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069B1 -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069B1
KR102162069B1 KR1020190054587A KR20190054587A KR102162069B1 KR 102162069 B1 KR102162069 B1 KR 102162069B1 KR 1020190054587 A KR1020190054587 A KR 1020190054587A KR 20190054587 A KR20190054587 A KR 20190054587A KR 102162069 B1 KR102162069 B1 KR 102162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ransfer trolley
lifting
fix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곤
Original Assignee
김세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곤 filed Critical 김세곤
Priority to KR1020190054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트롤리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롤러; 단부가 상기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측으로 승강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승강을 조작하는 승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의 편의성,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SYSTEM HAVING TROLLEY FOR WALKING ASSISTANCE}
본 발명은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행 또는 거동에 불편함이 있는 사용자의 보행 연습을 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령이거나 질환을 가져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경우, 야외에서 운동을 하는 것은 위험하고 어려운 일이다. 또한, 각종 산업 재해나 교통 사고, 중풍 등의 질환으로 신체를 잘 움직이지 못하는 재활 환자에게는 매일 정해진 시간 동안 규칙적으로 재활 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인, 재활 환자 등의 보행 훈련을 위해 보행 훈련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보행 보조 훈련 장치들 중에서 자가보행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체중으로 인한 부하를 경감시킨 상태에서 용이하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이 레일식 보행보조기구이며, 이러한 레일식 보행보조기구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828401호, 등록특허 제10-0793726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종래의 레일식 보행보조기구는 기본적으로 천정 등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부재와, 상기 롤러부재에서 하향 연장되면서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착용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레일식 보행보조기구는 사용자로 하여금 착용지지부에 체중이 지지되어 부하가 경감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자력으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종래의 보행보조기구의 경우에는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종래 기술의 경우에, 보행자가 보행 연습을 종료하거나,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연결된 트롤리를 레일 상에서 고정하는 등의 보행자의 편의 및 안전을 보장하는 세부적인 시스템이 결여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은, 가이드레일과 롤러부재의 기구적 특성상 가이드레일의 방향,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하는 것이 곤란하여 사용자의 보행 경로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시스템이 공간적인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실내에 구축되므로, 공간활용의 측면에서도 상술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자의 편의성,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트롤리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롤러; 단부가 상기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측으로 승강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승강을 조작하는 승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걸림부의 단부가 수용되는 승강안내홈을 형성하는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를 마감하는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레버는 일단부가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타단부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하단부가 상기 승강레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레버의 승강과 연동하여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공 내에 삽입되는 걸림돌기; 상기 승강레버의 측부에 장착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과 상기 걸림돌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용프레임부재; 상기 수용프레임부재 내에 장착되며, 일단부는 바디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용프레임부재에 밀착하여 상기 수용프레임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구동롤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트롤리는,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측벽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트롤리는, 상기 승강레버의 단부에 장착되는 승강조작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트롤리는, 상기 승강레버가 돌출되는 측 바디부에 부착되며, 상기 승강조작로프를 하강한 상태로 고정하는 로킹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홀더는 상기 승강조작로프와 접촉하는 내벽면에 마찰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돌기의 경사방향은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의 체중을 지지한 상태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트롤리를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 함으로써 보행자의 편의성이 개선되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는 승강레버의 종단부를 당기는 방식을 통하여 걸림부의 하강을 간접 조작할 수 있으므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약한 힘만으로도 탄성가압부재의 탄성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걸림부를 용이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트롤리는 가이드롤러를 통하여 가이드레일 측벽과의 접촉을 원활히 함으로써 이송시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승강조작로프를 로킹홀더 내에 수용,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추가적인 외력이나 장치 없이도 승강조작로프를 당겨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로킹홀더 내벽에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마찰돌기를 형성하여, 당겨진 상태의 승강조작로프와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마찰력이 자연 발생되도록 하는 방식을 이용하므로, 승강조작로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선 구간 뿐만 아니라 가이드레일이 서로 교차하는 구간에서도 이송트롤리의 경로를 쉽게 변환할 수 있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를 따라서 보행 연습을 통한 보행 연습 효과 개선이 가능하므로, 실내 공간에 시공될 수 밖에 없는 특성에 최적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모터 등과 같이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이, 사람의 힘만으로도 이송트롤리의 이송경로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 또는 유지 보수 비용으로 인한 비경제적인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치고정부를 이용하여 방향 전환시에 이송트롤리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송트롤리가 이탈함으로써 적절한 방향전환이 일어나지 않거나, 불필요한 고장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이 이송트롤리를 한 방향으로만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이송트롤리의 위치를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이 적용된 실제 제품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3은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을 상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가이드레일과 이송트롤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가이드레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이송트롤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는 도 7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이송트롤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가이드레일 내에서의 이송트롤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이송트롤리 고정을 위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이송트롤리의 방향전환을 위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10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이 적용된 실제 제품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3은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을 상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보조 시스템(1000)은 보행 또는 거동에 불편함이 있는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며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가이드레일(200)과 이송트롤리(100)와 방향전환부(300)와 연장프레임(400)과 안내롤러(500)와 위치고정부(60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가이드레일과 이송트롤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가이드레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레일은 이송트롤리가 이송되는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 구조물이다.
