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960A -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 Google Patents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960A
KR20200080960A KR1020180170982A KR20180170982A KR20200080960A KR 20200080960 A KR20200080960 A KR 20200080960A KR 1020180170982 A KR1020180170982 A KR 1020180170982A KR 20180170982 A KR20180170982 A KR 20180170982A KR 20200080960 A KR20200080960 A KR 20200080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bell
rod
coupled
exercise
centr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516B1 (ko
Inventor
이형국
박경서
김성민
박현호
곽인찬
곽동기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5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운동, 바벨, 덤벨, 턱걸이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멀티바벨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바벨부, 상기 한 쌍의 제1바벨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 단이 상기 제1바벨부와 결합 가능한 중앙지지봉을 포함하는 중앙지지부 및 상기 제1바벨봉의 단부에 결합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바벨봉을 포함하는 제2바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벨부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벨봉, 상기 제1바벨봉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1그립, 상기 제1바벨봉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지지부와 결합 가능한 제1결합구 및 상기 제1바벨봉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바벨부와 결합 가능한 제2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벨봉, 중앙지지봉 및 제2바벨봉은 동심을 갖는다.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추가 구성을 통해 에너지 효율과 정확운 운동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MULTI-BABEL FOR MULTIPURPOSE EXERCISE}
본 발명은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벨, 덤벨, 휠운동 등의 운동기구를 하나의 운동기구에 접목하여 컴팩트하고 사용성이 편리한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벨이나 바벨은 봉 형상의 양 측에 중량체를 끼워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기구의 일종으로 설정된 중량과 규격을 갖는다. 또한, 턱걸이 등을 수행 가능한 철봉이나 바퀴의 구름에 따른 휠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기구 등도 각각의 운동 목적에 맞추어 제작된다.
이러한 운동기구들은 운동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설정된 부피와 중량 및 규격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운동기구를 사용하는데, 다수의 운동기구를 구매하는데 비용 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구매한 운동기구를 보관하는데 있어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불편한 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운동기구가 다수 구비된 헬스장 등 특정 장소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있으나 별도로 해당 장소로 이동해야하는 점과 운동기구의 제한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9725호에서는 다목적운동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손잡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휠 형 슬라이더가 결합되어 휠운동을 수행하는 동시에, 휠 형 슬라이더 양 측으로 중량체가 구비되어 덤벨 또는 바벨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조의 운동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구조에서는 바벨, 덤벨, 슬라이더 등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나, 운동 시 정확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고, 규격의 제한으로 운동 방법이 편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인터넷의 보급 등으로 바벨이나 덤벨 등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다양한 운동방법이 개제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방법은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정확한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목적하는 운동 효과를 달성하고 부상을 방지하여 안정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봉 형상을 갖는 바벨의 경우 좌우 균형을 맞추면서 운동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신체 부상이나 바벨의 낙하에 따른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바벨의 좌우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좌우 근력이 다른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운동 수행 중 바벨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정확한 자세 교정을 위하여 트레이너를 고용하여 운동을 지도받을 수 있으나 시간과 비용 측면을 고려하면 개인 운동자, 특히 초보자의 경우 바벨의 좌우 균형을 유지하면서 운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7845호(등록일:16.11.14.) (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9725호(등록일:05.03.21.) (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3904호(등록일:17.10.31.)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운동을 수행 가능한 동시에 정확한 운동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다목적 운동을 위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조건이나 운동 방법에 따라 규모를 변경시켜 효과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은 서로 이격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바벨부, 한 쌍의 제1바벨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 단이 제1바벨부와 결합 가능한 중앙지지봉을 포함하는 중앙지지부 및 제1바벨봉의 단부에 결합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바벨봉을 포함하는 제2바벨부를 포함하고, 제1바벨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벨봉, 제1바벨봉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1그립, 제1바벨봉의 일단에 구비되며 중앙지지부와 결합 가능한 제1결합구 및 제1바벨봉의 타단에 구비되며 제2바벨부와 결합 가능한 제2결합구를 포함하고, 제1바벨봉, 중앙지지봉 및 제2바벨봉은 동심을 갖는다.
