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904B1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904B1
KR101793904B1 KR1020160131811A KR20160131811A KR101793904B1 KR 101793904 B1 KR101793904 B1 KR 101793904B1 KR 1020160131811 A KR1020160131811 A KR 1020160131811A KR 20160131811 A KR20160131811 A KR 20160131811A KR 101793904 B1 KR101793904 B1 KR 10179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frame
cylinder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예린
Original Assignee
임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예린 filed Critical 임예린
Priority to KR102016013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904B1/ko
Priority to PCT/KR2016/011559 priority patent/WO20180705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18Chinning, pull-up, i.e. con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27Dips, i.e. push-ups in a vertic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e.g. between parallel bars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개의 다기능 운동기구와 이동식 멀티벤치를 통해서 사용자가 플렛, 인클라인 또는 디클라인 벤치프레스를 수행할 수 있는 복합 벤치프레스 기능을 제공하고, 다기능 운동기구 하나만으로 제어부를 간단하게 조작해서 실린더부 또는 모터부를 구동하여, 무거운 운동기구가 올려진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절함으로써, 기존에 수동으로 중량체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들어올려 근육을 단련하던 운동기구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으며, 다기능 운동기구의 지지봉을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중량체가 있는 운동기구를 받치는 운동기구 받침대를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에 중량체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운동하던 운동기구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맨몸운동(치닝바 및 딥스) 기능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 fitness equipment}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를 간단하게 조작해서 실린더부 또는 모터부를 통해 무거운 운동기구가 올려진 지지대를 자동으로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어 기존의 수동으로 조작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운동기구로서의 효율성이 좋아지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클럽과 같은 실내에서 사용하는 운동기구는 체중조절 및 심폐기능 향상을 위한 유산소 운동기구와 근력단련 및 체형 교정을 위한 근력 운동기구로 구분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구분하자면, 이중 역기나 벤치 프레스 등과 같이 ① 직접 중량체를 들어올려 근력운동을 행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있고, 기구적인 구성에 따라 ② 간접적으로 중량체를 들어올려 사용자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가 있으며, ③ 사용자의 체중을 중량체 역할로 부여하여 운동기구를 잡고 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철봉과 평행봉 및 팔굽혀펴기 대와 같은 맨몸운동 기구 등이 있다.
직접 중량체를 들어올려 운동하는 방법은 무게중심을 사용자 스스로 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간접적으로 중량체를 들어올리는 운동기구에 비해 사용자의 근육을 다양한 운동각도로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각 운동기구의 사용법을 잘 모르면 운동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직접 중량체를 들어올려 운동하는 운동기구는 크게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스쿼트가 있으며, 이를 통상적으로 웨이트트레이닝에서 꼽는 3대 운동이라고 한다.
사용자의 상체를 단련하는 벤치프레스(여러 자세가 가능한 복합벤치프레스 포함)는 가슴운동에 특화되어 사용자의 대흉근을 키우기에는 효과적이나 일정 공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대흉근만을 단련할 수밖에 없고, 복합벤치프레스의 경우 플렛, 인클라인, 디클라인 벤치프레스 자세변화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중량체를 불필요하게 역기 지지대에서 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체력을 불필요하게 낭비시키는 단점이 있다.
