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211A -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211A
KR20220021211A KR1020200101770A KR20200101770A KR20220021211A KR 20220021211 A KR20220021211 A KR 20220021211A KR 1020200101770 A KR1020200101770 A KR 1020200101770A KR 20200101770 A KR20200101770 A KR 20200101770A KR 20220021211 A KR20220021211 A KR 20220021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rriage
base
changing device
type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786B1 (ko
Inventor
정부환
Original Assignee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환 filed Critical 정부환
Priority to KR102020010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786B1/ko
Priority to PCT/KR2020/011055 priority patent/WO2022034952A1/ko
Publication of KR2022002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61H2201/1223Frequency controlled A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61H2201/5066Limi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제1, 2 고정 레일(100, 102)에 설치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20); 상기 베이스(10)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는 센터 브래킷(4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캐리지(72)를 직선 운동시키는 드라이빙 유닛(70); 상기 캐리지(72)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홀(52)이 관통되어 형성된 터닝 블록(50); 한쪽에 링 헤드(6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활주 되며,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고정된 로드(60); 및 상기 센터 브래킷(4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레일(100)과 상기 제2 고정 레일(102) 중에 어느 하나와 방향이 일치되는 로터리 레일(9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본 발명은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에서 보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중 환자, 하지 마비 환자, 재활 치료 환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 등은 하지의 근력이 약하여 자력 보행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보행보조기구는 자력 보행이 어려운 사람이 자신 체중으로 인한 부하를 경감시킨 상태에서 쉽게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이다.
종래에 보행보조기구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가 알려져 있는데, 사용자가 이동 경로는 레일의 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어 단조로우며 보행 방향을 전환하지 않거나 전환하더라도 매번 같은 경로에서 레일 배치 방향에 한정하여 보행 방향이 전환되는 것으로 인체 근육 중에 사용하지 않은 근육이 있을 수 있어 재활 치료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가 설치된 재활센터, 병원,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설치 공간 내에서, 보행보조기구로 보행을 하는 사용자가 다양한 이동 경로를 따라 선택적으로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보행 훈련 시스템은 회전 바를 끈으로 연결된 구성이고, 회전 바의 끈을 바로 아래 향으로 당기는 제1 동작과 이동 목적 방향으로 젖히는 형태로 당기는 제2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 바는 시소 운동하여 연결 바를 뽑아 올려야 하는 구성이므로 수직 방향으로 전체적인 외관 크기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동작과 제2 동작을 연속하여 취하는 것은 사용자 스스로 행동하기에 불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조자가 도와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KR 10-1618231 B1 KR 10-2011-0110425 A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레일과 다른 레일이 교차하는 지점에 방향전환장치를 설치하여 보행 경로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향전환장치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높은 위치에 있는 손잡이만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한 번의 동작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 치료 당사자 혼자서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복수의 제1, 2 고정 레일(100, 102)에 설치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20); 상기 베이스(10)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는 센터 브래킷(4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캐리지(72)를 직선 운동시키는 드라이빙 유닛(70); 상기 디스크(20)와 상기 캐리지(72) 중에 어느 하나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홀(52)이 관통되어 형성된 터닝 블록(50); 한쪽에 링 헤드(6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활주 되며,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고정되거나,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서 회전 운동 되는 로드(60); 및 상기 센터 브래킷(4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레일(100)과 상기 제2 고정 레일(102) 중에 어느 하나와 방향이 일치되는 로터리 레일(9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드라이빙 유닛(7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72)가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상기 베이스(10)의 설치된 복수의 로프 가이드(86); 및 상기 복수의 로프 가이드(86)를 거쳐 상기 캐리지(72)에 연결되고, 양쪽 끝부분이 외부로 연장되는 로프(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드라이빙 유닛(7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72)가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된 너트 블록(112);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너트 블록(112)에 나사 결합한 스크루(114); 및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루(114)를 구동시키는 모터(1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상기 모터(116)의 정역 회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8); 및 상기 제어부(118)에 무선통신으로 정회전 신호와 역회전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사용자가 보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로터리 레일을 임의로 방향 전환할 수 있고, 이로써 보행 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경로로 보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외관 크기를 살펴볼 때, 종래에 시소 운동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를 적용한 방향전환장치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께를 얇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로터리 레일의 방향을 수동으로 전환할 때 로프의 양쪽 끝부분에서 위쪽에 있는 로프 끝부분을 잡아당기는 한 번의 동작으로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 사시도와 저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상면 사시도 및 분해 저면 사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고정 레일이 4방향으로 연결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천장에 