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515A -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 Google Patents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515A
KR20100111515A KR1020090029978A KR20090029978A KR20100111515A KR 20100111515 A KR20100111515 A KR 20100111515A KR 1020090029978 A KR1020090029978 A KR 1020090029978A KR 20090029978 A KR20090029978 A KR 20090029978A KR 20100111515 A KR20100111515 A KR 2010011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frame
tubing band
coupled
tu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우
Original Assignee
오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우 filed Critical 오창우
Priority to KR102009002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1515A/ko
Publication of KR2010011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추(바벨)의 교체없이 튜빙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양한 부위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하는 사람에게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는 튜빙밴드; 좌판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단과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되, 전방 상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상부걸고리부가 형성되고, 전방 중앙부분에는 일정간격으로 중앙걸고리부가 형성되며, 전방 하단에는 하부걸고리부가 형성된 수직지지프레임; 중앙부분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단에는 전후방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팔받침판이 결합되며, 하단에는 전방 양단에 받침걸고리부가 형성된 받침대가 결합된 전방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튜빙, 수평프레임, 수직지지프레임, 전방지지프레임, 헬스

Description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HEALTH APPARATUS USING TUBING BAND}
본 발명은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바벨)의 교체없이 튜빙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양한 부위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하는 사람에게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하게 일고 있는 웰빙(well - being) 붐과 함께, 식습관의 서구화로 인하여 촉발되는 성인병의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는 현상에 기인하여, 레저 활동뿐만 아니라 각종 실내·외 운동에 대한 사회 전반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에 부응하여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시설들이 급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날씨나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실내에서 운동을 하기에 적합한 헬스(웨이트)운동이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헬스 운동을 하기 위해선 각각 별도의 운동기구들을 이용하거 나, 이러한 운동기구가 구비된 휘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였다. 그러나 운동자는 이러한 운동기구를 각각 따로 구입하거나 또는 휘트니스 이용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감이 따랐다. 또한 휘트니스 센터와 같이 일정한 장소에 찾아가서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운동자가 일정한 시간을 매번 할애해야 할 뿐만 아니라 비가 오거나 눈이 올 때는 이동하는 것이 번거롭게 되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가정에서 하나의 운동 기구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정용 복합 운동기구가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가정용 복합 운동기구는 주로 추(바벨)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이는 운동자의 근력 능력에 따라 많은양의 추를 구입해야 되며, 그 비용 또한 고가일 뿐 아니라, 이러한 운동기구의 추는 육중한 무게로 인하여 이송 및 보관하기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가정용 복합 운동기구는 운동자의 근력에 따라 다양한 무게를 갖는 추를 더하나 빼내어 교체사용하게 되는 데, 이러한 추의 교체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이 아니라 자칫 무거운 중량의 원반을 교체하다 발등이나 주변사람에게 떨어져 상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운동기구는 무거운 추를 들고 내리기 때문에 팔에 근력이 소진되거나 지나친 무게의 바벨을 사용시는 경우, 사람에 따라 과도한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여 놓치는 경우가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추(바벨)의 교체없이 튜빙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양한 부위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하는 사람에게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양단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튜빙밴드;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고, 전방 상측에는 좌판이 장착되며, 후방 상측에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로 경사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등 및 머리를 지지해주는 등받이부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단과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되, 전방 상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상부걸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가 회동되는 범위에 대응되는 전방 중앙부분에는 일정간격으로 중앙걸고리부가 형성되며, 전방 하단에는 하부걸고리부가 형성된 수직지지프레임; 중앙부분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단에는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팔받침판이 결합되며, 하단에는 전방 양단에 받침걸고리부가 형성된 받침대가 결합된 전방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튜빙밴드를 상기 각각의 걸고리부에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시킨 후 튜빙밴드의 탄성을 이 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헬스기구는 추(바벨)의 교체없이 튜빙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양한 부위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하는 사람에게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추 낙하에 의한 사고도 예방할 수 있어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 기구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4 내지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 기구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양단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튜빙밴드(10)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튜빙밴 드(10)를 이용하여 종래의 헬스기구와 같은 추(바벨)의 교체없이 후술하는 복합 헬스기구를 통해 간편하게 다양한 부위의 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튜빙밴드(10)는 중앙은 소정 길이를 갖고 일정한 탄성을 갖는 링형태의 고무줄(11)과, 이 고무줄의 양단에 결합되는 손잡이(1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2)에는 밴드, 고리, 링크 등의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손잡이와 고무줄을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운동자의 근력에 따라 튜빙밴드의 탄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각각 다른 탄성을 갖는 고무줄을 손잡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일정한 탄성을 갖는 고무줄을 복수개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튜빙밴드의 탄력을 조절하여 추의 무게를 가감시켜 운동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빙밴드(10)를 걸어 다양한 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 