척추기립근을 운동하는 데드리프트의 경우 헬스클럽에서 보편적으로 비치하는 파워렉이라는 기구를 이용하는 데, 기본적으로 직접 중량체가 연결된 역기가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허리 라인보다 약간 아래로 위치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이 역기를 파워렉 거치대에서 빼낼 때 허리를 곧게 펴고, 골반을 중립으로 해야 된다는 불편함이 있다. 만약 이를 지키지 않고 등이 굽은 체로 역기를 파워렉 거치대에서 빼낸다면 사용자의 견갑대와 요추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되고, 심하면 추간판이 탈출하거나 강력한 압박을 받아서 어깨통증 및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퇴사두근과 대둔근 등 하체를 단련하기 위해서 직접 중량체를 들어올려 운동하는 운동의 한 가지 형태는 일반적으로 스미스머신이라고 불리는 프리 웨이트(free weight) 스쿼트 머신이다. 이 프리 웨이트 머신은 벤치 프레스와 같은 다른 운동을 수행하도록 재구성될 수 있다. 프리 웨이트 스쿼트 머신은 통상적으로 프리 웨이트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수평 웨이트 바를 채용한다. 웨이트 바는 통상적으로 운동중에 바의 안내(guided)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프레임에 결합된다. 이 운동기구가 갖는 단점은 운동이 부담스러워지기 전과 후에 웨이트 바를 지지프레임에 로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 적절히 수행되지 않으면 어깨 또는 하체의 부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프리 웨이트 머신에 채용되는 로킹 기술에 의하면, 수행될 수 있는 스쿼트 운동의 다양성이 제한되고, 역기와 같은 중량체를 이용하여 프론트 또는 백 스쿼트 시 사용자가 디딤발의 위치를 역기 중앙선에 맞추지 못하고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친다면 사용자의 골반의 좌·우 불균형이 일어나게 되어 골반의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간접적으로 중량체를 들어 올리는 운동기구는 사용방법이 간단하고 사용자의 위험성이 적으나 사용자의 근육 가동범위가 한정적이고 운동의 다양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사용자의 체중을 중량체 역할로 부여하여 운동기구를 잡고 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맨몸운동 기구는 사용자의 부상 위험이 직접 또는 간접 중량체를 들어올려 운동하는 기구보다 적고, 사용자의 근육을 다양한 운동각도로 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헬스클럽의 한정된 장소에서 딥스기구, 치닝바 등의 맨몸운동기구가 별도 공간을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411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 개의 다기능 운동기구와 이동식 멀티벤치를 통해서 사용자가 플렛, 인클라인 또는 디클라인 벤치프레스를 수행할 수 있는 복합 벤치프레스 기능을 제공하고, 다기능 운동기구 하나만으로 제어부를 간단하게 조작해서 실린더부 또는 모터부를 구동하여, 무거운 운동기구가 올려진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절함으로써, 기존에 수동으로 중량체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들어올려 근육을 단련하던 운동기구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지지봉을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중량체가 있는 운동기구를 받치는 운동기구 받침대를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에 중량체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운동하던 운동기구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맨몸운동(치닝바 및 딥스) 기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수직 길이방향으로 중공되며, 상호 대응되는 일면에 이송 홈이 형성되고, 외측에 수직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홈이 있는 한 쌍의 기둥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기둥프레임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는 상부 수평프레임 및 하부 수평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기둥프레임을 받쳐주는 한 쌍의 받침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양끝단부가 기둥프레임의 중공된 내부에 구비되어 이송 홈을 따라 상, 하로 구동하며, 기둥프레임과 내부에서 맞닿는 양끝단부 중심부에 파공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수평프레임과 마주보는 측면에 연결선을 연결할 수 있는 한 쌍의 고리가 소정간격으로 돌출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를 따라 좌, 우로 이동가능토록 큰 두 쌍의 회전축이 상기 지지대 상부 및 하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큰 두 쌍의 회전축보다 작게 형성되어 큰 두 쌍의 회전축과 크로스 방향으로 작은 두 쌍의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작은 두 쌍의 회전축 사이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 고정대와;
상기 지지봉 고정대 내부에 구비된 작은 두 쌍의 회전축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양측면에 지지봉 고정대의 돌기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송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이 관통 연결되도록 하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지지봉의 이송홈에 삽입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측에는 다른 운동기구가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안착부재가 형성되는 운동기구 받침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 수평프레임과 평행하게 실린더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받침대 중심에서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실린더 받침대의 상부 일면에 한 쌍의 고리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리 사이에 실린더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 하로 이동되는 실린더 축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축의 끝단부에 실린더 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헤드 양 끝단 중심에 구비되어 연결된 안착부재가 형성되는 실린더 부와;
상기 지지대의 고리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헤드의 안착부재에 일면을 통과해서 상기 실린더 받침대의 고리에 타측이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 헤드의 상,하 이동에 맞춰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연결선과;
상기 실린더부와 연결되어 실린더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실린더 부의 기능고장 발생 시, 상기 기둥프레임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홀과 상기 지지대의 양끝단부의 형성되는 파공홀을 관통하여, 지지대와 기둥프레임을 연결하는 안전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수직 길이방향으로 중공되며, 상호 대응되는 일면에 이송 홈이 형성되고, 외측에 수직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홈이 있는 한 쌍의 기둥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기둥프레임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는 상부 수평프레임 및 하부 수평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기둥프레임을 받쳐주는 한 쌍의 받침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양끝단부가 기둥프레임의 중공된 내부에 구비되어 이송 홈을 따라 상, 하로 구동하며, 기둥프레임과 내부에서 맞닿는 양끝단부 중심부에 파공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수평프레임과 마주보는 측면에 연결선을 연결할 수 있는 한 쌍의 고리가 소정간격으로 돌출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를 따라 좌, 우로 이동가능토록 큰 두 쌍의 회전축이 상기 지지대 상부 및 하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큰 두 쌍의 회전축보다 작게 형성되어 큰 두 쌍의 회전축과 크로스 방향으로 작은 두 쌍의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작은 두 쌍의 회전축 사이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 고정대와;
