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332B1 -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332B1
KR102027332B1 KR1020170153286A KR20170153286A KR102027332B1 KR 102027332 B1 KR102027332 B1 KR 102027332B1 KR 1020170153286 A KR1020170153286 A KR 1020170153286A KR 20170153286 A KR20170153286 A KR 20170153286A KR 102027332 B1 KR102027332 B1 KR 102027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unit
exercise
exercise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142A (ko
Inventor
이윤경
Original Assignee
이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경 filed Critical 이윤경
Priority to KR1020170153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3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운동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체감형 운동기구는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유동유닛,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유닛, 지지플레이트의 유동에 따른 감지유닛의 감지결과를 표현할 수 있는 영상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제어유닛, 제어유닛에서 변환된 영상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체감형 운동기구는 운동과 게임이 접목되어 운동효과가 향상되며, 기존의 운동기구와 비교할 때 설치장소의 제한이 적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VIRTUAL REALITY EXERCISE EQUIPMENT AND EXERCIS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체감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을 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체감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운동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기구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잘못된 운동습관이나 자세 등으로 인해 오히려 건강을 해치거나 병을 유발시키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를 바로잡기 위하여 최근 신체의 균형을 바로잡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밸리스운동기구가 등장하고 있다.
한편, 건강관리를 위한 운동게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게임을 접목한 운동은 몰입감이 증가되어 더 오래 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30%이상 운동효과를 증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기존의 게임과 달리 운동게임은 특정 운동효과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운동게임기에 적용함으로써 재미있는 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신체활동을 통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수많은 연구 결과에 의해 상식으로 통하고 있으며, 병원에서도 재활의료용으로 활용된다.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게임과 운동을 접목한 몇몇 운동기구가 출시되고 있으나, 상기 운동기구는 VR게임기와 운동기구가 일체로 결합되어 출시가격이 매우 고가이므로 대중적으로 접하기에는 사실상 무리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44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8881호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을 이용한 체감형 운동기구로서, 운동 중 게임에 몰입하게 되어 운동효과가 증대되고, 사용자가 지루함 없이 운동을 즐길 수 있는 게임을 이용한 체감형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대중적으로 손쉽게 접할 수 있고 제조가격이 낮은 체감형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지플레이트가 유동되도록 결합된 유동유닛, 지지플레이트의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유닛, 지지플레이트의 유동에 따른 감지유닛의 감지결과를 표현할 수 있는 영상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제어유닛 및 제어유닛에서 변환된 영상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유동유닛은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된 중심구 및 상기 중심구의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중심구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고정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감형 운동기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존의 운동기구와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를 고정시키는 결합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며, 기설정된 게임프로그램의 게임객체 움직임변화에 대응되어 진동, 기울임, 소리변화 중 선택되어지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출력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파지핸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단말기가 충전가능한 충전포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시스템은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기설정된 게임프로그램,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게임프로그램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체감형 운동기구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된 동작정보가 제어부에서 영상제어신호변환되고 상기 영상제어신호가 상단 단말기로 송신되며,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게임프로그램의 게임객체 움직임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감형 운동기구는 기존의 기설정된 게임프로그램과 호환이 가능하며 3D 및 2D게임 모두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고 대중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기존의 운동기구와 결합이 가능하므로 협소한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타 운동기구와 비교할 때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운동목적에 따라 설치장소 및 설치대상기구의 선택폭이 넓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기구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기구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100), 상기 지지플레이트(100)가 유동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에 결합된 유동유닛(200),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유닛(300), 상기 감지유닛(300)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유닛(400) 및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부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되는 힘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로 전달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는 운동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하중 전부 또는 일부가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는 단일 파트의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부판(120)은 상기 유동유닛(200)과 결합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부판(110) 또는 하부판(120)은 복수개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범위 내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형상과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유동유닛(2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0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부 일측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을 유동시켜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유닛(200)의 구성 및 결합방법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은 상,하 높이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를 복수의 파트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복수 파트로 구성된 지지플레이트(10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파트 각각 기울기 또는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상기 유동유닛(2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는 상기 유동유닛(200)이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유동유닛(2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 결합된 중심구(210)와 상기 중심구(210)가 안착되어 상기 중심구(21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고정볼(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구(2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로 돌출된 반구 형상일 수 있고, 상기 고정볼(220)은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볼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중심구(2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단면적 보다 작은 중심단면적을 갖고, 상기 고정볼(220)은 상기 중심구(210)의 중심단면적보다 작은 중심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구(210)는 상기 고정볼(220)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이 기울어질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100) 및 상기 중심구(210)는 상기 고정볼(220)의 내부에서 상기 중심구(210)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유동유닛(2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중심에서 수직방향 움직임이 제한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에서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중심구(210) 및 고정볼(220)의 형상에 따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회전각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중심구(2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는 고정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위치에는 상기 중심구(210)와 동심을 갖는 걸림턱(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3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회전속도에 따라 가해질 수 있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로의 직접적인 충격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턱(230)은 상기 중심구(21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00)가 설정범위 이상의 회전각을 갖는 경우 상기 고정볼(220)과 접촉된다. 상기 걸림턱(230)의 하부와 상기 고정볼(220)의 상부가 접촉되어 상기 중심구(210)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는 설정범위 내의 회전각을 갖게 된다.
