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374B1 -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374B1
KR100940374B1 KR1020080002216A KR20080002216A KR100940374B1 KR 100940374 B1 KR100940374 B1 KR 100940374B1 KR 1020080002216 A KR1020080002216 A KR 1020080002216A KR 20080002216 A KR20080002216 A KR 20080002216A KR 100940374 B1 KR100940374 B1 KR 10094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astic support
support frame
vertical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332A (ko
Inventor
홍은영
Original Assignee
홍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은영 filed Critical 홍은영
Priority to KR102008000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3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1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with guided foot supports moving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by trans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2Abdomen moving torso and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가볍고, 소형이어서 휴대가 간편하고,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허리를 포함한 하체운동이 가능한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로서,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쪽에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쪽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발걸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탄성체 지지프레임;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와 발걸이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하부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경유하는 와이어 로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운동기구,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Description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PORTABLE LEG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고, 가볍고, 소형이어서 휴대가 간편하고,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허리를 포함한 하체운동이 가능한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운동부족으로 인한 각종 근육계 및 내장질환의 발생율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걷기 운동 부족으로 인해 하체 근육이 퇴행하고 하체와 상체 간의 혈행이 원활치 못하여 하체 비만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시간을 내어 운동을 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운동시간을 별도로 마련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실내에서 간단하게 운동할 수 있는 각종 운동기구들이 각광받고 있다.
현재 많이 공급되어 있는 실내운동기구들은 유산소 운동에 적합한 러닝머신이 대표적이고, 그 밖에 신체의 전신운동기구 및 신체 특정부위의 근력강화를 위한 부분별 운동기구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중량물이어서 휴대 및 보관이 용이치 않고,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구입하기에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며,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어서 고장이 잦음은 물론 고장으로 인해 수리를 요할 때 수리비용이 많이 들어서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경량이며, 소형이어서 휴대가 간편하고,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허리를 포함한 하체의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원의 청구항 1에서와 같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쪽에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쪽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발걸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탄성체 지지프레임;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와 발걸이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하부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경유하는 와이어 로프;로 구성된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2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은 수직프레임에 고정되고 탄성체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 프레임에 와이어 행거에 의해 매달림 지지된 휴대용 하 체 운동기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3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 행거는 삼각형태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되, 양쪽 단부가 연결되지 않은 개곡선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양쪽 말단부에는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 또는 고정 프레임에 거치되도록 후크부가 형성된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4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와이어 행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이 형성된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6에서와 같이,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제1이음구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이음구와; 상기 제1이음구 및 제2이음구에 끼움 결함되되, 제2이음구와는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이며,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고정홀이 천공된 길이조절바와; 상기 제2이음구를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홀중 선택된 어느 한 고정홀을 관통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7에서와 같이,
상기 발걸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 뒷꿈치를 감싸주는 뒤꿈치 밴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사이즈가 작고, 가벼워서 휴대가 간편하다. 따라서, 실·내외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둘 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없고, 가격이 저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세 째, 간단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허리, 복부, 다리 등 모든 하체운동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기구이다.
네 째, 탄성체의 강약조절이 가능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자신의 체력 및 신장조건에 맞는 맞춤운동이 가능하다.
