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966A - 보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보행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966A
KR20190121966A KR1020180045482A KR20180045482A KR20190121966A KR 20190121966 A KR20190121966 A KR 20190121966A KR 1020180045482 A KR1020180045482 A KR 1020180045482A KR 20180045482 A KR20180045482 A KR 20180045482A KR 20190121966 A KR20190121966 A KR 20190121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ear
plate
groove
transmiss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변진하
강민성
김원호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에이텍 filed Critical (주) 에스에이텍
Priority to KR102018004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1966A/ko
Publication of KR2019012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1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on steps or st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25Activation means
    • A61H2201/5028Contact activation, i.e. activated at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user to be tr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는, 난간에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보조장치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본 발명은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사가 높은 지형에 형성된 일반적인 보행 경사로 또는 계단에는 안전사고 방지 및 보행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고정식 난간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식 난간은 바닥, 벽 등의 지지 면으로부터 경사로 또는 계단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또는 지주) 및 상기 지지대들을 연결하여 보행자의 보행을 도와주는 핸드레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행자는 상기 고정식 난간의 핸드레일을 한 손으로 잡고 상기 경사로 또는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경사로 이동이 불편한 노약자, 아동, 장애인 등은 상기 고정식 난간에 의지하여 경사가 있는 지역을 보행하기에 매우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로 또는 계단에는, 신체적인 능력이 떨어지는 상기 노약자 등의 보행을 수월하게 하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사로 또는 계단에 상기 고정식 난간과 함께 에스컬레이터용 핸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에스컬레이터용 핸드 레일은, 부품이 크고 부품의 수가 많아 설치 작업이 어려우며, 고가인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용 핸드레일은, 소형화가 어려우며, 기존 고정식 난간을 활용할 수 없어 활용성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충분한 설치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면 노약자 등이 통행 빈도가 높은 경사로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문헌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번호(공개일자): 10-2015-0071899(2015년 06월 29일) 발명의 명칭: 이동형 핸드레일
본 발명의 목적은, 노약자, 신체 장애자 등과 같은 교통약자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경사로를 오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게 설치 가능하고, 기존의 난간을 활용하여 협소한 설치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소형화된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랙-피니언 구동 방식 또는 레일에 접촉되는 바퀴에 동력을 강제하는 구동 방식의 소음, 마모, 순간 가속에 따른 미끄러짐(slip)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정적으로 정지 또는 출발할 수 있는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직관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온/오프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는, 난간에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다수의 기어의 외주면에 삽입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다수의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기어는,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상부 구동기어이; 상기 상부 구동기어이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구동기어이; 및 상기 상부 구동기어이와 상기 하부 구동기어이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달기어는, 상기 상부 구동기어이와 맞물리는 상부 전달기어이; 상기 하부 구동기어이와 맞물리는 하부 전달기어이; 및 상기 상부 전달기어이와 상기 하부 전달기어이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홈에 삽입되어 상기 전달기어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와이어홈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기어는, 상기 전달기어의 측방에 위치하는 종속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속기어는, 상기 상부 전달기어이와 맞물리는 상부 종속기어이; 상기 하부 전달기어이와 맞물리는 하부 종속기어이; 및 상기 상부 종속기어이와 상기 하부 종속기어이 사이에 위치하는 종속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종속홈에 삽입되어 상기 종속기어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속홈은, 상기 와이어홈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저면을 제공하는 바텀플레이트; 상기 바텀플레이트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면플레이트; 상기 바텀플레이트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는 상기 후면플레이트보다 낮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부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미들플레이트; 및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어퍼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부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는 상기 이동레일을 상하 방향에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기어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텀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플레이트 및 제 2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측면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측면플레이트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수용부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후면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손잡이; 및 사용자의 접근 또는 파지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손잡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양 방향 감지를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는 모터의 회전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진행방향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동작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표시부는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서포터베이스; 및 상기 서포터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핸들서포터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서포터가 상기 서포터베이스로부터 회동되면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는, 난간에 결합되는 이동레일에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하는 롤러; 상기 롤러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에 위치하는 미들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미들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가이드; 상기 와이어가이드의 후방에 위치하는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전달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 및 상기 와이어가이드, 상기 전달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를 연결하며, 상기 이동레일의 양 끝단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일 단은 상기 이동레일에 설치된 스프링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 단은 상기 이동레일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양측 모서리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와이어가이드 및 제 2 와이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제 1 와이어가이드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제 2 와이어가이드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의 전면부에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달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전달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의 타측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전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전달기어를 S자 형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 전달기어 및 상기 제 2 전달기어가 마주보는 위치로 삽입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후측을 권취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전달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은, 후면에 연장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후단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후단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후단 