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269A -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269A
KR20230018269A KR1020210100254A KR20210100254A KR20230018269A KR 20230018269 A KR20230018269 A KR 20230018269A KR 1020210100254 A KR1020210100254 A KR 1020210100254A KR 20210100254 A KR20210100254 A KR 20210100254A KR 20230018269 A KR20230018269 A KR 20230018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locking device
clam cleat
clam
sl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122B1 (ko
Inventor
정부환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주)위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니즈 filed Critical (주)위니즈
Priority to KR102021010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1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7Pivoting arms, e.g. crane typ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9Safety means for quick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78Clamps for flexible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슬링 바(1)에 고정되고, 제1 캠 웨이(30)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22); 제2 캠 웨이(52)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V 홈 블록(53)이 형성되며, 상기 V 홈 블록(53)의 안쪽면에 빗살무늬(5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2)의 한쪽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클램클리트(50); 상기 제1 캠 웨이(30)와 상기 제2 캠 웨이(52)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캠 웨이(30)와 상기 제2 캠 웨이(52)를 따라 이동하는 캠 팔로워(40); 및 상기 클램클리트(50)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클리트(50)를 로프(4) 쪽으로 밀어내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클리트(50)는 진퇴 운동을 반복할 때마다 상기 로프(4)를 상기 V 홈 블록(53) 내부에 위치시켜 잠금 설정하거나, 상기 로프(4)가 상기 V 홈 블록(53)과 떨어져 잠금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The locking device of a rope for the Sling bar}
본 발명은 물리 치료 또는 재활 치료할 때 사용자가 체중을 떠받치거나 재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슬링 바에서 로프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로프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링 바는 물리 치료 또는 재활 치료를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알려진 슬링 바는 단순하게 팔, 다리, 허리 등 특정 신체 부위를 떠받치는 형태로 제공될 뿐이고, 이처럼 떠받친 상태에서는 단순하게 좌우로 움직이는 등의 극히 단순한 움직임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알려진 슬링을 이용한 재활 치료는 로프에 환자의 체중 일부를 싣고 의지하여 중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동작의 난이도를 조절하며 보행 연습을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종래에 운동기구로서 로프를 풀리에 감아 설치하고, 로프의 양쪽 끝을 양손을 잡은 상태에서 왼손과 오른손을 번갈아 가며 잡아당기는 운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은 단조로운 문제점 있다.
다른 한편으로, 특허 문헌 1은 레버를 조작하여 로프를 잠금 설정하거나 잠금 해제하도록 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은 레버를 특정한 방향과 순서에 따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허 문헌 1) KR10-2178572 B1 (특허 문헌 2) KR10-1261650 B1 (특허 문헌 3) KR10-2010-0101714 A (특허 문헌 4) KR10-1781495 B1 (특허 문헌 5) KR10-1952030 B1 (특허 문헌 6) KR10-2018-0042820 A (특허 문헌 7) KR10-2019-0051421 A (특허 문헌 8) KR10-2016-0017429 A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프의 이동 제한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작용을 사용자가 좀 더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슬링 바(1)에 고정되고, 제1 캠 웨이(30)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22); 제2 캠 웨이(52)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V 홈 블록(53)이 형성되며, 상기 V 홈 블록(53)의 안쪽면에 빗살무늬(5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2)의 한쪽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클램클리트(50); 상기 제1 캠 웨이(30)와 상기 제2 캠 웨이(52)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캠 웨이(30)와 상기 제2 캠 웨이(52)를 따라 이동하는 캠 팔로워(40); 및 상기 클램클리트(50)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클리트(50)를 로프(4) 쪽으로 밀어내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클리트(50)는 진퇴 운동을 반복할 때마다 상기 로프(4)를 상기 V 홈 블록(53) 내부에 위치시켜 잠금 설정하거나, 상기 로프(4)가 상기 V 홈 블록(53)과 떨어져 잠금 해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상기 제1 캠 웨이(30)는,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제1방향(A)으로 최대한 이동한 제1 지점(31);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제1방향(A)과 반대 방향의 제2방향(B)으로 이동한 제2 지점(32);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제1방향(A)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점(31)과 상기 제2 지점(32)의 중간으로 이동한 제3 지점(33); 및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제2방향(B)으로 이동한 제4 