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90Y1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90Y1
KR200468490Y1 KR2020120001780U KR20120001780U KR200468490Y1 KR 200468490 Y1 KR200468490 Y1 KR 200468490Y1 KR 2020120001780 U KR2020120001780 U KR 2020120001780U KR 20120001780 U KR20120001780 U KR 20120001780U KR 200468490 Y1 KR200468490 Y1 KR 200468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upright
support
buf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원
Original Assignee
안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원 filed Critical 안용원
Priority to KR2020120001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운동을 하나의 기구에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한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도록 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운동기구(1000)는, 고무줄(1510)을 매개로 손잡이(1520)가 일단과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도록 고리(1110)를 갖춘 다리부재(1120)와, 다리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베드설치프레임(1130)으로 구성된 프레임수단(1100)과, 베드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면에 완충판(1210)을 갖춘 베드수단(1200)과, 베드설치프레임 또는 베드수단에 수직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베드설치프레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세움프레임(1310)과, 세움프레임의 길이보다 짧게 세움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각각에 완충판(1321,1322)이 설치되되, 상기 세움프레임의 완충판에 등 또는 가슴을 각각 밀착시킬 때 세움프레임쪽으로 돌출되어 베드설치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된 베드수단에 앉아서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세움수단(1300)과, 베드수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지지되는 기둥부재(1410)와, 기둥부재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윗몸일으키기를 할 때 발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발목지지부(1420)와, 발목지지부의 상방향에는 고무줄을 매개로 손잡이가 각각 설치된 고리를 갖춘 수직세움수단(1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기구{Spor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운동을 하나의 기구에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한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도록 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는 근육을 단련시키기 위한 것과,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근육을 단련시키기 위한 운동기구는 프레스와 같이 여러 개의 무게 추를 걸은 상태에서 이를 들어올리는 것이고,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한 운동기구는 인버션 테이블과 같이 몸을 늘려주는 것이다.
종래 근육 운동을 위한 운동기구의 경우 무게 추 등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사용이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근육을 단련시킨 후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트레칭용 운동기구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운동기구를 구비해야하는 비용적 부담과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53501호로 "운동기구"가 제안되어 있는바, 상단에 수평대가 형성된 바디 프레임; 상체와 하체를 받치도록 전후로 구획된 한 쌍이 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후방측 끝단은 상기 수평대의 후단에 축 결합되고, 전방측 끝단에는 상기 수평대 상에서 구동하도록 롤러가 결합된 베드; 상기 수평대의 하부에 축 결합된 회전축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드에 눕거나 앉아서 두 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과 상기 베드를 연결하여 상기 손잡이를 움직이면 상기 베드의 연결부분을 들어올리면서 접도록 형성된 링크; 및 상기 하체를 받치도록 구획된 베드의 끝단으로부터 출입하면서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고, 양측에는 발을 올리거나 걸기 위한 지지 바가 형성된 발걸이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등록 제10-0953501호로 "운동기구"는 전후로 분리된 베드 위에 체중을 실은 상태에서 손잡이를 밀어 전후 베드의 연결부분이 들어 올려지면서 체중을 이용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편리하게 근육 운동을 할 수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0953501호의 운동기구는 전후로 분리된 베드 위에 누운 상태에서 손잡이를 밀면 베드의 연결부분이 허리를 들어올리면서 몸이 뒤로 젖혀지듯 펼쳐짐으로써, 운동으로 긴장된 근육을 간편하게 풀어줄 수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0953501호의 운동기구는 베드가 바디 프레임으로부터 회전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인버션 테이블과 같이 상체를 거꾸로 기울이면서 허리를 뒤로 젖혀 스트레칭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그러나 소비자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면서도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운동기구의 출현을 항상 기다리고 있다. 