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945B1 - 복합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복합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945B1
KR101626945B1 KR1020150106380A KR20150106380A KR101626945B1 KR 101626945 B1 KR101626945 B1 KR 101626945B1 KR 1020150106380 A KR1020150106380 A KR 1020150106380A KR 20150106380 A KR20150106380 A KR 20150106380A KR 101626945 B1 KR101626945 B1 KR 101626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eight member
screw
members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비즈
Priority to KR102015010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복합 운동 기구가 개시된다. 복합 운동 기구는 제1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부가 형성되는 파지부와,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한다.
웨이트부재는, 무게 중심 위치에 형성되며 연결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나사홀과, 나사홀에 대향하는 측면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이 돌출되는 결합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운동 기구{COMPLEX WEIGHT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중량의 가변이 가능하고, 중량 가변된 상태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토록 하여 아령과 케틀벨에 동시에 적용가능하며, 중량에 맞게 적정한 길이의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는 복합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 등의 운동 기구는 철제(鑛製)이며, 손잡이의 양끝은 중량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아령을 이용한 운동 방법은 상하 전후 좌우로 흔들거나 팔을 굴신 또는 위ㅇ옆으로 뻗기도 하고, 손을 번갈아 앞뒤로 몸통에 붙여 돌리기를 하는 운동방법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아령은 손을 이용하여 상체를 운동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령은, 헬스장에서 남자들이 꾸준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해 근육을 키우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있어 아령은 남녀를 불문하고, 가정에서 다이어트 및 건강증진을 위해 많은 이들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아령은 운동 과정에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의 방지를 위해, 사용자에 따라 적절한 중량으로 선택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령의 중량을 가변하기 위해, 중량이 상이한 아령으로 교체하거나, 웨이트를 가변하는 방법이 이용되지만, 다양한 중량의 아령을 각각 구비하는 것이 어렵고 웨이트의 가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령과 케틀벨은 비슷한 중량기구이면서도 각기 다른 운동을 할 때 사용되므로 각각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바벨판을 추가할 수 있는 형태의 아령 또는 케틀벨의 경우에도 그 손잡이의 길이가 추가되는 바벨판의 최대량에 맞게 충분히 길어야 하므로 적은 수량의 바벨판을 사용할 경우에도 필요치않게 긴 손잡이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12254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량의 가변이 용이하고, 중량 가변된 상태의 고정이 용이토록 하여 아령과 케틀벨에 동시에 적용가능하며, 중량에 맞게 적정한 길이의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는 복합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부가 형성되는 파지부와,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한다.
웨이트부재는, 무게 중심 위치에 형성되며 연결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나사홀과, 나사홀에 대향하는 측면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이 돌출되는 결합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결합 돌기의 직경은 연결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웨이트부재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인접한 상태에서 결합부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의 웨이트부재들을 연결하는 나사봉과, 나사봉에 체결되어 나사봉을 웨이트부재에 고정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부재는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부가 설치될 수 있다.
클램핑부는 웨이트부재들이 인접한 상태에서, 웨이트부재들의 걸림홀들을 연결하는 마그네틱 재질의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부에 웨이트부재들을 나사 결합으로 연결결하여 연결된 개수를 달리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인별로 적용 가능한 중량을 파지부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중량으로 근력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파지부의 형태를 바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아령으로 사용할 수 있고, 파지부의 형태를 손잡이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케틀벨로 사용할 수 있어 아령과 케틀벨로 동시에 적용가능한 것이며, 웨이트부재의 적용 개수에 맞게 손잡이를 적정한 길이로 구현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복합 운동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의 웨이트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100)는, 제1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부(11)가 형성되는 파지부(10)와, 파지부(10)의 양단에서 연결부(11)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웨이트부재(20)를 포함한다.
파지부(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서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부(10)는 봉형상으로 일방향의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양단에 웨이트부재(20)를 설치하여 역기 또는 아령 기능을 구현하여 근력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파지부(10)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틀벨 기능을 위한 손잡이로 대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파지부(10)의 양단에는 연결부(11)가 형성된다.
연결부(11)는 파지부(10)의 양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이 파지부(10)에 형성되는 길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웨이트부재(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 가능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1)에는 중량을 부여하는 웨이트부재(20)가 설치된다.
