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783B1 -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783B1
KR101602783B1 KR1020140064941A KR20140064941A KR101602783B1 KR 101602783 B1 KR101602783 B1 KR 101602783B1 KR 1020140064941 A KR1020140064941 A KR 1020140064941A KR 20140064941 A KR20140064941 A KR 20140064941A KR 101602783 B1 KR101602783 B1 KR 101602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intrusion
borehole
support
intrus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464A (ko
Inventor
신종호
한정우
김두래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8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관입장비를 조립하고, 상기 조립된 관입장비를 시추공 내부로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하면서 설치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는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중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내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파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은 대상지반을 소정의 직경 및 깊이로 굴착하여 시추공을 형성하는 단계(S Ⅰ); 상기 시추공의 주변의 소정의 위치에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소정의 갯수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관입장비 지지장치 간을 상부연결부재 및 결합봉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단계(S Ⅲ); 일측의 관입장비 지지장치의 클램프에 제1관입장비를 고정하고, 시추공 저부로 하향시키는 단계(S Ⅳ); 타측의 관입장비 지지장치의 클램프에 제2관입장비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관입장비를 제1관입장비와 상호 연결시키는 단계(S V); 상기 단계(S Ⅳ)와 단계(S V)를 수회 반복하여 각각의 관입장비(P1, P2, P3...)를 연결하여 연결된 일체형 관입장비를 시추공에 삽입하는 단계(S Ⅵ); 상기 관입장비와 시추공 간에 그라우트액을 주입 및 경화시키는 단계(S Ⅶ)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Using this equipment and support device penetration deep penetration equipment installed within the borehole method}
본 발명은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지반의 대심도 천공 후, 상기 천공된 시추공에 철근 또는 파이프와 같이 직경에 비해 길이가 긴 부재(이하, "관입장비"라 칭함)를 관입할 때, 현장에서 간단히 관입장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반에 일정한 직경 및 깊이를 갖도록 천공하여 시추공을 형성한 후, 상기 시추공에 철근 및 중공부재와 같은 직경에 비해서 길이가 긴 봉과 같은 관입장비를 삽입할 때 통상적으로 사람의 손을 이용하여 직접 삽입을 시행하거나, 굴착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삽입을 시행한다.
이 경우 관입장비를 사전에 용접 또는 연결 작업 등을 통해 미리 관입장비의 조립이 진행되어야 하며, 길이가 연장된 관입장비를 시추공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관입장비를 굴착기 등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관입장비의 작업량이 많아진다.
또한, 교량 하부와 같이 굴찰기가 진입할 수 없거나 또는 관입장비의 수직 삽입 시에 삽입공간이 협소하여 공간이용에 제약이 큰 경우에는 관입장비의 삽입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시추공에 관입장비의 삽입시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관입장비 삽입의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지상에 송전선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관입장비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송전선에 관입장비가 닿아 안전상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추공에 계측기를 삽입할 경우에는 미리 관입장비를 조립한 후, 상기 관입장비에 계측기를 조립하여 진행하는 과정에서 관입장비가 무게에 의해 휨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겨 내부 센서의 손상을 미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현장에서 관입장비를 조립하고, 상기 조립된 관입장비를 시추공 내부로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하면서 설치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는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중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내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파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은 대상지반을 소정의 직경 및 깊이로 굴착하여 시추공을 형성하는 단계(S Ⅰ); 상기 시추공의 주변의 소정의 위치에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소정의 갯수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관입장비 지지장치 간을 상부연결부재 및 결합봉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단계(S Ⅲ); 일측의 관입장비 지지장치의 클램프에 제1관입장비를 고정하고, 시추공 저부로 하향시키는 단계(S Ⅳ); 타측의 관입장비 지지장치의 클램프에 제2관입장비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관입장비를 제1관입장비와 상호 연결시키는 단계(S V); 상기 단계(S Ⅳ)와 단계(S V)를 수회 반복하여 각각의 관입장비(P1, P2, P3...)를 연결하여 연결된 일체형 관입장비를 시추공에 삽입하는 단계(S Ⅵ); 상기 관입장비와 시추공 간에 그라우트액을 주입 및 경화시키는 단계(S Ⅶ)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은 현장에서 관입장비를 조립하고, 상기 조립된 관입장비를 시추공 내부로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하면서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에서 상부결합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의 중공부재를 내측 및 외측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작동상태도,
도 6a 및 6b은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의 파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립상태도,
도 7a, 7(b), 7(c)은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의 상부결합부재를 도시한 1개 사용 상태도, 2개 사용 상태도 및 분해도,
