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121A -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 Google Patents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121A
KR20230153121A KR1020220052934A KR20220052934A KR20230153121A KR 20230153121 A KR20230153121 A KR 20230153121A KR 1020220052934 A KR1020220052934 A KR 1020220052934A KR 20220052934 A KR20220052934 A KR 20220052934A KR 20230153121 A KR20230153121 A KR 20230153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itness machine
load
controlled sma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배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주)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시 filed Critical (주)메시
Priority to KR102022005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121A/ko
Publication of KR2023015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1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9User-manipulated weights consisting of loosely interconnected elements for progressively changing weight, e.g. heav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부하를 인가하는 웨이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운동자에게 적절한 부하를 모터를 전자제어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으며, 특히, 피트니스 머신의 외형을 슬림하게 형성하여 설치와 취급이 용이하고, 피트니스 머신의 관리가 매우 경제적이어서 일반 가장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체 운동 및 하체 운동이 가능한 구성을 종합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근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Motor controlled smart fitness machine}
본 발명은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부하를 인가하는 웨이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운동자에게 적절한 부하를 모터를 전자제어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으며, 특히, 피트니스 머신의 외형을 슬림하게 형성하여 설치와 취급이 용이하고, 피트니스 머신의 관리가 매우 경제적이어서 일반 가장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체 운동 및 하체 운동이 가능한 구성을 종합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근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관한 것이다.
기초체력 향상, 다이어트 및 근력 향상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많은 사람들이 헬스장에서 운동하고 있다. 근력 운동은 주로 바벨 또는 덤벨을 사용하여 오버 헤드 바벨 프레스, 스쿼트, 벤치프레스, 덤벨 킥백, 덤벨 플라이 등의 운동을 함으로써 어깨, 하체 및 가슴, 등 등의 근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바벨은 바벨바의 양측에 무게를 갖는 원판이 연결되어 운동자는 두손으로 바벨을 사용하여 운동할 수 있으며, 덤벨은 바벨바보다는 짧은 덤벨바의 양측에 원판이 연결되어 운동자는 한손으로 덤벨을 사용하여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운동자는 자신의 근력 향상을 위하여 무거운 원판을 교체하는 경우, 일일이 수작업으로 교체함에 따라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운동시간이 낭비되며, 원판 교체 후 헬스장에 잘 정돈되지 않은 경우, 운동자간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 남성에게 원판 교체를 부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이외에도 교체시 원판이 발등에 떨어져 부상위험이 있으며, 특히 바벨 운동시 바벨을 제어하지 못하여 목이 눌려 타박, 골절 및 질식할 수 있으며 더한 경우 사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판을 교체할 필요없이 모터 등을 이용하여 원판을 대체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공개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20-0105047호(공개일: 2020년 09월 07일) 모터와 로드셀을 이용한 역구동 하중 조절 전자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운동기구를 이루는 구조물과 운동의 부하를 주기위한 전기모터와 전기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드라이브와 모터드라이브를 조정하기 위한 상위 제어기와 사용자가 기구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력부와 사용자의 힘을 감지하는 무게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가 웨이트머신 기구 의자에 앉아 터치패널 모니터로 이루어진 입출력부를 통하여 원하는 운동의 부하를 설정하고 상위제어기가 전달하는 신호를 통하여 모터드라이버가 전기 모터를 제어하는 부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력 상태에 따라 커스텀으로 세팅하여 체계적으로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 근력강화 운동기구이다.
