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434B1 -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434B1
KR101057434B1 KR1020100027445A KR20100027445A KR101057434B1 KR 101057434 B1 KR101057434 B1 KR 101057434B1 KR 1020100027445 A KR1020100027445 A KR 1020100027445A KR 20100027445 A KR20100027445 A KR 20100027445A KR 101057434 B1 KR101057434 B1 KR 101057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tip
support member
extension piece
improve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한병현
박남서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보강봉 조립체에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단 테두리에 연결 형성되되 다수 개의 확개편 슬릿(122)에 의하여 서로 분리 형성된 복수의 확개편(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단정착구(100); 전체적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외부를 감싸며 장착되되 후단이 다수 개의 보강링 슬릿(220)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보강링(200); 선단에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본체(110)에 결합되는 강봉(300); 및, 상기 강봉(300)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확개편(120)을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선단에는 고정날 삽입홈(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고정날(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상기 확개편(120)의 후단의 외주면에는 1열 이상의 돌출된 천공홀 정착부(1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Improved Ground Reinforcing Bar Assembly With Expandable Front Wing}
본 발명은 지반보강봉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봉의 둘레에 장착되어 확개편을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부재를 포함함으로서, 강봉이 선단정착구에 회전 삽입됨에 따라 지지부재와 확개편의 접점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확개편의 확개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보강링을 장착하여 본체와 확개편의 파단을 방지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보강봉은 토목, 건축공사 등, 특히 터널 등과 같이 굴을 팔 때 토사가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설치되는 지반보강공사에 사용되는 재료의 일종으로서, 봉합 작용, 보형성 작용, 내압 작용, 아치형성 작용 및 지반보강 작용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지반보강봉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반보강봉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1(a)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지반보강봉은 내측에 나사구조를 갖는 몸체와 확개편으로 구성되는 선단정착구와, 상기 선단정착구에 나사 결합되는 강봉으로 구성된다. 확개편은 강봉이 몸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개되어 지반에 고정됨으로써 지반보강봉과 지반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확개편은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강봉이 몸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강봉에 의해 상기 돌출턱이 지렛대 역할을 하여 외측방향으로 확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반보강봉은 상기 돌출턱의 크기에 의해 상기 확개편의 확개각이 정해지기 때문에, 확개각이 고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단정착구에 강봉이 결합되면 상기 확개편은 상기 돌출턱의 크기에 의해 정해진 확개각으로만 벌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의 천공홀에만 사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천공홀의 내경이 상기 지반보강봉의 확개된 확개편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확개편이 상기 천공홀의 내측벽에 박히지 않기 때문에 고정 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천공홀의 내경이 상기 지반보강봉의 확개된 확개편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확개편을 상기 천공홀의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지반보강봉의 선단정착구는 천공홀의 크기가 맞지 않는 경우, 사용이 곤란하므로 굴착 공정이 까다롭고 작업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 중 한 명은 등록번호 제10-0857918호의 특허권을 취득하였다.
도 1(b)는 등록번호 제10-0857918호의 단면도이다. 그러나 등록번호 제10-0857918호의 특허발명은 확개편의 확개과정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홈부의 파단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지반보강봉 조립체에서 강봉의 둘레에 장착되어 확개편을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부재를 포함함으로서, 강봉이 선단정착구에 회전 삽입됨에 따라 지지부재와 확개편의 접점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확개편의 확개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보강링을 장착하여 본체와 확개편의 파단을 방지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반보강봉 조립체에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단 테두리에 연결 형성되되 다수 개의 확개편 슬릿(122)에 의하여 서로 분리 형성된 복수의 확개편(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단정착구(100); 전체적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외부를 감싸며 장착되되 후단이 다수 개의 보강링 슬릿(220)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보강링(200); 선단에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본체(110)에 결합되는 강봉(300); 및, 상기 강봉(300)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확개편(120)을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선단에는 고정날 삽입홈(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고정날(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상기 확개편(120)의 후단의 외주면에는 1열 이상의 돌출된 천공홀 정착부(1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지반보강봉 조립체에서 강봉의 둘레에 장착되어 확개편을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부재를 포함함으로서, 강봉이 선단정착구에 회전 삽입됨에 따라 지지부재와 확개편의 접점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확개편의 확개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를 제공한다.