또한, 제2바벨부는, 제2바벨봉의 일단에 구비되며 제2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3결합구, 제2바벨봉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2그립, 제2바벨봉에 끼워지면서 결합 가능하고 일정 중량을 갖는 중량체 및 제2바벨봉의 단부에 구비되며 중량체가 제2바벨봉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를 포함하고, 제2그립은, 중량체와 이탈방지구 사이에 구비되며 제2바벨봉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중앙지지부는, 중앙지지봉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되고 제1결합구와 결합 가능한 중앙결합구 및 중앙지지봉에 결합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휠의 직경은 중량체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바벨부는, 제2바벨봉의 일단에 구비되며 제2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3결합구, 제2바벨봉의 타단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조절바, 길이조절바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이동고정수단, 길이조절바의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된 고정케이스 및 고정케이스의 일측 면에 구비되며 일정 탄성을 갖는 고정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바벨봉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 되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벨부에 장착 가능하며 제1바벨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부, 측정센서부에서 측정한 기울기를 기반으로 제1바벨봉의 좌우 방향 기울기를 비교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정보부, 상태정보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출력부는 제1그립 또는 제2그립에 장착되고,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알람신호는 진동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벨, 덤벨, 휠, 철봉 등을 이용하여 운동 목적에 맞추어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동 방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며 제1그립 또는 제2그립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제1바벨봉의 기울기를 측정함에 따라 정확한 운동 자세를 유지하기 용이하며,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태정보가 생성되고, 상태정보를 통해 알람신호가 출력되어 운동 중에도 지속적으로 기울기에 대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바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바벨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지지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바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바벨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출력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바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바벨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은 서로 이격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바벨부(100), 상기 한 쌍의 제1바벨부(1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 단이 상기 제1바벨부(100)와 결합 가능한 중앙지지봉(210)을 포함하는 중앙지지부(200) 및 상기 제1바벨봉(110)의 단부에 결합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바벨봉(310)을 포함하는 제2바벨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바벨은 전체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제1바벨부(100), 중앙지지부(200) 및 제2바벨부(300)가 서로 결합되면서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앙지지부(2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앙지지봉(210),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구(130)와 결합 가능한 중앙결합구(22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지지부(200)는 본 발명인 멀티바벨의 중심에 구비되며, 중앙지지부(200)를 중심으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제1바벨부(100) 및 제2바벨부(300)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바벨부(100)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벨봉(110), 상기 제1바벨봉(110)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1그립(120), 상기 제1바벨봉(1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지지부(200)와 결합 가능한 제1결합구(130) 및 상기 제1바벨봉(110)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바벨부(300)와 결합 가능한 제2결합구(140)를 포함한다.
제1바벨봉(110)은 설정된 직경과 중량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중앙지지부(200)의 양 단에 각각 결합 가능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벨봉(110)의 일측은 제1결합구(130)가 구비되어 상기 중앙지지부(200)에 구비된 중앙결합구(220)와 결합 가능하며, 타측은 제2결합구(140)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바벨부(300)에 구비된 제3결합구(330)와 결합 가능하다. 상기 제1결합구(130)와 제2결합구(140)의 구조는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1결합구(130)에는 내측 또는 외측 둘레를 따라 제1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결합구(220)는 상기 제1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구(140)에는 내측 또는 외측 둘레를 따라 제2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구(330)는 상기 제2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바벨봉(110)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 되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바벨봉(110)은 외부봉과, 상기 외부봉 내부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내부봉 및 상기 내부봉이 상기 외부봉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봉과 내부봉을 고정시키는 고정자(2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봉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천공된 복수의 홀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봉에는 상기 복수의 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천공된 홀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자(233)는 상기 외부봉과 내부봉에 구비된 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외부봉과 내부봉을 고정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 목적이나 신체조건 등을 고려하여 제1바벨봉(11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편리하며, 사용 이외에는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보관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1그립(120)은 상기 제1바벨봉(110)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상기 제1그립(120)은 소재에 제한은 없으나 내부에 제1바벨봉(1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천공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일정 강도를 갖는다. 상기 제1바벨봉(110)에는 상기 제1그립(1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접하도록 이탈방지구(350)가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구(350)는 상기 제1그립(1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제2바벨부(3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바벨봉(310), 상기 제2바벨봉(3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구(140)와 결합 가능한 제3결합구(330), 상기 제2바벨봉(310)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2그립(320), 상기 제2바벨봉(310)에 끼워지면서 결합 가능하고 일정 중량을 갖는 중량체(340) 및 상기 제2바벨봉(31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량체(340)가 제2바벨봉(3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50)를 포함한다.