또한 제조 또는 구입 비용도 저렴한 운동기구의 출현을 기다리고 있는바, 상술한 특허등록 제10-0953501호의 운동기구는 바디 프레임과 베드, 손잡이, 링크, 및 발걸이 부재를 구성하는데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소비자의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운동을 하나의 기구에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수단의 다리부재가 절첩 및 분해가 가능하여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한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도록 된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고무줄을 매개로 손잡이가 일단과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도록 고리를 갖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베드설치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수단과, 상기 베드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면에 완충판을 갖춘 베드수단과, 상기 베드수단에 직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설치된 세움프레임과, 이 세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세움프레임의 단부에서 세움프레임의 길이보다 짧게 설치되어 베드설치프레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세움지지판과, 상기 세움지지판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각각에 설치된 완충판을 구비하되, 상기 세움프레임의 완충판에 가슴 또는 등을 밀착시킬 때 세움지지판쪽으로 길게 돌출되어 베드설치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된 베드수단의 완충판에 앉아서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세움수단과, 상기 베드수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지지되는 기둥부재와, 이 기둥부재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윗몸일으키기를 할 때 발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발목지지부와, 이 발목지지부의 상방향에는 고무줄을 매개로 손잡이가 각각 설치된 고리를 갖춘 수직세움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세움수단의 상단부에는 회동가능하게 세움수단지지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세움수단지지부는 상기 세움수단이 세워져 앞쪽과 뒤쪽으로 밀리지 않고 지지되도록 끼워지는 ㄷ자 형상의 세움수단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드설치프레임 또는 베드수단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고무줄과 손잡이를 걸쳐놓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 걸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는 회전축핀과 고정핀을 이용해 베드설치프레임의 하부에서 분해 또는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고무줄은 각각의 고리에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운동기구에 의하면, 다양한 운동을 하나의 기구에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수단의 다리부재가 절첩 및 분해가 가능하여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한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대량 보급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세움수단을 세워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부의 다리부재가 절첩되는 구성을 설명하는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0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수단(1100)과, 베드수단(1200) 및 세움수단(1300)과, 수직세움수단(1400) 및 고무줄(1510)과 손잡이(1520)로 이루어진 근운동수단(15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수단(1100)은, 근운동수단(1500)의 고무줄(1510)을 설치하기 위한 고리(1110)를 갖춘 다리부재(1120)와, 이 다리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베드설치프레임(1130)을 포함한다.
상기 다리부재(11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2열로 이루어져 있으나 1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리부재(1120)의 일측에는 상기 수직세움수단(1400)을 세우기 용이하도록 기둥부재끼움부(112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기둥부재끼움부(1121)에 수직세움수단(1400)을 끼우고 나서 도시되지 않은 핀을 상기 수직세움수단(1400)의 하부 외측에서 기둥부재끼움부(1121)로 끼우게 되면 수직세움수단(1400)이 상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둥부재끼움부(1121)에 수직세움수단(1400)을 끼우게 되면 수직세움수단(1400)의 하부가 안정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111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지면과 수직 또는 경사를 이루고 설치되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베드수단(1200)은, 상기 베드설치프레임(1130)의 상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부면에 완충판(1210)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베드수단(1200)은 완충판(1210)과 상기 베드설치프레임(1130)의 사이에 완충재설치판(122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완충판(1210)과 완충재설치판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세움프레임설치부재(1230)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재설치판(1220)에 설치된 완충판(1210)에 의해 베드수단(1200)에 눕거나 업드린 사용자가 편안하게 운동을 할 수 있고, 또 상기 완충판(1210) 또는 완충재설치판(1220)이 없이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완충판(1210)과 완충재설치판(1220)이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세움프레임설치부재(1230)에는 근운동수단(1500)의 고무줄(1510)를 걸쳐 놓을 수 있도록 걸림고리(1131)가 설치되면 사용자가 근운동수단(1500)을 이용하기 용이하게 된다.
