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803B1 - 파일캡 구조체 - Google Patents

파일캡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803B1
KR101642803B1 KR1020140155503A KR20140155503A KR101642803B1 KR 101642803 B1 KR101642803 B1 KR 101642803B1 KR 1020140155503 A KR1020140155503 A KR 1020140155503A KR 20140155503 A KR20140155503 A KR 20140155503A KR 101642803 B1 KR101642803 B1 KR 10164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le
disposed
engaging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547A (ko
Inventor
윤용수
나병관
Original Assignee
윤용수
나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수, 나병관 filed Critical 윤용수
Priority to KR102014015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8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캡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공형상의 파일과 파일캡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는 파일캡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일캡 구조체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일과; 상기 파일의 상부에 삽입 배치되는 몸체부가 하부에 형성된 파일캡과; 상기 파일과 상기 몸체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일과 상기 몸체부 중 안쪽에 배치된 제1부재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바깥쪽에 배치된 제2부재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쪽에 배치된 일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안쪽에 배치된 타단이 확장되어 상기 파일과 몸체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일캡 구조체 { PILE CAP STRUCTURE BODY }
본 발명은 파일캡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공형상의 파일과 파일캡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는 파일캡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그 건축 구조물의 지반을 다지는 기초 공사인 지반 보강 공사를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지반 보강 공사를 위해서는 연약 지반에 복수개의 파일들을 박아넣어 그 기초를 다지게 된다.
이러한 지반 보강 공사시에 적용되는 파일은 먼저 어스오거 등을 통해 지면에 수직한 구멍을 형성시킨 다음 이 구멍에 파일을 세워넣고 항타기 등의 장비를 통해 항타하여 박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파일들은 지반의 강도 정도에 따라 각기 그 높이가 다르게 위치되어 파일들의 설치후 파일 절단기 등을 통해 두부를 동일 높이를 갖도록 고르게 정리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두부가 정리되면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며, 이러한 기초 콘크리트 타설전에 중공형의 파일내로 콘크리트가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파일캡을 결합시킨 후 타설작업을 하게 된다.
종래의 파일캡은 하부가 상기 파일캡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파일캡의 외부를 감싸면서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기 파일캡의 단순히 상기 파일의 상부에 올려져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되거나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파일캡을 상기 파일의 상부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용접 등을 작업을 하여야 하는바, 작업이 어렵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266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파일캡이 파일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외부에서 파일과 파일캡을 용이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는 파일캡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일캡 구조체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일과; 상기 파일의 상부에 삽입 배치되는 몸체부가 하부에 형성된 파일캡과; 상기 파일과 상기 몸체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일과 상기 몸체부 중 안쪽에 배치된 제1부재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바깥쪽에 배치된 제2부재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쪽에 배치된 일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안쪽에 배치된 타단이 확장되어 상기 파일과 몸체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1부재는 상기 몸체부이고, 바깥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파일이며,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부재인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부재인 상기 파일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파일의 내주면은 상호 대면한다.
또는,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파일이고, 바깥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2부재는 몸체부이며,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부재인 상기 파일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부재인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파일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은 상호 대면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부재의 내주면 방향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외주면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1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관통공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되는 확장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확장부재의 전개된 직경과 상기 제2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기 제2결합부재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된 상기 확장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확장부재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단은 상기 확장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의 직경과 전개전 상기 확장부재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제2결합부재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부재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확장부재를 상기 제1관통공의 수직방향으로 전개시킨다.
상기 제2결합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재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2결합부재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공을 통해 삽입되는 회전도구가 결합되는 체결구가 형성되되, 상기 체결구에 결합된 상기 회전도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2결합부재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확장부재의 외주면은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확장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결합부재의 타단에 접하여 걸리고, 타단이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에 접하여 걸리되, 상기 제1결합부재가 상기 제2결합부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결합부재의 타단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1부재의 타면 사이에서 상기 제1관통공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된다.