도 8a, 8(b), 8(c)은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가 복수 이상 연결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에 도르래 및 윈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에 중량물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a 내지 11f는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대심도 시추공내에 관입장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에서 상부결합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A)는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중공부재(200)와; 상기 중공부재(200)의 내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300)와; 상기 이동부재(300)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부재(400)를 매개로 결합되는 파지부재(5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0), 중공부재(200), 이동부재(300), 연결부재(400) 및 파지부재(5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부재로, 지면에 밀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중공부재(200)는 도 3,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중공인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210)이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장공(220)의 길이방향의 직각으로 다수개의 걸림홈(230)이 형성된 구조이다.
특히, 상기 중공부재(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내부에는 이동부재(300)를 설치하여, 상기 중공부재(200)의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중공부재(200)의 외측방향에 장공(210, 220)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220)에 걸림홈(230)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200)에 이동부재(300)의 잠금봉(34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재(200)의 하부는 바닥판(100)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300)는 도 3,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추(310)와; 상기 중량추(310)의 하면에 배치되는 받침(320)과; 상기 받침(320)의 가운데에 배치됨과 동시에 중량추(310)의 가운데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갈고리(330)와; 상기 중량추(310)의 측면과 일체로 결합됨과 동시에 일정길이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잠금봉(340), 지지암(350)으로 구성되어, 중공부재(200)의 내주면에 상, 하부로 움직일 수 있도록 중공부재(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지지암(350)의 단부에 나사산(35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부재(300)는 중공부재(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재로 중공부재(200)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며, 만일 이동부재(300)가 중량물일 경우에는 갈고리(330)에 와이어로프(810)를 연결하여 중공부재(200)의 상하부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재(20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여 장공(210, 22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공(210, 220)을 통해 이동부재(300)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부재(300)의 고정시에는 이동부재(300)의 잠금봉(340)을 중공부재(200)의 걸림홈(230)에 회전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0)는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러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400)는 일측의 이동부재(300)의 지지암(350)과 타측의 파지부재(500)의 지지암(510)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재(500)는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지지암(510)과; 상기 지지암(510)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520)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암(510)의 단부에 나사산(512)이 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 파지부재(500)의 지지암(510)은 연결부재(40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암(510)의 선단부분에는 관입장비(P)를 파지할 수 있도록 클램프(520)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520)에는 관입장비(P)를 볼트 및 너트(530)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공부재(200)의 상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재(200)의 하부의 바닥판(100)과 대향되게 상부판(60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판(600)은 소정의 두께 및 너비를 갖는 판상체로 구성되고, 가운데에 관통공(610)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600)의 상면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결합부재(700)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결합부재(700)에는 도 7a, 7b,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봉(710)이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즉, 상기 상부결합부재(700)는 관입장비 지지장치(A)를 2개 이상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 상부결합부재(700)와 결합봉(710)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부판(600) 또는 중공부재(200) 상부에 연결하여 지지력을 높이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A)는 필요에 따라 도 8a, 도 8b,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결합부재(700)를 매개로 하여 관입장비 지지장치(A)를 복수 이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갈고리(33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800)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800)의 타측은 상부결합부재(700) 상에 설치된 도르래(810)를 경유하여 윈치(820)에 연결된 구조이다.
