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963B1 -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963B1
KR102254963B1 KR1020190127392A KR20190127392A KR102254963B1 KR 102254963 B1 KR102254963 B1 KR 102254963B1 KR 1020190127392 A KR1020190127392 A KR 1020190127392A KR 20190127392 A KR20190127392 A KR 20190127392A KR 102254963 B1 KR102254963 B1 KR 102254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upport frame
elastic
support
elast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379A (ko
Inventor
강기동
Original Assignee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963B1/ko
Priority to PCT/KR2019/017454 priority patent/WO2021075637A1/ko
Publication of KR2021004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약자 및 환자들이 앉거나 선채로 탄성밴드를 당기거나 밀며 신체의 여러 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근력을 강화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벽체 또는 기둥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수용공간(15)에 설치되어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에서 각기 다른 신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밴드(20)와, 복수개의 상기 탄성밴드(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연결되게 설치하여, 그 연결된 상기 탄성밴드(20)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신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밴드당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BODY EXERCISE APPARATUS USING ELASTIC BAND}
본 발명은 노약자 및 환자들이 앉거나 선채로 탄성밴드를 당기거나 밀며 신체의 여러 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근력을 강화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지속되는 반면, 대기오염 및 기후 등에 의해 외부에서 운동을 실시하는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이유로 인해, 크로스핏, 요가, 필라테스 등 실내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공간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운동 공간은 일정 수준의 신체 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신체기능이 저하된 상태인 노약자나 환자들에게는 제대로 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히려 운동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 인구는 점차 늘어고 있고, 노인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노인성 질환의 발병율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다수의 언론매체와 의사들은 노인성 질환의 경우 꾸준한 운동을 통해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정에서는 물론 요양시설이나 복지시설 등에 운동기구를 구비하여 수시로 꾸준하게 운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노약자 및 환자들이 실내에서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 역시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과거에는 단순히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강화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면, 최근에는 사용상의 안정성, 공간의 활용성 및 운동의 효율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1515호와 같이, 지면에 설정된 높이로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둘 이상의 걸고리부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프레임과, 이 중 수평프레임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좌판과, 이 좌판의 후방에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형성된 등받이부와, 상기의 걸고리부에 선택적으로 끼워 설치하고 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된 튜빙밴드로 이루어진 복합 헬스기구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의 경우, 튜빙밴드의 탄성을 이용해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여러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하는 사람에게 무리를 주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신체 능력이 각기 다른데 비해, 튜빙밴드는 설정된 두께나 길이에 따라 탄성력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튜빙밴드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튜빙밴드를 구비하여 운동시마다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 및 보관하는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좌판 및 등받이부가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은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수직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에 따라, 운동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반면에 공간이 활용성은 현저히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1515호(2010.10.15.공개,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한곡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2040호(2013.04.01.공개,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약자 및 환자들이 운동하는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신체 능력에 따라 운동 강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신체 부위를 다양한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며, 미사용시에는 운동기구가 설치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간의 활용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 또는 기둥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수용공간(15)에 설치되어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에서 각기 다른 신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밴드(20)와, 복수개의 상기 탄성밴드(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연결되게 설치하여, 그 연결된 상기 탄성밴드(20)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신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밴드당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벽체 또는 기둥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과, 그 고정프레임(11)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수단(F)에 의해 고정되게 형성된 회동프레임(12)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5) 내에 복수개의 상기 탄성밴드(20) 각각이 신축되는 영역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탄성밴드가 신축되는 동안 나머지 탄성밴드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신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구획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다리수용부(62)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착좌패널(61)과, 상기 착좌패널(61)의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수용부(62)에 수용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끝단면이 바닥에 지지되게 형성된 지지다리(65)로 이루어진 착좌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65)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다리(65)를 펼친 후 지면에 지지되게 하향 회동시키면, 발바닥을 올려둔 상태에서 하체를 전후로 이동해가며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체단련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하체단련구(70)는, 상기 지지다리(65)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한 쌍의 받침프레임(71)과, 그 받침프레임(71)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구간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된 발판(72)과, 상기 지지다리(65)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72)이 전후 이동함에 따라 신축되도록 연결된 하체단련밴드(73)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는 노약자 및 환자들이 운동하는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신체 능력에 따라 운동 강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신체 부위를 다양한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며, 미사용시에는 운동기구가 설치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간의 활용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노출된 탄성밴드에 밴드당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낸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낸 B-B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에 착좌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에 하체단련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는 크게 지지프레임(10), 탄성밴드(20) 및 밴드당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지지프레임(10)은 벽체 또는 기둥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된다.