상기 확장부재에는 일단과 타단방향으로 다수개의 슬릿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과 상기 확장부재의 타단 사이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단이 관통하는 중공 형상의 회전부재가 배치되되, 상기 확장부재의 타단은 상기 회전부재에 접하여 걸린다.
상기 제2결합부재의 일단에는 볼트머리가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접한다.
또는,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제3나사산이 형성된 중공볼트부재와; 내주면에 상기 제3나사산에 결합되는 제4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접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파일캡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일캡의 내부 또는 상기 파일의 내부에는 상기 연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파일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부가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파일캡 구조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파일캡 및 파일의 외부에서 작업자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파일캡과 파일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제1결합부재가 배치되도록 삽입한 후, 상기 제2결합부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2결합부재와 상기 확장부재에 의해 상기 파일캡과 캡부재를 용이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캡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캡 구조체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파일과 파일캡의 몸체부의 전방에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체결부재를 파일과 파일캡의 몸체부에 관통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제1결합부재에 회전부재를 결합하여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제1결합부재를 이동시켜 확장부재가 전개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파일과 파일캡을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일캡 구조체의 단면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일캡 구조체의 단면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른 파일캡 구조체의 단면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캡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캡 구조체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파일캡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300)과, 파일캡(200)과, 체결부재(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일(300)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일캡(200)은 상기 파일(300)의 상부에 배치되고, 몸체부(210)와 지지플레이트(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파일캡(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일(30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는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는 파일(300)의 두부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플레이트(220)는 상부면에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해 다수개의 보강철근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100)는 상기 파일(300)과 상기 몸체부(210)를 상호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부재(100)에 의해 상기 파일(300)과 파일캡(200)은 상호 고정 결합된다.
상기 파일(300)과 상기 몸체부(210) 중 안쪽에 배치된 제1부재에는 제1관통공(211)이 형성되고, 바깥쪽에 배치된 제2부재에는 상기 제1관통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31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1부재는 상기 몸체부(210)이고, 바깥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파일(300)이다.
즉, 상기 몸체부(210)가 상기 파일(300)의 안쪽에 삽입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관통공(211)은 상기 제1부재인 상기 몸체부(210)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311)은 상기 제2부재인 상기 파일(300)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210)의 외주면과 상기 파일(300)의 내주면은 상호 대면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00)는 상기 제1관통공(211)과 제2관통공(311)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쪽에 배치된 일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안쪽에 배치된 타단이 확장되어 상기 파일(300)과 몸체부(21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재(1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110)와, 제2결합부재(120)와, 회전부재(130)와, 확장부재(1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부재(110)는 대략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결합부재(110)는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211)은 관통하여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210)의 내주면 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120)는 대략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에는 볼트머리(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일단이 삽입되는 결합공(121)이 일단과 타단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결합부재(120)는 상기 파일캡(200)의 외주면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관통공(211)(262)을 관통한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일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2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112)과 결합하는 제2나사산(1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부재(1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1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재(110)는 상기 제2결합부재(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121)을 관통하는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공(121)을 통해 삽입되는 회전도구(170)가 결합되는 체결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13)에 결합된 상기 회전도구(1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재(110)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2결합부재(12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회전도구(170)를 육각렌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구(113)는 상기 육각렌치가 삽입되는 육각렌치홈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13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일단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홀은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일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130)가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외주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장부재(14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120)의 타단과 상기 회전부재(13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된다.