홈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은, 상면에 연장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상단홈; 및 하면에 연장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하단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 상기 상단홈 또는 상기 하부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약자, 장애인, 아동 등과 같은 상대적인 교통약자들이 경사로 또는 계단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보조장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정지 또는 출발할 수 있으며, 순간적인 힘에 대한 장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사용자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레일에 고정되는 와이어에 의해 보행보조장치의 이동이 가이드되기 때문에, 랙-피니언 구동 방식 또는 레일에 접촉된 바퀴에 동력을 가하는 구동 방식보다 소음이 적어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퀴와 레일 간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을 가이드하는 와이어가 구동부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기어에 상기 와이어가 교차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보행보조장치의 하중에 의한 와이어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을 유지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로 등에 설치된 기존 난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협소한 설치 공간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보행보조장치 보다 활용도가 높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를 회동시켜 간편하게 전원을 온/오프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 여부에 따라 손잡이를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장치의 진행 방향, 전원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보행보조장치의 시인성, 직관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핸들을 조작하여 장치의 진행 방향을 쉽게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보행보조장치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사용 개념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를 일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를 타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7의 ‘B’ 부분에 와이어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와이어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C-C’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가 이동 레일에 설치된 모습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사용 개념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경사가 높은 지형에 형성된 보행을 위한 경사로 또는 계단에 설치된 난간(10)은 바닥, 벽(W) 등의 지지 면에 결합되는 지지대(11) 및 상기 지지대(11)에 연결되어 보행자의 보행을 돕는 핸드레일(1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경사로 또는 계단을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드레일(15)은 다수의 지지대(11)를 연결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드레일(15)은 상기 경사로 또는 계단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는, 상기 난간(10)에 상기 핸드레일(15)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이동레일(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행보조장치(100)는 상기 이동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행보조장치(100)는,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경사로 또는 계단을 오르는 정 방향 이동을 보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경사로 또는 계단을 내리는 역 방향 이동을 보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20)은 상기 핸드레일(15)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대(1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2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는, 기존의 난간(10)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되는 이동레일(20)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협소한 경사로 또는 계단에 설치된 난간(10)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보조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크기가 커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고 난간(10) 외 별도의 레일 시스템을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 난이도가 높은 종래 보행보조장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노약자, 아동 등의 교통 약자는 상기 보행보조장치(100)에 구비된 핸들부(110)를 잡거나 의지한 채로 안전하고 쉽게 경사로 또는 계단을 보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를 일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를 타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 및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는 전면부가 개구되며, 상기 개구된 전면부에는 후술할 하부롤러(123) 및 상부롤러(152)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롤러(123) 및 상부롤러(152)는 상기 이동레일(20)의 상, 하단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롤러(123) 및 상부롤러(152)의 회전 축은 상기 난간(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행보조장치(100)를 기준으로 상기 난간(10)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즉, 상기 하부롤러(123) 및 상부롤러(152)의 회전 축은 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20)의 연장 방향은 상기 하부롤러(123) 및 상부롤러(152)의 회전 축에 수직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의 상면부는 상기 핸드레일(15)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1)의 상면부에는 상기 보행보조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표시부(10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103)는 전원 온/오프 상태, 배터리 충전 상태, 이상 동작 등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103)는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의 후면부에는 상기 핸들부(110)가 설치되는 회동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동개구(102)는 상기 케이스(101)의 후면부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10)는 상기 회동개구(102)를 통해 후술할 후면플레이트(12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110)는 상기 케이스(101)의 후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110)는, 보행자의 사용이 필요할 때 상기 케이스(101)의 후면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하며, 보행자의 사용이 불필요할 때 수직하게 회동되어 상기 이동레일(20)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110)는 경사로 또는 계단 등의 보행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110)는 보행자의 사용이 불필요할 때 접어서 보관될 수 있으므로 경사로 또는 계단 등의 보행로 공간을 차지하는 간섭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보관성 및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핸들부(110)가 상기 보행로의 진행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동작 상태를 작동모드라고 이름하며, 상기 보행로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작 상태를 휴지모드라고 이름한다.
상기 핸들부(110)가 작동모드인 경우, 상기 보행보조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10)가 회동되는 순간 전원 연결을 위한 접점이 끊어지게 되어 전원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110)는 휴지모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는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핸들부(110)의 작동모드 또는 휴지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부(110)가 작동모드에서 휴지모드로 전환되도록 회동되는 경우, 회동 순간 핸들부(110)와의 전기적 접점이 끊어진 것을 판단하여 보행보조장치(100)로 전원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부(110)는 회동개구(102)에 위치하는 서포터베이스(116), 상기 서포터베이스(116)의 측단에 결합되는 힌지축(118), 상기 힌지축(11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서포터(112) 및 상기 핸들서포터(112)로부터 일 방향으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베이스(116)는 후술할 후면플레이트(124)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18)은 상기 서포터베이스(116)와 상기 핸들서포터(112)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서포터(112)는 상기 힌지축(118)을 회동 중심 축으로 하여 상기 서포터베이스(116)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11)는 상기 핸들서포터(112)의 외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을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11)는 봉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서포터(112)의 일 면은 상기 손잡이(111)가 연장되며, 상기 일 면에 반대되는 타 면은 대응되는 상기 서포터베이스(116)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서포터(112)의 타 면은 핸들부(110)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서포터베이스(116)와 결합되며, 휴지모드에서 분리된다.