지지프레임(10)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칼블럭을 이용해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해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탄성밴드(20)는 신축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 지지프레임(10)에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수용공간(15) 내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복수개의 탄성밴드(20)는 지지프레임(10)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서로 짝을 이루면서 각기 다른 신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탄성밴드(20)는 원통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탄성밴드(20)가 각기 다른 신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직경 또는 두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탄성밴드(20)의 신축력을 육안으로 쉽게 구분하기 위해 색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탄성밴드(20) 각각에는 지지프레임(10)의 단부측으로 노출되는 끝단부를 고리 형태로 매듭지어 후술할 밴드당김부재(30)의 설치와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탄성밴드(20) 각각의 끝단부에 연결고리(25)를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밴드당김부재(30)는 복수개의 탄성밴드(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연결되게 설치하여, 밴드당김부재(30)에 연결된 탄성밴드(20)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신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밴드당김부재(30)는 복수개의 탄성밴드(20) 각각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결속부(31)와, 이 결속부(31)에 설정된 길이로 형성된 일측이 설치되는 연결부(32)와, 이 연결부(32)의 타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지부(33)로 구성하고, 연결부(32)의 길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조절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벽체 또는 기둥에 가로방향이나 세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더해 벽체 또는 기둥에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0)은 벽체나 기둥에 돌출된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일 수 있는데, 이때의 지지프레임(10)은 벽체 또는 기둥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과, 이 고정프레임(11)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고정수단(F)에 의해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회동프레임(12)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1) 및 회동프레임(12)에 각각 설치된 탄성밴드(20)는 각각의 끝단부가 사용자 측을 향해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탄성밴드(20)를 자유롭게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탄성밴드(20)가 신축되는 동안 회동프레임(12)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밴드(20)의 마모율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더불어 회동프레임(12)은 사용자가 탄성밴드(20)를 신축시키며 다양한 신체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신장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에는 탄성밴드(20)가 노출되는 회동프레임(12)의 개구된 끝단면이 하향 경사진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고정수단(F)은 고정프레임(1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회동지지브라켓(11a)과, 이 회동지지브라켓(11a)에 회동프레임(12)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12a)과, 이 회동축(12a)의 주변에 호형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각도조절홀(12b)과, 이 복수개의 각도조절홀(12b)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끼워져 회동프레임(12)이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동지지브라켓(11a)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는 회동제한핀(13)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동제한핀(13)을 이용해 회동프레임(12)의 회전 각도를 더욱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회동제한핀(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정된 각도로 회동시킴에 따라 회동제한핀(13)이 각도조절홀(12b)에 삽입 또는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된 제한핀이동레버(14a)와, 이 제한핀이동레버(14a)가 설정된 각도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한핀지지스프링(14b)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한핀이동레버(14a)와 제한핀지지스프링(14b)을 구비한 경우, 제한핀이동레버(14b)가 회동제한핀(13)과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는 회동제한핀(13)이 회동제한홀(12b)로부터 인출되어 회동프레임(12)이 회동 가능하게 되고, 반대로 제한핀이동레버(14b)가 회동제한핀(13)과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는 회동제한핀(13)이 회동제한홀(12b)에 끼워져 회동프레임(12)의 회동을 제한하게 됨으로써, 회동프레임(12)의 회전 및 고정이 원터치 방식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벽체나 기둥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0)의 좌,우측에 끝단부에 노출된 탄성밴드(20)의 신축력을 이용해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밴드당김부재(30)를 복수개의 탄성밴드(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가깝게 잡아 당기거나 신체에 멀어지게 밀면서 운동하면 되며, 이때의 밴드당김부재(30)는 운동 목적에 따라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이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개의 밴드당김부재(30)를 사용 경우를 살펴보면, 지지프레임(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탄성밴드(20)에 결속부(31)를 연결한 후, 양손으로 파지부(33)를 파지한 상태에서 탄성밴드(20)를 신축시키며 운동하면 된다.