만일, 상기 회전부재(130)가 없는 경우에, 상기 확장부재(140)는 상기 제2결합부재(120)의 타단과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타단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타단과 상기 확장부재(140)의 타단 사이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일단이 관통하는 상기 회전부재(130)가 배치되도록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확장부재(140)는 일단이 상기 제2결합부재(120)의 타단에 접하여 걸리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130)에 접하여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결합부재(120)의 타단에는 상기 확장부재(140)의 일단이 배치되어 걸리는 제1걸림턱부(129)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130)의 일단에는 상기 확장부재(140)의 타단이 배치되어 걸리는 제2걸림턱부(1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걸림턱부(129)는 상기 제2결합부재(120)의 타단에서 링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턱부(139)는 상기 회전부재(130)의 일단에서 링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위와 같은 상기 제1걸림턱부(129)와 제2걸림턱부(139)에 의해 상기 확장부재(130)의 일단과 타단 각각 상기 제1걸림턱부(129)와 제2걸림턱부(139)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확장부재(130)의 일단과 타단에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확장부재(130)의 일단과 타단이 안쪽방향으로 휘어짐이 없이 지지되면서 상기 확장부재(130)의 중심부가 바깥쪽으로 휘어지면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재(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일단에서 타단까지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단과 타단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외주면이 바깥쪽으로 절곡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확장부재(140)의 외주면은 외측방향으로 약간 볼록하게 절곡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130) 및 상기 확장부재(14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부재(120)에 결합된다.
상기 확장부재(140)는 일단과 타단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찌그러지면서 일단과 타단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확장부재(140)에는 일단과 타단방향으로 다수개의 슬릿(141)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재(140)가 외력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일단과 타단의 수직방향으로 찌그러지면서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이용하여 파일(300)과 파일캡(200)을 결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00)를 파일(300)과 파일캡(200)의 몸체부(210)의 전방에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체결부재(100)를 파일(300)과 파일캡(200)의 몸체부(210)에 관통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제1결합부재(110)에 회전부재를 결합하여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제1결합부재(110)를 이동시켜 확장부재가 전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몸체부(210)와 파일캡(200)에는 각각 제1관통공(211)과 제2관통공(311)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0)의 제1관통공(211)과 상기 파일캡(200)의 제2관통공(311)이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110)와 제2결합부재(120)가 조립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재(100)를 상기 파일캡(200)의 일면 즉 외측면 방향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타단의 직경과, 전개전 상기 확장부재(140)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211) 및 제2관통공(3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00)를 상기 제1관통공(211) 및 제2관통공(311)을 관통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결합부재(120)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볼트머리(123)는 상기 제2관통공(311)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볼트머리(123)가 형성된 상기 제2결합부재(120)의 일단은 상기 파일캡(200)의 외측면 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재(120)는 타단이 상기 제1관통공(211) 및 제2관통공(311)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110)는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211)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면 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관통공(211)을 관통한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일단은 이미 상기 제1관통공(211)을 삽입되기 이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재(1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확장부재(140)는 상기 제1관통공(21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130)와 상기 몸체부(21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머리(123)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2결합부재(1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도구(170)를 상기 결합공(121)에 삽입하여 상기 체결구(113)에 결합시키고, 상기 회전도구(17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도구(170)를 회전시키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도구(17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나사산(112)과 제2나사산(12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재(110)는 상기 제2결합부재(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결합부재(110)가 상기 제2결합부재(1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타단과 상기 제2결합부재(120)의 타단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져 상기 확장부재(140)는 상기 제1결합부재(110)의 타단과 상기 몸체부(210)의 타면 사이에서 상기 제1관통공(211)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때, 상기 확장부재(140)의 외주면이 바깥쪽으로 약간 볼록하게 절곡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확장부재(140)의 외주면이 상기 제1관통공(211)의 수직방향으로 더욱 잘 절곡되어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재(140)는 일단이 상기 제2결합부재(120)에 걸려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130)에 걸려 지지되는바, 상기 제1결합부재(110)가 상기 제2결합부재(120)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확장부재(140)는 이동되지 못하고 그 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관통공(211)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된 상기 확장부재(140)는 그 직경이 점점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부재(140)의 전개된 직경과 상기 볼트머리(123)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211) 및 제2관통공(311)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상기 몸체부(210)과 파일(300)은 상기 제1관통공(211)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된 상기 확장부재(140)와 상기 볼트머리(123)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체결부재(100)에 의해, 작업자가 상기 파일(300) 및 파일캡(200)의 외부에서도 상기 파일(300)과 파일캡(200)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일캡(200)의 몸체부(210) 및 파일(300)에 상기 제1관통공(211) 및 제2관통공(311)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제1결합부재(110)가 배치되도록 삽입한 후, 상기 제2결합부재(1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110)를 회전시켜 상기 제2결합부재(120)의 볼트머리(123)와 상기 확장부재(140)에 의해 상기 파일캡(200)과 상기 파일(300)을 용이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0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00)를 이용하여 파일(300)과 파일캡(200)을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체결부재(100)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상기 체결부재(1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제2결합부재(12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의 상기 제2결합부재(120)는, 중공볼트부재(125)와, 너트부재(1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볼트부재(125)는 상기 제1관통공(211) 및 제2관통공(311)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제3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볼트부재(125)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3나사산에 의해 상기 중공볼트부재(12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공(151) 및 제2관통공(161)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너트부재(126)는 내주면에 상기 제3나사산에 결합되는 제4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파일(300)의 일면 즉 외주면에 접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공볼트부재(125)를 회전시켜 상기 중공볼트부재(125)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3나사산이 상기 제1관통공(151) 및 제2관통공(161)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중공볼트부재(125)를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110)를 회전시켜 상기 확장부재(140)를 전개시킨다.