지점(34)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지점(34)에서 상기 제1 지점(31)으로 연결되며, 상기 캠 팔로워(40)가 상기 제1 지점(31)부터 상기 제4 지점(34)으로 한 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2 플레이트(22)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22)는 상기 클램클리트(5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21)의 반대쪽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상기 클램클리트(50)의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2 플레이트(21, 22)에 고정되며, 상기 클램클리트(50)의 왕복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8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22)와 상기 가이드 블록(80)이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상기 빗살무늬(54)는 2개의 그룹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빗살무늬 그룹과 다른 빗살무늬 그룹은 빗살무늬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상기 클램클리트(50)는, 본체(51)에 2개의 V 홈 블록(53)이 설치되고, 하나의 V 홈 블록(53)의 빗살무늬(54)와 다른 V 홈 블록(53)의 빗살무늬는 빗살무늬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상기 로프(4)와 상기 클램클리트(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로프(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로프(4)가 클램클리트(50)에 딸려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7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상기 로프(4)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로프(4)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로프(4)가 클램클리트(50)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토퍼(7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상기 클램클리트(50)는, 당김 줄(57)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당김 줄 결속부(56)를 형성하고, 상기 당김 줄 결속부(56)의 겉에 커버(55)를 씌워 상기 당김 줄(57)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상기 클램클리트(50)는, 상부에 V 홈 블록(53)과 상기 빗살무늬(54)가 배제되고, 상기 로프(4)와 접촉하는 쪽에 요철(54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고정 플레이트(50a)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50)는, 상기 로프(4)를 기준으로 상기 클램클리트(50)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로프(4)와 접촉하는 쪽에 요철(54b)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클리트(50)가 로프(4)에 밀착될 때 로프(4)가 밀려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로프를 이동 제한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전환하고자 할 때, 당김 줄을 단순하게 같은 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구현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로프의 잠금 설정과 잠금 해제를 무척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슬링 운동과 풀리 운동을 할 수 있다.
특히 물리 치료 또는 재활 치료를 받는 환자라면 좀 더 다양한 근육을 사용하며 운동할 수 있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가 적용된 슬링 바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에서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에서 캠 팔로워가 캠 웨이를 따라 이동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에서 클램클리트(Clamclea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6은 분해 도면이고, 도 7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에서 클램클리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부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9는 잠금 설정된 예를 보인 것이고, 도 10은 잠금 설정에서 잠금 해제로 전환되는 예를 보인 것이며, 도 11은 잠금 해제된 예를 보인 것이고, 도 12는 잠금 해제에서 잠금 설정으로 전환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3부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3은 슬링 바 전체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4는 로프 잠금장치의 주요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15는 로프 잠금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16은 로프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에서 클램클리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7은 분해 도면이고, 도 18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도 1부터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가 적용된 슬링 바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에서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에서 캠 팔로워가 캠 웨이를 따라 이동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에서 클램클리트(Clamclea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6은 분해 도면이고, 도 7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에서 클램클리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링 바(1)에 설치될 수 있다.
슬링 바(1)는 케이스(2)의 내부에 로프(4)가 주행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케이스(2)의 내부에 복수의 풀리(3)를 설치하고, 로프(4)를 풀리(3)를 거쳐 로프(4) 양쪽 끝부분이 슬링 바(1)의 하측으로 늘어 뜨러 질 수 있다.
로프(4)의 끝에는 환자를 매달거나, 다른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행거(5)가 설치될 수 있다. 구조물은 예를 들면 로프를 연장하기 위한 다른 로프일 수 있다.