또한 두 개의 밴드당김부재(30)를 사용 경우를 살펴보면, 지지프레임(10)의 좌측에 위치한 탄성밴드(20a)와 지지프레임(10)의 우측에 위치한 탄성밴드(20b)에 결속부(31)를 이용해 각각의 밴드당김부재(30)를 연결한 후, 이들 밴드당김부재(30) 각각에 마련된 파지부(33)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탄성밴드(20)를 신축시키며 운동하면 된다.
이처럼 지지프레임(10)은 벽체 또는 기둥에 견고하게 설치됨에 따라 노약자나 환자가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지지프레임(10)에는 서로 다른 장력을 지는 탄성밴드(20)가 좌,우측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밴드당김부재(30)를 연결하여 탄성밴드(20)를 신축시키면서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강도로 다양한 신체 부위를 운동할 수 있으므로 운동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이고, 여러 명이 사용할 때에도 탄성밴드(20)를 매번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지지프레임(10)을 이루는 회동프레임(12)이 고정수단(F)에 의해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경우, 사용시에는 회동프레임(12)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펼쳐 운동을 실시하면 되며, 미사용시에는 회동프레임(12)을 고정프레임(11) 측으로 접어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공간의 활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수용공간(15) 내에 복수개의 탄성밴드(20) 각각이 신축되는 영역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복수개의 탄성밴드(20) 중 어느 하나의 탄성밴드(20)가 신축되는 동안 나머지 탄성밴드(20)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신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부재(40)는 수용공간(15)을 지지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거나, 지지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는데, 이는 탄성밴드(20)의 형상과 설치 방향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획부재(40)는 지지프레임(10)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설치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복수개의 탄성밴드(20)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라면 구획부재(40)의 설치 방향에 전혀 제한을 둘 필요가 없지만, 복수개의 탄성밴드(20)가 장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탄성밴드(20)의 긴 너비를 차지하는 부분이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구획부재(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밴드(20)의 긴 너비를 차지하는 부분이 지지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구획부재(40)는 지지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수용공간(15)을 구획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탄성밴드(20)의 긴 너비를 차지하는 부분이 지지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구획부재(40)는 지지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수용공간(15)을 구획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밴드(20)의 형상 및 설치 방향에 따라 구획부재(40)의 설치방향을 달리하는 이유는, 복수개의 탄성밴드(20) 각각이 신축되는 영역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지지프레임(10)의 좌우 너비나 상하 높이가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게다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의 내부에는 설정된 간격과 높이에서 복수개의 상기 탄성밴드 각각이 지지된 상태에서 신축되도록 지지하는 밴드지지체(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지지체(50)는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밴드지지축(51)과, 이 밴드지지축(51)에 중심부가 끼워져 외표면에 지지된 탄성밴드(20)가 신축되는 동안 그 신축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형성된 밴드지지롤러(52)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밴드지지체(50)가 2개 이상 구비된 경우에는 각각의 탄성밴드(20)가 지그재그 형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밴드지지체(50)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탄성밴드(20)의 길이를 길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복수개의 밴드지지체(50)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탄성밴드(20)가 신축되는 과정에서 외표면이 서로 마찰되거나 간섭되지 않을 수 있도록 설치하여, 탄성밴드(20)의 신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지지프레임(10)의 내부에 밴드지지체(50)를 설치함으로써, 탄성밴드(20)의 길이를 길게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탄성밴드(20)의 신축되는 동작이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탄성밴드(20)의 신축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다양한 동작으로 원활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는 도 5a 및 5b와 같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탄성밴드(20)를 신축시키며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착좌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착좌부재(60)는 고정프레임(11)에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다리수용부(62)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착좌패널(61)과, 이 착좌패널(61)의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어진 상태에서는 다리수용부(62)에 수용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끝단면이 바닥에 지지되게 형성된 지지다리(65)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착좌부재(60)를 이용해 사용자가 앉아서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착좌패널(61)을 상향 회동시키고, 다리수용부(62) 내에 수용되게 접어진 지지다리(65)를 지면에 지지되게 펼치면 된다.