상세히, 상기 서포터베이스(116)는 상기 핸들서포터(112)와 결합을 이루는 결합장치(1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119)를 통하여, 상기 핸들서포터(112)는 상기 핸들부(110)의 작동모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보행자를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베이스(116)는 보행보조장치(100) 내부의 구성들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하네스(114)가 위치할 수 있는 하네스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네스(114)는 상기 하네스홀을 통해 상기 핸들부(110)의 구성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110)는 핸들부(110)의 진행 방향 등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113a,113b), 장치의 이동 방향을 보행자가 전환할 수 있는 전환스위치(115a,115b) 및 보행자의 접근 또는 파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17a,11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표시부(113a.113b)는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표시부(113a,113b)는 상기 손잡이(111)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동작표시부(113a,113b)는 보행보조장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가 다르므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동작표시부(113a,113b)는, 상기 보행보조장치(100)의 정 방향 이동(오르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와 마주보는 일 측에 설치되는 제 1 동작표시부(113a) 및 상기 제 1 동작표시부(113a)의 반대되는 방향인 타 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행보조장치(100)의 역 방향 이동(내리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동작표시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동작표시부(113a) 및 상기 제 2 동작표시부(113b)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작표시부(113a,113b)는 LED 점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진행 방향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115a,115b)는 상기 동작표시부(113a,113b)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동작표시부(113a,113b)가 도넛 형상의 LED 모듈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환스위치(115a,115b)는 상기 동작표시부(113a,113b)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환스위치(115a,115b)는 상기 제 1 동작표시부(113a)에 설치되는 제 1 전환스위치(115a) 및 제 2 동작표시부(113b)에 설치되는 제 2 전환스위치(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115a,115b)는 후술할 구동부(130)의 모터(131) 회전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일례로, 보행자가 상기 전환스위치(115a,115b)를 누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환스위치(115a,115b)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131)의 회전 방향을 현재 회전 방향에서 반대되는 역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이동 방향은 기존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117a,117b)는 보행보조장치(100)의 운전 방향에 따라 보행자의 접근 또는 파지를 판단하기 위해 양 방향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센서(117a,117b)는, 상기 제 1 동작표시부(113a)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감지센서(117a) 및 상기 제 2 동작표시부(113b)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감지센서(117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는, 상기 이동레일(20)을 따라 장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와이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00)는 후술할 구동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200)는, 모터(1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다수의 기어(135,136,137,138,139)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다수의 기어(135,136,137,138,139)의 회전 방향을 기초로, 일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다수의 기어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00)는 모터(131)의 회전에 따라 일 방향으로 보행보조장치(1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200)는 후술할 전달기어(136,137)와 종속기어(138,139) 사이를 ‘S’자 형상으로 연결할 수 있다.(도 13참고)
상기 와이어(200)는, 충분한 거칠기를 가지도록 철(iron) 소재의 다수의 와이어가 꼬아져서 만들어지는 1줄의 스트랜드(strand)가 다수로 재차 꼬아져서 형성되는 와이어 로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200)는 꽈배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는, 상기 와이어(200)에 의해 이동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종래 레일에 접촉되는 바퀴에 구름운동을 강제하는 동력을 가하여 구동하는 방식의 보행보조장치 또는 랙-피니언 구동 방식의 보행보조장치보다 소음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순간적인 가속에 에 대한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급가속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외력에 의해 장치가 레일로부터 미끄러(slip)지는 종래 기술의 문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강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일과 접촉되는 바퀴에 동력을 강제하여 마찰 구름 운동을 통해 장치의 이동이 수행되거나, 랙-피니언 방식에 따라 장치의 이동이 수행되는 종래 보행보조장치 구동 방식은, 우레탄 소재의 바퀴와 철 소재의 레일에 대한 마모 진행 속도가 빨라 수명 및 관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롤러(123,152)에 구동력이 직접 강제되는 것이 아니며, 구동력을 전달받는 다수의 기어(135,136,137,138,139)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와이어(200)에 의해 보행보조장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상술한 마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는 수명 및 관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이동레일(20)에 장력(tension)이 유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이동레일(20)의 와이어홀(25, 도 14 참고)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레일(20)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와이어(200)의 양끝 단부 중 일 단부는 상기 와이어홀(25)의 어느 일 지점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0)의 타 단부는 상기 와이어홀(25)의 다른 일 지점에 설치된 스프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후술할 구동부(130)의 하중에도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이동레일(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이동레일(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00)에 결합된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이동레일(2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00)의 결합 상태 및 구동부(130)의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상세히, 상기 도 6 및 도 7은 상기 케이스(101)를 제거한 보행보조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는, 모터수용공간(129)을 형성하는 수용부(120), 상기 수용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구동부(130) 및 상기 구동부(130)의 상측에 위치하는 배터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0)의 후방에는 상기 핸들부(11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110)는 상기 수용부(12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구동부(130)의 일부가 상기 모터수용공간(129)에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0)는, 최하단 면을 형성하는 바텀플레이트(121), 상기 바텀플레이트(121)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면플레이트(122), 상기 