이는 관입장비(P)의 중량이 무거울 경우에는 상부결합부재(700) 상에 도르래(810)를 설치하고, 상기 도르래(810)를 매개로 하여 갈고리(330)에 와이어로프(800)를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로프(800)의 일정부분을 도르래(810)를 통과시킨 후 윈치(820)에 와이어로프(800)를 고정시켜, 윈치(820)의 조정에 의해서 상기 갈고리(330)를 끌어올린다.
또한, 상기 중공부재(200)의 외주면과 파지부재(500)의 지지암(510) 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900)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재(900)는 양단은 내측이 일정한 곡률를 갖도록 지지홈(9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910) 간에 지지판(920)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 지지부재(900)는 모멘트에 버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90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홈(910)은 중공부재(20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타측에 형성된 지지홈(910)은 이동부재(300)의 지지암 또는 파지부재(500)의 지지암에 고정시켜 밀착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대심도 시추공내에 관입장비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 내지 11f는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대심도 시추공내에 관입장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은 대상지반(G)을 소정의 직경 및 깊이로 굴착하여 시추공(H)을 형성하는 단계(S Ⅰ); 상기 시추공(H)의 주변의 소정의 위치에 관입장비 지지장치(A)를 소정의 갯수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관입장비 지지장치(A) 간을 상부연결부재(700) 및 결합봉(710)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단계(S Ⅲ); 일측의 관입장비 지지장치(A)의 클램프(520)에 제1관입장비(P1)를 고정하고, 시추공(H) 저부로 하향시키는 단계(S Ⅳ); 타측의 관입장비 지지장치(A)의 클램프(520)에 제2관입장비(P2)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관입장비(P2)를 제1관입장비(P1)와 상호 연결시키는 단계(S V); 상기 단계(S Ⅳ)와 단계(S V)를 수회 반복하여 각각의 관입장비(P1, P2, P3...)를 연결하여 연결된 일체형 관입장비(P)를 시추공(H)에 삽입하는 단계(S Ⅵ); 상기 관입장비(P)와 시추공(H) 간에 그라우트액(L)을 주입 및 경화시키는 단계(S Ⅶ)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은 시추공(H)을 형성단계(S Ⅰ); 상기 관입장비 지지장치(A) 설치단계(S Ⅱ); 상기 관입장비 지지장치(A) 상호 연결단계(S Ⅲ); 제1관입장비(P1)를 하향시키는 단계(S Ⅳ); 제2관입장치(P2)와 제1관입장비(P1)와 상호 연결시키는 단계(S V); 상기 관입장비(P)를 시추공(H)에 삽입하는 단계(S Ⅵ); 상기 관입장비(P)와 시추공(H) 간에 그라우트액(L)을 주입 및 경화시키는 단계(S Ⅶ)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대심도 시추공내에 관입장비를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입장비 지지장치(A)는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중공부재(200)와; 상기 중공부재(200)의 내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300)와; 상기 이동부재(300)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부재(400)를 매개로 결합되는 파지부재(500)로 구성되고, 상기 중공부재(200)에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210)이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장공(220)의 길이방향의 직각으로 다수개의 걸림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300)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추(310)와; 상기 중량추(310)의 하면에 배치되는 받침(320)과; 상기 받침(320)의 가운데에 배치됨과 동시에 중량추(310)의 가운데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갈고리(330)와; 상기 중량추(310)의 측면과 일체로 결합됨과 동시에 일정길이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잠금봉(3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봉(340)은 복수로 구성되고, 일측의 잠금봉(340)의 단부에 나사산(35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400)는 커플러로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재(500)는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지지암(510)과; 상기 지지암(510)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520)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암(510)의 단부에 나사산(51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재(200)의 상단에 하부의 바닥판(100)과 대향되게 상부판(60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판(600)은 소정의 두께 및 너비를 갖는 판상체로 구성되고, 가운데에 관통공(61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600)의 상면에 상부결합부재(700)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결합부재(700)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봉(71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갈고리(330)에 