다른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53685호(등록일: 2019년 12월 03일) 전동제어식 복합 피트니스 머신은, 한 쌍 이상의 바닥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근력운동용 랙,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고, 발생 동력으로 사용자의 운동 부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동식 운동보조유닛, 상기 전동식 운동보조유닛 각각에 결합되어 소정의 헬스 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인 헬스도구유닛 및 상기 메인 헬스도구 유닛 각각에 탈부착가능하게 연동되게 구성되어 소정의 헬스 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브 헬스도구 유닛;포함하고, 상기 서브 헬스도구 유닛은 상기 근력운동용 랙의 한 쌍의 바닥 프레임 각각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풀리 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메인 헬스도구 유닛의 일측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풀리 부재를 거쳐 상기 바닥 프레임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부재와, 상기 케이블 부재의 타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부재, 및 상기 케이블 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메인 헬스도구 유닛, 상기 케이블 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바 부재 간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케이블 부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메인 헬스도구 유닛과 바 부재 중 하나에 구비되는 환형 고리, 상기 케이블 부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메인 헬스도구 유닛과 바 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 고리, 및 상기 케이블 부재 각각의 일단부를 상기 메인 헬스도구 유닛에서 분리해서 거치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근력운동용 랙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 고리는 일단이 상기 근력운동용 랙의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무줄이나 스프링의 타단부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피트니스 머신과 같은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사용자에게 부하를 인가하는 웨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의 구성을 이용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특징은 있으나 전체적인 머신의 형태가 와이어를 모터와 연결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등 일반적인 피트니스 머신의 구조와 유사하여 피트니스 머신의 설치와 취급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하여 종래 피트니스 머신은 가정에서 홈트레이닝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며 구성이 복잡하여 일반 사용자가 쉽게 웨이트를 조절하는 등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5047호(공개일: 2020년 09월 07일) "모터와 로드셀을 이용한 역구동 하중 조절 전자 근력강화 운동기구" 등록특허공보 제10-2053685호(등록일: 2019년 12월 03일) "전동제어식 복합 피트니스 머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트니스 머신에서 하중을 제공하는 웨이트를 대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하중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 모터를 적용하고 이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일정한 운동 부하를 제공함으로써 피트니스 머신의 전체적은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피트니스 머신의 취급과 관리가 용이하여 헬스클럽은 물론 일반 가정에서도 홈트레이닝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운동기구의 전체 중량을 저하시킬 수 있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 및 취급이 용이하여 휘트니스 센터 또는 가정의 실내공간과 같이 한정된 공간에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을 설치시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부하의 제어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남여노소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밀착되며 중량체로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의 상부가 종동기어가 형성된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고정브라켓으로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가이드봉이 안내공에 끼움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고 중앙부분에 체인이 연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한 쌍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서로 연결하며 타측면에 고정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운동 공간을 제공하는 바부재로 구성된 웨이트바와, 상기 본체의 고정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린 표면을 이용한 통상의 터치기능을 이용하여 근력운동프로그램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모터의 부하량을 조절하는 스크린 및 상기 본체의 베이스에 고정설치되며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종동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기어가 형성되고, 스크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방향 및 부하가 조절되는 형태로 체인에 체결된 웨이트바를 상하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실시예로, 지면에 밀착되며 중량체로 구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며 단면이 "ㄷ" 형태를 갖는 한 쌍의 단위 프레임이 서로 이격되게 대항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이동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종동기어가 형성된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봉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이동공간에 위치되며 일측면이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고 체인이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을 서로 연결하며 타측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에 운동 공간을 제공하는 바부재로 구성된 웨이트바와, 상기 본체의 프레임 내측에 고정되며 스크린 표면을 이용한 통상의 터치기능을 이용하여 근력운동프로그램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모터의 부하량을 조절하는 스크린과, 상기 본체의 베이스에 고정설치되며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종동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기어가 형성되고, 스크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방향 및 부하가 조절되는 형태로 체인에 체결된 웨이트바를 상하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1축의 토크 센서(torque sensor)로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출력측 기어는 1개의 내접 기어로 구성되고, 입력측 기어는 3개의 외접 기어로 구성되는 감속기와, 감속기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제어기 및 스크린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가 입력되며 플러그인 방식으로 형성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장홈이 형성된 고정판에 수평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고, 일측의 스크류에 의하여 장홈의 범위내에서 위치가 조절되어 체인의 주행방향과 텐션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아이들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웨이트바의 잦은 슬라이딩에 의한 단위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은 하중을 주기 위해 사용하는 중량물인 웨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의 전자제어를 통한 부하를 발생시켜 하중을 제어하는 형태로 하중을 발생시킴으로써 피트니스 머신의 전체적인 무게를 절감할 수 있어 피트니스 