상기 지지봉 고정대 내부에 구비된 작은 두 쌍의 회전축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양측면에 지지봉 고정대의 돌기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송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이 관통 연결되도록 하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지지봉의 이송홈에 삽입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측에는 다른 운동기구가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안착부재가 형성되는 운동기구 받침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 수평프레임과 평행하게 모터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받침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모터축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축의 일측에 회전홈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모터부와;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와;
상기 지지대의 고리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에 일면을 통과해서 상기 모터축의 회전홈부에 타측이 결합되며,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의해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연결선과;
상기 모터 부와 연결되어 모터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모터부의 기능고장 발생 시, 기둥프레임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홀과 지지대의 양끝단부의 형성되는 파공홀을 관통하여, 지지대가 기둥프레임에 고정되는 안전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둥프레임의 중공된 내부에는 지지대의 끝단부가 끼워져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축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축을 중심으로 양방향 내부면에는 지지대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축은 중공된 기둥프레임 내에 구비되되, 양끝단부가 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대의 양끝단부는 기둥프레임의 중공된 내부에 위치되되, 가이드 축이 끼워지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도록 양면에 이송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는 한 개의 다기능 운동기구와 이동식 멀티벤치를 통해서 사용자가 플렛, 인클라인 또는 디클라인 벤치프레스를 수행할 수 있는 복합 벤치프레스 기능을 제공하고, 다기능 운동기구 하나만으로 제어부를 간단하게 조작해서 실린더부 또는 모터부를 구동하여, 무거운 운동기구가 올려진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절함으로써, 기존에 수동으로 중량체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들어올려 근육을 단련하던 운동기구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지지봉을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중량체가 있는 운동기구를 받치는 운동기구 받침대를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에 중량체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운동하던 운동기구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맨몸운동(치닝바 및 딥스) 기능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가 형성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가 형성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가 형성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가 형성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가 형성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가 형성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가 형성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가 형성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가 형성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는 본체프레임(10)과, 지지대(20)와, 지지봉(30)과, 지지봉 고정대(40)와, 실린더부(50)와, 제어부(60), 안전핀(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써, 기둥프레임(11)과 상부 수평프레임(12a) 및 하부 수평프레임(12b)과, 받침프레임(13)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기둥프레임(11)은 한 쌍의 프레임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기둥프레임(11)은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프레임(11)은 내부가 중공된 상태인데 기둥프레임(11)의 수직 길이방향으로 중공되고,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11)이 대응되는 일면에는 지지대(20)가 연결되도록 이송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홀은 기둥프레임(11)의 수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기둥프레임(11)의 외측 즉, 이송홀의 반대측 면에는 수직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 관통된 연결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홀을 통해 안전핀(70)이 관통되고, 상기 관통된 안전핀(70)은 지지대(20)의 양끝단면에 형성되는 파공홀(미도시)에도 관통되어 지지대(20)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프레임(11)의 중공된 내부에는 지지대(20)의 끝단부가 끼워져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축(14)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14)를 중심으로 기둥프레임(11)의 중공된 내부면 양방향에는 지지대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1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축(14)과 가이드 돌기(15)는 기둥프레임(11)의 수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축(14)은 중공된 기둥프레임(11) 내에 구비되되, 양끝단부가 상부 수평프레임(12a) 및 하부 수평프레임(12b)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12a) 및 하부 수평프레임(12b)은 한 쌍의 기둥프레임(11)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기둥프레임(11)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12a) 및 하부 수평프레임(12b)은 용접 등에 의해 상호 접합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13)은 기둥프레임(11)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하부 수평프레임(12b)과 접합된 기둥프레임(11)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받침프레임(13)은 기둥프레임(11)의 하부측 전면에 “ㄷ”자 형태로 고정되거나 기둥프레임(11)의 하부측 후면에 “ㄷ”자 형태로 고정되거나 기둥프레임(11)의 하부측 전, 후면에 “ㄷ”자 형태로 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13)은 본 발명에서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데, 운동기구의 설치 위치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기둥프레임(11)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대(20)의 양끝단부가 기둥프레임(11)의 중공된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대(20)는 기둥프레임(11)의 중공된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이송홀을 따라 상, 하로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0)는 역기 등의 운동기구가 올려지는 지지봉(30)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상, 하 다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20)의 외주연에 지지봉 고정대(40)가 감겨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의 양끝단부는 기둥프레임(11)의 중공된 내부에 위치되되, 가이드 축(14)이 끼워지도록 관통홀(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5)가 삽입되도록 양면에 이송홈(2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2단의 지지대(20) 중 상단면의 중앙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한 쌍의 지지대 고리(21)가 돌출되어있다.