제2그립(320)은 상기 제2바벨봉(310)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상기 제2그립(320)은 소재에 제한은 없으나 내부에 제2바벨봉(3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천공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일정 강도를 갖는다. 제2바벨봉(310)에는 상기 이탈방지구(350)가 끼워지면서 결합되는데, 상기 이탈방지구(350)는 상기 제2그립(3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될 수 잇으며 상기 제2그립(3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2그립(320)은, 상기 중량체(340)와 상기 이탈방지구(35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바벨봉(3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바벨봉(310)에 상기 제3결합구(330)와 가까운 위치에 하나의 이탈방지구(350)를 결합시켜 제2그립(320)의 시작점을 조절하고, 이후 제2그립(320), 이탈방지구(350), 중량체(340) 및 이탈방지구(35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제2그립(32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그립(320)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운동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파지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성과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중량체(340)는 제2바벨봉(310)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천공되며 일정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2바벨봉(310)에는 복수의 중량체(34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바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바벨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바벨부(300)는, 상기 제2바벨봉(3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구(140)와 결합 가능한 제3결합구(330), 상기 제2바벨봉(310)의 타단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조절바(360), 상기 길이조절바(360)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이동고정수단(370), 상기 길이조절바(360)의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된 고정케이스(380) 및 상기 고정케이스(380)의 일측 면에 구비되며 일정 탄성을 갖는 고정패킹(38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바벨봉(310), 제3결합구(330)는 상술한 실시예의 제2바벨봉(310), 제3결합구(3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길이조절바(360)는 상기 제2바벨봉(310)의 타단에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바벨봉(3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상기 제2바벨봉(310)의 외측 타단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내부에 제2바벨봉(310)이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절바(360)는 제2바벨봉(310)과 동심을 갖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제2바벨봉(31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동고정수단(370)은 상기 제2바벨봉(310) 또는 길이조절바(360)에 결합 가능하며, 제2바벨봉(310)과 길이조절바(360)의 위치를 고정시켜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고정수단(370)은 상기 제2바벨봉(310) 또는 길이조절바(36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하고, 가압을 해제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이동고정수단(370)은 제2바벨봉(310)과 길이조절바(360)에 구비될 홀에 관통하면서 끼워지는 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케이스(380)는 길이조절바(36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길이조절바(360)보다 넓은 내부단면적을 갖는다. 상기 고정케이스(380)는 문틀이나 벽체 등과 접촉하면서 상기 중앙지지부(200), 제1바벨부(100) 및 제2바벨부(3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1바벨부(100)와 제2바벨부(300)가 한 쌍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바(360)와 고정케이스(380)도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문틀에 설치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고정케이스(380)는 서로 이격된 문틀 각각에 접촉되고, 상기 길이조절바(360) 또는 제2바벨봉(3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문틀 각각을 가압하면서 멀티바벨을 설정된 높이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상기 멀티바벨은 턱걸이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킹(381)은 상기 고정케이스(380)의 일단면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케이스(380)가 문틀 등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고정패킹(381)은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마찰력과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지지부(200)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지지부(200)는 상기 중앙지지봉(210)에 결합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휠(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휠(230)의 직경은 상기 중량체(34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230)은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중심에 구비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휠(230)은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사용자는 상기 제1그립(120) 또는 제2그립(320)을 파지한 상태로 멀티바벨을 앞뒤로 밀면서 휠(23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유도하여 운동을 수행한다.
상기 휠(230)과 중앙지지봉(210) 사이에는 상기 휠(230)의 회전에 따른 복원력을 제공하고 상기 휠(23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스프링이나 탄성밴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지지부(200)는, 상기 휠(230)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휠케이스(231), 상기 휠(230)에 구비되며 상기 휠(230)과 함께 회전하며 자성을 갖는 회전자(232), 상기 휠케이스(231)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자(232)의 회전에 따른 자속의 변화에 의해 전류를 생성하는 코일 구조의 고정자(233) 및 상기 고정자(233)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자(233)에서 생성된 전류를 저장하는 충전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케이스(231)는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휠(230)이 바닥과 접촉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충전부(234)는 상기 휠케이스(231) 또는 중앙지지봉(210)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자(233)에서 발생된 전자기유도에 따른 전기에너지를 축적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휠(230)운동에 따른 휠(230)의 회전을 전기에너지로 축적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2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출력부(43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지지부(200)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부(400), 