둘째, 보강링을 장착하여 본체와 확개편의 파단을 방지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를 제공한다.
셋째, 기성제작된 부재를 이용하므로 미숙련공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적정 시공품질이 유지되며, 경제적인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지반보강봉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선단정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선단정착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고정날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보강링이 장착된 선단정착구에 고정날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강봉에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가 천공홀에 정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지지부재와 강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단 테두리에 연결 형성되되 다수 개의 확개편 슬릿(122)에 의하여 서로 분리 형성된 복수의 확개편(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단정착구(100); 전체적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외부를 감싸며 장착되되 후단이 다수 개의 보강링 슬릿(220)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보강링(200); 선단에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본체(110)에 결합되는 강봉(300); 및, 상기 강봉(300)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확개편(120)을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선단에는 고정날 삽입홈(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고정날(5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상기 확개편(120)의 후단의 외주면에는 1열 이상의 돌출된 천공홀 정착부(1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선단의 외주면에는 보강링 지지턱(114)이 더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부재(400)는 내주면에 상기 강봉(300)의 가공부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며 후방으로 점차 확경되는 쐐기형상의 단면을 지니되, 상기 지지부재(400)의 선단부 영역은 볼록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400)가 둘레에 장착된 강봉(300)이 상기 선단정착구(100)에 회전 삽입되어 상기 볼록경사면과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 간의 접점이 이동됨으로써, 확개편(120)의 확개각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선단정착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선단정착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선단정착구(10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단 테두리에 연결 형성되되 다수 개의 확개편 슬릿(122)에 의하여 서로 분리 형성된 복수의 확개편(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10)와 확개편(120)의 연결부위는 확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홈부(130)를 둘 수 있다.
상기 확개편(120)은 상기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110)와 확개편(120)의 경계부 즉 홈부(130)가 구부러지는 영구변형에 의하여 확개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와 확개편(120)이 분리되도록 제조되고 경첩 등과 같은 절첩수단(13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확개편(120)은 통상적으로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될 지지부재(400)가 결합된 강봉(300)이 상기 본체(11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개되어 지반에 박혀 결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강봉(300)과 지반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상기 확개편(120)의 후단의 외주면에는 1열 이상의 돌출된 천공홀 정착부(1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홀 정착부(124)는 천공홀(H)의 내부에 상기 확개편(120)이 파고 들어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확개편(120)의 후단의 내주면은 경사지게 가공하여 하기 지지부재(400)와의 마찰 및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고정날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보강링이 장착된 선단정착구에 고정날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선단에는 고정날 삽입홈(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 삽입홈(112)에 고정날(50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날(500)은 천공홀(H)의 말단에 박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가 지반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하고, 강봉(300)을 돌려 체결할 때 선단정착구(10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확개편(120)의 확개를 용이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강봉에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강봉(300)은 선단에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본체(110)에 결합되며, 주로 철근이 사용된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가운데 중공이 형성된 둥근 환형으로 상기 강봉(300)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확개편(120)을 방사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00)는 내주면에 상기 강봉(300)의 가공부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며 후방으로 점차 확경되는 쐐기형상의 단면을 지니되, 상기 지지부재(400)의 선단부 영역은 볼록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400)가 둘레에 장착된 강봉(300)이 상기 선단정착구(100)에 회전 삽입되어 상기 볼록경사면과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 간의 접점이 이동됨으로써, 확개편(120)의 확개각이 조절 가능하다.
도 9는 지지부재와 강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0)에 다수 개의 나사공(410)을 형성하고 고정볼트(430)를 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b)는 각각 확개편(120)의 확개 전 및 후이다.