전면플레이트(122)의 전방 위치하는 하부롤러(123), 상기 바텀플레이트(121)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면플레이트(124), 상기 바텀플레이트(121)의 양 측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플레이트(125) 및 제 2 측면플레이트(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22)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24) 보다 낮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10)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24)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포터베이스(116)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24)의 상측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22)의 전면에는 상기 하부롤러(123)의 회전 축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123)의 회전 축은 상기 전면플레이트(12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123)는 상기 하부롤러의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123)는 상기 하부롤러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123)는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는 롤러의 중심부가 외경이 가장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롤러(123)의 중심부는 상기 안내레일(20)의 하단홈(22, 도14 참고)에 삽입되어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123)는 상기 와이어(200)와 결합된 다수의 기어(135,136,137,138,139)의 회전에 종속되어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123)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롤러(123)는 균형을 위하여 제 1 하부롤러(123a) 및 상기 제 1 하부롤러(123a)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2 하부롤러(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플레이트(125) 및 제 2 측면플레이트(126)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24)의 높이와 동일하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플레이트(125)의 상부에는 제 1 위치센서(12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측면플레이트(126)의 상부에는 제 2 위치센서(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치센서(127) 및 제 2 위치센서(128)는, 보행보조장치(1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현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행보조장치(100)가 정 방향(오르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위치센서(128)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최종 위치에 도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최종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측면플레이트(125)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21), 전면플레이트(122) 및 후면플레이트(124)의 일 측단부와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플레이트(126)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21), 전면플레이트(122) 및 후면플레?크(124)의 타 측단부와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공간(129)은 상기 바텀플레이트(121), 전면플레이트(122), 후면플레이트(124) 및 측면플레이트(125,126)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공간(129)에는, 후술할 모터(131)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수용공간(129)에는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메인 컨트롤러(미도시), 파워PCB(미도시) 등과 같은 전장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수용부(120)의 모터수용공간(129)에 모터(131)가 수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1), 상기 모터(131)를 고정하는 미들플레이트(132),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어퍼플레이트(150),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와 어퍼플레이트(15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가이드(133), 구동기어(135), 전달기어(136,1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131)는 구동부(130)가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131)는 상기 배터리(180)로부터 전원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터(131)는 모터 회전 축을 회전시켜 상기 모터 회전 축에 결합된 후술할 구동기어(1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35)는 상기 모터(131)의 회전 방향에 종속되어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132)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2)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125,126)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124)의 중심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131)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모터 회전 축이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의 상측으로 관통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의 하측 공간 즉, 상기 모터수용공간(129)에 상기 모터(131)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의 상면 전단부에는 양측 모서리 방향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축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축은 상기 와이어가이드(133)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133)는 상기 구동부(13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와이어(200)의 변형(variation)을 방지하고 장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133)는 철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가이드(133)는 중심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133)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와 어퍼플레이트(1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와이어가이드(133)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의 상면 전단부와 상기 어퍼플레이트(150)의 하면 전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수직 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축은 상기 미들플레이트(13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133)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와 어퍼플레이트(150) 사이공간에서 상기 제 1 측면플레이트(125)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와이어가이드(133a) 및 상기 제 2 측면플레이트(126)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와이어가이드(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와이어가이드(133a) 및 제 2 와이어가이드(133b)는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와이어가이드(133a) 및 제 2 와이어가이드(133b)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의 최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다수의 기어(135,136,137,138,139)는 상기 와이어가이드(133) 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133)는, 상기 와이어(200)가 삽입되는 홈인 가이드홈(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4)은 상기 와이어가이드(133)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4)은, 상기 와이어가이드(133)의 중심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홈(134)은 상기 와이어가이드(133)는 상면 및 하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두 원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홈(134)은, 상기 와이어가이드(133)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두 