상기 로프(4)는 사용자가 로프(4)의 양쪽을 동시에 잡아당길 수 있고, 어느 한쪽을 놓고 다른 한쪽을 잡아당기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로프(4) 양쪽으로 동시에 잡아당기는 운동을 할 때는 로프(4)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잠금 설정하여야 하고, 로프(4)의 양쪽을 번갈아 잡아당기는 운동을 할 때는 로프(4)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잠금 해제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상기 로프(4)를 잠금 설정하거나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제1 플레이트(22), 캠 팔로워(40), 클램클리트(50) 및 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링 바(1)에 고정되고, 제1 캠 웨이(30)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클램클리트(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캠 웨이(52)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V 홈 블록(53)이 형성된다. 상기 V 홈 블록(53)은 안쪽면에 빗살무늬(54)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클리트(50)는 상기 제1 플레이트(22)의 한쪽에 배치되어 왕복 직선 운동한다.
상기 캠 팔로워(40)는 상기 제1 캠 웨이(30)와 상기 제2 캠 웨이(52)에 한꺼번에 설치된다.
클램클리트(50)가 운동하면 상기 캠 팔로워(40)는 상기 제1 캠 웨이(30)와 상기 제2 캠 웨이(52)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클램클리트(50)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클리트(50)를 로프(4) 쪽으로 밀어내도록 복원력을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진퇴 운동을 반복할 때마다 상기 로프(4)를 상기 V 홈 블록(53) 내부에 위치시켜 잠금 설정하거나, 상기 로프(4)가 상기 V 홈 블록(53)과 떨어져 잠금 해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로프(4)를 이동 제한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전환하고자 할 때, 클램클리트(50)를 후퇴시켰다 놓는 단순한 동작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로프의 잠금 설정과 잠금 해제를 무척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슬링 운동과 풀리 운동을 할 수 있다. 특히 물리 치료 또는 재활 치료를 받는 환자라면 좀 더 다양한 근육을 사용하며 운동할 수 있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캠 웨이(30)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캠 웨이(3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닫힌 경로로 제공된다.
제1 캠 웨이(30)는 제1~4 지점(31~34)까지 4개의 지점을 갖는다.
제1 지점(31)은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제1방향(A)으로 최대한 이동하였을 때, 캠 팔로워(40)가 위치하는 지점이다.
제2 지점(32)은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제1방향(A)과 반대 방향의 제2방향(B)으로 이동한 지점이다.
제1 지점(31)에서 제2 지점(32)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제3방향(C)으로 진행했다가, 제3방향(C)과 반대 방향의 제4방향(D)으로 이동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캠 팔로워(40)는 좌하향에서 우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제3 지점(33)은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제1방향(A)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점(31)과 상기 제2 지점(32)의 중간으로 이동한 지점이다.
제2 지점(32)에서 제3 지점(33)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상향한 직후에 우상향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클램클리트(50)를 제2방향(B)으로 이동시킨 후에 잡아당기는 힘을 놓으면 스프링(60)의 복원력으로 클램클리트(50)가 제1 지점(31)에서 제2 지점(32)을 거쳐 제3 지점(33)으로 이동한다.
제4 지점(34)은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제2방향(B)으로 이동한 지점이다. 캠 팔로워(40)는 제3 지점(33)에서 하향 후 우하향하는 경로로 이동한다.
즉, 캠 팔로워(40)는 클램클리트(50)가 제2 방향(B)으로 이동하면 제1 캠 웨이(30)를 따라 제4 방향(D)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1 캠 웨이(30)는 상기 제4 지점(34)에서 상기 제1 지점(31)으로 연결된다.
즉,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클램클리트(50)를 제2방향(B)으로 이동시킨 후에 잡아당기는 힘을 놓으면 스프링(60)의 복원력으로 클램클리트(50)가 제3 지점(33)에서 제4 지점(34)을 거쳐 제1 지점(31)으로 이동한다.
상기 캠 팔로워(40)는 상기 제1 지점(31)부터 상기 제4 지점(34)으로 한 방향으로 순환한다.
상기 캠 팔로워(40)는 역방향으로 진행하지 않는 이유는, 캠 팔로워(40)가 제1 지점(31)에서 제2 방향(A)으로 이동할 때, 제1 캠 웨이(30)의 형상에 따라 제2 지점(32)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에 닿기 때문이다.
또한, 캠 팔로워(40)가 제2 지점(32)에서 제1 방향(A)으로 이동할 때, 제1 캠 웨이(30)의 형상에 따라 제3 지점(31)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에 닿기 때문이다.