다섯 째, 각 이음구와 각 프레임을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이 운반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 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측 단면도이며, 도 3a ~ 3c는 탄성체의 강도 조절을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높이조절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발걸이의 착용상태도이고,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1이며, 도 7a ~ 7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2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첨부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는 뼈대 역할을 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을 갖는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단에는 고정프레임(20)이 고정상태로 결합되며, 그 밑쪽에는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은 와이어 행거(4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 행거(40)는 도 3a ~ 3c에서 보듯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되, 양쪽 단부가 연결되지 않은 개곡선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양쪽 말단부에는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 또는 고정프레임(20)에 거치되도록 제1,2후크부(44c,44d)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와이어 행거(40)는 장변(41), 중변(42), 단변(43)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와이어 행거의 위치변경에 따라, ①장변(41)의 양쪽 절곡부(44a,44b)에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을 거치하거나, 또는 ②중변(42)의 일측 절곡부(44b)와 제1후크부(44c)에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을 거치하거나, 또는 ③단변(43)의 일측 절곡부(44a)와 제2후크부(44d)에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①의 경우는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의 간격이 가장 멀고, ②의 경우는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의 간격이 중간정도이고, ③의 경우는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의 간격이 가장 짧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겠지만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30)에 지지되는 탄성체(후술 예정임)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에는 상기 와이어 행거(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방지홈(22,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에 상기 와이어 행거(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환형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행거(40)의 위치변경시 또는 동작중에 와이어 행거가 원래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위쪽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50)을 가지며, 상부 프레임(50)의 양쪽에는 2구형 이음구(52)를 매개로 하여 손잡이(6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50) 및 손잡이(60)는 높이조절수단(70)에 의해 높 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70)은 상기 상부 프레임(50)에 끼움 결합된 한 쌍의 3구형 제1이음구(72)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이음구(74)와, 상기 제1이음구(72) 및 제2이음구(74)에 끼움 결합되는 길이조절바(76)와, 상기 제2이음구(74) 및 길이조절바(76)를 동시에 관통하여 제2이음구와 길이조절바를 결합하여 주는 스토퍼(7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바(76)는 제2이음구(74)로 부터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 즉 길이조절이 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길이방향으로는 수개의 고정홀(76a)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토퍼(78)가 수 개의 고정홀중 선택된 어느 한 고정홀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단에 3구형의 이음구(82)를 매개로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80)을 갖는다.
상기 하부 프레임(80)의 양쪽에는 사용자의 발을 걸기 위한 한 쌍의 발걸이(90)가 구비된다. 상기 발걸이(90)에는 도 1 및 도 5에서 보듯이 사용자의 발 뒤꿈치를 감싸주는 뒤꿈치 지지밴드(9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80)과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30) 사이에는 탄성체(100)가 위치하되, 탄성체(100)의 도면상 상단은 탄성체 지지프레임(30)에 지지되고, 도면상 하단은 와이어 로프(110)를 매개로 상기 발걸이(90)와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와이어 로프(110)는 도 2에서 보듯이 그 일단이 상기 탄 성체 지지프레임(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발걸이(90)에 연결되되, 중간지점은 상기 하부 프레임(8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도르레(120)를 경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높이조절수단(70)에 의해 손잡이(60)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하고, 또한 와이어 행거(40)를 회전 조작하여 탄성체(100)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는 작업을 선행한다.
상기 와이어 행거(40)를 조작함에 있어서, 상기 장변(41)의 양쪽 절곡부(44a,44b)에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을 거치하는 경우는, 탄성체(100)가 인장되지 않은 평이한 상태되어 발걸이(90)를 당김에 있어서 힘이 덜 들게 되므로 평이한 운동시에 사용된다.
한편, 중변(42)의 일측 절곡부(44b)와 제1후크부(44c)에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을 거치하는 경우는, 탄성체(100)가 약간 인장된 상태가 되어 발걸이(90)를 당김에 있어서 약간의 힘을 들여야 되므로 중간강도의 운동시 사용된다.
또 한편, 단변(43)의 일측 절곡부(44b)와 제2후크부(44c)에 고정프레임(20)과 탄성체 지지프레임(30)을 거치하는 경우는, 탄성체(100)가 최대로 인장된 상태가 되어 발걸이(90)를 당김에 있어서 매우 큰 힘을 들여야 되므로 최상강도의 운동시 사용된다.
이러한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의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례, 다리운동(도 6a, 6b참조)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부터, 발걸이(90)에 사용자의 발을 끼워넣고, 손잡이(60)를 잡은 후, 상체의 자세는 유지한 채 다리에 힘을 주어 발걸이(60)를 잡아 당기고 미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다리 관절은 물론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이 가능하다.
두 번째 사례, 허리운동과 다리운동의 병행(도 7a ~ 7c참조)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부터 상체를 약간 뒤로 젖힌 후, 발걸이(90)에 발을 끼워넣고 상부 프레임(50)은 사용자의 복부에 밀착시킨다. 이로 부터, 상체를 고추 세우는 1단계 운동을 시행한다. 이는 상체가 약간 뒤로 젖힌 상태에서 세우는 과정에서 허리운동을 유발함으로써 허리 강화운동은 물론 복부 비만을 예방해주는 운동효과가 있다.