와이어로프(800)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800)의 타측은 상부결합부재(700) 상에 설치된 도르래(810)를 경유하여 윈치(820)에 연결되며, 상기 중공부재(200)의 외주면과 파지부재(500)의 지지암(510) 간에 지지부재(90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900)는 양단은 내측이 일정한 곡률를 갖도록 지지홈(9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910) 간에 연결판(920)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은 터널 굴착면 상부 대상지반(G)을 천공하고, 상기 천공된 시추공(H) 주변에 다수개의 관입장비 지지장치(A)를 조립하여, 설치하고, 상기 관입장비 지지장치(A) 간을 상부연결부재(700)와 결합봉(710)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킨 후, 일측의 관입장비 지지장치(A)의 파지부재(500)의 클램프(520)에 제1관입장비(P1)를 볼트 및 너트(530)를 매개로 고정시킨 후, 상기 파지부재(500)의 클램프(520)에 고정된 제1관입장비(P1)를 일정길이로 하향시킨 후, 타측의 관입장비 지지장치(A)의 파지부재(500)의 클램프(520)에 제2관입장비(P2)를 볼트 및 너트(530)를 매개로 고정시킨 후, 상기 하부에 위치된 제1관입장비(P1)와 상부에 위치된 제2관입장비(P2)를 상호 연결시켜 일정한 길이를 갖는 관입장비(P)를 형성한 후, 상기 관입장비(P)를 시추공(H)내 저부에 닿도록 설치한 후, 상기 관입장비(P)와 시추공(H) 내에 그라우팅액(L)을 주입 및 경화시켜 관입장비(P)를 고정함과 동시에 지중에 중공파일을 형성함으로써, 지반의 대심도 시추공(H)에 상부공간 또는 과다중량, 장비한계로 인해 관입장비(P)의 길이가 제약되는 경우에도, 관입장비(P)를 다수 연결하여 시추공(H) 내부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100: 바닥판 200: 중공부재
210: 장공 220: 장공
230: 걸림홈 300: 이동부재
310: 중량추 320: 받침
330: 갈고리 340: 잠금봉
350: 지지암 352: 나사산
400: 연결부재 500: 파지부재
510: 지지암 512: 나사산
520: 클램프 530: 볼트 및 너트
600: 상부판 610: 관통공
700: 상부결합부재 710: 결합봉
800: 와이어로프 810: 도르래
820: 윈치 900: 지지부재
910: 지지홈 920: 지지판
A: 관입장비 지지장치
C: 그라우트액 G: 지반
H: 시추공 P: 관입장비
P1: 제1관입장비 P2: 제2관입장비
P3: 제3관입장비

Claims (27)

  1.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중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내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파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중공부재에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장공의 길이방향의 직각으로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추와; 상기 중량추의 하면에 배치되는 받침과; 상기 받침의 가운데에 배치됨과 동시에 중량추의 가운데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갈고리와; 상기 중량추의 측면과 일체로 결합됨과 동시에 일정길이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잠금봉 및 지지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커플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의 상단에 하부의 바닥판과 대향되게 상부판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소정의 두께 및 너비를 갖는 판상체로 구성되고, 가운데에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상면에 상부결합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결합부재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봉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에 와이어로프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측은 상부결합부재 상에 설치된 도르래를 경유하여 윈치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의 외주면과 파지부재의 지지암 간에 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양단은 내측이 일정한 곡률를 갖도록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 간에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
  14. 대상지반을 소정의 직경 및 깊이로 굴착하여 시추공을 형성하는 단계(S Ⅰ);
    상기 시추공의 주변의 소정의 위치에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소정의 갯수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관입장비 지지장치 간을 상부연결부재 및 결합봉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단계(S Ⅲ);
    일측의 관입장비 지지장치의 클램프에 제1관입장비를 고정하고, 시추공 저부로 하향시키는 단계(S Ⅳ);
    타측의 관입장비 지지장치의 클램프에 제2관입장비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관입장비를 제1관입장비와 상호 연결시키는 단계(S V);
    상기 단계(S Ⅳ)와 단계(S V)를 수회 반복하여 각각의 관입장비를 연결하여 연결된 일체형 관입장비를 시추공에 삽입하는 단계(S Ⅵ);