헬스기구(1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복합 헬스기구(100)는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데, 상기 프레임은 가볍고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금속파이프 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복합 헬스기구는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고, 전방 상측에는 좌판(111)이 장착되며, 후방 상측에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로 경사를 조 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등 및 머리를 지지해주는 등받이부(112)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수평프레임(110)은 좌판, 등받이부를 장착되어 운동자가 안정적으로 착석한 후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112)는 운동자의 운동부위에 따라 적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고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수평지지프레임(110)에 대해 선택적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데,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이부(112)는, 전방 하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하면 중앙부분에는 지지부재(112a)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10)의 상면에는 순차적으로 상기 지지부재(112a)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개의 걸림홈(1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12a)의 하단이 상기 다수개의 걸림홈 (113)중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112)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112)는 지지부재가 걸림홈에 끼워지는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프레임(110)과 0도 내지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10)은 운동자의 운동부위에 따라 적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고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프레임은 전방수평프레임(110-1) 및 후방수평프레임(110-2)으로 중앙이 분리되고, 상기 전방수평프레임(110-1)에 후방 수평프레임(110-2)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수평프레임(110-1)의 후단부에는 다수의 체결공(110-1a)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수평프레임(110-2)의 전단부에는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다수의 나사공(110-2a)이 형성되어, 수평프레임의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볼트(B)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수평프레임(110-1)에 후방수평프레임(110-2)이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한 후 대응되는 체결공(110-1a)과 나사공(110-2a)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수평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프레임(110)의 후단과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20)의 양단에 결합되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지지프레임(13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상기 한쌍의 수직지지프레임(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지지프레임(130)을 서로 연결시키고, 수평프레임(110)과 결합되어 수평프레임의 후방을 지지한다. 여기서 각각의 수직프레임(130)의 하단에는 바닥프레임(131)이 설치되어 수직프레임이 지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30) 상에는 근력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튜빙밴드(10)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걸고리부가 형성된다. 즉, 수직지지프레임(130)의 전방 상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상부걸고리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112)가 회동되는 범위에 대응되는 수직지지프레임(130)의 전방 중앙부분에는 일 정간격으로 중앙걸고리부(133)가 형성되며, 수직지지프레임(130)의 전방 하단에는 하부걸고리부(134)가 형성된다. 각각의 운동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상부걸고리부(132)는 튜빙밴드를 걸어 활배, 삼두부위의 운동을 하기 위한 부분이고, 상기 중앙걸고리부(133)는 튜빙밴드를 걸어 가슴부위를 운동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하부걸고리부(134)는 튜빙밴드를 걸어 어깨부위를 운동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상기 각각의 걸고리부는 상기 튜빙밴드의 고무줄이 걸려 지지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고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링의 일부에 스프링이 달려 있어 선택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카라비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앙부분이 상기 수평프레임(110)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단에는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팔받침판(150)이 결합되며, 하단에는 전방 양단에 받침걸고리부(141a)가 형성된 받침대(141)가 결합된 전방지지프레임(140)이 구비된다. 즉, 전방지지프레임(140)는 수평프레임(110)의 전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프레임(110)의 전방을 지지하고, 전방지지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된 받침대(140)가 지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밀착되면서 전방지지프레임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40)에 형성된 받침걸고리부(141a)는 튜빙밴드(10)를 걸어 이두부위를 운동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받침걸고리부(141a)는 일반적인 고리로 마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의 일부에 스프링이 달려 있어 선택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카라비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프레임(140)은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사람의 신장에 맞게 팔받침대(150)가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프레임(140)의 전방으로는 운동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받침대(16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발받침대(160)는 별도의 지지대(161)를 통해 수평프레임(110)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받침대(141)의 하단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10)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바퀴(141b)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팔받침판(150)은 운동자의 운동부위에 따라 적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고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팔받침판(150)의 하단은 상기 전방지지프레임(14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이 팔받침판(150)의 하단에는 상기 팔받침판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원호 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군데 이상 고정공(152a)이 형성된 브라켓(152)이 결합되며, 상기 전방지지프레임(140)의 상단부에는 상기 고정공(152a)과 대응되는 끼움공(14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팔받침판(150)이 전후 방향 일정각도 회동된 상태에서, 미도시된 고정핀을 상기 고정공(152a) 및 끼움공(142)에 삽입시켜 팔받침판이 일정한 각도가 유지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팔받침판(150)의 하면 양측에는 팔받침걸고리부(15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팔받침걸고리부(151)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튜빙밴드를 걸어 등 및 복근부위의 운동을 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튜빙 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의 사용방법을 통해 알아본다.