도 4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링(200)은 전체적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외부를 감싸며 장착되되 후단이 다수 개의 보강링 슬릿(220)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다. 상기 보강링 슬릿(220)은 확개편(120)이 확개할 때 보강링(200) 후단의 유연성을 부여하여 보강링(200)과 확개편(120)의 마찰과 파손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이 도 1(b)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과 다른 점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개편(120)의 확개시 보강링(200)의 후단이 홈부(130)가 아닌 확개편(120)에 접하게 되므로 단면이 적어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기 홈부(130)의 파손을 방지하고 선단정착구(100)를 전체적으로 외부에서 보강한다는 점이다. 또한 강봉(300)의 인발시 발생하는 확개편(120)의 파단하중의 작용부분을 상대적으로 단면이 적은 홈부(130) 뿐만 아니라 보강링(200)과 접하는 확개편(120)의 부위도 포함시켜 인발내력의 증대를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선단의 외주면에는 보강링 지지턱(11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링 지지턱(114)은 상술한 확개편(120)의 확개시 보강링(200)의 후단이 홈부(130)가 아닌 확개편(120)에 접하게 하되, 정확한 위치에 접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보강링(200)이 선단정착구(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강링 지지턱(114)의 위치를 조절하면 확개편(120)의 최대 확개각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보강링 지지턱(114)은 도시된 형태 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양으로 가능하며 점용접을 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강봉(300)의 회전 삽입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400)와 상기 확개편(120)의 접점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확개편(120)의 확개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등의 지반(G)에 천공홀(H)이 굴착되면, 천공홀(H) 내에 확개된 확개편(12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확개각을 갖도록 선단정착구(100)와 강봉(300) 및 지지부재(300)를 결합시킨다. 이후,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를 상기 천공홀(H)에 삽입하여 상기 천공홀 정착부(124)가 상단 지반(G)의 굴착표면에 박히도록 결합시키고, 확개편(120)의 확개각이 증가되도록 강봉(300)을 회전시켜 확개편(120)이 천공홀(H)의 측면 지반(G)의 굴착표면에 박히도록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천공홀(H)의 내측에 시멘트밀크(C) 등을 주입하여 본 발명의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를 정착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지반보강봉이 록볼트용으로 사용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지반보강용 쏘일 네일(soil nail) 등을 포함하는 지반보강봉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선단정착구
110: 본체
112: 고정날 삽입홈
114: 보강링 지지턱
120: 확개편
122: 확개편 슬릿
124: 천공홀 정착부
130: 홈부
130`: 절첩수단
200: 보강링
220: 보강링 슬릿
300: 강봉
400: 지지부재
410: 나사공
430: 고정볼트
500: 고정날
H: 천공홀
G: 지반
C: 시멘트밀크

Claims (9)

  1. 지반보강봉 조립체에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단 테두리에 연결 형성되되 다수 개의 확개편 슬릿(122)에 의하여 서로 분리 형성된 복수의 확개편(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단정착구(100);
    전체적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외부를 감싸며 장착되되 후단이 다수 개의 보강링 슬릿(220)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보강링(200);
    선단에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본체(110)에 결합되는 강봉(300); 및,
    상기 강봉(300)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확개편(120)을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부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2. 제1항에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선단에는 고정날 삽입홈(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고정날(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상기 확개편(120)의 후단의 외주면에는 1열 이상의 돌출된 천공홀 정착부(1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선단의 외주면에는 보강링 지지턱(11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5. 제3항에서,
    상기 선단정착구(100)의 선단의 외주면에는 보강링 지지턱(11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지지부재(400)는 내주면에 상기 강봉(300)의 가공부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며 후방으로 점차 확경되는 쐐기형상의 단면을 지니되, 상기 지지부재(400)의 선단부 영역은 볼록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400)가 둘레에 장착된 강봉(300)이 상기 선단정착구(100)에 회전 삽입되어 상기 볼록경사면과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 간의 접점이 이동됨으로써, 확개편(120)의 확개각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7. 제3항에서,