상기 지지봉 고정대(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된 지지봉(30)을 지지대(20)와 연결시키는 것으로 지지대(20)의 외주연에 감기도록 네 개의 지지봉 고정대 기둥(41)과 큰 두 쌍의 회전축(42)와 작은 두 쌍의 회전축(43)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은 두 쌍의 회전축(43) 사이에 돌기(44)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지지봉 고정대(40)는 한 쌍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봉 고정대(40)는 지지대(20)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상호 간에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다양한 운동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봉(30)의 상호 간격이 좁아지면 딥스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몸집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지지봉(30)의 상호 간격을 넓히면 스쿼트 등의 운동에 필요한 역기를 올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 고정대(40)에는 큰 두쌍의 회전축(42)에는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과 동일한 수평 위치인 지지대(20)에도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 고정핀의 고정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운동시, 지지봉 고정대(40)가 좌, 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적용된다.
상기 지지봉(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봉 고정대(40)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봉 고정대(40)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의 지지봉(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30)의 양측면에는 지지봉 고정대(40)의 돌기(44)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지지봉 이송홈(미도시)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30)에는 역기, 바벨 등의 다양한 운동기구가 지지봉(30)에 지지되도록 운동기구 받침대(31)가 형성되고, 상기 운동기구 받침대(31)는 지지봉(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운동기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동기구 받침대(31)의 하단부에는 지지봉(30)이 관통 연결되도록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지지봉(30)의 이송홈에 삽입되도록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30)의 일측과 운동기구 받침대(31)의 일측에는 동일한 위치에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고정핀 등의 고정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운동기구 받침대(31)를 원하는 위치에 구비시킨 뒤,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운동기구 받침대(31)가 더 이상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봉(30) 양끝단에 마감부재(34)가 구비되어, 지지봉(30)이 지지봉 고정대(40)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운동기구 받침대(31)의 상부면에는 올려진 운동기구가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 쌍의 스토퍼(32)가 마주보며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스토퍼 사이에 안착부재(33)이 구비되어, 운동기구가 상기 운동기구 받침대(31)에 올려진 상태에서도 지지봉(30)을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51)와, 실린더 축(52)과, 실린더 헤드(53)와, 상기 실린더 헤드 양 끝단 중심에 구비되어 연결된 안착부재(54)와, 실린더 받침대(57)와, 실린더 받침대(57) 상부면에 돌출된 한 쌍의 실린더 받침대 고리(56)와, 상기 지지대(20) 상부면의 돌출된 한 쌍의 지지대 고리(21)와 실린더 헤드 양 끝단에 연결된 안착부재(54)와 한 쌍의 실린더 받침대 고리(56)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선(55)으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51)는 유압실린더, 압축공기실린더 등 다양한 실린더(51)가 사용되고, 외부에서 유압, 공기 등이 유입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어부(60)에 의해 실린더 축(52)을 상, 하로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실린더(51)의 위치는 기둥프레임(11)의 후면에 위치하고, 별도의 케이스(미도시)에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축(52)은 실린더(51)의 상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51)의 내부에 일측이 구비되어 실린더(51)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는 축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헤드(53)는 실린더 축(52)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실린더 축(52)에 맞춰 상, 하로 구동되고, 상기 실린더 헤드(5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 끝단 안착부재(54)와 용이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54)는 실린더 헤드(53)에 양 끝단에 고정되고, 한 쌍의 지지대 고리(21)와 한 쌍의 실린더 받침대 고리(56)에 연결된 연결선(55)이 상기 회전부대(54)의 일측에 맞닿아 회전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실린더 헤드(53)의 상, 하 구동력을 지지대(2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연결선(55)은 체인, 와이어, 사슬 등 다양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50)와 연결되어 실린더(51)를 전기 신호에 의해 작동시키고, 상기 제어부(60)에는 실린더 축(52)의 높이 조절, 속도 등의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블루투스 기기(헤드셋)과 연동되어 높이 조절, 속도 등의 명령을 