반면 서서 운동을 하거나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지다리(65)가 지면에 이격되게 착좌패널(61)을 위로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다리수용부(62)에 수용되게 지지다리(65)를 접은 후, 착좌패널(61)의 하부면이 벽체나 기둥에 접촉되게 하향 회동시키면 된다.
이처럼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착좌부재(60)를 구비함으로써, 선 상태에서나 앉은 상태에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운동이 가능해져 더욱 다양한 자세로 신체의 여러 부위를 운동할 수 있으므로, 운동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좌부재(60)를 운동 자세나 목적에 따라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운동을 할 때에는 물론 운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다양한 용도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착좌부재(60)를 펼쳤을 때에는 지지다리(65)가 착좌패널(61)를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착좌패널(61)에 체중을 실어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는 도 6a 및 6b와 같이, 착좌부재(60)를 앉을 수 있게 펼친 후 사용자가 착좌패널(61)에 앉은 상태에서 하체를 단련시킬 수 있는 하체단련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하체단련구(70)는 상기 지지다리(65)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한 쌍의 받침프레임(71)과, 그 받침프레임(71)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구간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된 발판(72)과, 상기 지지다리(65)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72)이 전후 이동함에 따라 신축되도록 연결된 하체단련밴드(73)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체단련구(70)를 이용해 하체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는, 지지다리(65)에 설치된 한 쌍의 받침프레임(71)이 지면에 지지되게 하향 회동시키고, 하체단련밴드(73)에 발판(72)을 연결한다.
이후 사용자가 착좌부재(60)에 앉은 상태에서 발판(72)에 발을 올려두고 힘을 주어 발판(72)을 전방으로 밀게 되면 발판(72)에 연결된 하체단련밴드(73)가 신장되면서 하체 근육이 수축되고, 반대로 발판(72)을 뒤로 당기게 되면 하체단련밴드(73)가 수축하면서 하체 근육이 이완됨에 따라, 하체를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하체단련구(70)를 구비함으로써, 밴드당김부재(30)를 밀거나 당기면서 수행하는 운동 외에도 착좌부재(60)에 앉은 상태에서 하체 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운동에 재미를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하체 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운동의 효율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체단련구(70)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단순히 밴드당김부재(30)를 이용한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하체단련구(70)로 인해 운동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하체단련구(7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프레임(71)을 펼친 후 하체단련밴드(73)에 발판(72)을 연결하면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과 공간의 활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하체단련구(70)는 기본적으로 착좌부재(60)에 앉은 채로 사용하는 것이고, 하체단련구(70)를 사용 가능하게 펼친 상태에서는 받침프레임(71)이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에 있으며, 발판(72)은 받침프레임(71)의 상측에서 설정된 구간만을 이동할 수 있을 뿐이므로, 항상 안전한 상태로 하체단련구(70)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지지프레임 11 : 고정프레임
11a : 회동지지브라켓 12 : 회동프레임
12a : 회동축 12b : 각도조절홀
13 : 회동제한핀 14a : 제한핀이동레버
14b : 제한핀지지스프링
15 : 수용공간 F : 고정수단
20 : 탄성밴드
30 : 밴드당김부재 31 : 결속부
32 : 연결부 33 : 파지부
40 : 구획부재
50 : 밴드지지체 51 : 밴드지지축
52 : 밴드지지롤러
60 : 착좌부재 61 : 착좌패널
62 : 다리수용부
70 : 하체단련구 71 : 받침프레임
72 : 발판 73 : 하체단련밴드

Claims (5)

  1. 벽체 또는 기둥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0);
    상기 수용공간(15)에 설치되어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에서 각기 다른 신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밴드(20);
    복수개의 상기 탄성밴드(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연결되게 설치하여, 그 연결된 상기 탄성밴드(20)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신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밴드당김부재(30);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다리수용부(62)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착좌패널(61)과, 상기 착좌패널(61)의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수용부(62)에 수용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끝단면이 바닥에 지지되게 형성된 지지다리(65)로 이루어진 착좌부재(60);