또한, 캠 팔로워(40)가 제3 지점(33)에서 제2 방향(B)으로 이동할 때, 제1 캠 웨이(30)의 형상에 따라 제4 지점(34)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에 닿기 때문이다.
또한, 캠 팔로워(40)가 제4 지점(34)에서 제1 방향(A)으로 이동할 때, 제1 캠 웨이(30)의 형상에 따라 제1 지점(31)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에 닿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지에 따라 클램클리트(50)를 당겼다 놓을 때마다. 캠 팔로워(40)가 제1 지점(31)에 멈췄다가 다음번에는 제3 지점(32)에 멈추며 이 과정이 계속 반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2 플레이트(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22)는 상기 클램클리트(5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21)의 반대쪽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캠 팔로워(40)는 양쪽 끝부분이 양쪽의 제1 캠 웨이(30)에 삽입되므로, 캠 작용이 좀 더 안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캠 팔로워(40)의 중간 부분이 클램클리트(50)의 제2 캠 웨이(52)를 관통하고, 캠 팔로워(40)의 양쪽 끝부분이 양쪽의 제1 캠 웨이(30)에 삽입되는 것으로, 캠 팔로워(40)의 자세가 비틀어지거나 쓰러지지 않고 올바른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8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80)은 상기 클램클리트(50)의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2 플레이트(21, 2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80)은 상기 클램클리트(50)의 왕복 직선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이동할 때 자세 또는 경로가 비틀어지지 않고 소망하는 자세와 경로로 이동할 수 있고, 이로써 로프(4)가 V 홈 블록(53)에 정확하게 수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레이트(21)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22)와 상기 가이드 블록(80)이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부품을 제작할 때, 절삭 가공할 수 있지만, 3D 프린터 기술이 발달함에 부품의 형상이 다소 복잡하더라도 3D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일부 구성요소를 3D 프린터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요소를 통합하여 일체로 제공함으로써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구성요소 객체를 줄임으로써 재고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 클램클리트(5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살무늬(54)가 형성된다. 상기 빗살무늬(54)는 2개의 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빗살무늬 그룹과 다른 빗살무늬 그룹은 빗살무늬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이로써 로프(4)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V 홈 블록(53)에 끼워졌을 때 로프(4)를 이동시키려는 외력이 작용하면, 로프(4)는 빗살무늬 때문에 이동 방향 유도된다. V 홈 블록(53)은 바깥쪽 폭이 넓고 안쪽 폭이 좁은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빗살무늬가 우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로프(4)가 오른쪽으로 이동되려고 할 때, 로프(4)는 아래쪽으로 유도되어 V 홈 블록(53)의 좁은 폭에 끼여서 로프(4)의 이동이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빗살무늬가 좌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로프(4)가 왼쪽으로 이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이 우하향 방향과 좌하향 방향 모두를 가지면 로프(4)는 좌우 어느 쪽으로도 이동되지 못하여 결국 로프(4)는 잠금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램클리트(5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51)에 2개의 V 홈 블록(53)이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V 홈 블록(53)의 빗살무늬(54)와 다른 V 홈 블록(53)의 빗살무늬는 빗살무늬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V 홈 블록(53)은 로프(4)와 지속해서 마찰하는 부분으로써 빗살무늬 형상의 마모되거나 알 수 없는 이유로 훼손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본체(51)와 V 홈 블록(53)을 별개의 객체로 제공함으로써 V 홈 블록(53)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는 교체할 수 있고, 이로써 전체적인 기계적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제1 스토퍼(7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스토퍼(7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프(4)와 상기 클램클리트(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71)는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로프(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로프(4)가 클램클리트(50)에 딸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토퍼(71)는 잠금 설정에서 잠금 해제로 전환할 때, 로프(4)가 V 홈 블록(53)으로부터 확실하게 벗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제2 스토퍼(7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2 스토퍼(7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프(4)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스토퍼(72)는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로프(4)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로프(4)가 클램클리트(50)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2 스토퍼(72)는 잠금 해제에서 잠금 설정으로 전환할 때, 로프(4)가 V 홈 블록(53)에 확실히 끼워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클리트(5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김 줄(5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클리트(50)는 한쪽에 당김 줄 결속부(56)를 형성하고, 당김 줄(57)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 줄 결속부(56)의 겉에 커버(55)를 씌울 수 있고, 이로써 당김 줄(57)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55)는 상기 당김 줄 결속부(56)와 같은 형상을 형성시켜 당김 줄(57)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 줄 결속부(56)는 요철을 형성하여 당김 줄(57)이 미끄러져 풀려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80)은 도 3과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그루브(82)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82)는 로프(4)의 진ㅇ출입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블록(80)은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받침대(84)를 형성할 수 있고, 받침대(8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6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60)은 한쪽이 상기 받침대(84)에 받힌 상태로 확장하여 상기 클램클리트(50)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이다.