음성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안전피(7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와 실린더부의 기능고장 발생 시, 상기 기둥프레임(11)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홈(미도시)과 지지대(20)의 양끝단의 파공된 홈(미도시)을 관통하여, 지지대(20)와 기둥프레임(11)을 연결하는 한 쌍의 안전핀(70)이 운동기구 받침대(31) 위에 놓여진 역기 등의 운동기구 하강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는 상기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의 다기능 운동기구와 동일한 구성, 구조인데, 다만, 일 실시예의 실린더부(50) 대신 모터부(8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부(8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81)와, 모터 축 회전판(82)과, 받침대(83)와, 회전홈부(84)와, 연결선(85)과,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86)로 구성되며, 모터(81)와 모터 축 회전판(82)과, 받침대(83), 회전홈부(84)는 기둥프레임(11)의 후면부에 위치하며, 모터(81)의 중심에서 나온 모터 축은, 모터 축 회전판(82)까지 연결되며, 모터 축 중간에 소정간격으로 상호이격되어 한 쌍의 회전홈부(84)가 연결되며,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86)는 상부 수평프레임(12a)의 후면부에 용접 등에 의해 상호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86)는 한 쌍의 고리 판(87)과 고리 안착부재(88)가 상호 연결되고, 접합부재(89)에 한 쌍의 고리판을 용접 등에 의해 상호 접합하면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홈부(84)와 한 쌍의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86)와, 한 쌍의 지지대 고리(21)이 한 쌍의 연결선(85)로 각각 연결되며, 이때, 상기 연결선(85)은 체인, 와이어, 사슬 등 다양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80)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60)의 전기 신호에 의해 모터(81)이 회전되고, 이 모터(81)의 회전으로 모터 축 회전판(82)의 중심까지 연결된 모터 축(미도시)이 회전하며, 모터 축 중심에 소정간격 상호이격 되어 위치한 회전홈부(84)를 회전시키고, 다시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86)이 회전되면서 지지대 고리(21)을 상, 하로 구동시킨다.
10 : 본체프레임 11 : 기둥프레임 12a : 상부 수평프레임
12b : 하부 수평프레임 13 : 받침프레임 14 : 가이드 축
15 : 가이드 돌기
20 : 지지대 21 : 지지대 고리 22 : 이송홈
23 : 관통홀
30 : 지지봉 31 : 운동기구 받침대 32 : 스토퍼
33 : 안착부재 34 : 마감부재
40 : 지지봉 고정대 41 : 지지봉 고정대 기둥 42 : 큰 회전축
43 : 작은 회전축 44 : 돌기
50 : 실린더부 51 : 실린더 52 : 실린더 축
53 : 실린더 헤드 54 : 실린더 안착부재 55 : 실린더 연결선
56 : 실린더 받침대 고리 57 : 실린더 받침대
60 : 제어부 70 : 안전핀
80 : 모터부 81 : 모터 82 : 모터 축 회전판
83 : 받침대 84 : 회전홈부 85 : 모터부 연결선
86 :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 87 : 고리 판 88 : 고리 안착부재
89 : 접합부재

Claims (5)

  1.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수직 길이방향으로 중공되며, 상호 대응되는 일면에 이송홀이 형성되고, 외측에 수직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연결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기둥프레임(11)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11)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기둥프레임(11)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는 상부 수평프레임(12a) 및 하부 수평프레임(12b)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11)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기둥프레임(11)을 받쳐주는 한 쌍의 받침프레임(13)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11)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양끝단부가 기둥프레임(11)의 중공된 내부에 구비되어 이송홀을 따라 상, 하로 구동하며,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12a)과 마주보는 측면에 연결선(55)을 연결할 수 있는 한 쌍의 고리(21)가 소정간격으로 돌출된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20)를 따라 좌, 우로 이동 가능토록 큰 두 쌍의 회전축(42)이 상기 지지대(20) 상부 및 하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큰 두 쌍의 회전축(42)보다 작게 형성되어 큰 두 쌍의 회전축(42)과 크로스 방향으로 작은 두 쌍의 회전축(43)이 구비되며, 상기 작은 두 쌍의 회전축(43) 사이에 돌기(44)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 고정대(40)와;
    상기 지지봉 고정대(40)의 내부에 구비된 작은 두 쌍의 회전축(43)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양측면에 지지봉 고정대(40)의 돌기(44)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송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봉(30)과;
    상기 지지봉(30)이 관통 연결되도록 하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지지봉(30)의 이송홈에 삽입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측에는 다른 운동기구가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안착부재(33)가 형성되는 운동기구 받침대(31)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 수평프레임(12b)과 평행하게 실린더 받침대(57)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받침대(57)의 중심에서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실린더 받침대(57)의 상부 일면에 한 쌍의 고리(56)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리(56) 사이에 실린더(51)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51)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 하로 이동되는 실린더 축(52)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축(52)의 끝단부에 실린더 헤드(53)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헤드(53)의 양 끝단부에 구비되어 연결된 안착부재(33)가 형성되는 실린더부(50)와;