    상기 지지다리(65)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다리(65)를 펼친 후 지면에 지지되게 하향 회동시키면, 발바닥을 올려둔 상태에서 하체를 전후로 이동해가며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체단련구(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체단련구(70)는, 상기 지지다리(65)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한 쌍의 받침프레임(71)과, 그 받침프레임(71)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구간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된 발판(72)과, 상기 지지다리(65)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72)이 전후 이동함에 따라 신축되도록 연결된 하체단련밴드(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벽체 또는 기둥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과, 그 고정프레임(11)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수단(F)에 의해 고정되게 형성된 회동프레임(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5) 내에 복수개의 상기 탄성밴드(20) 각각이 신축되는 영역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탄성밴드가 신축되는 동안 나머지 탄성밴드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신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구획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7392A 2019-10-15 2019-10-15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102254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392A KR102254963B1 (ko) 2019-10-15 2019-10-15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PCT/KR2019/017454 WO2021075637A1 (ko) 2019-10-15 2019-12-11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392A KR102254963B1 (ko) 2019-10-15 2019-10-15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79A KR20210044379A (ko) 2021-04-23
KR102254963B1 true KR102254963B1 (ko) 2021-05-24

Family

ID=7553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392A KR102254963B1 (ko) 2019-10-15 2019-10-15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4963B1 (ko)
WO (1) WO20210756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2206A1 (en) * 2022-11-09 2024-05-16 Blake Kassel Exercise machine employing one or more flexible exercise ban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48B1 (ko) * 2006-07-20 2007-04-09 김병수 운동기구
US20170239512A1 (en) * 2016-02-19 2017-08-24 Prx Performance, Llc Retractable Wall Mounted Weightlifting Bench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515A (ko) 2009-04-07 2010-10-15 오창우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US7976445B2 (en) * 2009-05-21 2011-07-12 Nabile Lalaoua Door mounted gym
KR20130032040A (ko) 2011-09-22 2013-04-01 장용주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KR101196369B1 (ko) * 2012-02-02 2012-11-01 주식회사 네잎플러스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
KR101619439B1 (ko) * 2014-09-12 2016-05-10 홍석표 근력강화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48B1 (ko) * 2006-07-20 2007-04-09 김병수 운동기구
US20170239512A1 (en) * 2016-02-19 2017-08-24 Prx Performance, Llc Retractable Wall Mounted Weightlifting Bench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2206A1 (en) * 2022-11-09 2024-05-16 Blake Kassel Exercise machine employing one or more flexible exercise b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79A (ko) 2021-04-23
WO2021075637A1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571B1 (en) Exercise apparatus
US20140221881A1 (en) Device for repetitive spine extension at selectable lumbar levels for stimulation of vertebral segments
US6422982B1 (en) Chiropractic exerciser
WO2015057526A1 (en) Abdominal rocking exercise apparatus
KR101506419B1 (ko) 다리 찢기 운동기구
US9352179B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KR101952162B1 (ko) 요가용 어셈블리
JP2010274117A (ja) 多目的運動器具
US20070155602A1 (en) Sit-up exercise bench
KR102254963B1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101390876B1 (ko) 운동 장치
US7172540B2 (en) Portable abdominal exerciser
KR101535753B1 (ko) 의자장착용 운동기구
RU2050881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комнатный тренажер
US20050143235A1 (en) Training device
KR20080000998U (ko) 실내용 평행봉 운동기구
KR101540538B1 (ko) 허리운동기구
CN112295167B (zh) 一种多功能体育锻炼仰卧收腹器械
EP1955735B1 (de) Trampolin
EP1750813B1 (en) Apparatus for exercising deep abdominal and back muscles
AU2004224932A1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KR20180009284A (ko) 상반신용 재활치료 운동기구
KR20180002584U (ko) 신장 이완용 복합 운동기구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