설치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부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캐리지의 운동과 로드와 터닝 블록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드라이빙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로터리 레일에 행거 드라이버(200)가 위치한 상태에서 로터리 레일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캐리지의 운동과 로드와 터닝 블록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부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과 저면 사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저면 분해 사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고정 레일이 4방향으로 연결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천장에 설치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베이스(10), 디스크(20), 베어링 유닛(30), 센터 브래킷(40), 터닝 블록(50), 로드(60), 드라이빙 유닛(70) 및 로터리 레일(9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복수의 제1, 2 고정 레일(100, 102)에 설치되고, 베어링 시트(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가장자리에 레일 홀더(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시트(12)는 축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0)에 별개 구성요소를 부가하고 상기 별개 구성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홀더(14)는 상기 복수의 고정 레일(100, 102) 중에 낱개의 고정 레일이 설치될 수 있고, 용접, 수나사와 암나사, 리벳 등의 체결 수단으로 레일 홀더(14)와 고정 레일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가 T 교차점에 설치될 때 도 1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 홀더(14)는 3개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레일(100, 102)은 총 3개를 연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가 십자 교차점에 설치될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 홀더(14)는 4개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레일(100, 102)은 총 4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 레일(100, 102)은 건축물의 천장 또는 스탠드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2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볼트 등의 체결 요소를 관통시키도록 스루 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스루 홀(22)은 볼트의 개수에 비례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30)은 축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30)은 상기 베어링 시트(12)에 설치될 수 있고, 베어링 유닛(30)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20)가 얹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 브래킷(4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부로부터 상기 베어링 유닛(30)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 브래킷(40)의 상면에는 탭(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닝 블록(50)은 상기 디스크(20) 상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닝 블록(50)은 수직 방향으로 볼트 홀(54)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홀(54)에는 볼트(56)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볼트(56)는 상기 볼트 홀(54)과 스루 홀(22)을 거쳐 상기 탭(42)에 체결되어 상기 디스크(20)와 상기 센터 브래킷(40)과 상기 터닝 블록(50)을 고정할 수 있고, 이로써 터닝 블록(50)이 회전하면 센터 브래킷(4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로드(60)는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끼워져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활주하며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로드(60)가 각도 운동하면 로드(60)의 각도 운동에 따라 상기 터닝 블록(50)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드(60)는 상기 터닝 블록(50)에 대하여 왕복 직선운동하고,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왕복 회전 운동하는 것으로써 복합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60)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터닝 블록(50)을 좀 더 작은 힘으로 쉽게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로드(60)는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60)는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빙 유닛(7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로드(60)를 각도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레일(90)은 상기 센터 브래킷(40)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드라이빙 유닛(70)의 작동으로 상기 복수의 제1, 2 고정 레일(100, 102) 중에 어느 하나와 방향이 일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레일(90)의 끝부분은 회전 반경과 대응하는 크기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로터리 레일(90)이 회전할 때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로드(60)의 구동이 수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전체 외관의 높이(두께)는 상하 방향으로 시소 운동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고정 레일(100, 102)을 바둑판 모양으로 조합하여 설치하고, 각 고정 레일의 교차점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설치하여 보행 경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빙 유닛(70)은 도 1, 도 3 및 도 7부터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부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캐리지의 운동과 로드와 터닝 블록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드라이빙 유닛(70)은, 링 헤드(62),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캐리지(72), 링크 샤프트(74), 복수의 로프 가이드(86) 및 로프(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 헤드(62)는 상기 로드(60)의 끝부분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72)는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에 설치되어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에서 선형 운동하며 활주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샤프트(74)는 상기 캐리지(72)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링 헤드(62)에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로프 가이드(86)는 상기 베이스(10)의 설치될 수 있고, 롤러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하여 로프(80)가 롤러에서 이탈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로프 가이드(86)는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의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로프(80)가 베이스(10)를 벗어나는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프(80)는 상기 복수의 로프 가이드(86)를 거쳐 상기 캐리지(72)에 연결되고, 양쪽 끝부분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프(80)의 양쪽 끝에는 각각 제1, 2 손잡이(82, 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프(80)는 커넥터(76)로 캐리어(72)에 묶일 수 있고, 커넥터(76)는 예를 들면 클램프, 클립, 볼트 너트 등의 구성일 수 있다.