머신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한정된 공간에 여러 대의 피트니스 머신을 설치하여야 하는 휘트니스 센터에서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여러 명의 사용자가 피트니스 머신을 사용하더라도 서로 충돌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근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피트니스 머신의 웨이트바를 양손으로 잡고 근력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 모터에 의하여 전달되는 하중이 일측으로 편향됨이 없이 양측에 동일한 하중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저항을 주는 속도를 안전하게 제어함으로써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트니스 머신의 형태가 단순하고 심플하며 특히, 모터의 전자제어를 통하여 부하가 조절되고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간단하게 부하를 조절할 수 있어 일반 사용자가 쉽게 피트니스 머신을 조작할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 홈트레이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웨이트바 부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종동기어 부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모터 부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웨이트바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본체와 웨이트바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본체와 웨이트바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의 배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웨이트바 부분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종동기어 부분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모터 부분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웨이트바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본체와 웨이트바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본체와 웨이트바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모터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모터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웨이트바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종동기어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모터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웨이트바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본체와 웨이트바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본체와 웨이트바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부하를 인가하는 웨이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운동자에게 적절한 부하를 모터를 전자제어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으며, 특히, 피트니스 머신의 외형을 슬림하게 형성하여 설치와 취급이 용이하고, 피트니스 머신의 관리가 매우 경제적이어서 일반 가장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체 운동 및 하체 운동이 가능한 구성을 종합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근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관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이하, '피트니스 머신'이라 한다)(200)는, 피트니스 몸체를 구성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웨이트바(220)와, 상기 본체(210)에 고정 설치되는 스크린(230) 및, 상기 본체(2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웨이트바(220)의 이동시 부하를 제공하는 모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지면에 밀착되며 중량체로 구성되는 베이스(211)와, 상기 베이스(211)의 상부에 형성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212) 및 상기 가이드봉(212)의 상부에 형성되며 한 쌍의 가이드봉(21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13) 및 상기 연결프레임(213)을 연결하며 하부에 스크린(230)이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1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프레임(213)의 내부에는 종동기어(2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11)의 일측으로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발판(215)이 연장설치되어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가서 웨이트바(220)를 들어올리는 형태로 근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바(220)는 일측이 상기 본체(210)의 가이드봉(21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부재(221)와, 상기 이동부재(221)를 서로 연결하며 타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발판(215)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측 또는 외측에 운동할 공간을 제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바부재(2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21)는 단면이 대략 "ㄷ" 형태를 갖으며 양측에 가이드봉(212)이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끼움되는 안내공(2211)과 중앙부분의 외측면에 바부재(222)가 연결되고 내측면에 체인(50)에 결합된 체결부(22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부재(221)는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공(2211)에 한 쌍의 가이드봉(212)이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이동부재(221)은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리거나 휘어짐 없이 정확한 상하이동을 보장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웨이트바(220)를 잡고 근력운동 과정에서 흔들림에 의한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스크린(230)은 본체(210)의 고정브라켓(214)의 하부에 고정되어 본체(210)에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스크린 표면을 이용한 통상의 터치기능을 이용하여 근력운동프로그램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사용자가 쉽게 모터에 발생하는 부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터(240)는 베이스(211)의 상면 본체(210)의 내측에 한 쌍이 고정 설치되며, 모터(240)에 형성된 구동기어(241)와 연결프레임(213)의 형성된 종동기어(216)가 체인(250)으로 연결되고, 상기 체인(250)의 일측에 웨이트바(220)가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모터(240)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웨이트바(220)가 상하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240)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셀(torque sensor)(245), 감속기(246), 모터부(247), 제어기(미도시) 및 통신 모듈(24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로드셀(245)은 1축의 토크 센서(torque sensor)로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드셀(245)은 변형 브릿지 및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변형 브릿지의 변형 양을 스트레인 게이지로 측정하여 감속기(246)의 출력에 가해지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로드셀(245)은 구동기어(241)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246)의 구성 요소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출력측 기어는 1개의 내접 기어로 구성되고, 입력측 기어는 3개의 외접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1개의 단일 접점 기어로 구성된 종래의 액추에이터는 높은 토크를 견디기 위하여 기어의 폭을 증가시켜야 하나, 본 발명의 감속기(246)는 1개의 내접 기어와 3개의 외접 기어를 이용하므로 기어의 폭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내구성을 높일 수 있어(3배 가능) 높은 토크를 견딜 수 있다.