이어서, 발걸이(90)를 잡아 당김에 따라 다리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리 관절은 물론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에서 발걸이(90)에 발을 끼운 후, 양쪽 발걸이를 번갈아가면서 들어올리는 고강도 운동도 가능하므로 활용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측 단면도
도 3a ~ 3c는 탄성체의 강도 조절을 위한 예시도
도 4는 높이조절수단의 단면도
도 5는 발걸이의 착용상태도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1
도 7a ~ 7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프레임 20 : 고정프레임
30 : 탄성체 지지프레임 40 : 와이어 행거
60 : 손잡이 70 : 높이조절수단
80 : 하부 프레임 90 : 발걸이
100 : 탄성체 110 : 와이어 로프
120 : 도르레

Claims (7)

  1.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쪽에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쪽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발걸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탄성체 지지프레임;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체;및
    상기 탄성체와 발걸이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하부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경유하는 와이어 로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은 수직프레임에 고정되고 탄성체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 프레임에 와이어 행거에 의해 매달림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행거는 삼각형태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되, 양쪽 단부가 연결되지 않은 개곡선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양쪽 말단부에는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 또는 고정 프레임에 거치되도록 후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지지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와이어 행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제1이음구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이음구와; 상기 제1이음구 및 제2이음구에 끼움 결함되되, 제2이음구와는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이며,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고정홀이 천공된 길이조절바와; 상기 제2이음구를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홀중 선택된 어느 한 고정홀을 관통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걸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 뒷꿈치를 감싸주는 뒤꿈치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KR1020080002216A 2008-01-08 2008-01-08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KR10094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216A KR100940374B1 (ko) 2008-01-08 2008-01-08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216A KR100940374B1 (ko) 2008-01-08 2008-01-08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32A KR20090076332A (ko) 2009-07-13
KR100940374B1 true KR100940374B1 (ko) 2010-02-02

Family

ID=4133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216A KR100940374B1 (ko) 2008-01-08 2008-01-08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3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3165U (ko) * 1986-02-14 1987-09-07 김영국 체력 단련 기구
JPH0386182A (ja) * 1989-08-21 1991-04-11 Verimark Pty Ltd 運動装置
KR20080002277U (ko) * 2006-12-26 2008-07-01 이강희 근력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3165U (ko) * 1986-02-14 1987-09-07 김영국 체력 단련 기구
JPH0386182A (ja) * 1989-08-21 1991-04-11 Verimark Pty Ltd 運動装置
KR20080002277U (ko) * 2006-12-26 2008-07-01 이강희 근력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32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9612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US9517374B2 (en) Air straps
US5492518A (en) Exercise apparatus
US20130225372A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Body Exercises Having Pivotally Mounted Stabilizers
CN201871160U (zh) 多功能健身器
CN109289154A (zh) 一种转盘式拉力健身器
WO2017063212A1 (zh) 一种多功能训练健身器材
KR101057316B1 (ko) 줄 당기기 운동기구
CN206852991U (zh) 一种健身座椅
US20060205575A1 (en) Waist and belly stretching exerciser
CN106621265A (zh) 一种自由泳陆地训练器及游泳训练系统
JP2019098189A (ja) 骨盤強化用運動器具
KR200451767Y1 (ko) 휴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
CN108295436A (zh) 一种体育训练上肢锻炼装置
KR101527910B1 (ko) 운동기구
KR101600627B1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기구
KR20080003549U (ko) 도르래와 로프를 이용한 전신 신장 운동기구
KR100940374B1 (ko) 휴대용 하체 운동기구
US20080039290A1 (en) Swing Fit Aerobic and Strength Training Exercise Machine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CN206334309U (zh) 一种自由泳陆地训练器及游泳训练系统
KR20080001700U (ko) 휴대용 운동기구
TWI380835B (zh) 使用健身抗力索之健身系統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CN211611452U (zh) 箱体折叠锻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