가이드레일(200)은 하단에 이송트롤리(100)가 수용되기 위한 가이드홈(2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이송트롤리(100)는 가이드레일(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보행과 함께 이송된다.
가이드홈(210)의 상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삽입공(220)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이송트롤리(100)의 걸림부(130)의 상단부, 즉, 걸림돌기(131)가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이송트롤리(100)의 위치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0)은 다수 개가 미리 설계된 경로를 따라서 상호 결합되어 소정의 직선 경로를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직선 경로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소정 길이로 분할된 다수의 가이드레일(200)이 서로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며, 단일의 가이드레일(200)로 구성되는 것 대비 시공 및 이송의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이때, 직선 경로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200) 들은 고정부(24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즉, 가이드레일(200)의 상부에는 별도의 결합홈(23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부패널(241), 하부패널(242)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구(242)로 구성되는 고정부(240)가 결합홈(230) 내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이웃하는 가이드레일(200)을 서로 결합시킨다.
하부패널(243)은 결합홈(230) 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결합홈(230) 내에 수용되고, 상부패널(241)은 상기 결합홈(230) 보다 큰 폭을 가지고 가이드레일(200)의 상부에 노출된다. 이때, 상부패널(241)과 하부패널(243)이 이격된 상태에서 사이에는 이웃하는 가이드레일(200)이 배치된다. 가이드레일(200)을 사이에 두고 체결구(242)를 체결함으로써 상부패널(241)과 하부패널(243)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200) 들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 구간 상에서 고정부(240)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가이드레일(200)을 연결하는 방법을 통하여, 길이가 긴 단일의 가이드레일을 제작하여 시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공 및 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체결구(242)를 해제하는 것만으로, 상부패널(241)과 하부패널(243)으로부터 이웃하는 가이드레일(200)에 가해지는 결합력이 느슨해지게 되므로, 가이드레일(200)을 쉽게 해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시공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의 측면에서도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가이드레일(200)이 직선 구간으로만 구성되는 경우에는 이송트롤리(100)의 이동 경로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200)이 서로 교차하는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이송트롤리(100)의 방향전환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이드레일(200)은 직선 구간 및 직선 구간이 교차하는 구간을 조합하여, 이송트롤리(100)의 이송 경로 및 도달 가능 위치를 늘릴 수 있으며, 시공 되는 장소의 공간 활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경로의 방향전환 구조에 대한 상세한 구조 및 원리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7은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이송트롤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이송트롤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가이드레일 내에서의 이송트롤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트롤리(100)는 보행시 보조가 필요한 보행자의 체중을 지지한 상태로 가이드레일(200)에 거치되어 보행자와 함께 이송되는 것으로서, 바디부(110)와 구동롤러(120)와 걸림부(130)와 승강레버(140)와 승강조작로프(150)와 가이드롤러(160)와 로킹홀더(17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0)는 후술하는 구동롤러(120), 걸림부(130), 승강레버(140), 가이드롤러(160)를 수용하거나 지지하기 위한 기초구조물로서, 메인플레이트(111)와 마감플레이트(114)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11)는 후술하는 마감플레이트(114)와 서로 결합하며, 마감플레이트(114)와의 사이에 걸림부(130)와 승강레버(1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조물이다.
