device
US4949959A (en) Barbell assist device
US7789812B2 (en) Rope climbing exercise apparatus
US20070072750A1 (en) Weight lifting spotting device
FI78840B (fi) Muskelbyggare.
US7303506B1 (en) Combined vertical and horizontal rope climbing apparatus
CN107782629B (zh) 井盖压力测试装置
CN213789779U (zh) 一种滑移式腿部训练器
CN111111134A (zh) 攀爬机
US5647826A (en) Aquatic exercise and rehabilitation device
CN211068933U (zh) 一种滑步健身机装置
US7060003B1 (en) Horizontal rope pulling apparatus
US20170120097A1 (en) Exercise Weight Selection Device and Method
CN108853985B (zh) 一种篮筐可调节的篮球架
CN207979593U (zh) 手动自助能旋转搓背机
CN103785138B (zh) 登山跑步机
KR20060114874A (ko) 완강기
KR102127633B1 (ko) 전신 운동기구
KR100979995B1 (ko) 승강구조형 캐리어
KR20090000776U (ko) 다단 유도형 골프공 자동 티업기
CN212369524U (zh) 攀爬机
KR101315515B1 (ko) 수평식 팔 운동기구
CN2358926Y (zh) 钢索式举重健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