이하, 도 9부터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9부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잠금 설정된 예를 보인 것이다. 스프링(60)은 최대한 확장된 상태이고, 캠 팔로워(40)는 제1 지점(31)에 있다. 클램클리트(50)는 최대한 이동된 상태이고, 로프(4)는 V 홈 블록(53)에 깊숙하게 끼워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60)의 복원력으로 클램클리트(50)는 밀려난 상태이고, 로프(4)는 제1 스토퍼(71) 때문에 밀려나지 못하여 V 홈 블록(53)에 더욱 깊숙하게 끼워져 좀 더 확실하게 이동할 수 없도록 잠길 수 있다.
도 10은 잠금 설정에서 잠금 해제로 전환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사용자가 당김 줄(57)을 잡아당기면 클램클리트(50)는 스프링(60)을 압축한다. 아울러 로프(4)는 V 홈 블록(53)에서 벗어나고, 특히 제2 스토퍼(72)는 로프(4)가 V 홈 블록(53)에 딸려 오는 것을 방지한다. 즉, 로프(4)는 V 홈 블록(53)에서 확실하게 벗어난다.
도 11은 잠금 해제된 예를 보인 것이다. 사용자는 당김 줄(57)을 잡아당긴 후에 당김을 놓은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스프링(60)의 복원력으로 클램클리트(50)를 밀어 올리고, 캠 팔로워(40)는 제1 캠 웨이(30)의 형상에 따라 제2 지점(32)에서 제3 지점(33)으로 이동된다.
클램클리트(50)가 제1 방향(A)으로 이동하였더라도 로프(4)가 V 홈 블록(53)에 삽입된 것이 아니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4)와 V 홈 블록(53)은 서로 떨어져 있거나 닿고 있더라도 로프(4)에 어떠한 압착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팔로워(40)가 제3 지점(33)에 있으면 로프(4)는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어 잠금 해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잠금 해제에서 잠금 설정으로 전환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사용자가 당김 줄(57)을 잡아당기면 캠 팔로워(40)는 제3 지점(33)에서 제4 지점(34)으로 이동하고, 클램클리트(50)는 스프링(60)을 압축한다. 이때까지는 로프(4)와 V 홈 블록(53) 간에 상호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후, 당김 줄(57)의 당김을 놓으면 스프링(60)의 복원력이 클램클리트(50)에 작용하여 클램클리트(50)가 제1방향(A)으로 이동하고, 캠 팔로워(40)는 제4 지점(34)에서 제1 지점(31)으로 복귀한다.
이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클리트(50)는 제1 방향(A)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로프(4)가 V 홈 블록(53)에 수용되도록 하고 이로써 로프(4)는 잠금 설정될 수 있다.
도 13부터 도 16을 참조하여 로프 잠금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3부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3은 슬링 바 전체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4는 로프 잠금장치의 주요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15는 로프 잠금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16은 로프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이드 블록(80a)이 슬링 바(1)의 케이스(2)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2 캠 플레이트(21, 22)가 상기 가이드 블록(80a)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은 알려진 기술로써 예컨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거나, 용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2 캠 플레이트(21, 22)는 서로 마주 보는 면에 제1 캠 웨이(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캠 웨이(30)는 제1, 2, 3, 4 지점(31~34)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닫힌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구성은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의 제1 캠 웨이(30)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캠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캠 플레이트(22)의 사이에는 클램클리트(50)의 본체(51)가 배치되고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클램클리트(50)는 본체(51)의 상부에 V 홈 블록(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51)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캠 웨이(52)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V 홈 블록(53)은 안쪽면에 빗살무늬(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빗살무늬(54)는 도 14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고 로프(4)와 마찰할 수 있다.