제1 손잡이(82)가 당겨진 상태이면 제2 손잡이(84)는 제1 손잡이(82)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손잡이(82)가 당겨진 상태이면 도 7을 참조할 때 로터리 레일(90)은 제2 고정 레일(102)과 방향이 일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손잡이(84)를 당기면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로프(80)는 캐리지(72)를 끌어당기고, 이로써 캐리지(7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아래에서 출발하여 왼쪽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로터리 레일(90)은 제2 고정 레일(102)과 방향이 어긋나고 제1 고정 레일(100)과 일치하는 쪽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제2 손잡이(84)를 완전하게 당기면 도 9의 (a)와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80)는 캐리지(72)를 왼쪽 상측으로 이동되고, 로터리 레일(90)은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 레일(100)과 일치될 수 있다.
캐리지(72)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임의로 요동치지 않고 안정된 자세에서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어 로프(80)를 당기는 힘이 다소 약하더라도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빙 유닛(70)은 전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드라이빙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드라이빙 유닛(70)의 다른 예는, 링 헤드(62),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캐리지(72), 링크 샤프트(74), 너트 블록(112), 스크루(114) 및 모터(11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링 헤드(62),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캐리지(72) 및 링크 샤프트(74)의 구성은 앞서 설명된 구성 설명과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상기 너트 블록(112)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루(114)는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너트 블록(112)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즉, 스크루(114)가 회전하면 상기 너트 블록(112)은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116)는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루(11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스크루(114)와 상기 모터(116)는 축이 직결될 수 있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열(117a, 117b)을 갖추어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모터(116)를 구동함으로써 기계적 힘으로 로터리 레일(90)을 방향 전환할 수 있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 모터(116)는 원격 제어할 수 있고,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제어부(118)와 스위치(1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모터(116)의 정역 회전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20)는 상기 제어부(118)에 정회전 신호와 역회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20)는 방향전환장치마다 유선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8)와 상기 스위치(120)는 무선 통신부를 갖추고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이때 스위치(120)는 원격제어장치로써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향전환장치마다 스위치(120)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보행 경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레일의 가장 바깥쪽을 따라 보행할 수 있도록 로터리 레일(9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임의 구간은 행거 드라이버(200)가 로터리 레일(90)이 진입 완료한 직후에 방향을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행거 드라이버(200)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로터리 레일에 행거 드라이버(200)가 위치한 상태에서 로터리 레일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 드라이버(200)는 상기 로터리 레일(90)과 제1, 2 고정 레일(100, 102)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롤러 휠이 갖춰질 수 있고, 사용자가 매달릴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로터리 레일(90)의 양쪽에는 도 2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킹 유닛(9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유닛(92)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블로킹 유닛(92)의 반원 호 부분은 아래쪽에서 올려다볼 때 일부가 상기 제1, 2 고정 레일(100, 102)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유닛(92)은 예를 들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레일(90)과 제2 고정 레일(102)이 방향 일치일 때 제1 고정 레일(100)을 통하여 다른 행거 드라이버(200)가 로터리 레일(90)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레일(90)과 제1, 2 고정 레일(100, 102)이 방향 불일치일 때 제1, 2 고정 레일(100,102)을 통하여 다른 행거 드라이버(200)가 로터리 레일(90)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하우징 케이스(94)가 베이스(10)를 포함하여 베이스(10)에 설치된 구성요소의 바깥쪽에 씌워져 내부 구성요소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제1, 2 커버(96, 9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96)는 제1 고정 레일(100)과 인접한 다른 제2 고정 레일(102)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으로 배치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98)는 제1 고정 레일(100) 또는 제2 고정 레일(102)이 직선으로 배치되고 그사이에 다른 고정 레일이 없을 때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2 커버(96, 98)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레일(90)이 제1, 2 고정 레일(100, 102)과 방향이 어긋났을 때 행거 드라이버(2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캐리지의 운동과 로드와 터닝 블록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캐리지(72)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드라이빙 유닛(70)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 설명과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는 베어링 시트(12)가 형성될 수 있고, 베어링 시트(12)에 베어링 유닛(3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유닛(30)은 축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30)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20)가 얹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센터 브래킷(4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부로부터 상기 베어링 유닛(30)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20)의 위쪽에는 터닝 샤프트(24)가 갖춰질 수 있다. 상기 터닝 샤프트(24)는 상기 디스크(20)와 일체로 묶일 수 있고, 결국 터닝 샤프트(24)가 회전 운동하면 디스크(20)와 센터 브래킷(40)이 함께 회전 운동할 수 있다.