상기 걸림턱은 충격이 완충되는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구(210) 및 고정볼(220)의 접촉면에는 마찰을 줄이기 위한 완충소재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구(210) 및 고정볼(200)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기울어짐이 수평으로 복원되는 것을 보조하도로 탄성소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소재는 고무, 스프링, 에어튜브 또는 유압실린더 등일 수 있다.
상기 유동유닛(200)은 상,하 방향 하중을 완충 및 흡수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스프링(240) 또는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2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240) 또는 상기 에어튜브(25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240) 또는 상기 에어튜브(250)를 지탱하는 지지패널(26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에 한쌍의 지지패널(260)이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패널(260) 사이에 상기 탄성스프링(240) 또는 상기 에어튜브(250)가 결합된다. 상기 탄성스프링(240) 또는 상기 에어튜브(250)는 결합 위치에 따라 탄성력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310) 및 상기 에어튜브(320)는 복합구성될 수 있고,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동유닛(2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상,하 회전 및 상,하 위치가 변화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단 전부 또는 일부에 결합된다.
상기 유동유닛(200)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100)과 상기 유동유닛(200)의 결합은 상술한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유동유닛(20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신장 및 운동목적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높이조절부재(270) 및 바닥고정판(280)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270)는 상기 유동유닛(200)의 하부와 힌지결합되어 힌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재(27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과 일정한 각을 이루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바닥고정판(280)은 높이조절부재(270)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유동유닛(200), 상기 높이조절부재(270) 또는 상기 바닥고정판(280)에는 사용자의 운동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감지유닛(3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유동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유닛(3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형상, 크기 및 구성에 따라 종류, 개수 및 부착위치 등이 다양할 수 있다.
상기 감지유닛(300)은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온도센서, 기울감지센서 등의 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유닛(300)은 자이로센서(310) 또는 리미트스위치(320)일 수 있으며, 상기 자이로센서(310) 및 리미트스위치(320)가 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이로센서(310)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유닛(3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자이로센서(310)로 구성된다.
상기 자이로센서(3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움직임에 따른 회전각이 측정된다. 상기 자이로센서(410)의 종류, 형상 및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3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320)가 일정한 위치에 이르면 작동되는 전기장치를 의미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리미트스위치(320)는 상기 유동유닛(200)에 복수개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같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기울어짐에 따른 위치변화를 상기 유동유닛(200)에 결합된 상기 리미트스위치(320)가 감지하게 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320)의 종류, 형상 및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감지결과를 표현하는 영상제어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영상제어신호는 상기 통신유닛(500)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C)에 전달된다. 상기 단말기(C)는 스마트폰, 휴대용게임기, VR게임기, 3D게임기, 3D디스플레이, 노트북, 데스크탑 등의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통신유닛(500)의 송신 또는 수신은 무선 또는 유선일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NFC, WI-FI, BLUETOOTH, BEACON을 포함하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 BLUETOOT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C)에 기설치된 게임프로그램(G)은 상기 제어유닛(400)과 호환되며, 상기 제어유닛(400)에서 변환된 상기 감지결과를 표현하는 영상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게임프로그램(G)의 게임객체의 움직임이 변화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유닛(400)은 공지의 다양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 연결되는 출력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프로그램(G)의 게임객체 움직임변화에 대응되는 신호정보는 상기 통신유닛(500)에서 수신되고, 상기 통신유닛(500)에서 수신된 신호정보는 상기 제어유닛(400)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유닛(400)에서 상기 신호정보가 출력제어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출력유닛(600)에 전달된다.