캠 팔로워(40)는 제1, 2 캠 플레이트(21, 22)의 제1 캠 웨이(30)와 본체(51)의 제2 캠 웨이(52)에 배치된다.
스프링(60)은 도 14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클리트(50)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한다.
한편으로, 클램클리트(50)에 가이드 샤프트(58)를 형성하고, 가이드 샤프트(58)에 상기 스프링(60)을 삽입하여 스프링(60)이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샤프트(58)는 한쪽이 상기 클램클리트(50)에 고정되고 다른 쪽이 상기 가이드 블록(80a)을 통과할 수 있다.
즉, 클램클리트(50)가 직선 운동하여 가이드 블록(80a)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샤프트(58) 일부는 가이드 블록(80a)의 바깥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51) 일부는 가이드 블록(80a)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클램클리트(50)가 가이드 블록(80a) 쪽으로 이동할 때 본체(51) 일부는 가이드 블록(80a)의 바깥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으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스토퍼(71, 72)를 케이스(2)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스토퍼(71)는 로프(4)가 클램클리트(50)의 V 홈 블록(53)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로프(4)가 딸려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제2 스토퍼(72)는 로프(4)가 클램클리트(50)의 V 홈 블록(53)에 끼워질 때, 로프(4)가 밀려나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본체(51)의 끝부분에 당김 줄(57)이 묶일 수 있고, 사용자는 당김 줄(57)을 당길 수 있다.
당김 줄(57)이 당겨지면 클램클리트(50)는 직선 운동을 하는데, 캠 팔로워(40)는 제1 캠 웨이(30)의 제1~4지점(31~34)을 따라 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캠 팔로워(40)가 제1~4지점(31~34) 중에 어느 한 지점에 있음에 따라 클램클리트(50)의 위치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캠 팔로워(40)가 제1 지점(31)에 있으면 로프(4)가 V 홈 블록(5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캠 팔로워(40)가 제3 지점(33)에 있으면 로프(4)가 V 홈 블록(53)에 빠져나와 로프(4)의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클램클리트는 앞서 설명된 예와 다르게 V 홈 대신에 평평한 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에서 클램클리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7은 분해 도면이고, 도 18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클램클리트(5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고,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된 구성과 같으므로 도면에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나머지 구성에 관하여 중복 설명을 피하고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클리트(50)는 로프(4)와 접촉하는 쪽에 V 홈 블록(53)을 생략하고, 요철(54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4)를 기준으로 클램클리트(50)의 반대쪽에 고정 플레이트(50a)를 배치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50a)는 고정수단으로, 제1, 2 캠 플레이트(21, 22)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슬링 바(1)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수단은 용접되거나 볼트로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50a)는 로프(4)와 접촉하는 쪽에 요철(54b)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당김 줄(57)를 당겼다 놓는 동작을 취함으로써 캠 팔로워(40)가 제1 캠 웨이(30)를 따라 순환하고, 캠 팔로워(40)가 제1 캠 웨이(30)에 멈추는 위치에 따라 클램클리트(5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캠 팔로워(40)가 제1 지점(31)에 있으면 스프링(60)의 복원력으로 확장되면서 클램클리트(50)를 밀어 올리고 요철(54a)은 로프(4)에 밀착된다. 이때, 고정 플레이트(50a)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클램클리트(50)가 로프(4)에 밀착될 때 로프(4)가 밀려나지 않도록 하여 클램클리트(50)가 밀려 올라올 때 로프(4)를 더욱 강한 힘으로 붙잡을 수 있다.