터닝 블록(50)은 캐리지(72)의 위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터닝 블록(50)과 상기 캐리지(72) 중에 어느 한쪽에 샤프트(59)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베어링(58)이 배치될 수 있고, 샤프트(59)가 베어링(58)에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캐리지(72)가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에서 직선 이동하면 터닝 블록(50)은 캐리지(72)와 함께 직선 이동하고, 터닝 블록(50)은 캐리지(72)에서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닝 블록(50)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60)는 직선으로 뻗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어느 한쪽에 링 헤드(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60)는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끼워져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활주하며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로드(60)가 각도 운동하면 로드(60)의 각도 운동에 따라 상기 터닝 블록(50)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링 헤드(62)는 상기 터닝 샤프트(24)에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터닝 샤프트(24)와 링 헤드(62)는 볼트로 조립되거나, 키가 꽂히거나, 용접될 수 있다.
즉, 상기 로드(60)는 상기 터닝 블록(50)에 대하여 왕복 직선운동하고,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상기 베어링 유닛(30)의 축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72)가 오른쪽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고, 로터리 레일(90)은 로드(60)의 길이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72)가 왼쪽 위쪽으로 이동을 하면, 로드(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터리 레일(90)은 로드(60)와 함께 회전한다.
이후,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72)가 왼쪽 위쪽으로 이동 완료되면 로드(60)가 회전 완료되고, 로터리 레일(90)의 방향전환이 완료된다.
한편으로, 캐리지(72)는 도 14를 참조하면, 왼쪽 위쪽에서 오른쪽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하면 로드(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터리 레일(90)은 로드(60)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방향 전환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천장에 설치된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에서 레일의 방향을 전환하여 사용자의 보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베이스 12: 베어링 시트
14: 레일 홀더 20: 디스크
22: 스루 홀 24: 터닝 샤프트
30: 베어링 유닛
40: 센터 브래킷 42: 탭
50: 터닝 블록 52: 슬라이딩 홀
54: 볼트 홀 56: 볼트
58: 베어링 59: 샤프트
60: 로드 62: 링 헤드
70: 드라이빙 유닛
72: 캐리지 74: 링크 샤프트
76: 커넥터 78: 리니어 가이드 레일
80: 로프 82, 84: 제1, 2 손잡이
86: 로프 가이드 90: 로터리 레일
92: 블로킹 유닛 94: 하우징 케이스
96, 98: 제1, 2 커버 100, 102: 제1, 2 고정 레일
112: 너트 블록 114: 스크루
116: 모터 118: 제어부
120: 스위치 200: 행거 드라이버

Claims (4)

  1. 복수의 제1, 2 고정 레일(100, 102)에 설치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20);
    상기 베이스(10)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는 센터 브래킷(4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캐리지(72)를 직선 운동시키는 드라이빙 유닛(70);
    상기 디스크(20)와 상기 캐리지(72) 중에 어느 하나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홀(52)이 관통되어 형성된 터닝 블록(50);
    한쪽에 링 헤드(6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활주 되며,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고정되거나,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서 회전 운동 되는 로드(60); 및
    상기 센터 브래킷(4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레일(100)과 상기 제2 고정 레일(102) 중에 어느 하나와 방향이 일치되는 로터리 레일(90);
    을 포함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드라이빙 유닛(7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72)가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상기 베이스(10)의 설치된 복수의 로프 가이드(86); 및
    상기 복수의 로프 가이드(86)를 거쳐 상기 캐리지(72)에 연결되고, 양쪽 끝부분이 외부로 연장되는 로프(80);
    를 포함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드라이빙 유닛(7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72)가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된 너트 블록(112);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너트 블록(112)에 나사 결합한 스크루(114); 및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루(114)를 구동시키는 모터(116);