    상기 지지부재(400)는 내주면에 상기 강봉(300)의 가공부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며 후방으로 점차 확경되는 쐐기형상의 단면을 지니되, 상기 지지부재(400)의 선단부 영역은 볼록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400)가 둘레에 장착된 강봉(300)이 상기 선단정착구(100)에 회전 삽입되어 상기 볼록경사면과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 간의 접점이 이동됨으로써, 확개편(120)의 확개각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8. 제4항에서,
    상기 지지부재(400)는 내주면에 상기 강봉(300)의 가공부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며 후방으로 점차 확경되는 쐐기형상의 단면을 지니되, 상기 지지부재(400)의 선단부 영역은 볼록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400)가 둘레에 장착된 강봉(300)이 상기 선단정착구(100)에 회전 삽입되어 상기 볼록경사면과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 간의 접점이 이동됨으로써, 확개편(120)의 확개각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9. 제5항에서,
    상기 지지부재(400)는 내주면에 상기 강봉(300)의 가공부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며 후방으로 점차 확경되는 쐐기형상의 단면을 지니되, 상기 지지부재(400)의 선단부 영역은 볼록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400)가 둘레에 장착된 강봉(300)이 상기 선단정착구(100)에 회전 삽입되어 상기 볼록경사면과 상기 확개편(120)의 내주면 간의 접점이 이동됨으로써, 확개편(120)의 확개각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KR1020100027445A 2010-03-26 2010-03-26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KR101057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445A KR101057434B1 (ko) 2010-03-26 2010-03-26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445A KR101057434B1 (ko) 2010-03-26 2010-03-26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434B1 true KR101057434B1 (ko) 2011-08-17

Family

ID=4493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445A KR101057434B1 (ko) 2010-03-26 2010-03-26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4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05B1 (ko) * 2010-08-31 2013-02-08 주식회사 신화 록볼트 시공의 품질 향상을 위한 안전캡
KR101567932B1 (ko) * 2014-11-03 2015-11-13 이암 락 볼트 선단 장착 장치
KR101938310B1 (ko) * 2018-04-26 2019-01-15 김성례 확장제어형 네일링 앵커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142942B1 (ko) * 2019-12-30 2020-08-10 주식회사 세명이엔엠 위치 제어형 기능성 앵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918B1 (ko) 2007-11-15 2008-09-10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US20100003101A1 (en) 2008-09-09 2010-01-07 Rex Industrial Corp. dba WEJ-IT Fastening Systems Wedge-type drop-in ancho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918B1 (ko) 2007-11-15 2008-09-10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US20100003101A1 (en) 2008-09-09 2010-01-07 Rex Industrial Corp. dba WEJ-IT Fastening Systems Wedge-type drop-in anchor assemb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05B1 (ko) * 2010-08-31 2013-02-08 주식회사 신화 록볼트 시공의 품질 향상을 위한 안전캡
KR101567932B1 (ko) * 2014-11-03 2015-11-13 이암 락 볼트 선단 장착 장치
KR101938310B1 (ko) * 2018-04-26 2019-01-15 김성례 확장제어형 네일링 앵커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142942B1 (ko) * 2019-12-30 2020-08-10 주식회사 세명이엔엠 위치 제어형 기능성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566B1 (ko) 사면보강용 클러치셋 네일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057434B1 (ko)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KR100825484B1 (ko) 정착식 네일링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62747A (ko) 락 볼트 캡과 이형철근의 체결장치
KR100870410B1 (ko) 사면 보강용 소일네일
KR101149519B1 (ko)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KR100857918B1 (ko)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JP6779566B2 (ja)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設置構造
KR101633505B1 (ko) 지보재
KR102214141B1 (ko) 중공형 록볼트
KR20110018160A (ko) 사면보강을 위한 네일 고정체
KR200449724Y1 (ko) 확경형 락볼트
JP2005105677A (ja) あと施行アンカー工法
RU2674038C1 (ru) Трубчатый анкер
JP2645888B2 (ja) 地中アンカー設置方法
KR20150035122A (ko) 드릴 루트 파일 및 그 시공 방법
KR100696583B1 (ko) 탄성링이 장착된 확경 지압형 앙카체 및 그 정착방법
KR101705785B1 (ko) 무띠장 흙막이 공사용 에이치형 형강 파일의 앵커 박스 설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띠장 앵커 설치 공법
KR20170125476A (ko) 앵커 볼트의 걸림홈 형성 장치
KR20170090257A (ko) 전방타격 시, 후방날개가 확개되는 지반고정장치
KR101083836B1 (ko) 제거식 어스 앵커
JP7362210B2 (ja) コンクリート用アンカーの施工方法
KR200386856Y1 (ko) 어스앵커구조체
KR20060102372A (ko) 어스앵커구조체
JP2005314993A (ja) ロックボ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