반면에, 캠 팔로워(40)가 제3 지점(33)에 있으면 스프링(60)은 압축되면서 클램클리트(50)를 하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로써 로프(4)와 밀착하는 힘이 해제되어 로프(4)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요철(54a, 54b)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로프(4)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톱니의 경사면 기울기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로써 로프(4)의 이동을 억제하고자 할 때, 로프(4)를 더욱 강한 힘으로 붙잡을 수 있고, 로프(4)가 좌우 어느 쪽으로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는 슬링 운동과 풀리 운동하며 물리 치료 또는 재활 치료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 슬링 바 2: 케이스
3: 풀리 4: 로프
5: 행거
10: 잠금장치
21, 22: 제1, 2 플레이트 24: 설치 홀
30, 52: 제1, 2 캠 웨이 31~34: 제1~4 위치
40: 캠 팔로워 50: 클램클리트
51: 본체 53: V 홈 블록
54: 빗살무늬형상 55: 커버
56: 당김 줄 결속부 57: 당김 줄
60: 스프링 71, 72: 제1, 2 스토퍼
80: 가이드 블록
82: 가이드 그루브 84: 받침대

Claims (12)

  1. 슬링 바(1)에 고정되고, 제1 캠 웨이(30)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22);
    제2 캠 웨이(52)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V 홈 블록(53)이 형성되며, 상기 V 홈 블록(53)의 안쪽면에 빗살무늬(5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2)의 한쪽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클램클리트(50);
    상기 제1 캠 웨이(30)와 상기 제2 캠 웨이(52)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캠 웨이(30)와 상기 제2 캠 웨이(52)를 따라 이동하는 캠 팔로워(40); 및
    상기 클램클리트(50)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클리트(50)를 로프(4) 쪽으로 밀어내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클리트(50)는 진퇴 운동을 반복할 때마다 상기 로프(4)를 상기 V 홈 블록(53) 내부에 위치시켜 잠금 설정하거나, 상기 로프(4)가 상기 V 홈 블록(53)과 떨어져 잠금 해제되는 것
    을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웨이(30)는,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제1방향(A)으로 최대한 이동한 제1 지점(31);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제1방향(A)과 반대 방향의 제2방향(B)으로 이동한 제2 지점(32);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제1방향(A)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점(31)과 상기 제2 지점(32)의 중간으로 이동한 제3 지점(33); 및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제2방향(B)으로 이동한 제4 지점(34)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지점(34)에서 상기 제1 지점(31)으로 연결되며,
    상기 캠 팔로워(40)가 상기 제1 지점(31)부터 상기 제4 지점(34)으로 한 방향으로 순환하는 것
    을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2 플레이트(22)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22)는 상기 클램클리트(5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21)의 반대쪽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
    을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클리트(50)의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2 플레이트(21, 22)에 고정되며, 상기 클램클리트(50)의 왕복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80);
    을 더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21)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22)와 상기 가이드 블록(80)이 일체로 제공되는 것
    을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무늬(54)는 2개의 그룹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빗살무늬 그룹과 다른 빗살무늬 그룹은 빗살무늬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인 것;
    을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클리트(50)는,
    본체(51)에 2개의 V 홈 블록(53)이 설치되고,
    하나의 V 홈 블록(53)의 빗살무늬(54)와 다른 V 홈 블록(53)의 빗살무늬는 빗살무늬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인 것;
    을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4)와 상기 클램클리트(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로프(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로프(4)가 클램클리트(50)에 딸려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71);
    를 더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4)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클리트(50)가 상기 로프(4)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로프(4)가 클램클리트(50)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토퍼(72);
    를 더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클리트(50)는,
    당김 줄(57)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당김 줄 결속부(56)를 형성하고,
    상기 당김 줄 결속부(56)의 겉에 커버(55)를 씌워 상기 당김 줄(57)을 고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클리트(50)는,
    상부에 V 홈 블록(53)과 상기 빗살무늬(54)가 배제되고,
    상기 로프(4)와 접촉하는 쪽에 요철(54a)이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고정 플레이트(50a)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50)는,