상기 측정센서부(400)에서 측정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좌우 방향 기울기를 비교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정보부(410), 상기 상태정보부(410)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420) 및 상기 제어부(420)로부터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센서부(400)는 상기 중앙지지봉(210)에 배치되어 중앙지지봉(21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42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센서부(400)는 중앙지지봉(210)의 중심에서 중앙지지봉(2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할 수 있으며, 벨크로(velcro)나 고무 등의 탄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센서부(400)는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중심에서 좌우 기울기를 측정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의 탄성이나 가변저항, 자성 등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기울기가 가변됨에 따라 변하는 중력이나 빛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측정센서부(400)에서 제공받은 중앙지지봉(210)의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상태정보부(410)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정보부(410)는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좌우 방향 기울기를 비교하여 기울어진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상기 상태정보부(410)는 상기 중앙지지부(2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정보부(410)에서 생성되는 상태정보는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우측보다 좌측이 낮도록 기울어지는 경우 제1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좌측보다 우측이 낮도록 기울어지는 경우 제2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1상태정보와 제2상태정보는 상기 제어부(42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420)는 전송된 제1상태정보 또는 제2상태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알람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신호출력부(430)는 중앙지지부(200)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420)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호출력부(430)와 상기 제어부(4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되며, 상기 신호출력부(430)는 예를 들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나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소자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출력부(430)는 상기 제1그립(120) 또는 상기 제2그립(320)에 장착되고, 상기 신호출력부(430)에서 출력되는 알람신호는 진동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420)(150)는 제1그립(120) 또는 제2그립(320)에 장착된 신호출력부(430) 중 상기 중앙지지봉(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배치된 신호출력부(430)를 통해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 예를 설명하면, 상기 신호출력부(430)는 상기 제어부(420)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진동하는 진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정보부(410)에서 상술한 제1상태정보가 생성된 경우 제어부(420)는 한 쌍의 신호출력부(430) 중 좌측에 배치된 신호출력부(430)에 알람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좌측에 배치된 신호출력부(430)는 상기 알람신호에 따라 진동소자를 작동시켜 진동한다. 반대로, 상태정보부(410)에서 상술한 제2상태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우측에 배치된 신호출력부(430)에 알람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우측에 배치된 신호출력부(430)는 진동소자를 작동시켜 진동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쌍의 신호출력부(430)가 구비된 제1그립(120) 또는 제2그립(320)을 파지한 상태로 운동을 수행하게 되며, 좌우 방향 중 진동이 발생된 방향으로 힘을 증가하여 멀티바벨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신호출력부(430)는 상기 제어부(420)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진동소자를 포함한 신호출력부(430)의 작동 메커니즘과 동일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메커니즘을 갖는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즉각적으로 기울기에 대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동시에, 균형을 위하여 좌우 방향 중에서 힘을 더욱 가해야 하는 방향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앙지지부(200)에 배치되고, 상기 측정센서부(400)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40)는 상기 제어부(420)와 연결되어 상기 상태정보부(410)에서 생성된 기울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는 운동 시 기울기에 대한 상태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40)는 상기 제어부(420)로부터 제1상태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420)로부터 제2상태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화살표이미지, 동작이미지, 사진, 빛 등일 수 있으며, 제1신호와 제2신호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나 빛 등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44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는 좌측에 배치되며 위쪽을 가리키는 화살표이고, 상기 제2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는 우측에 배치되며 위쪽을 가리키는 화살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440)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램프일 수 있고, 상기 제1신호는 좌측에 배치된 램프를 발광시키고, 상기 제2신호는 우측에 배치된 램프를 발광시킴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휠(230)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충전부(234)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센서부(400), 제어부(420), 상태정보부(410), 신호출력부(430) 및/또는 표시부(44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휠(230) 운동을 수행하여 에너지를 축적하고, 이를 바벨 또는 덤벨 운동 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정확한 운동자세를 유지하여 운동효과를 증대시키고 부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바벨은 휠운동, 턱걸이, 덤벨운동, 바벨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운동 환경에 따라 길이나 손잡이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정확한 자세 유지가 용이하여 운동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부상을 방지하고, 휠 운동에 따라 전자기유도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축적시킨 후 기울기 측정을 위한 장치 등에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제1바벨부
110 : 제1바벨봉 120 : 제1그립
130 : 제1결합부 140 : 제2결합부
200 : 중앙지지부
210 : 중앙지지봉 220 : 중앙결합구
230 : 휠 231 : 휠케이스
232 : 회전자 233 : 고정자
234 : 충전부
300 : 제2바벨부