본 발명은 추(바벨)의 교체없이 튜빙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양한 부위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활배부위를 운동하고자 할 때에는, 전방수평프레임(110-1)에 후방수평프레임(110-2)을 삽입시켜 좌판(111) 및 등받이부(112)를 수직지지프레임(130)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볼트(B)를 통해 전방수평프레임과 후방수평프레임을 서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운동자의 등과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112)를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킨 다음, 좌판과 등받이부에 운동자의 몸이 밀착되도록 착석한다. 그 다음 도4와 같이 튜빙밴드의 고무줄(11) 부분을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걸고리부(132)에 걸림시키고, 튜빙밴드의 양단에 마련된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5와 같이 튜빙밴드를 잡아당겨 활배부위를 수축시키고, 다시 도4와 같이 튜빙밴드를 올려 활배부위를 이완시킨다. 이와 같이 도4 및 도5의 동작과 같이 활배부위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다음으로, 삼두부위를 운동하고자 할 때에는, 도6과 같이 일측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걸고리부(132)에 튜빙밴드의 고무줄(11) 부분을 걸림시키고 튜빙밴드의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7과 같이 튜빙밴드를 아래로 밀어 삼두부위를 수축시키고 다시 도6와 같이 튜빙밴드를 올려 삼두부위를 이완시킨다. 이와 같이 도6 및 도7의 동작과 같이 삼두부위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다음으로, 가슴부위를 운동하고자 할 때에는, 전방수평프레임(110-1)에 후방수평프레임(110-2)을 삽입시켜 좌판(111) 및 등받이부(112)를 수직지지프레임(130)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볼트(B)를 통해 전방수평프레임과 후방수평프레임을 서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운동자의 등과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를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킨 다음, 좌판과 등받이부에 운동자의 몸이 밀착되도록 착석한다. 그 다음 도8와 같이 튜빙밴드의 고무줄(11) 부분을 수직지지프레임의 중앙걸고리부(133)에 걸림시키고, 튜빙밴드의 양단에 마련된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9와 같이 튜빙밴드를 밀어 가슴부위를 수축시키고, 다시 도8과 같이 튜빙밴드를 가슴쪽으로 위치시켜 가슴부위를 이완시킨다. 이와 같이 도8 및 도9의 동작과 같이 가슴부위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다음으로, 어깨부위를 운동하고자 할 때에는, 전방수평프레임(110-1)에 후방수평프레임(110-2)을 삽입시켜 좌판(111) 및 등받이부(112)를 수직지지프레임측으 로 이동시킨 다음, 볼트를 통해 전방수평프레임과 후방수평프레임을 서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운동자의 등과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를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킨 다음 좌판과 등받이부에 운동자의 몸이 밀착되도록 착석한다. 그 다음 도10와 같이 튜빙밴드의 고무줄(11) 부분을 수직지지프레임의 하부걸고리부(134)에 걸림시키고, 튜빙밴드의 양단에 마련된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11와 같이 튜빙밴드를 위로 밀어 어깨부위를 수축시키고, 다시 도10와 같이 튜빙밴드를 내려 어깨부위를 이완시킨다. 이와 같이 도10 및 도11의 동작과 같이 어깨부위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다음으로, 이두부위를 운동하고자 할 때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받침대(150)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조절한 후, 튜빙밴드(10)를 받침걸고리부(141)에 걸림시킨다. 그리고 튜빙밴드의 양단에 마련된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12)를 가슴쪽으로 당겨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두부위를 수축시키고, 다시 도12와 같이 손잡이 하방향으로 위치시면서 이두부위를 이완시킨다. 이와 같이 도12 및 도13의 동작과 같이 이두부위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다음으로, 복근부위를 운동하고자 할 때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받침대(150)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조절한 후, 팔받침대(150)의 하단과 좌판(111)의 상단 사이에 발을 끼워 넣은 후, 튜빙밴드(10)를 팔받침걸고리부(151)에 걸림시킨 다음, 튜빙밴드을 당겨 편안하게 눕는다. 그리고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빙밴드 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체를 일으켜 복근부위를 수축시킨다. 이와 같이 도14 및 도15의 동작과 같이 복근부위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등부위를 운동하고자 할 때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받침대(150)에 발을 올려 놓고 편하게 착석한 상태에서 튜빙밴드(10)를 팔받침걸고리부(151)에 걸림시킨 후,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빙밴드의 손잡이(12)를 후방으로 당겨 등부분이 수축되도록 한다. 다시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를 전방으로 위치시키면서 등부위를 이완시킨다. 이와 같이 도16 및 도17의 동작과 같이 등부위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는 추를 이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다양한 부위를 운동할 수 있고, 고가의 추를 구입하지 않고도 고무줄의 탄성 및 갯수를 조절하여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며,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이송 및 보관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무거운 추의 교체작업을 할 필요가 없이 고물줄의 탄성 및 갯수를 조절하여 운동할 수 있으므로, 무거운 중량의 원반을 교체하다 발등이나 주변사람에게 떨어져 상해를 입는 경우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4 내지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Claims (5)