    를 포함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16)의 정역 회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8); 및
    상기 제어부(118)에 무선통신으로 정회전 신호와 역회전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120);
    를 포함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1020200101770A 2020-08-13 2020-08-13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102379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70A KR102379786B1 (ko) 2020-08-13 2020-08-13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PCT/KR2020/011055 WO2022034952A1 (ko) 2020-08-13 2020-08-19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70A KR102379786B1 (ko) 2020-08-13 2020-08-13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11A true KR20220021211A (ko) 2022-02-22
KR102379786B1 KR102379786B1 (ko) 2022-03-25

Family

ID=8024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70A KR102379786B1 (ko) 2020-08-13 2020-08-13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9786B1 (ko)
WO (1) WO2022034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1145A (ko) * 2021-07-29 2024-04-19 더 보드 오브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Kras 돌연변이 암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425A (ko) 2010-04-01 2011-10-07 김세곤 레일식 보행보조기구의 방향전환장치
KR101453482B1 (ko) * 2013-04-26 2014-10-23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KR101618231B1 (ko) 2014-11-26 2016-05-04 주식회사 마르페 보행훈련 시스템
KR20160115245A (ko) * 2015-03-26 2016-10-06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60115263A (ko) * 2015-03-26 2016-10-06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보행 재활 훈련 장치
CN107397665A (zh) * 2017-08-27 2017-11-28 常俊红 一种医用自动拔罐装置
JP2018117770A (ja) * 2017-01-24 2018-08-02 株式会社モリトー 介護リフト装置
KR20190121966A (ko) * 2018-04-19 2019-10-29 (주) 에스에이텍 보행보조장치
KR102147033B1 (ko) * 2019-03-13 2020-08-21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425A (ko) 2010-04-01 2011-10-07 김세곤 레일식 보행보조기구의 방향전환장치
KR101453482B1 (ko) * 2013-04-26 2014-10-23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KR101618231B1 (ko) 2014-11-26 2016-05-04 주식회사 마르페 보행훈련 시스템
KR20160115245A (ko) * 2015-03-26 2016-10-06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60115263A (ko) * 2015-03-26 2016-10-06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보행 재활 훈련 장치
JP2018117770A (ja) * 2017-01-24 2018-08-02 株式会社モリトー 介護リフト装置
CN107397665A (zh) * 2017-08-27 2017-11-28 常俊红 一种医用自动拔罐装置
KR20190121966A (ko) * 2018-04-19 2019-10-29 (주) 에스에이텍 보행보조장치
KR102147033B1 (ko) * 2019-03-13 2020-08-21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786B1 (ko) 2022-03-25
WO2022034952A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033B1 (ko)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JP6723284B2 (ja) 上肢リハビリ支援装置
CA2661566A1 (en) Kneading and rolling robotic massage device
CN101636141B (zh) 身体按摩器
KR102379786B1 (ko)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101618231B1 (ko) 보행훈련 시스템
KR20110110425A (ko) 레일식 보행보조기구의 방향전환장치
US20140274609A1 (en) High knees exercise apparatus
US10894182B2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CN113730880A (zh) 一种训练组件及关节运动康复训练装置
CN110664603B (zh) 一种伸缩扭转按摩器
KR20080004148A (ko) 자동 허리운동기구
CN216653285U (zh) 一种训练组件及具有关节训练功能的康复训练机
CN215136580U (zh) 一种卧式康复训练装置
US11219568B2 (en) Standing assistance apparatus
CN113304442A (zh) 一种具有关节训练功能的康复训练机
CN102475619A (zh) 一种牵引上下肢进行主被动运动的装置
KR200349715Y1 (ko) 중풍환자용 재활운동기구
KR20210043143A (ko) 가변 운동기구
JP3505692B2 (ja) 健康維持装置
CN215136585U (zh) 机械式上肢手部训练装置
CN113289316B (zh) 一种床用卧式康复训练装置
KR102453402B1 (ko)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JP2003235916A (ja) 歩行訓練装置
CN216934603U (zh) 一种床用下肢康复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