또한, 감속기(246)는 3개의 외접 기어를 이용한 3접점 방식이므로 고토크를 구현할 수 있으며, 1개의 내접 기어와 3개의 외접 기어 쌍을 하나 이상의 단으로 연결하는 경우 고감속비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오차는 제어기(미도시)에서 모터부(247)의 토크를 조절하는데 반영됨으로써 고정밀 저진동의 감속기(246)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모터부(247)는 감속기(246)에 토크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어기는 모터(240)의 독립된 동작 및 통신이 가능하도록 CPU를 내장할 수 있으며, 감속기(246)로부터 측정된 오차에 근거하여 모터부(247)의 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특정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248)이 삽입되는 삽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부(미도시)에 통신 모듈(248)이 삽입되면 제어기는 해당 통신 모듈을 플러그인 방식으로 인식하여, 해당통신 모듈(248)이 지원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듈(248)은 특정 통신을 지원하며 제어기의 삽입부(미도시)에 삽입되어 플러그인 방식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터(240)를 이용하여 피트니스 머신의 부하를 조절함으로써 추가적인 장치 없이 바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운동부하를 측정 및 조절할 수 있으며, 운동동작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피트니스 머신의 기구학 해석을 통하여 필요 토크측정 및 중력 보상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체인(250)은 일측에 웨이트바(220)의 이동부재(221)가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240)의 구동기어(241) 및 연결프레임(213)의 종동기어(216)와 연결되며 구동기어(241)와 종동기어(216)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아이들기어(242)에 의하여 주행방향과 텐션이 조절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아이들기어(242)는 장홈(2431)이 형성된 고정판(243)에 수평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일측의 스크류(244)에 의하여 장홈(2431)의 범위내에서 이동하여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항상 안정적으로 체인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인(250)은 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체인커버(251)에 감싸진 상태로 형성되어 피트니스 머신(200)의 외부에서 체인(250)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피트니스 머신(200) 전체의 디자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체인(250)의 표면에 붇어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인(250)은 모터(240)에서 발생된 부하를 웨이트바(220)에 전달하는 목적으로, 상기 체인(25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V밸트, 톱니밸트 등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다양한 밸트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첨부된 도면 중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웨이트바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종동기어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모터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웨이트바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본체와 웨이트바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중 본체와 웨이트바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이하, '피트니스 머신'이라 한다)(100)는, 피트니스 몸체를 구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웨이트바(20)와, 상기 본체(10)에 고정 설치되는 스크린(30) 및,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웨이트바(20)의 이동시 부하를 제공하는 모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지면에 밀착되며 중량체로 구성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상부에 형성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봉(1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의 일측으로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발판(14)이 연장설치되어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가서 웨이트바(20)를 들어올리는 형태로 근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은 단면에 대략 "ㄷ" 형태를 갖는 한 쌍의 단위 프레임(121)이 서로 대항되는 형태로 위치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연결프레임(122)이 조립되어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웨이트바(20)가 상하 이동하는 이동공간(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2)의 내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봉(13)이 고정되며 차 후 설명할 웨이트바(20)의 이동판(21)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21)은 웨이트바(20)의 잦은 슬라이딩에 의하여 벌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고정클립(123)을 연결하여 형태의 변형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고정클립(123)은 단위프레임(121)의 내측에 설치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웨이트바(20)가 상하이동하는데 걸림이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프레임(122)의 내부에는 종동기어(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중앙부분에는 스크린(30)의 고정을 위한 스크린 고정브라켓(17)이 형성된다.