연장부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연장부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2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연장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와이어(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34)은 상기 와이어가이드(133)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200)가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34)은 상기 이동레일(20)의 후단홈(23, 도 14참고)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134)은 후술할 전달기어(136,137) 및 종속기어(138,139)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측면플레이트(125) 및 제 2 측면플레이트(126)는, 각각 상기 제 1 와이어가이드(133a)에 형성된 제 1 가이드홈(134a) 및 제 2 와이어가이드(133b)에 형성된 제 2 가이드홈(134b)이 위치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홈(134a) 및 제 2 가이드홈(134b)은 상기 측면플레이트(125,126)에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135)는 상기 모터(13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동기어(135)는 상기 모터(131)의 모터 회전 축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 회전 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135)의 중심 축은, 상기 모터(131)의 회전 축과 일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35)의 중심축은 상기 미들플레이트(135)의 중심에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틀플레이트(135)를 전후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가상의 이등분선에는 상기 구동기어(135)의 중심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상의 이등분선은 상기 구동기어(135)를 이등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의 이등분선을 기준으로 제 1 와이어가이드(133a), 제 1 전달기어(136) 및 제 1 종속기어(138)는, 제 2 와이어가이드(133b), 제 2 전달기어(137) 및 제 2 종속기어(139)와 대칭을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달기어(136.137) 및 종속기어(138,139)의 각각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이동레일(20)의 연장 방향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135)는 상기 모터(13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부 구동기어이(135a) 및 상기 상부 구동기어이(135a)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구동기어이(135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35)는, 상기 상부 구동기어이(135a)와 상기 하부 구동기어이(135b) 사이에 함몰된 공간으로 정의되는 삽입홈(135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35c)은, 상기 구동기어(135)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으로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35c)에는 상기 와이어(200)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기어(135)는 상기 모터(13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삽입된 상기 와이어(200)를 따라 직선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136,137)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와 상기 어퍼플레이트(15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전달기어(136,137)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 축이 중심 축 방향으로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축은 상기 수직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136,137)는 상기 구동기어(135)와 기어이(gear-tooth)가 맞물리도록 상기 구동기어(135)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기어(136,137)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의 상면에서 상기 와이어가이드(133) 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기어(135)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136,137)는 상기 구동기어(135)와 함께 상기 와이어(200)를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136,137)는 제 1 전달기어(136) 및 제 2 전달기어(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전달기어(136)의 중심 축은, 상기 구동기어(135)의 중심 축으로부터 일측(좌측) 전방 45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달기어(137)의 중심 축은, 상기 구동기어(135)의 중심 축으로부터 타측(우측) 전방 45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달기어(136)와 상기 제 2 전달기어(137)는 측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달기어(136)는 상기 제 2 전달기어(137)와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달기어(136) 및 제 2 전달기어(137)는, 각각 상기 구동기어(135)의 기어이(gear-tooth)에 맞물리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전달기어(136) 및 제 2 전달기어(137) 상호 간에는 기어이(gear-tooth)가 맞물리지 않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기어(136,137) 상호 간에는 회전에 의한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136,137)는 상기 구동기어(135)의 기어이(135a,135b)와 맞물리도록 대응 형성되는 기어이(136a,136b,137a,137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전달기어(136)는 상기 상부 구동기어이(135a)와 맞물리는 제 1 상부 전달기어이(136a) 및 상기 하부 구동기어이(135b)와 맞물리는 제 1 하부 전달기어이(13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달기어(137)는 상기 상부 구동기어이(135a)와 맞물리는 제 2 상부 전달기어이(137a) 및 상기 하부 구동기어이(135b)와 맞물리는 제 2 하부 전달기어이(137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달기어(136)는 상기 삽입홈(135c)이 형성된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200)가 삽입되는 제 1 와이어홈(136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와이어홈(136c)은 상기 제 1 상부 전달기어이(136a)와 상기 제 1 하부 전달기어이(136b)의 사이에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와이어홈(136c)은 상기 제 1 전달기어(136)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전달기어(137)는 상기 삽입홈(135c)이 형성된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200)가 삽입되는 제 2 와이어홈(137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와이어홈(137c)은 상기 제 2 상부 전달기어이(137a)와 상기 제 2 하부 전달기어이(137b)의 사이에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와이어홈(137c)은 상기 제 2 전달기어(137)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이드홈(134a) 및 제 2 가이드홈(134b)과, 후술할 제 1 종속홈(138c) 및 제 2 종속홈(139c)도, 상기 삽입홈(135c)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기어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200)는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므로 보행보조장치(100)의 이동에 따른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전달기어(136,137)의 회전에 종속되어 회전될 수 있는 종속기어(138,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구동기어(135), 전달기어(136,137) 및 종속기어(138,139)를 통칭하여 다수의 기어라 이름한다.