웨이트부재(20)는 파지부(10)의 연결부(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웨이트부재(20)는 중앙 부분에 연결부(11)의 제1 나사산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는 나사홀(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웨이트부재(20)를 파지한 상태로 나사홀(21)을 연결부(11)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시킴으로써, 웨이트부재(20)를 파지부(10)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웨이트부재(2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구름방지 등을 위해 가장자리의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러한 웨이트부재(20)는 연결부(11)에 중량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웨이트부재(20)는 연결부(11)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개수의 변경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이트부재(20)의 측면에는 결합 돌기(23)가 돌출될 수 있다.
결합 돌기(23)는 웨이트부재(20)의 측면에서 나사홀(21)이 형성된 대향측에서 돌출되며,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결합 돌기(23)가 웨이트부재(20)에 돌출되는 것은, 복수개의 웨이트부재(20)들 중의 어느 하나의 나사홀(21)에 다른 하나의 웨이트부재(20)에 돌출된 결합 돌기(23)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결합 돌기(23)의 직경은 연결부(1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부재(20)들은 결합 돌기(23)에 나사홀(21)을 나사 결합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서로간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여 연결부(11)에 개수를 달리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인별로 적용 가능한 중량을 파지부(10)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중량으로 근력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복합 운동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200)의 파지부(110)는 고리 형상의 손잡이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파지부와 손잡이부는 동일 참조 번호 110을 사용한다.
이러한 손잡이부(110)의 단부에는 연결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부재(20)는 손잡이부(110)에 설치되는 개수를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복합 운동 기구(100)는 케틀벨 기능의 운동 기구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웨이트부재(20)의 무게를 적절하게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케틀벨 운동 기구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300)는, 웨이트부재(20)들의 설치된 상태를 고정하는 결합부(210)가 설치된다.
결합부(210)는 웨이트부재(20)에 형성되는 관통공(미도시)에 삽입되는 나사봉(211)과, 나사봉(211)을 웨이트부재(20)에 고정하는 너트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봉(211)은 웨이트부재(20)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의 웨이트부재(20)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봉(211)이 웨이트부재(20)들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부재(213)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바, 웨이트부재(20)의 무게 가변된 상태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400)는, 웨이트부재(20)에는 무게 가변된 상태를 고정하는 클램핑부(320)가 설치된다.
웨이트부재(20)의 가장자리의 표면에는 클램핑부(320)의 설치를 위한 걸림홈(321)이 형성된다. 즉, 웨이트부재(2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인접하게 위치되면, 걸림홈(321)들은 웨이트부재(20)들 사이에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홈(321)들에는 연결바(323)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연결바(323)는 어느 하나의 걸림홈(321)과 다른 하나의 걸림홈(321)의 사이에 함께 삽입되는 바, 웨이트부재(20)들이 결합된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바(323)는 마그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바(323)는 걸림홈(321)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의 웨이트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의 웨이트부재(20)의 측면에 완충부재(410)가 부착된다.
따라서, 완충부재(410)는 웨이트부재(20)가 바닥면에 접촉시 하중에 의한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600)는, 파지부(10)에 카운터부(510)가 설치된다.
카운터부(510)는 파지부(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복합 운동 기구(100)를 이용한 근력 운동 회수를 카운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카운터부(510)는 통신 모듈을 통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저장기기(511)에 운동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운터부(510)를 이용하여 운동 회수 등의 정보를 확인하여, 적절한 운동 관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기구(700)는, 파지부(10)에 설치되는 접촉 센서(610)와, 접촉 센서(61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사용 상태를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피커(620)를 포함한다.
접촉 센서(610)는 사용자가 파지부(10)를 파지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 센서(610)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부(10)를 파지한 상태를 센싱하면, 운동 시작 또는 종료 여부를 스피커(620)를 통해 음악 또는 사용 또는 종료 알림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특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파지부 11...연결부
20...웨이트부재 21...나사홀
23...결합 돌기 210..결합부
211..나사봉 213..너트부재
320..클램핑부 321..걸림홈
323..연결바 410..완충부재
510..카운터부 610..접촉 센서
620..스피커

Claims (3)

  1. 제1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부가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웨이트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부재는,
    무게 중심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나사홀과, 상기 나사홀에 대향하는 측면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이 돌출되는 결합 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결합 돌기의 직경은 상기 연결부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웨이트부재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인접한 상태에서 결합부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웨이트부재들을 연결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에 체결되어 상기 나사봉을 상기 웨이트부재에 고정하는 너트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부재는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부가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웨이트부재들이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웨이트부재들의 상기 걸림홈들을 연결하는 마그네틱 재질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에 카운터부를 구비하되,
    상기 카운터부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근력 운동 회수를 카운터하거나, 운동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게 하여 운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파지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를 센싱하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 센서를 통해 운동 시작 또는 종료 여부를 알림 소리로 출력할 수 있게 하는 복합 운동 기구.