물론 상기 걸림고리(1131)는 상기 베드설치프레임(113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베드수단(1200)의 완충판(1210)에는 관통구멍(1240)이 설치될 수 있는바, 상기 수직세움수단(1400)을 관통구멍(1240)을 통해 끼우게 되면 안정되게 수직세움수단(1400)을 세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움수단(1300)은, 각각의 상기 베드설치프레임에 직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핀(1330)으로 힌지 설치된 세움프레임(1310)과, 이 세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세움프레임의 단부에 세움프레임의 길이보다 짧게 설치되어 베드설치프레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세움지지판(1320)과, 상기 세움지지판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각각에 설치된 완충판(1321,1322)을 구비하되, 상기 세움프레임의 완충판(1321)에 가슴 또는 등을 밀착시킬 때 세움지지판(1320)쪽으로 길게 돌출되어 베드설치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된 베드수단(1200)의 완충판(1210)에 앉아서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움프레임(1310)과 세움지지판(1320) 및 완충판(1321,1322)이 힌지핀(133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다음 후술하는 세움수단지지부(1440)에 의해 고정되게 되면, 상기 베드수단(1200)에서 세움지지판(1320)쪽으로 길게 돌출된 완충판(1210)에 앉아서 세움프레임(1310)과 세움지지판(1320)에 의해 설치된 완충판(1321)에 가슴 또는 등을 밀착하고 근운동기구(1500)를 잡고 가슴 쪽의 근육운동과 등 쪽의 근육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다양한 위치에 설치한 근운동기구(1500)를 이용하게 되면 전신에 있는 근육을 사용하여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세움수단(1400)은, 상기 베드수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240)으로 삽입되어 다리부재(1120)에 수직으로 끼워져 지지되는 고정부(1410)와, 길이 중간부에는 윗몸일으키기를 할 때 발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발목지지부(1420)와, 이 발목지지부의 주위와 상부에는 근운동수단(1500)인 고무줄(1510)을 매개로 손잡이(1520)가 각각 설치된 고리(1430)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세움수단(1400)을 설치하고 베드수단(1200)에 누워서 발목을 발목지지부(1420)에 끼우게 되면 윗몸일으키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베드수단(1200)에 앉거나 누워서 근운동수단(1500)을 잡고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세움수단(1400)의 상단부에는 회동가능하게 세움수단지지부(1440)가 더 설치되되, 상기 세움수단지지부(1440)는 상기 세움수단(1300)이 세워져 앞쪽과 뒤쪽으로 밀리지 않고 지지되도록 끼워지는 ㄷ자 형상의 세움수단끼움부(1441)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움수단(1300)을 수직으로 세우고 상기 세움지지판(1320)과 완충판(1321,1322)을 세움수단끼움부(1441)에 끼우게 되면 세움지지판(1320)과 완충판(1321,1322)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세움수단(1300)쪽으로 돌출된 상기 베드수단(1200)의 완충판(1210)에 앉아 가슴 또는 등을 밀착한 경우에 견고하게 가슴과 등을 지탱해 주게 된다.
상기 세움지지판(1320)과 완충판(1321,1322)은 둘 중 어느 하나는 없어도 되고,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다리부재(1120)는 회전축핀(1121)과 고정핀(1122)을 이용해 베드설치프레임(1130)에 설치된 브라켓트(1132)에 힌지결합되어 접철 또는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고, 미설명부호 1123은 다리부재를 접었을 때 고정핀으로 다리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멍이다.