    상기 관입장비와 시추공 간에 그라우트액을 주입 및 경화시키는 단계(S Ⅶ)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입장비 지지장치는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중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내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파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에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장공의 길이방향의 직각으로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추와; 상기 중량추의 하면에 배치되는 받침과; 상기 받침의 가운데에 배치됨과 동시에 중량추의 가운데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갈고리와; 상기 중량추의 측면과 일체로 결합됨과 동시에 일정길이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잠금봉 및 지지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커플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의 상단에 하부의 바닥판과 대향되게 상부판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소정의 두께 및 너비를 갖는 판상체로 구성되고, 가운데에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상면에 상부결합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결합부재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봉이 고정 설치됨을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에 와이어로프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측은 상부결합부재 상에 설치된 도르래를 경유하여 윈치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의 외주면과 파지부재의 지지암 간에 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양단은 내측이 일정한 곡률를 갖도록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 간에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장비 지지장치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KR1020140064941A 2014-05-29 2014-05-29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KR101602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941A KR101602783B1 (ko) 2014-05-29 2014-05-29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941A KR101602783B1 (ko) 2014-05-29 2014-05-29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464A KR20150138464A (ko) 2015-12-10
KR101602783B1 true KR101602783B1 (ko) 2016-03-14

Family

ID=5497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941A KR101602783B1 (ko) 2014-05-29 2014-05-29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227B1 (ko) 2006-05-19 2007-11-05 삼보지질 주식회사 해상 또는 수상에서 강관의 항타 및 현장타설말뚝의 시공을위한 강관 클램핑 장치
KR101315518B1 (ko) 2013-04-19 2013-10-07 이주희 안전 벤치 프레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947B2 (ja) * 1994-08-24 1997-01-16 株式会社日本アルミ リフター
KR0150349B1 (ko) * 1995-07-31 1998-10-15 김창식 자동단조가공기의 공작물 파지용 로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227B1 (ko) 2006-05-19 2007-11-05 삼보지질 주식회사 해상 또는 수상에서 강관의 항타 및 현장타설말뚝의 시공을위한 강관 클램핑 장치
KR101315518B1 (ko) 2013-04-19 2013-10-07 이주희 안전 벤치 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464A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966B1 (ko)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KR20170051951A (ko) 버팀보 연결 구조체
KR101602783B1 (ko) 관입장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심도 시추공내 관입장비 설치방법
JP2011080195A (ja) アンカー装置およびアンカーの施工法
JP3156537U (ja) アンカー装置
KR101442081B1 (ko) 해조부착판 및 해조부착판 시설방법
JP6148099B2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474314B2 (ja) 継杭の建込方法及び建込装置
JP2008007969A (ja) アンカー構造体
KR101445369B1 (ko) 연결구를 이용한 쏘일네일링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5596529B2 (ja) 補強用鉄筋の取付け構造
KR101192265B1 (ko) 고강도 콘크리트 장대파일 형성 장치 및 시공 방법
JP5596530B2 (ja) 鉄筋吊下げ配筋装置
KR100505396B1 (ko) 널말뚝 연결장치
JP2017014799A (ja) 法枠移動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260361B2 (ja) 地盤貫入部材用の把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地盤貫入部材の施工方法並びに基礎構造
JP6674843B2 (ja) アンカー
JP656462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KR101642803B1 (ko) 파일캡 구조체
CN216275180U (zh) 一种预埋导管结构
US12007044B2 (en) Subsea connection of pipeline sections
CN218540685U (zh) 一种建筑基础施工用灌注桩的固定装置
KR102166168B1 (ko) 기초 말뚝 유닛 및 그 제조방법과, 기초 구조용 말뚝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N218712947U (zh) 一种锚索快速便捷退锚装置
EP3906376B1 (en) A method of assembling a pipeline at a seabed location, and tool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