    상기 지지대(20)의 고리(21)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헤드(53)의 안착부재(33)에 일면을 통과해서 상기 실린더 받침대(57)의 고리(56)에 타측이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 헤드(53)의 상,하 이동에 맞춰 지지대(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연결선(55)과;
    상기 실린더부(50)와 연결되어 실린더부(5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60)와;
    상기 제어부(60)와 실린더부(50)의 기능고장 발생 시, 기둥프레임(1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홀과 지지대(20)의 양끝단면에 형성되는 파공홀을 관통하여, 지지대(20)가 기둥프레임(11)에 고정되는 안전핀(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수직 길이방향으로 중공되며, 상호 대응되는 일면에 이송홀이 형성되고, 외측에 수직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연결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기둥프레임(11)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11)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기둥프레임(11)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는 상부 수평프레임(12a) 및 하부 수평프레임(12b)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11)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기둥프레임(11)을 받쳐주는 한 쌍의 받침프레임(13)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기둥프레임(11)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양끝단부가 기둥프레임(11)의 중공된 내부에 구비되어 이송홀을 따라 상, 하로 구동하며,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12a)과 마주보는 측면에 연결선(85)을 연결할 수 있는 한 쌍의 고리(21)가 소정간격으로 돌출된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20)를 따라 좌, 우로 이동 가능토록 큰 두 쌍의 회전축(42)이 상기 지지대(20) 상부 및 하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큰 두 쌍의 회전축(42)보다 작게 형성되어 큰 두 쌍의 회전축(42)과 크로스 방향으로 작은 두 쌍의 회전축(43)이 구비되며, 상기 작은 두 쌍의 회전축(43) 사이에 돌기(44)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 고정대(40)와;
    상기 지지봉 고정대(40)의 내부에 구비된 작은 두 쌍의 회전축(43)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양측면에 지지봉 고정대(40)의 돌기(44)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송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봉(30)과;
    상기 지지봉(30)이 관통 연결되도록 하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지지봉(30)의 이송홈에 삽입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측에는 다른 운동기구가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안착부재(33)가 형성되는 운동기구 받침대(31)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 수평프레임(12b)과 평행하게 모터 받침대(83)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받침대(83)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모터축을 회전시키는 모터(81)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축의 일측에 회전홈부(84)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모터부(80)와;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12a)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86)와;
    상기 지지대(20)의 고리(21)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86)에 일면을 통과해서 상기 모터축의 회전홈부(84)에 타측이 결합되며, 상기 모터부(80)의 회전에 의해 상부 수평프레임 회전부(86)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대(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연결선(85)과;
    상기 모터부(80)와 연결되어 모터부(8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60)와;
    상기 제어부(60)와 모터부(80)의 기능고장 발생 시, 기둥프레임(1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홀과 지지대(20)의 양끝단면에 형성되는 파공홀을 관통하여, 지지대(20)가 기둥프레임(11)에 고정되는 안전핀(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프레임(11)의 중공된 내부에는 지지대(20)의 끝단부가 끼워져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축(14)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축(14)을 중심으로 양방향 내부면에는 지지대(20)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15)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14)은 중공된 기둥프레임(11) 내에 구비되되, 양끝단부가 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12a,12b)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의 양끝단부는 기둥프레임(11)의 중공된 내부에 위치되되, 가이드 축(14)이 끼워지도록 관통홀(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5)가 삽입되도록 양면에 이송홈(2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160131811A 2016-10-12 2016-10-12 다기능 운동기구 KR10179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811A KR101793904B1 (ko) 2016-10-12 2016-10-12 다기능 운동기구