310 : 제2바벨봉 320 : 제2그립
330 : 제3결합구 340 : 중량체
350 : 이탈방지구 360 : 길이조절바
370 : 이동고정수단 380 : 고정케이스
381 : 고정패킹
400 : 측정센서부 410 : 상태정보부
420 : 제어부 430 : 신호출력부
440 : 표시부

Claims (8)

  1. 서로 이격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바벨부;
    상기 한 쌍의 제1바벨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 단이 상기 제1바벨부와 결합 가능한 중앙지지봉을 포함하는 중앙지지부; 및
    상기 제1바벨봉의 단부에 결합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바벨봉을 포함하는 제2바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벨부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벨봉;
    상기 제1바벨봉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1그립;
    상기 제1바벨봉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지지부와 결합 가능한 제1결합구; 및
    상기 제1바벨봉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바벨부와 결합 가능한 제2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벨봉, 중앙지지봉 및 제2바벨봉은 동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벨부는,
    상기 제2바벨봉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3결합구;
    상기 제2바벨봉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2그립;
    상기 제2바벨봉에 끼워지면서 결합 가능하고 일정 중량을 갖는 중량체; 및
    상기 제2바벨봉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량체가 제2바벨봉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그립은,
    상기 중량체와 상기 이탈방지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바벨봉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부는,
    상기 중앙지지봉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구와 결합 가능한 중앙결합구; 및
    상기 중앙지지봉에 결합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휠의 직경은 상기 중량체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벨부는,
    상기 제2바벨봉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3결합구;
    상기 제2바벨봉의 타단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조절바;
    상기 길이조절바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이동고정수단;
    상기 길이조절바의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된 고정케이스; 및
    상기 고정케이스의 일측 면에 구비되며 일정 탄성을 갖는 고정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벨봉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 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벨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1바벨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부;
    상기 측정센서부에서 측정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제1바벨봉의 좌우 방향 기울기를 비교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정보부;
    상기 상태정보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부는 상기 제1그립 또는 상기 제2그립에 장착되고, 상기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알람신호는 진동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KR1020180170982A 2018-12-27 2018-12-27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KR102186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982A KR102186516B1 (ko) 2018-12-27 2018-12-27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982A KR102186516B1 (ko) 2018-12-27 2018-12-27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960A true KR20200080960A (ko) 2020-07-07
KR102186516B1 KR102186516B1 (ko) 2020-12-03

Family

ID=7160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982A KR102186516B1 (ko) 2018-12-27 2018-12-27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614A (ko) * 2021-11-11 2023-05-18 이윤빈 근력 운동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725B1 (ko) 2002-09-25 2005-03-30 양원동 다목적운동기구
US20160047405A1 (en) * 2014-08-14 2016-02-18 Kevin Curley Collapsible Exercise Bar
KR101677845B1 (ko) 2015-06-11 2016-11-30 한동진 스마트 덤벨 기구
KR20170050795A (ko) * 2015-10-31 2017-05-11 박성원 길이 가변형 운동봉
KR101793904B1 (ko) 2016-10-12 2017-11-06 임예린 다기능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725B1 (ko) 2002-09-25 2005-03-30 양원동 다목적운동기구
US20160047405A1 (en) * 2014-08-14 2016-02-18 Kevin Curley Collapsible Exercise Bar
KR101677845B1 (ko) 2015-06-11 2016-11-30 한동진 스마트 덤벨 기구
KR20170050795A (ko) * 2015-10-31 2017-05-11 박성원 길이 가변형 운동봉
KR101793904B1 (ko) 2016-10-12 2017-11-06 임예린 다기능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614A (ko) * 2021-11-11 2023-05-18 이윤빈 근력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516B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4295A1 (en) Cable and power rack exercise machine
KR101923867B1 (ko) Vr을 이용한 개인용 피트니스 머신장치
US11571608B2 (en) Data-collecting exercise device
US7041041B1 (en) Exercise equipment
US8142333B2 (en) Ropeless jump rope having replaceable tip
US7621853B2 (en) Ropeless jump rope
US20200215373A1 (en) Multipurpose exercise training device
US10143881B2 (en) Mountable exercise machine
KR101941698B1 (ko) 훈련과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
US10561890B2 (en) Exercise apparatus, kit and method
US20150297940A1 (en) Exercise suspension strap
KR102186516B1 (ko)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US20210205658A1 (en) Exercise system
US11000721B2 (en) Proportion-based circular exercise apparatus
KR101626945B1 (ko) 복합 운동 기구
KR20200079106A (ko) 다기능 근력운동기기
WO2007053884A1 (en) Isometric exercise device
US20170282013A1 (en) Force Measuring Exercise Device
KR102254492B1 (ko) 휴대용 케이블 운동기구
US20050054497A1 (en) Exercise device
GB2495077A (en) A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with a curved frame
EP4218957A1 (en) Smart exercise handle
WO2021010739A1 (ko) 휴대용 케이블 운동기구
KR102027332B1 (ko)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JP3166516U (ja) 腹筋トレーニングマ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