  1.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양단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튜빙밴드;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고, 전방 상측에는 좌판이 장착되며, 후방 상측에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로 경사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등 및 머리를 지지해주는 등받이부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단과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되, 전방 상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상부걸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가 회동되는 범위에 대응되는 전방 중앙부분에는 일정간격으로 중앙걸고리부가 형성되며, 전방 하단에는 하부걸고리부가 형성된 수직지지프레임;
    중앙부분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단에는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팔받침판이 결합되며, 하단에는 전방 양단에 받침걸고리부가 형성된 받침대가 결합된 전방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튜빙밴드를 상기 각각의 걸고리부에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시킨 후 튜빙밴드의 탄성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전방 하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하면 중앙부분에는 지지부재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에는 순차적으로 상기 지지부재이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이 상기 다수개의 걸림홈 중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헬스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전방수평프레임 및 후방수평프레임으로 분리되고, 전방수평프레임에 후방수평프레임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전방수평프레임의 후단부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수평프레임의 전단부에는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수평프레임의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헬스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받침판의 하단은 상기 전방지지프레임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이 팔받침판의 하단에는 상기 팔받침판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원호 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군데 이상 고정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마련되며,
    상기 전방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상기 팔받침판이 전후 방향 일정각도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핀을 상기 고정공 및 끼움공에 삽입시켜 팔받침판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받침판의 하면 양측에는 팔받침걸고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KR1020090029978A 2009-04-07 2009-04-07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KR20100111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978A KR20100111515A (ko) 2009-04-07 2009-04-07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978A KR20100111515A (ko) 2009-04-07 2009-04-07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515A true KR20100111515A (ko) 2010-10-15

Family

ID=4313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978A KR20100111515A (ko) 2009-04-07 2009-04-07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15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90Y1 (ko) * 2012-03-07 2013-08-21 안용원 운동기구
KR20210044379A (ko) 2019-10-15 2021-04-23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102258203B1 (ko) * 2021-02-22 2021-05-27 박정열 가정용 복합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90Y1 (ko) * 2012-03-07 2013-08-21 안용원 운동기구
KR20210044379A (ko) 2019-10-15 2021-04-23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102258203B1 (ko) * 2021-02-22 2021-05-27 박정열 가정용 복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681B2 (en) Core training bench
US7255666B2 (en) Multi-function swing apparatus for total-body exercise, stretching, yoga, spinal traction, gymnastics, inversion therapy, spinal manipulation and weightless coupling and sky chair
US7914428B2 (en) Multi-directional body swing, turn and twist trainer with interchangeable and adjustable attachments
US9713745B2 (en) Portable calisthenics exercise device
US2109188A (en) Apparatus for restoring muscles in infantile paralysis
US7654941B2 (en) Exercise apparatus
US6231489B1 (en) Device for multiple torso exercises
US20060135329A1 (en) Universal exercise apparatus
US20100323852A1 (en) Yoke training system
JP2009522073A (ja) 訓練装置
JP2013121550A (ja) 腹部運動装置
US20130210593A1 (en) Exercise system and method
US20170333745A1 (en) Portable rehab station with standing assist
EP2537564B1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JP2010511425A5 (ko)
US8858410B2 (en) Multi-directional body swing trainer with interchangeable and adjustable attachments
WO2012169762A2 (ko) 스트레칭기구
US11097145B2 (en) Free weight belt squat machine
TWI681799B (zh) 攀爬訓練器
US6165112A (en) Collapsible knee exercise device
US20040067830A1 (en) Exercise device
US20100022367A1 (en) Abdominal exerciser
US20190015695A1 (en) Inclined reverse hyperextension exercise device
US4248420A (en) Dynamic self-resisting exercise chair
KR20100111515A (ko)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