    상기 로프(4)를 기준으로 상기 클램클리트(50)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로프(4)와 접촉하는 쪽에 요철(54b)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클리트(50)가 로프(4)에 밀착될 때 로프(4)가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KR1020210100254A 2021-07-29 2021-07-29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KR10260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254A KR102602122B1 (ko) 2021-07-29 2021-07-29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254A KR102602122B1 (ko) 2021-07-29 2021-07-29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269A true KR20230018269A (ko) 2023-02-07
KR102602122B1 KR102602122B1 (ko) 2023-11-14

Family

ID=8522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254A KR102602122B1 (ko) 2021-07-29 2021-07-29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122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714A (ko) 2009-03-10 2010-09-20 정부환 안전레일이 구비된 보행운동용 평행봉
KR101261650B1 (ko) 2004-11-26 2013-05-06 노르디스크 테라피 에이에스 운동 장치
US20140265391A1 (en) * 2013-03-14 2014-09-18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ling bar for patient lift slings
KR20160017429A (ko) 2014-08-06 2016-02-16 최철수 운동장치
KR101781495B1 (ko) 2016-03-16 2017-09-27 주식회사 마르페 도수치료장치
KR20180042820A (ko)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마르페 다양한 자세 또는 위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도수치료장치
US20180344553A1 (en) * 2017-06-02 2018-12-06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Linkage assemblies for person lifting apparatuses
KR101952030B1 (ko) 2017-09-11 2019-02-25 김세곤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KR20190051421A (ko) 2017-11-07 2019-05-15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자세 교정용 슬링바를 구비한 보행 재활 훈련 장치
KR102162069B1 (ko) * 2019-05-09 2020-10-06 김세곤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KR102178572B1 (ko) 2019-08-21 2020-11-13 정부환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KR102225060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KR102225063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650B1 (ko) 2004-11-26 2013-05-06 노르디스크 테라피 에이에스 운동 장치
KR20100101714A (ko) 2009-03-10 2010-09-20 정부환 안전레일이 구비된 보행운동용 평행봉
US20140265391A1 (en) * 2013-03-14 2014-09-18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ling bar for patient lift slings
KR20160017429A (ko) 2014-08-06 2016-02-16 최철수 운동장치
KR101781495B1 (ko) 2016-03-16 2017-09-27 주식회사 마르페 도수치료장치
KR20180042820A (ko)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마르페 다양한 자세 또는 위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도수치료장치
US20180344553A1 (en) * 2017-06-02 2018-12-06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Linkage assemblies for person lifting apparatuses
KR101952030B1 (ko) 2017-09-11 2019-02-25 김세곤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KR20190051421A (ko) 2017-11-07 2019-05-15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자세 교정용 슬링바를 구비한 보행 재활 훈련 장치
KR102162069B1 (ko) * 2019-05-09 2020-10-06 김세곤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KR102178572B1 (ko) 2019-08-21 2020-11-13 정부환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KR102225060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KR102225063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122B1 (ko)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1424A (en) Weight lifting exercise apparatus
US7585259B2 (en) Weightlifting spotting machine
EP0413870A2 (en) Exercising apparatus
US3119614A (en)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 apparatus
GB2077115A (en) Physical exercising device
US3606316A (en) Finger and hand muscle exercise device
KR101952030B1 (ko)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CN106102842A (zh) 自动化重量选择器
JP6538125B2 (ja) スーツケース用ハンドル構造
JP6869732B2 (ja) 複数の持ち上げオプションを有する、二人の人間の間で使用するためのストラップリフター
KR102178572B1 (ko)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KR20230018269A (ko)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CN112399876A (zh) 健身器械连接器
KR200453843Y1 (ko) 보행운동용 평행봉
CN107106889A (zh) 用于锻炼肌肉的器械
US4361323A (en) Pulling apparatus with built-in weight magazine
CN115426977A (zh) 解锁装置和筛篮
JP6088110B1 (ja) ストレッチ用具及びストレッチ方法
US2814491A (en) Exercising device
KR101578447B1 (ko) 하체 운동기구
JP2022070826A (ja) 腕力器
WO2008013750A1 (en) Variable weight device
KR102363530B1 (ko) 슬링 운동기구
KR20050002153A (ko)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KR20120115100A (ko) 다리스트레칭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