메인플레이트(111)에는 주변 영역 보다 다소 함몰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면(113)이 형성되고, 단차면(113)에는 승강레버(140)의 단부가 수용된다. 즉, 승강레버(140)는 일단부가 메인플레이트(110)의 소정의 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는 메인플레이트(1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승강레버(140)는 사용자가 타단부를 승강시킴으로써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단차면(113)은 이러한 승강레버(140)의 회동반경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메인플레이트(111)에는 단차면(113)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승강안내홈(112)이 형성되며, 승강안내홈(112)에는 후술하는 걸림부(130)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마감플레이트(114)는 메인플레이트(111)를 마감하여 바디부(110)를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걸림부(130) 및 구동롤러(120)를 수용하는 판 형태의 구조물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메인플레이트(111)와 마감플레이트(114)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바디부(110)를 구성하고, 내부에 형성된 단차면(113)에 승강레버(140)의 일부를 수용하고, 승강안내홈(112)에는 걸림부(130)를 수용한다.
상기 구동롤러(120)는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에 실질적으로 거치되는 구조물로서, 이송트롤리(1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러 구조물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구동롤러(120)는 총 4개로 마련되며, 바디부(110)의 상단 전방에 한 쌍이 설치되고, 바디부(110)의 상단의 후방에 나머지 한 쌍이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이송트롤리(100)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걸림돌기(131)와 수용프레임부재(132)와 탄성가압부재(133)와 회동편(134)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131)는 걸림부(130)의 상단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한 쌍이 후술하는 수용프레임부재(132)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131)는 가이드레일(200)의 삽입공(220) 내에 진입함으로써 이송트롤리(200)가 의도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용프레임부재(132)는 걸림돌기(131)와 후술하는 회동편(134)의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물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탄성가압부재(133)를 수용한다.
상기 탄성가압부재(133)는 상술한 수용프레임부재(132)에 수용되어, 걸림부(130)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한편, 탄성가압부재(133)는 상단부가 수용프레임부재(132)에 밀착하되, 하단부는 수용프레임부재(132)가 아니라 바디부(110) 상에 고정된다. 따라서, 걸림부(130)가 승강하는 경우에 탄성가압부재(133)의 상단부는 이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것이나, 탄성가압부재(133)의 하단부는 바디부(110) 상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걸림부(130)가 하강하는 경우에 탄성가압부재(133)는 압축되면서 걸림부(130)에 상측으로의 탄성력을 인가하게 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가압부재(133)의 가압력에 의하여 걸림부(130)가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상기 회동편(134)은 수용프레임부재(132)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승강레버(140)의 측면에 체결된다. 따라서, 걸림부(130)는 회동편(134)에 체결된 상태로 승강레버(140)의 승강 구동과 연동하여 승강하는 구조를 갖게된다.
상기 승강레버(140)는 상술한 걸림부(130)의 승강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 구조물로서, 바디부(110)의 단차면(113) 내에 수용된다.
승강레버(140)는 일단부가 바디부(110) 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단차면(113)을 거쳐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승강레버(140)의 상부에는 걸림부(130)의 회동편(134)이 체결됨으로써, 승강레버(140)의 승강시 구동력이 걸림부(130)에 전달될 수 있다.
승강레버(140)는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타단부가 승강함으로써, 일단부를 중심으로 원호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승강조작로프(150)는 승강레버(140)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에게 승강레버의 승강 조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매개 로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승강조작로프(150)를 당김으로써 승강레버(140)를 하강시킬 수 있으며, 승강조작로프(150)에 가해진 힘을 해제함으로써 승강레버(1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승강조작로프(150)를 이용하여 승강레버(140)의 단부를 당김으로써 걸림부(130)의 하강을 간접적으로 조작한다. 즉, 본원발명에서는 승강레버(140)를 통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약한 힘만으로도 탄성가압부재(133)의 탄성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걸림부(130)를 용이하게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롤러(160)는 바디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 구조물로서, 가이드홈(210)의 측벽면과 접촉한다.
가이드롤러(160)는 회동축이 상술한 구동롤러(120)의 회동축과는 수직한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롤러(120)는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의 상하부 내벽과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가이드롤러(120)는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의 좌우측 내벽과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킹홀더(170)는 바디부(110)의 승강레버(140)가 돌출되는 측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승강조작로프(15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로킹홀더(170)는 승강조작로프(150)가 안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안착면을 형성하고, 안착면에는 승강조작로프와(150)의 사이에서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마찰돌기가 형성된다.