상기 종속기어(138,139)는, 상기 보행보조장치(10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상기 전달기어(136,137)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132)와 상기 어퍼플레이트(1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종속기어(138,139)는 상기 전달기어(136,137) 및 상기 구동기어(135)와 함께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안정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보행보조장치(100)의 안정적인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종속기어(138,139)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속기어(138,139)는 제 1 종속기어(138) 및 제 2 종속기어(1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종속기어(138)는 상기 제 1 전달기어(136)와 기어이(gear-tooth)가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전달기어(136)의 측방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종속기어(138)는 상기 제 1 가이드홈(134a)과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종속기어(139)는 상기 제 2 전달기어(137)와 기어이(gear-tooth)가 맞물리도록 상기 제 2 전달기어(137)의 측방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종속기어(139)는 상기 제 2 가이드홈(134b)과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종속기어(138,139)는 상기 전달기어(136,137)와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종속기어(138)는 상기 제 1 전달기어(136)로부터 일 측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종속이어(139)는 상기 제 2 전달기어(137)로부터 타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상기 종속기어(138,139)의 중심 축은, 상기 전달기어(136,137)의 중심 축과 평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일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종속기어(138)는, 상기 제 1 상부 전달기어이(136a)와 맞물리는 제 1 상부 종속기어이(138a) 및 상기 제 1 하부 전달기어이(136b)와 맞물리는 제 1 하부 종속기어이(138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종속기어(138)는, 상기 제 1 와이어홈(136c)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200)가 삽입되는 제 1 종속홈(138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종속홈(138c)은 상기 제 1 상부 종속기어이(138a)와 상기 제 1 하부 종속기어이(138b)의 사이에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종속홈(138c)은 상기 제 1 종속기어(138)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종속기어(139)는, 상기 제 2 상부 전달기어이(137a)와 맞물리는 제 2 상부 종속기어이(139a) 및 상기 제 2 하부 전달기어이(137b)와 맞물리는 제 2 하부 종속이어이(139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종속기어(139)는, 상기 제 2 와이어홈(137c)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200)가 삽입되는 제 2 종속홈(139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종속홈(139c)은 상기 제 2 상부 종속기어이(139a)와 상기 제 2 하부 종속기어이(139b)의 사이에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종속홈(139c)은 상기 제 2 종속기어(139)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136,137) 및 상기 종속기어(138,139)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기어(135)의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50)에 결합되는 상부롤러서포터(151) 및 상기 상부롤러서포터(151)에 연결되는 상부롤러(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서포터(151)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5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어퍼플레이트(150)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롤러서포터(151)에는 상기 상부롤러(152)의 회전 축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152)의 회전 축은 상기 상부롤러서포터(151)에 삽입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어퍼플레이트(15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152)는 상기 상부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롤러(152)는 상기 상부롤러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152)는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는 롤러의 중심부가 외경이 가장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롤러(152)의 중심부는 상기 안내레일(20)의 상단홈(21, 도14참고)에 삽입되어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153)는 상기 와이어(200)와 결합된 상기 다수의 기어(135,136,137,138,139)의 회전에 종속되어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152)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롤러(152)는 균형을 위하여 제 1 상부롤러(152a), 상기 제 1 상부롤러(152a)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2 상부롤러(152b) 및 상기 제 2 상부롤러(152b)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3 상부롤러(152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서포터(151)는 상기 제 1 상부롤러(152a)를 지지하는 제 1 상부롤러서포터(151a), 상기 제 2 상부롤러(152b)를 지지하는 제 2 상부롤러서포터(151b) 및 상기 제 3 상부롤러(152c)를 지지하는 제 3 상부롤러서포터(15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152)는 상기 하부롤러(123)와 함께 상기 이동레일(20)을 상하 방향에서 가압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레일(20)의 상면은 상기 상부롤러(152)와 접촉되며, 상기 이동레일(20)의 하면은 상기 하부롤러(123)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152) 및 하부롤러(123)는, 상기 와이어(200)와 연결된 상기 다수의 기어(135,136,137,138,139)의 회전에 종속되어 상기 이동레일(20)의 상면과 하면을 따라 구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롤러(152) 및 하부롤러(123)는 상기 보행보조장치(100)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80)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8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터리(180)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80)의 상면 후단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80)는 상기 모터(131), 센서(127,128) 등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터리(180)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80)는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80)는 유,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B’ 부분에 와이어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달기어(136,137)는, 상기 와이어(200)에 대한 미끄러짐(slip)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홈(136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마찰홈(136d)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구동기어(135) 및 종속기어(138,139)에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35) 및 종속기어(138,139)에 형성되는 마찰홈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마찰홈(136d)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와이어홈(136c)에 끼워지도록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전달기어(136,137)의 기어이(136a,136b)에 의해 상하 방향에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마찰홈(136d)은 상기 와이어(200)와 접촉되는 상기 기어이(136a,136b)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전달기어이(136a)의 하단면에는 상방으로 함몰되어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찰홈(136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전달기어이(136b)의 상단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찰홈(136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홈(136d)은 상기 기어이(136a,136b)에서 각각의 톱니 형상마다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00)의 외주면은 꽈배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홈(136d)은 상기 와이어(200)의 꽈배기 형상에 의해 형성된 단차 공간에 교차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홈(136d)은 상기 와이어(200)의 외면에 형성되는 단차 사이 