상기 웨이트바(20)는 상기 본체(10)의 이동공간(A)에 위치되며 일측면이 가이드봉(1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판(21)과, 상기 이동판(21)을 서로 연결하며 타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발판(14)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측 또는 외측에 운동할 공간을 제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바부재(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21)은 단면에 대략 "ㄷ" 형태의 하우징(211)과, 상기 하우징(211)의 양측에 결합되며 가이드봉(13)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안내부(212)와, 외측면에 바부재(22)가 연결되고 내측면에 체인(50)에 결합된 체결부(213)가 볼트로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21)은 하우징(211)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부(212)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봉(13)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이동판(21)은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리거나 휘어짐 없이 정확한 상하이동을 보장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웨이트바(20)를 잡고 근력운동 과정에서 흔들림에 의한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스크린(30)은 본체(10)의 프레임(12) 내측에 형성된 스크린 고정브라켓(17)에 후면이 고정되어 본체(10)에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며 스크린 표면을 이용한 통상의 터치기능을 이용하여 근력운동프로그램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사용자가 쉽게 모터에 발생하는 부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터(40)는 베이스(11)의 상면 본체(10)의 내측에 한 쌍이 고정 설치되며 모터(40)에 형성된 구동기어(41)와 연결프레임(122)의 형성된 종동기어(16)가 체인(50)으로 연결되며 상기 체인(50)의 일측에 웨이트바(20)가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모터(40)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웨이트바(20)가 상하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모터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설명된 모터(24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써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체인(50)은 일측에 웨이트바(20)의 이동판(21)이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50)의 구동기어(41)와 연결프레임(122)의 종동기어(16)와 연결되며 구동기어(41)와 종동기어(16)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아이들기어(42)에 의하여 주행방향과 텐션이 조절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아이들기어(42)는 장홈(521)이 형성된 고정판(52)에 수평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일측의 스크류(522)에 의하여 장홈(521)의 범위내에서 이동하여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항상 안정적으로 체인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인(50)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체인커버(51)에 감싸진 상태로 형성되어 피트니스 머신(100)의 외부에서 체인(50)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피트니스 머신(100) 전체의 디자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체인(50)의 표면에 붇어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인(50)은 모터(40)에서 발생된 부하를 웨이트바(20)에 전달하는 목적으로, 상기 체인(5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V밸트, 톱니밸트 등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다양한 밸트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은 하중을 주기 위해 사용하는 중량물인 웨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의 전자제어를 통한 부하를 발생시켜 하중을 제어하는 형태로 하중을 발생시킴으로써 피트니스 머신의 전체적인 무게를 절감할 수 있어 피트니스 머신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한정된 공간에 여러 대의 피트니스 머신을 설치하여야 하는 휘트니스 센터에서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여러 명의 사용자가 피트니스 머신을 사용하더라도 서로 충돌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근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피트니스 머신의 웨이트바를 양손으로 잡고 근력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 모터에 의하여 전달되는 하중이 일측으로 편향됨이 없이 양측에 동일한 하중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저항을 주는 속도를 안전하게 제어함으로써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과, 피트니스 머신의 형태가 단순하고 심플하며 특히, 모터의 전자제어를 통하여 부하가 조절되고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간단하게 부하를 조절할 수 있어 일반 사용자가 쉽게 피트니스 머신을 조작할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 홈트레이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0 : 본체 211 : 베이스
212 : 가이드봉 213 : 연결프레임
214 : 고정브라켓 215 : 발판
216 : 종동기어
220 : 웨이트바 221 : 이동부재
222 : 바부재
230 : 스크린
240 : 모터 241 : 구동기어
242 : 이이들기어 243 : 고정판
244 : 스크류 245 : 로드셀
246 : 감속기 247 : 모터부
248 : 통신모듈
250 : 체인 251 : 체인커버
252 : 고정판
10 : 본체 11 : 베이스
12 : 프레임 13 : 가이드봉
14 : 발판 16 : 종동기어
17 : 스크린 고정브라켓
20 :웨이트바 21 : 이동판
22 : 바부재
30 : 스크린
40 : 모터 41 : 구동기어
42 : 아이들기어
50 : 체인 51 : 체인커버
52 : 고정판

Claims (5)

  1. 동력을 이용하여 운동부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있어서,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200)은,
    지면에 밀착되며 중량체로 구성된 베이스(211)와, 상기 베이스(2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봉(212) 및, 상기 가이드봉(212)의 상부가 종동기어(216)가 형성된 연결프레임(213)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213)은 고정브라켓(214)으로 연결되는 본체(210);
    상기 본체(210)의 가이드봉(212)이 안내공(2211)에 끼움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고 중앙부분에 체인(250)이 연결되는 체결부(2212)가 형성된 한 쌍의 이동부재(221)와, 상기 이동부재(221)을 서로 연결하며 타측면에 고정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운동 공간을 제공하는 바부재(222)로 구성된 웨이트바(220);