  2. 삭제
  3. 삭제
KR1020150106380A 2015-07-28 2015-07-28 복합 운동 기구 KR101626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80A KR101626945B1 (ko) 2015-07-28 2015-07-28 복합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80A KR101626945B1 (ko) 2015-07-28 2015-07-28 복합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945B1 true KR101626945B1 (ko) 2016-06-02

Family

ID=5613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80A KR101626945B1 (ko) 2015-07-28 2015-07-28 복합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9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916B1 (ko) * 2016-06-21 2017-08-17 최광준 아령
KR101858958B1 (ko) * 2016-09-26 2018-05-17 서정헌 중량 조절형 아령
KR102087580B1 (ko) * 2018-09-13 2020-03-1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 조절 가능한 야외용 운동 장비 및 이를 활용한 운동 처방 시스템
US20220387843A1 (en) * 2021-06-04 2022-12-08 Harley Pasternak Modular exercise bar and weight assembly, system and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302A (ja) * 1989-04-14 1991-01-17 Carl Zeiss:Fa ビームの幾何的形状を変えるためのミラーおよびレーザによる表面処理方法
JPH03127418A (ja) * 1989-10-12 1991-05-30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
KR20040042979A (ko) * 2002-11-14 2004-05-22 김수일 웨이트 운동기구
KR20110122542A (ko) 2010-05-04 2011-11-10 조병현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
KR101318546B1 (ko) * 2012-10-15 2013-10-16 안태진 중량 조절형 아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302A (ja) * 1989-04-14 1991-01-17 Carl Zeiss:Fa ビームの幾何的形状を変えるためのミラーおよびレーザによる表面処理方法
JPH03127418A (ja) * 1989-10-12 1991-05-30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
KR20040042979A (ko) * 2002-11-14 2004-05-22 김수일 웨이트 운동기구
KR20110122542A (ko) 2010-05-04 2011-11-10 조병현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
KR101318546B1 (ko) * 2012-10-15 2013-10-16 안태진 중량 조절형 아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916B1 (ko) * 2016-06-21 2017-08-17 최광준 아령
KR101858958B1 (ko) * 2016-09-26 2018-05-17 서정헌 중량 조절형 아령
KR102087580B1 (ko) * 2018-09-13 2020-03-1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 조절 가능한 야외용 운동 장비 및 이를 활용한 운동 처방 시스템
US20220387843A1 (en) * 2021-06-04 2022-12-08 Harley Pasternak Modular exercise bar and weight assembly,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945B1 (ko) 복합 운동 기구
US9155930B2 (en) Kinetic dumbbell
US7314438B1 (en) Hand-operable exercise bar
US6599222B2 (en) Encapsulated weight system
US8591387B2 (en) Multi-grip dumbbell
US4775149A (en) Spring-type exercise device
US11571608B2 (en) Data-collecting exercise device
US6676576B1 (en) Adjustable pull exerciser
US20220062683A1 (en) Exercise apparatus
US10071274B2 (en) Jump rope device
US20110312477A1 (en) Weight resistance device
US10737133B2 (en) Muscle exercising apparatus
EP2420295A2 (en) Kinetic dumbbell
US20130184123A1 (en) Exercise device
US20120172182A1 (en) Multi-grip dumbbell
US20160175640A1 (en) Tribar
US20110098159A1 (en) Dumbbell resistance device
CN212789643U (zh) 可调整阻力的握力棒
US10874894B2 (en) Fitness equipment
US20230405388A1 (en) Exercise equipment clamp and handles
US20160354630A1 (en) Hand held exercise device
US20140045658A1 (en) Exercise apparatus
KR101318546B1 (ko) 중량 조절형 아령
CA2955513A1 (en) Conditioning rope with exchange handle
US20040063554A1 (en) Encapsulated weigh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