마다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홈(136d)에 의하여, 상기 기어이(136a,136b)의 회전에 의한 상기 와이어(200)의 미끄러짐(slip)이 방지되고 더 큰 힘이 와이어(200)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200)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구동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홈(136d)에 의하면, 상기 기어이(136a,136b)와 상기 와이어(200)간의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기어이(136a,136b)로부터 상기 와이어(200)로 전달되는 힘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00)와 상기 전달기어(136,137)가 상대적으로 서로를 밀어내려는 힘이 커지므로 상기 구동부(130)의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00)가 이동레일(20)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결합상태 및 동작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와이어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C-C’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구동부(130)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와이어가이드(133)의 가이드홈(135)에서 전달기어(136,137)의 와이어홈(136c,137c)을 연결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홈(136c,137c)으로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제 1 전달기어(136)와 상기 제 2 전달기어(137)가 마주보는 사이 위치의 와이어홈(136c,137c)에 삽입되어 상기 전달기어(136,137)를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와이어홈(136c,137c)에서 구동기어(135)의 삽입홈(135c)을 연결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삽입홈(135c)의 후측면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구동기어(135)를 후방에서 권취하도록 상기 삽입홈(135c)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전달기어(136,137)와 상기 구동기어(135)를 ‘S’자 형상으로 권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구동기어(135)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135)와 맞물린 전달기어(136,137)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기어(135) 및 전달기어(136,137)에 ‘S’자 형상으로 삽입 권취된 와이어(200)를 따라 상기 구동부(130)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 유지를 위해, 종속기어(138,139)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전달기어(136,137)의 와이어홈(136c,137c)에서 상기 종속기어(138,139)의 종속홈(138c,139c)을 연결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와이어홈(136c,137c)의 후면부에서 빠져 나와 상기 종속홈(138c,139c)의 전면부로 삽입되도록 권취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전달기어(136,137)와 종속기어(138,139)를 ‘S’자 형상으로 권취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종속홈(138c,139c)의 외측면으로부터 구동기어(135)의 삽입홈(135c) 후측면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잇다. 이에 의하면, 전달기어(136,137)만 구비된 경우보다, 보다 큰 장치의 하중에서도 와이어(20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리하면, 와이어(200)는, 제 1 가이드홈(134a)의 전방으로 삽입되어 제 1 전달기어(136)와 제 2 전달기어(137)의 사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0)는 제 1 와이어홈(136c)의 후방에서 제 1 종속홈(138c)의 전방으로 ‘S’자 형상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되어 제 1 전달기어(136) 및 제 1 종속기어(138)를 권취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제 1 종속홈(138c)에서 삽입홈(135c)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135c)의 후방에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삽입홈(135c)으로부터 제 2 종속홈(139c)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2 종속기어(139)를 권취하며, 상기 제 2 종속홈(139c)의 전방에서 상기 제 2 와이어홈(137c)의 후방으로 ‘S’자 형사응로 삽입되도록 연장되어 제 2 종속기어(139) 및 제 2 전달기어(137)를 권취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제 2 전달기어(137)와 제 1 전달기어(136) 사이로 빠져 나와 상기 제 2 가이드홈(133b)의 전방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홈(133a) 및 제 2 가이드홈(133b)은 상기 와이어(200)가 상기 구동부(130)로 들어와 빠져나가는 입구 또는 출구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홈(133a) 및 제 2 가이드홈(133b)은 상기 와이어(200)가 상기 구동부(130)의 내측에서 뒤틀림 없이 장력이 유지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전달기어(136,137)와 종속기어(138,139)를 ‘S’자 형상으로 권취하도록 연결하기 때문에, 각각의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른 와이어(200)의 이동 방향은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131)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35)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기어(135)가 시계 방향(R)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구동기어(135)와 맞물린 상기 제 1 전달기어(136) 및 상기 제 2 전달기어(137)는 시계 반대 방향(R’)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달기어(136)에 맞물린 제 1 종속기어(138) 및 상기 제 2 전달기어(137)에 맞물린 제 2 종속기어(139)는 시계 방향(R)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200)의 진행 방향(W)은, 상술한 다수의 기어(135,136,137,138,139) 사이의 연결관계에 기인하여 상기 제 2 와이어가이드(133b)로부터 상기 제 1 와이어가이드(133a)로 진행하는 하나의 방향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이동레일(20)에 장력이 유지되도록 고정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00)는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200)에 의해 연결된 구동부(13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와이어(200)의 진행 방향과 상대적인 방향(S)으로 진행하게 된다. 즉, 상기 보행보조장치(100)는 상기 제 1 와이어가이드(133a)에 위치한 와이어(200)로부터 상기 제 2 와이어가이드(133b)에 위치한 와이어(200)를 향하는 진행방향(S)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모터(131)가 역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보행보조장치(100)의 진행방향(S)은 반대가 될 것임이 자명할 것이다.
이에 의하면, 경사로 또는 계단 등에 설치되는 종래 보행보조장치의 구동 방식 등 보다 소음이 적고, 롤러의 마모를 감소시키며, 다수의 기어에 권취되도록 연결된 와이어(200)에 의하여 순간적인 가속 또는 감속에 대한 안정적인 장치의 이동이 가이드되므로 보행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가 이동 레일에 설치된 모습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보행보조장치(100)는 상기 이동레일(20)에 안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롤러(152) 및 하부롤러(123)는 상기 이동레일(20)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롤러(152) 및 하부롤러(123)의 중심부는 상단홈(21)과 하단홈(22)에 삽입되어 구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상부롤러(152) 및 하부롤러(123)는 상기 구동부(130)와 와이어(200)의 작동에 따른 종속적인 구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20)은 상하좌우 홈이 형성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20)에는 와이어(200)가 결합되는 와이어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와이어홀(25)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레일(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200)는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상기 이동레일(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홀(25)은 상기 이동레일(20)의 내부에 이동레일(20)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된 홀로, 양측 끝 단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잇다.