이때, 상기 중공볼트부재(125)는 상기 제1관통공(151) 및 제2관통공(161)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결합부재(110)를 회전시킬 때 상기 중공볼트부재(125)가 이동됨이 없이 상기 확장부재(140)가 잘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재(140)의 전개가 완료되면, 상기 너트부재(126)를 회전시켜 파일(300)과 파일캡(200)을 보다 강하게 고정 결합시킨다.
삭제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일캡(200) 구조체의 단면구조도이다.
제3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몸체부(210)와 파일(300)의 삽입 배치 방향에 차이가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일(300)이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210)가 상기 파일(300)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관통공(211)은 상기 파일(300)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311)은 상기 몸체부(210)에 형성되며, 상기 파일(300)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부(210)의 내주면은 상호 대면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00)는 상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것을 사용하면 충분하다.
제4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일캡 구조체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른 파일캡 구조체의 단면구조도이다.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일캡(200)의 상부에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공(230)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캡(200)의 몸체부(210)가 상기 파일(300)의 안쪽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일캡(200)의 내부 자세하게는 상기 파일캡(200)의 하부에 제1받침부(240)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받침부(240)는 상기 연통공(230)을 통해 유입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파일(300)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캡(200)의 몸체부(210)가 상기 파일(300)의 바깥쪽에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파일(300)의 내부에 제2받침부(250)가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파일(30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받침부(250)는, 와이어(260) 등을 통해 상기 파일캡(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상기 제2받침부(250)는 상기 연통공(230)을 통해 유입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파일(300)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이 콘크리트가 상기 파일캡(200) 또는 파일(3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일캡(200)이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한 콘크리트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파일캡 구조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체결부재,
110 : 제1결합부재, 112 : 제1나사산, 113 : 체결구,
120 : 제2결합부재, 121 : 결합공, 122 : 제2나사산, 123 : 볼트머리, 125 : 중공볼트부재, 126 : 너트부재,
130 : 회전부재,
140 : 확장부재, 141 : 슬릿,
170 : 회전부재,
200 : 파일캡, 210 : 몸체부, 211 : 제1관통공, 220 : 지지플레이트, 230 : 연통공, 240 : 제1받침부, 250 : 제2받침부, 260 : 와이어,
300 : 파일, 311 : 제2관통공,

Claims (15)

  1.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일과;
    상기 파일의 상부에 삽입 배치되는 몸체부가 하부에 형성된 파일캡과;
    상기 파일과 상기 몸체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과 상기 몸체부 중 안쪽에 배치된 제1부재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바깥쪽에 배치된 제2부재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쪽에 배치된 일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안쪽에 배치된 타단이 확장되어 상기 파일과 몸체부를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부재의 내주면 방향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외주면 방향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2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1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관통공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되는 확장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과 상기 확장부재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단이 관통하는 중공 형상의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단은 상기 확장부재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의 직경과 전개전 상기 확장부재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2결합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확장부재의 일단이 배치되어 걸리는 제1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확장부재의 타단이 배치되어 걸리는 제2걸림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재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부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결합부재의 타단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1부재의 타면 사이에서 상기 제1관통공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되고,
    상기 확장부재의 전개된 직경과 상기 제2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기 제2결합부재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된 상기 확장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 구조체.