로킹홀더(170)의 안착홈에 형성되는 마찰돌기는 경사를 형성하며, 마찰돌기의 경사방향은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즉, 사용자는 승강조작로프(150)를 당긴 상태에서 로킹홀더(170)의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경우, 승강조작로프(150)는 마찰돌기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당겨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걸림부(130)가 삽입공(220)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이송트롤리(100)의 자유 이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부(300)는 가이드레일(200)이 교차하는 구간에 설치되어, 이송트롤리(100)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310)과 구동부(320)와 회전레일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0)은 후술하는 회전레일부(3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호 교차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힌 구조물이다.
하우징(310)은 내부에는 후술하는 회전레일부(3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310)의 네 모서리에는 소정 폭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각 수용부에는 가이드레일(200)이 장착된다. 따라서, 하우징(310)의 수용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200)은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직선경로를 형성하되 가이드레일(200)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교차되는 영역에는 후술하는 회전레일부(3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310)의 상판(313)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의 안내절개부(312)가 형성된다. 안내절개부(312)에 의하여 후술하는 회동암(322)의 회동 반경이 결정되므로, 안내절개부(312)의 길이는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320)는 후술하는 회전레일부(33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동축(321)과 회동암(322)과 회동조작로프(323)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축(321)은 하우징(310)의 상판을 관통하여 후술하는 회전레일부(220)의 중심축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동축(321)의 회동은 후술하는 회전레일부(330)의 회동을 제어한다.
상기 회동암(322)은 중심부가 하우징(310)의 상판(313)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회동축(321)에 결합되며, 회동축(321)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다.
회동암(322)의 양단부에는 후술하는 회동조작로프(323)가 연결되고, 회동축(321)과 회동암(322)의 사이에는 연결핀이 장착된다.
상기 회동조작로프(323)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일단부가 회동암(322)의 양단부에 연결된다. 한편, 회동조작로프(323)의 타단부는 연장프레임(400)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연장프레임(400)의 하측으로 노출된다.
즉, 사용자가 연장프레임(40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회동조작로프(323)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경우에 회동암(322)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 하나를 조작하는 경우에 회동암(322)은 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레일부(330)는 서로 분리된 가이드레일(200) 간의 경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하우징(3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310)의 각 모서리에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각 수용부에는 두 쌍의 가이드레일(200)이 각각 장착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00) 간은 그룹을 이룬다. 각 그룹을 이루는 가이드레일(200) 들은 가상의 직선 경로 상에 배치되므로, 하우징(310)의 모서리에 장착된 두 쌍의 가이드레일(200)은 서로 직교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일(200) 그룹이 배치되는 가상의 직선 경로를 제1경로라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200) 그룹이 배치되는 가상의 직선 경로를 제2경로라 한다.
회전레일부(330)는 가이드레일(200)이 서로 직선으로 교차하는 지점, 즉, 제1경로와 제2경로의 교차점에 배치된다. 이때, 회전레일부(33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경로 또는 제2경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조작된 회전레일부(330)의 회동에 따라서, 이송트롤리(100)의 이송경로는 제1경로 또는 제2경로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연장프레임(400)은 하우징(310)의 상판(313)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회동조작로프(323) 및 가압조작로프(640)의 주행경로를 제공하며, 단부에는 회동조작로프(323), 가압조작로프(680)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한편, 연장프레임(40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우징(310) 측 단부는 회동조작로프(323), 가압조작로프(680)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고, 반대측 단부는 마감된다.
또한, 하우징(310) 측 단부의 연장프레임(400)의 내벽면은 회동조작로프(323)가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후진으로 이동하는 면이므로, 회동조작로프(323)와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롤러(500)는 연장프레임(400) 내부에 배치되어, 회동조작로프(323), 가압조작로프(680)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고,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안내롤러(500)는 2개의 회동조작로프(323), 1개의 가압조작로프(680) 중 필요한 로프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모든 로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3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600)는 방향전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이송트롤리(100)를 방향전환부(30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암(610)과 연결핀(620)과 탄성부재(630)와 가압조작부(640)와 고정핀(650)과 지지부(660)와 가압조작로프(680)와 고정홀더(68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암(610)은 후술하는 고정핀(650)의 승강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동암(61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장착된다.
구동암(610)은 회동암(322)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암(610)의 승강 구동을 위하여, 구동암(610)과 회동암(32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630)가 개재된다.