상기 출력유닛(600)은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기설정된 움직임 변화 또는 소리변화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출력유닛(600)에는 상하진동하는 리니어진동모터(610) 또는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6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리니어진동모터(610) 또는 상기 스피커(620)는 상기 제어유닛(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는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유닛(700), 파지핸들(130) 또는 충전포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700)은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를 기존에 존재하는 다양한 운동기구(M)와 고정시킨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의 일측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기존의 운동기구(M)의 프레임 또는 시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유닛(700)은 기존의 운동기구(M)의 프레임 또는 시트가 끼워지는 홈이 구비된 고정결합구(710), 상기 고정결합구(7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결합구(71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볼트(720) 및 상기 고정볼트(720)와 결합되는 고정너트(7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730)가 조임여짐에 따라 상기 고정결합구(710)의 상부 및 하부가 조여지므로 상기 고정결합구(710)에 끼워지는 상기 운동기구(M)가 고정된다.
상기 결합유닛(700)은 상기 운동기구(M)와의 고정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결합유닛(7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운동기구(M)를 교체 또는 해체하지 않고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가 결합되므로 게임프로그램(G)과 접목된 운동을 즐길수 있고, 별도 장비를 설치하지 않아 가격경쟁력에 강점이 있다.
상기 파지핸들(130)은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운동중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파지핸들(13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파지핸들(130)에는 상기 기설정된 게임프로그램(G)의 게임객체의 세부적인 조종이 가능하도록 조종키트(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종키트(131)는 조이스틱 또는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종키트(131)는 포텐셔미터, HFX 등 공지의 전자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종키트(131)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어유닛(400)을 통하여 영상제어신호로 변환되며, 상기 영상제어신호는 상기 통신유닛(500)에 의해 상기 단말기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파지핸들(130)을 파지하여 팔의 흔들림이 방지되므로 운동의 안정성이 높아지며, 상기 게임객체의 세부적인 조종이 가능하여 운동 및 게임의 몰입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충전포트(1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C)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C)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충전포트(140)는 공지의 다양한 메커니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시스템은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와 연결되는 단말기(C), 상기 단말기(C)의 내부에 기설치된 게임프로그램(G), 게임프로그램(G)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D)를 포함한다.
상기 기설치된 게임프로그램(G)은 상기 제어유닛(400)과 호환되며, 상기 게임프로그램(G)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D)는 상기 단말기(C)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C), 상기 게임프로그램(G) 및 디스플레이(D)는 그 종류, 형상, 구성이 공지의 기술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체감형 운동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신체를 접촉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를 유동시키고, 이에따른 사용자의 동작정보가 상기 제어유닛(400)에서 영상제어신호로 변환되며, 상기 영상제어신호는 상기 제어유닛(400)과 호환되는 게임프로그램(G) 내에서 게임객체의 움직임을 변화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시스템은 상기 게임객체의 특정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는 몸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동작하게 되므로 밸런스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런스운동은 덤벨, 바벨, 탄성밴드 등과 같은 하중부재를 사용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사용자가 기립된 상태로 바디밸런스 운동을 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위에 선 상태로 무게중심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에 하중을 가하고, 상기 하중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이 기울어지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예는 사용자가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에 앉은 상태로 바디밸런스 운동을 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 앉은 상태로 엉덩이와 허리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로 하중을 가하고, 상기 하중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이 기울어지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실시예는 사용자가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에 엎드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 엎드린 상태로 팔과 허리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로 하중을 가하고, 상기 하중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이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기울어짐은, 상기 감지유닛(300), 상기 제어유닛(400) 및 상기 통신유닛(500)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C)의 기설정된 게임프로그램(G)의 게임객체 움직임을 변화시킨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운동시스템는 기존의 탄성밴드, 바벨 또는 덤벨에 의해 운동강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게임과 운동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사용자의 연령, 운동부위, 운동강도, 운동장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100 : 지지플레이트 110 : 상부판
120 : 하부판 130 : 파지핸들
131 : 조종키트 140: 충전포트
200 : 유동유닛 210 : 중심구
220 : 고정볼 230 : 걸림턱
240 : 탄성스프링 250 : 에어튜브
260 : 지지패널 270 : 높이조절부재
280 : 바닥고정판 300 : 감지유닛
310 : 자이로센서 320 : 리미트스위치
400 : 제어유닛 500 : 통신유닛
600 : 출력유닛 610 : 리니어진동모터
620 : 스피커 700 : 결합유닛
710 : 고정결합구 720 : 고정볼트
730 : 고정너트 C : 단말기
D : 디스플레이 G : 게임프로그램
M : 운동기구

Claims (8)

  1.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된 유동유닛;
    상기 유동유닛의 하부와 힌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장 및 운동목적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높이조절부재 하부에 연결된 바닥고정판;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유동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유닛;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감지결과를 표현하는 영상제어신호로 변환시키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에서 변환된 영상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결합된 중심구 및 상기 중심구의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중심구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고정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존의 운동기구와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를 고정시키는 결합유닛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자이로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유닛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움직임 또는 소리가 출력되는 출력유닛을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파지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운동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단말기가 충전가능한 충전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운동기구.