PCT/KR2016/011559 WO2018070569A1 (ko) 2016-10-12 2016-10-14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811A KR101793904B1 (ko) 2016-10-12 2016-10-12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904B1 true KR101793904B1 (ko) 2017-11-06

Family

ID=6038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811A KR101793904B1 (ko) 2016-10-12 2016-10-12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3904B1 (ko)
WO (1) WO201807056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336A (ko) *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론픽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복합 피트니스 머신
KR20200026444A (ko) 2018-09-03 2020-03-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성이 강화된 스미스 머신
KR20200080960A (ko) 2018-12-27 2020-07-0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KR102146701B1 (ko) 2019-08-05 2020-08-21 전대성 다목적 운동장치
KR20210147821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공간활용 가능한 운동기구
KR102337665B1 (ko) * 2021-07-21 2021-12-09 주식회사 디지웨이트 다양한 바벨운동이 가능한 헬스 운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50B1 (ko) 2012-04-19 2013-08-06 허재영 벤치프레스 운동기구
KR101315514B1 (ko) 2012-10-19 2013-10-07 이주희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KR101394117B1 (ko) 2012-10-09 2014-05-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블 운동기구
KR101636657B1 (ko) 2015-10-15 2016-07-05 백준영 전동식 운동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593Y1 (ko) * 2001-09-20 2002-01-10 김병현 무게조절이 용이한 역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50B1 (ko) 2012-04-19 2013-08-06 허재영 벤치프레스 운동기구
KR101394117B1 (ko) 2012-10-09 2014-05-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블 운동기구
KR101315514B1 (ko) 2012-10-19 2013-10-07 이주희 수직식 전신 운동기구
KR101636657B1 (ko) 2015-10-15 2016-07-05 백준영 전동식 운동보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336A (ko) *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론픽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복합 피트니스 머신
KR102158340B1 (ko) 2018-07-30 2020-09-21 주식회사 론픽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복합 피트니스 머신
KR20200026444A (ko) 2018-09-03 2020-03-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성이 강화된 스미스 머신
KR20200080960A (ko) 2018-12-27 2020-07-0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KR102146701B1 (ko) 2019-08-05 2020-08-21 전대성 다목적 운동장치
KR20210147821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공간활용 가능한 운동기구
KR102337665B1 (ko) * 2021-07-21 2021-12-09 주식회사 디지웨이트 다양한 바벨운동이 가능한 헬스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0569A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904B1 (ko) 다기능 운동기구
US20180311524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Machines
US6991588B1 (en) Standing single leg press exercise machine
US9492701B1 (en) Dumbbell power rack apparatus
US4286782A (en) Multi-purpose exercise enhancing device
EP0204726B1 (en) Improved multi function foldable exercise machine
US7648473B1 (en) Traction extension table
US11135470B2 (en) Exercise apparatus
US20170239518A1 (en) Hip Thrusting Exercise Machine
US20100048368A1 (en)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US20160144218A1 (en) Multifunctional leg training machine
KR200486552Y1 (ko) 철봉 운동기구
US9132313B2 (en) Bench halo
US20080090706A1 (en) Portable exercise machine
JP5116064B2 (ja) ベンチプレス・フルスクワット・懸垂装置
EP3246074B1 (en) Multifunctional leg training machine
US7134989B2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WO2013157158A1 (ja) ベンチプレス・フルスクワット・懸垂装置
US9364702B2 (en) Exercise device
US20150224360A1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KR102115695B1 (ko) 복합헬스기구
CN110237497B (zh) 一种多功能健身器
US9327157B1 (en) Manually controlled and driven resistance exercise machine
USRE28066E (en) Single-station multipurpose body-exercising machine
CN108905046A (zh) 一种多功能家用健身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