상기 연결핀(620)은 일단부가 구동암(610)의 단부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후술하는 고정핀(650)에 연결되어, 구동암(610)의 승강 구동을 고정핀(650)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연결핀(620)은 한 쌍이 구동암(610)의 양측에 설치되며, 회동암(322) 및 상판(313)의 안내절개부(312)를 통과하여 하우징(310) 내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연결핀(620)은 안내절개부(312)에 수용되는 것이므로, 연결핀(620)은 안내절개부(312) 내에서 이동반경이 제한됨에 따라 연결핀(620)에 연동하는 회동암(322)의 회동반경 또한 제한된다.
상기 탄성부재(630)는 회동암(322)으로부터 구동암(6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부재(630)는 구동암(610)과 회동암(322)의 사이에 개재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암(610)이 하강하는 경우에,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의 탄성력을 인가한다.
상기 가압조작부(6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력을 상술한 구동암(610)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가압조작부(640)는 바(bar) 형태의 구조물로서, 일단부가 후술하는 지지부(66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는 연장프레임(400) 내부로 연장된다.
한편, 가압조작부(640)는 구동암(6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가압조작부(640)의 타단부의 하강 동작에 구동암(610)에 연동하여 하강한다. 구체적으로, 가압조작부(640)는 구동암(610)과 회동암(32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회동축(321) 상에서 구동암(6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핀(650)은 구동암(610)에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이송트롤리(100)를 회전레일부(33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연결핀(62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650)은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한 쌍의 고정핀(650)은 이송트롤리(100)의 상단부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고정핀(650) 각각은 몸체부재(651)와 이탈제한부재(654)와 스토퍼(6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재(651)는 봉 형상의 제1부재(652)와 제1부재(652)로부터 측부로 돌출되는 제2부재(653)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제한부재(654)는 봉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부가 제2부재(65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타단부는 이송트롤리(100)에 밀착함으로써 이송트롤리(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이탈제한부재(654)는 타단부가 후술하는 스토퍼(65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지만, 반대방향으로는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이송트롤리(1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655)는 제1부재(652)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이탈제한부재(654)가 일방향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 방향을 제한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한편, 몸체부재(651)와 이탈제한부재(654)의 사이에는 별도의 판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됨으로써, 별도 외력이 인가되지 않거나, 외력이 가해진 이후에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탈제한부재(654)의 타단부는 스토퍼(65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60)는 하우징(310)의 상판(313)에 설치되며, 상술한 가압조작부(640)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고정홀더(670)는 연장프레임(400)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가압조작로프(68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홀더(670)는 가압조작로프(680)가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면을 형성하고, 안착면에는 가압조작로프(680)와의 사이에서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마찰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조작로프(680)는 가압조작부(64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가압조작부(640)에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 구조물이다.
가압조작로프(680)는 가압조작부(640)로부터 연장되어 연장프레임(400)의 내부공간을 거쳐 관통공을 통과하여, 연장프레임(400)의 하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압조작로프(680)를 당김으로써 가압조작부(640)를 하강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고정핀(650)이 하강함으로써, 한 쌍의 고정핀(65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이송트롤리(100)의 이동을 제한하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홀더(670)의 안착홈에 형성되는 마찰돌기는 경사를 형성하며, 마찰돌기의 경사방향은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조작로프(680)를 당긴 상태에서 고정홀더(670)의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경우, 가압조작로프(680)는 마찰돌기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1000)의 사용 방법 및 작동원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이송트롤리 고정을 위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의 이송트롤리의 방향전환을 위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직선 구간 이동
먼저, 이송트롤리(100)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서는, 걸림부(130)의 상단부, 즉, 걸림돌기(131)가 가이드레일의 삽입공(22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승강조작로프(150)가 당겨진 상태로 로킹홀더(170) 내에 고정됨으로써, 걸림부(130)는 하강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송트롤리(100)는 자유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보행자의 보행과 함께 이송트롤리(100)도 가이드레일(200)을 따라서 이송된다. 보행자는 이송트롤리(100)의 이송과 함께 직선 구간의 가이드레일(200)의 경로를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보행을 보조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행자가 보행 연습을 중단하거나, 일시적으로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등의 사유로 인하여, 이송트롤리(100)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승강조작로프(150)를 로킹홀더(170)로부터 이탈시킨다.