  8.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유동되도록 결합된 유동유닛, 상기 유동유닛의 하부와 힌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장 및 운동목적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높이조절부재 하부에 연결된 바닥고정판,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유닛,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감지결과를 표현하는 영상제어신호로 변환시키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에서 변환된 영상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운동기구;
    상기 체감형 운동기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기설정된 게임프로그램; 및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게임프로그램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감지된 동작정보에 따른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게임객체 움직임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운동시스템.
KR1020170153286A 2017-11-16 2017-11-16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KR102027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86A KR102027332B1 (ko) 2017-11-16 2017-11-16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86A KR102027332B1 (ko) 2017-11-16 2017-11-16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142A KR20190056142A (ko) 2019-05-24
KR102027332B1 true KR102027332B1 (ko) 2019-10-01

Family

ID=6668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286A KR102027332B1 (ko) 2017-11-16 2017-11-16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3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7030A (ja) * 2008-12-11 2010-06-24 Miyuki Miyashita Tvゲーム機と自転車トレーニング装置結合方式と装置
KR101681268B1 (ko) 2016-01-28 2016-12-08 염상봉 조밀한 밸런스보드와 그를 이용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12B1 (ko) * 2012-07-17 2014-05-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세 교정 시스템
KR101464291B1 (ko) * 2013-02-14 2014-11-25 주식회사 프로스터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KR101545518B1 (ko) * 2014-01-29 2015-08-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연동 실내자전거
KR20160021009A (ko) * 2014-08-14 2016-02-24 염상봉 밸런스보드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101694467B1 (ko) 2015-10-22 2017-01-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체감형 실내 운동 기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78881B1 (ko) 2016-03-23 2017-09-15 김승영 밸런스 운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7030A (ja) * 2008-12-11 2010-06-24 Miyuki Miyashita Tvゲーム機と自転車トレーニング装置結合方式と装置
KR101681268B1 (ko) 2016-01-28 2016-12-08 염상봉 조밀한 밸런스보드와 그를 이용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142A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867B1 (ko) Vr을 이용한 개인용 피트니스 머신장치
CN109310909B (zh) 腹部及核心锻炼装置
EP3628378B1 (en) Multifunctional balance exercise machine
US11027172B2 (en) Device and methods for improved resistance training
KR101677845B1 (ko) 스마트 덤벨 기구
JP2018531631A (ja) 稠密なバランスボード、及びそれを利用したシステム
US7635325B2 (en) Interactive training device
IL264475B (en) A versatile training device
CN1681562A (zh) 训练装置
KR101031050B1 (ko) 공원, 관광지, 유원지, 체육시설, 단지 등에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야외 공용운동기구
JP2007307284A (ja) センサー付きコントローラー保持具
JP2006136694A (ja) 携帯ゲーム保持具
WO2015130177A1 (en) Balance board for use as a control device
JP2008284320A (ja) バランス運動トレーナー
US20130150220A1 (en) Balancing exerciser combination
KR102116336B1 (ko) 탄성운동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시스템
KR20200100207A (ko) 가상 현실 운동 장치
CN109481913B (zh) 一种智慧型健身装置及智慧健身交互系统
KR102027332B1 (ko)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US9861852B2 (en) Game system having full-body exercise apparatus controller with independently operable appendicular members
KR20160026373A (ko) 스쿼트 운동기구
US9579542B2 (en) Networked game system having multiple full-body exercise apparatus controllers
KR101464291B1 (ko)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US20120149469A1 (en) Game control and exercise system
KR102186516B1 (ko)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