상기 이동레일(20)에는 와이어(200)가 위치하는 후단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단홈(22)은 상기 이동레일(20)의 후면부에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단홈(22)은 상기 이동레일(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단홈(22)은 상기 와이어홀(25)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잇다.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와이어홀(25)로부터 상기 후단홈(22)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200)의 일 단은 상기 와이어홀(25)에 스크류로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홀(25)의 일측 개구를 따라 상기 후단홈(22)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홀(25)의 타측 개구로 삽입된 상기 와이어(200)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홀(25)에 설치된 스프링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후단홈(22)을 따라 장력이 유지되도록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단홈(22)에는 상기 와이어가이드(133)의 가이드홈(134)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홀(25), 후단홈(22) 및 상기 가이드홈(134)은 동일 높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와이어(200)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100: 보행보조장치 110: 핸들부
120: 수용부 130: 구동부

Claims (37)

  1. 난간에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다수의 기어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다수의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어는,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상부 구동기어이;
    상기 상부 구동기어이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구동기어이; 및
    상기 상부 구동기어이와 상기 하부 구동기어이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어는,
    상기 상부 구동기어이와 맞물리는 상부 전달기어이;
    상기 하부 구동기어이와 맞물리는 하부 전달기어이; 및
    상기 상부 전달기어이와 상기 하부 전달기어이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홈을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어는, 상기 전달기어의 측방에 위치하는 종속기어를 더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기어는,
    상기 상부 전달기어이와 맞물리는 상부 종속기어이;
    상기 하부 전달기어이와 맞물리는 하부 종속기어이; 및
    상기 상부 종속기어이와 상기 하부 종속기어이 사이에 위치하는 종속홈을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삽입홈, 상기 와이어홈 및 상기 종속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기어를 권취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와이어홈 및 상기 종속홈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저면을 제공하는 바텀플레이트;
    상기 바텀플레이트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면플레이트;
    상기 바텀플레이트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는 상기 후면플레이트보다 낮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부롤러를 더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미들플레이트; 및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어퍼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부롤러를 더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이동레일을 상하 방향에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텀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플레이트 및 제 2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측면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측면플레이트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수용부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의 접근 또는 파지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양 방향 감지를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는 모터의 회전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진행방향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동작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서포터베이스; 및
    상기 서포터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서포터가 회동하면, 상기 핸들부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27. 난간에 결합되는 이동레일에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하는 롤러;
    상기 롤러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미들플레이트;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와이어가이드;
    상기 와이어가이드의 후방에 위치하는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전달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 및
    상기 와이어가이드, 상기 전달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를 연결하며, 상기 이동레일의 양 끝단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회전을 통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 단은 상기 이동레일에 설치된 스프링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 단은 상기 이동레일에 체결되는 것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양측 모서리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와이어가이드 및 제 2 와이어가이드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제 1 와이어가이드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제 2 와이어가이드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전달기어를 S자 형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전달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의 타측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 전달기어 및 상기 제 2 전달기어가 마주보는 위치로 삽입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후측을 권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은,
    후면에 연장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후단홈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후단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후단 홈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37.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KR1020180045482A 2018-04-19 2018-04-19 보행보조장치 KR20190121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482A KR20190121966A (ko) 2018-04-19 2018-04-19 보행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482A KR20190121966A (ko) 2018-04-19 2018-04-19 보행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966A true KR20190121966A (ko) 2019-10-29

Family

ID=6842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482A KR20190121966A (ko) 2018-04-19 2018-04-19 보행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19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450B1 (ko) * 2020-04-17 2020-09-03 (주)필드테크 등산 보조 시스템
WO2022034952A1 (ko) * 2020-08-13 2022-02-17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899A (ko) 2013-12-19 2015-06-29 서울메트로 이동형 핸드레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899A (ko) 2013-12-19 2015-06-29 서울메트로 이동형 핸드레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450B1 (ko) * 2020-04-17 2020-09-03 (주)필드테크 등산 보조 시스템
WO2022034952A1 (ko) * 2020-08-13 2022-02-17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20220021211A (ko) * 2020-08-13 2022-02-22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966A (ko) 보행보조장치
EP3713865B1 (en) A stairlift carriage and a stairlift
CN203976174U (zh) 折叠式住宅电动楼梯
US20060242917A1 (en) Stairs assistance device
CN204454171U (zh) 步行楼梯加装牵引式电梯
NL1014396C2 (nl) Inrichting voor transport langs helling of trap.
GB2397289A (en) A stairlift assembly with angled rack and pinion
CN108033335B (zh) 吊顶式楼道电梯
CN206985460U (zh) 一种智能楼道代步电梯
TWI615348B (zh) 爬階平台之裝置
KR102673442B1 (ko) 스마트 보행기
WO2019153418A1 (zh) 单脚式车体
CN100536808C (zh) 轮椅式梯步车
JP3438806B2 (ja) 介護用昇降装置
JP2000062657A (ja) 自走式階段移動装置
CN111847194A (zh) 一种悬挂式轨道电梯
KR200294519Y1 (ko)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경사 안내부 및 경사형 엘리베이터시스템
CN215854515U (zh) 一种转弯轨道、转弯联动机构、爬楼装置及爬楼系统
CN110615338B (zh) 一种三防型曳引电梯用轿厢
KR101820320B1 (ko) 보행 보조 장치
KR101826677B1 (ko) 보행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08009B1 (ko) 보행보조기
JPH1059658A (ja) 階段昇降座席装置
JP2572553Y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WO2020175924A2 (ko) 전동 휠체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