승강조작로프(150)에 가해진 힘이 해제되면서, 탄성가압부재(133)로 인하여 걸림부(130)는 원위치로 상승하고, 걸림돌기(131)는 삽입공(220)내에 체결됨으로써 이송트롤리(100)는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사용자의 자유 행동시에도 이송트롤리가 불필요하게 이동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활동이 가능하고, 사용 편의성이 개선되는 것이다.
방향전환부 이송트롤리 고정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송트롤리(100)를 방향전환부(300)의 회전레일부(330) 내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고정핀(650)의 사이에 이송트롤리(100)를 배치시킨다.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회동조작로프(323)를 당긴다. 회동조작로프(323)를 당김으로써 지지부(660)에 지지된 가압조작부(640)의 일단부가 회동하면서 가압조작로프(680)에 연결된 가압조작부(640)의 타단부는 하강한다. 가압조작부(640)의 하강과 여기에 연결된 구동암(610)도 하강하게 된다.
구동암(610)은 탄성부재(630)로부터 인가되는 탄성력의 반대 방향을 따라 하강하고, 구동암(610)에 연결된 한 쌍의 고정핀(650)도 하강한다. 이러한 하강 동작에 의하여, 한 쌍의 고정핀(650) 사이에 이송트롤리(100)가 배치되고, 고정핀(650)은 이송트롤리(100)가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송트롤리(100)는 고정핀(650)의 이탈제한부재(654)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탈제한부재(654)는 스토퍼(655)에 의하여 이송트롤리(100)의 이탈방향, 즉, 고정핀(650) 사이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송트롤리(100)가 바깥쪽으로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송트롤리(100)는 이탈제한부재(654)의 회동 제한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이동이 제한되고,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만약 고정핀(650)이 하강한 후에도 이송트롤리(100)가 고정핀(650)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지 못한 경우라면, 사용자는 이송트롤리(100)를 고정핀(650) 사이로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이송트롤리(100)가 이동하면서 이탈제한부재(654)를 가압하게 되고, 이탈제한부재(654)는 별도의 제한 없이 회동하면서 이송트롤리(100)의 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이송트롤리(100)가 고정핀 사이로 이동한 후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이송트롤리(100)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조작로프(680)에 가해진 힘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630)로부터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하여 구동암(610)에 상승 압박이 가해지고, 가압조작로프(680)에는 원위치로의 복원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가압조작로프(680)를 당긴 상태에서, 고정홀더(670)의 안착면에 가압조작로프(680)를 안착시킴으로써, 가압조작로프(680)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사선방향의 고정돌기가 가압조작로프(680)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마찰력에 의하여 가압조작로프(68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고정홀더(670)가 가압조작로프(680)를 고정함으로써, 고정핀(650)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이송트롤리(10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킨다.
방향전환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이송트롤리(10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조작자는 회동조작로프(323) 중 하나를 당긴다. 회동조작로프(323)의 조작에 따라 회동암(322)이 회동하게되고, 회동암(322)과 연결된 회전레일부(330)가 90도 회동한다.
회전레일부(330)가 90도 회동함에 따라, 회전레일부(330)와 일치하게 되는 가이드레일(200)이 변경된다. 즉, 제1경로 상에 위치하던 회전레일부(330)가 회동하여 제1경로와 수직을 이루는 제2경로와 일치하게 되고, 이송트롤리(100)의 이송 경로가 전환된다.
이송트롤리 위치 고정해제
이송트롤리(100)의 이송경로가 전환되면, 조작자는 가압조작로프(680)를 고정홀더(670)의 안착면으로부터 이탈시키고, 당기는 힘을 해제한다.