상기 근운동수단(1500)의 고무줄(1510)은 각각의 고리(1110,1430)에서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운동기구 1100: 프레임수단
1110: 고리 1120: 다리부재
1130: 베드설치프레임 1131: 걸림부
1200: 베드수단 1210: 완충판
1300: 세움수단 1310: 세움프레임
1320: 세움지지판 1321: 완충판
1322: 완충판 1400: 수직세움수단
1410: 고정부 1420: 발목지지부
1430: 고리 1440: 세움수단지지부
1441: 세움수단끼움부 1500: 근운동수단

Claims (4)

  1. 고무줄(1510)을 매개로 손잡이(1520)가 일단과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도록 고리(1110)를 갖춘 다리부재(1120)와, 상기 다리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베드설치프레임(1130)으로 구성된 프레임수단(1100)과,
    상기 베드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면에 완충판(1210)을 갖춘 베드수단(1200)과,
    상기 베드수단(1200)에 직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설치된 세움프레임(1310)과, 이 세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세움프레임의 단부에서 세움프레임의 길이보다 짧게 설치되어 베드설치프레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세움지지판(1320)과, 상기 세움지지판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각각에 설치된 완충판(1321,1322)을 구비하되, 상기 세움프레임의 완충판(1321)에 가슴 또는 등을 밀착시킬 때 세움지지판(1320)쪽으로 길게 돌출되어 베드설치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된 베드수단(1200)의 완충판(1210)에 앉아서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세움수단(1300)과,
    상기 베드수단(1200)에 수직으로 세워져 지지되는 기둥부재(1410)와, 이 기둥부재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윗몸일으키기를 할 때 발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발목지지부(1420)와, 이 발목지지부의 상방향에는 고무줄(1510)을 매개로 손잡이(1520)가 각각 설치된 고리(1430)를 갖춘 수직세움수단(1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세움수단(1400)의 상단부에는 회동가능하게 세움수단지지부(1440)가 더 설치되되,
    상기 세움수단지지부(1440)는 상기 세움수단(1300)이 세워져 앞쪽과 뒤쪽으로 밀리지 않고 지지되도록 끼워지는 ㄷ자 형상의 세움수단끼움부(14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설치프레임(1130) 또는 베드수단(120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고무줄(1510)과 손잡이(1520)를 걸쳐놓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 걸림부(11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1120)는 회전축핀(1121)과 고정핀(1122)을 이용해 베드설치프레임(1130)의 하부에서 분해 또는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고무줄(1510)은 각각의 고리(1110,1430)에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2020120001780U 2012-03-07 2012-03-07 운동기구 KR200468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80U KR200468490Y1 (ko) 2012-03-07 2012-03-07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80U KR200468490Y1 (ko) 2012-03-07 2012-03-07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490Y1 true KR200468490Y1 (ko) 2013-08-21

Family

ID=5139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780U KR200468490Y1 (ko) 2012-03-07 2012-03-07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9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859A (ko) * 2001-06-08 2002-07-10 권구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0415322Y1 (ko) 2006-02-13 2006-05-02 김관우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0974099B1 (ko) 2007-11-29 2010-08-05 양해완 다목적 조립식 운동기구
KR20100111515A (ko) * 2009-04-07 2010-10-15 오창우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859A (ko) * 2001-06-08 2002-07-10 권구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0415322Y1 (ko) 2006-02-13 2006-05-02 김관우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0974099B1 (ko) 2007-11-29 2010-08-05 양해완 다목적 조립식 운동기구
KR20100111515A (ko) * 2009-04-07 2010-10-15 오창우 튜빙밴드를 이용한 복합 헬스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212B2 (en) Omni-directional abdominal exerciser
US8905902B2 (en) Exercise kit
KR102071893B1 (ko) 스쿼트 및 로망체어 운동이 가능한 복합운동기구
KR20210042232A (ko) 스쿼트운동기구
KR100974099B1 (ko) 다목적 조립식 운동기구
US20060205575A1 (en) Waist and belly stretching exerciser
KR101194993B1 (ko) 트위스트운동 및 다리운동 겸용 복부운동기구
KR101003447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20110014907A (ko) 상하체 운동이 가능한 헬스 자전거
KR100953501B1 (ko) 운동기구
KR200468490Y1 (ko) 운동기구
TW201729872A (zh) 蹲立健身器
KR101827253B1 (ko) 다기능 복합운동기구
KR101414353B1 (ko) 절첩형 싯업 보드
KR101297147B1 (ko) 운동기구
KR101472218B1 (ko) 종합 운동기구
KR101386260B1 (ko) 근력 운동기구
KR20120044806A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0424860Y1 (ko) 보관이 용이한 헬스기구
JP6197161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435599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20140124194A (ko) 호랑이걸음용 다용도 운동기구
KR200463896Y1 (ko) 체중을 이용한 플라이운동기구
KR200421759Y1 (ko) 다목적 헬스기구
CN205867437U (zh) 上肢力量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