  2. 청구항1에 있어서,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1부재는 상기 몸체부이고, 바깥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파일이며,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부재인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부재인 상기 파일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파일의 내주면은 상호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 구조체.
  3. 청구항1에 있어서,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파일이고, 바깥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2부재는 몸체부이며,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부재인 상기 파일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부재인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파일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은 상호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재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2결합부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 구조체.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공을 통해 삽입되는 회전도구가 결합되는 체결구가 형성되되,
    상기 체결구에 결합된 상기 회전도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2결합부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 구조체.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의 외주면은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 구조체.
  10. 삭제
  11.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에는 일단과 타단방향으로 다수개의 슬릿이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 구조체.
  12. 삭제
  1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의 일단에는 볼트머리가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 구조체.
  1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제3나사산이 형성된 중공볼트부재와;
    내주면에 상기 제3나사산에 결합되는 제4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접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 구조체.
  15.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캡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일캡의 내부 또는 상기 파일의 내부에는 상기 연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파일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캡 구조체.
KR1020140155503A 2014-11-10 2014-11-10 파일캡 구조체 KR10164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03A KR101642803B1 (ko) 2014-11-10 2014-11-10 파일캡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03A KR101642803B1 (ko) 2014-11-10 2014-11-10 파일캡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47A KR20160055547A (ko) 2016-05-18
KR101642803B1 true KR101642803B1 (ko) 2016-07-26

Family

ID=5611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503A KR101642803B1 (ko) 2014-11-10 2014-11-10 파일캡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6414B (zh) * 2020-06-02 2022-05-24 山东高速集团有限公司 一种承载式透水混凝土-ecc复合预制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124Y1 (ko) 2000-01-28 2000-06-15 이달훈 강관파일의 덮개구조
KR200263625Y1 (ko) * 2001-11-07 2002-02-09 김영호 콘크리트 타설깊이 조절형 강관파일 두부의 덮개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546B2 (ja) * 1988-09-05 1995-12-13 健 増本 高力マグネシウム基合金
KR20120132660A (ko) 2011-05-29 2012-12-07 주식회사 장평건설 파일캡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124Y1 (ko) 2000-01-28 2000-06-15 이달훈 강관파일의 덮개구조
KR200263625Y1 (ko) * 2001-11-07 2002-02-09 김영호 콘크리트 타설깊이 조절형 강관파일 두부의 덮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47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054B1 (ko) 지반용 앵커
US9296050B2 (en) Self-undercut expansion anchor insertion system
KR100908566B1 (ko) 사면보강용 클러치셋 네일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US11486430B2 (en) Radially expanding post extender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20120105093A (ko)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101201829B1 (ko) 마이크로파일
JP2006070692A (ja) 高さ調整機能付マンホール
KR101515344B1 (ko) Phc파일 두부보강 구조체
KR101642803B1 (ko) 파일캡 구조체
JP6764667B2 (ja) 安全柵土台
KR101936091B1 (ko) 볼팅 고정식 앵커볼트
KR101057434B1 (ko)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US20090293258A1 (en) Anchor insertion rod
KR101623342B1 (ko)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KR100631322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1581915B1 (ko) 파스너를 이용한 벽체와 구조물 고정 구조
KR101334792B1 (ko) 높낮이 조절형 맨홀뚜껑 시스템
KR102039997B1 (ko) 고추대 지주
KR102138666B1 (ko) 콘크리트파일용 연결유니트
KR200482379Y1 (ko) 동바리
KR20150126427A (ko) 석재시공용 보강장치
US20120145459A1 (en) Seismic tool assembly for use in anchor insertion
KR101252254B1 (ko) 앵커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