조작자로부터 가압조작로프(680)에 가해지는 인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하여 구동암(610)이 상승하면서 가압조작로프(680)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구동암(610)의 상승에 의하여, 고정핀(650)도 상승하고, 고정핀(650)의 사이에 위치하던 이송트롤리(100)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송트롤리(100)는 회전레일부(330)로부터 이탈하여 가이드레일(200)에 진입하면서 제2경로를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도, 수동으로 이송트롤리(100)의 자유로운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이송트롤리 200 : 가이드레일
300 : 방향전환부 400 : 연장프레임
500 : 안내롤러 600 : 위치고정부

Claims (10)

  1.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트롤리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롤러; 단부가 상기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측으로 승강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승강을 조작하는 승강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트롤리는, 상기 승강레버의 단부에 장착되는 승강조작로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트롤리는, 상기 승강레버가 돌출되는 측 바디부에 부착되며, 상기 승강조작로프를 하강한 상태로 고정하는 로킹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걸림부의 단부가 수용되는 승강안내홈을 형성하는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를 마감하는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레버는 일단부가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타단부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하단부가 상기 승강레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레버의 승강과 연동하여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공 내에 삽입되는 걸림돌기; 상기 승강레버의 측부에 장착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과 상기 걸림돌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용프레임부재; 상기 수용프레임부재 내에 장착되며, 일단부는 바디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용프레임부재에 밀착하여 상기 수용프레임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구동롤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트롤리는,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측벽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킹홀더는 상기 승강조작로프와 접촉하는 내벽면에 마찰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의 경사방향은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54587A 2019-05-09 2019-05-09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KR102162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587A KR102162069B1 (ko) 2019-05-09 2019-05-09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587A KR102162069B1 (ko) 2019-05-09 2019-05-09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069B1 true KR102162069B1 (ko) 2020-10-06

Family

ID=7282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587A KR102162069B1 (ko) 2019-05-09 2019-05-09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0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933B1 (ko) 2021-10-13 2023-01-04 (주)위니즈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KR20230018269A (ko) * 2021-07-29 2023-02-07 (주)위니즈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KR20230096611A (ko) 2021-12-23 2023-06-30 (주)위니즈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425A (ko) * 2010-04-01 2011-10-07 김세곤 레일식 보행보조기구의 방향전환장치
KR101502591B1 (ko) * 2013-08-20 2015-03-16 대광전력(주) 재활치료용 보행보조 리프트 이송장치
JP2016511017A (ja) * 2013-01-22 2016-04-14 ゴーベ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平方向及び垂直方向力検知並びに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ルを用いた医療用リハビリテーションリフト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107871A (ko) * 2016-03-16 2017-09-26 주식회사 마르페 도수치료장치
KR20180127142A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KR101952030B1 (ko) * 2017-09-11 2019-02-25 김세곤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425A (ko) * 2010-04-01 2011-10-07 김세곤 레일식 보행보조기구의 방향전환장치
JP2016511017A (ja) * 2013-01-22 2016-04-14 ゴーベ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平方向及び垂直方向力検知並びに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ルを用いた医療用リハビリテーションリフ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66760B1 (ko) * 2013-01-22 2017-08-23 고벨 인코포레이티드 수평력과 수직력 감지 기능 및 동작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의료 재활 리프트 시스템 및 방법
KR101502591B1 (ko) * 2013-08-20 2015-03-16 대광전력(주) 재활치료용 보행보조 리프트 이송장치
KR20170107871A (ko) * 2016-03-16 2017-09-26 주식회사 마르페 도수치료장치
KR20180127142A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KR101952030B1 (ko) * 2017-09-11 2019-02-25 김세곤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269A (ko) * 2021-07-29 2023-02-07 (주)위니즈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KR102602122B1 (ko) 2021-07-29 2023-11-14 (주)위니즈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KR102483933B1 (ko) 2021-10-13 2023-01-04 (주)위니즈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KR20230096611A (ko) 2021-12-23 2023-06-30 (주)위니즈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069B1 (ko)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KR102162068B1 (ko)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
KR101358943B1 (ko) 보행 재활 로봇의 골반 지지 장치
KR101952030B1 (ko)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KR101618231B1 (ko) 보행훈련 시스템
WO2011046299A2 (ko)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WO2016064268A2 (en) A stairlift, for transporting a load along a staircase
KR102147033B1 (ko)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US10874562B2 (en) Mobile device and transmission assembly
KR100945598B1 (ko) 엘리베이터 출입문 개폐장치
WO2009155930A1 (en) Coupling for a hoisting system
KR20120091663A (ko) 전동 휠체어
KR102225060B1 (ko)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KR102225063B1 (ko)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CN113995591A (zh) 一种可分离式床椅一体化机器人
CN205487797U (zh) 转换开关的手动操作装置
JP5779763B2 (ja) ストレッチャー等における載置台のスライド機構
US11744765B2 (en) Standing training mobile device
KR102486668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
KR20220021211A (ko)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102119099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0999486B1 (ko)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KR102570104B1 (ko) 룸커버링 레일시스템
CN107822790A (zh) 一种防侧滑智能床椅
EP3756634A1 (en) Manoeuvre device for moving transport structures, of the type used in health facilities or simi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