    상기 본체(210)의 고정브라켓(214)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린 표면을 이용한 통상의 터치기능을 이용하여 근력운동프로그램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모터(240)의 부하량을 조절하는 스크린(230);
    상기 본체(210)의 베이스(211)에 고정설치되며 연결프레임(213)에 형성된 종동기어(216)와 체인(250)으로 연결되는 구동기어(241)가 형성되고, 스크린(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방향 및 부하가 조절되는 형태로 체인(250)에 체결된 웨이트바(220)를 상하이동시키는 모터(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2. 동력을 이용하여 운동부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에 있어서,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100)은,
    지면에 밀착되며 중량체로 구성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상부에 형성되며 단면이 "ㄷ" 형태를 갖는 한 쌍의 단위 프레임(121)이 서로 이격되게 대항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이동공간(A)을 형성하며 상부가 종동기어(16)가 형성된 연결프레임(122)으로 연결되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한 쌍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봉(13)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이동공간(A)에 위치되며 일측면이 가이드봉(1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고 체인(50)이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판(21)과, 상기 이동판(21)을 서로 연결하며 타측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에 운동 공간을 제공하는 바부재(22)로 구성된 웨이트바(20);
    상기 본체(10)의 프레임(12) 내측에 고정되며 스크린 표면을 이용한 통상의 터치기능을 이용하여 근력운동프로그램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모터(40)의 부하량을 조절하는 스크린(30);
    상기 본체(10)의 베이스(11)에 고정설치되며 연결프레임(122)에 형성된 종동기어(16)와 체인(50)으로 연결되는 구동기어(41)가 형성되고, 스크린(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방향 및 부하가 조절되는 형태로 체인(50)에 체결된 웨이트바(20)를 상하이동시키는 모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40, 40)는 1축의 토크 센서(torque sensor)로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를 측정하는 로드셀(245)과, 출력측 기어는 1개의 내접 기어로 구성되고, 입력측 기어는 3개의 외접 기어로 구성되는 감속기(246)와, 감속기(246)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247)와, 제어기(미도시) 및 스크린(230)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가 입력되며 플러그인 방식으로 형성되는 통신 모듈(2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11, 11)에 고정되며 장홈(2431, 521)이 형성된 고정판(243, 52)에 수평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고, 일측의 스크류(244, 522)에 의하여 장홈(2431, 521)의 범위내에서 위치가 조절되어 체인(250, 50)의 주행방향과 텐션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아이들기어(242, 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프레임(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웨이트바(20)의 잦은 슬라이딩에 의한 단위프레임(121)의 변형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클립(1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KR1020220052934A 2022-04-28 2022-04-28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KR20230153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934A KR20230153121A (ko) 2022-04-28 2022-04-28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934A KR20230153121A (ko) 2022-04-28 2022-04-28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121A true KR20230153121A (ko) 2023-11-06

Family

ID=8874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934A KR20230153121A (ko) 2022-04-28 2022-04-28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1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85B1 (ko) 2017-11-27 2019-12-09 주식회사 론픽 전동제어식 복합 피트니스 머신
KR20200105047A (ko) 2019-02-28 2020-09-07 김보배 모터와 로드셀을 이용한 역구동 하중 조절 전자 근력강화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85B1 (ko) 2017-11-27 2019-12-09 주식회사 론픽 전동제어식 복합 피트니스 머신
KR20200105047A (ko) 2019-02-28 2020-09-07 김보배 모터와 로드셀을 이용한 역구동 하중 조절 전자 근력강화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7458B2 (en) Recumbent step exerciser with self-centering mechanism
US4607841A (en) Isometric exercise apparatus
US8105206B2 (en) Exercise machine
CN109821199B (zh) 一种蹲起训练附带锻炼手臂肌肉的训练装置及使用方法
KR102053685B1 (ko) 전동제어식 복합 피트니스 머신
EP3470121A1 (en) Training device for simulating vertical climbing
EP3563912B1 (en) Rowing machine
US20180326241A1 (en) Exercise and Rehabilitation Machine with Autonomous Drive
KR100657716B1 (ko)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하중제거장치
CN210447990U (zh) 一种具有背部按摩功能的腿部锻炼装置
KR101301781B1 (ko) 상체운동기구
CN111111134A (zh) 攀爬机
KR101524970B1 (ko) 상체운동기구
KR101861240B1 (ko) 케이블 구동형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US5462508A (en) Calf cruncher exercise equipment
US3372928A (en) Exercising machines operable independently of the exercising person's applied force
CN204619290U (zh) 体能训练器
KR20230153121A (ko)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CN111729253A (zh) 滑动式综合力量训练器
KR20190119546A (ko) 줄타기 운동기구
KR20200022860A (ko) 스쿼트 운동기
US6283898B1 (en) Mechanical weightlifting machine
CN212347577U (zh) 滑动式综合力量训练器
CN216418216U (zh) 站式推拉臂
CN211383620U (zh) 一种悬挂式推举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