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402B1 -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402B1
KR102453402B1 KR1020200158195A KR20200158195A KR102453402B1 KR 102453402 B1 KR102453402 B1 KR 102453402B1 KR 1020200158195 A KR1020200158195 A KR 1020200158195A KR 20200158195 A KR20200158195 A KR 20200158195A KR 102453402 B1 KR102453402 B1 KR 10245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nit
motor unit
b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2044A (ko
Inventor
허정우
김영목
박준철
구경욱
김해성
유창현
Original Assignee
허정우
김영목
박준철
구경욱
김해성
유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우, 김영목, 박준철, 구경욱, 김해성, 유창현 filed Critical 허정우
Priority to KR102020015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4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1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4Shoulder, e.g. for neck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2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0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 A61H2230/605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문가의 도움 없이 환자 스스로 재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상체 착용체와, 상체 착용체에 결합되는 세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가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모터부를 구비하는 구동체와, 구동체에 결합되어 모터부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사용자의 상지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는 상지 착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EXERCISE ASSISTING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SHOULDER}
본 발명은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문가의 도움 없이 환자 스스로 재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깨는 몸통에서 팔로 이어지는 부위로 팔의 움직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노화 또는 질병으로 인한 어깨 부위의 관절의 구축, 근육의 위축 및 근육의 탄력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깨를 일정 범위내에서 움직임으로써 운동능력을 활성화시키는 재활 운동이 필요하다.
어깨 재활 운동은 근력을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꾸준하게 해주는 것이 중요한데, 주기적인 병원 방문이 어려운 노인이나 환자는 재활 운동을 포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가정 내에서 사용 가능한 어깨 재활 운동 장치(등록특허공보 제10-1556953호)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어깨 재활 운동 장치는 무게와 큰 부피로 인해 사용자가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우며,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동성 및 경제성이 향상된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695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성 및 경제성이 향상된 어깨 재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상체 착용체와, 상체 착용체에 결합되는 세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가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모터부를 구비하는 구동체와, 구동체에 결합되어 모터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사용자의 상지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는 상지 착용체를 포함하고, 모터부의 작동에 따라, 상지 착용체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며 사용자의 어깨 관절 운동을 수행하는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체는 가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부과, 이동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모터부와, 제1모터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와, 제1회전부에 구비되며 수직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부와, 제2모터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며, 상지 착용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회전부는 제2모터부와 결합되며, 제2모터부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한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과 결합되어 소정의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과, 개방된 공간에 배치되며, 제2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스프로킷과 , 개방된 공간에 배치되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지 착용체와 결합되는 제2스프로킷과, 제1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제2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부는 가로 프레임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되어 가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바디와, 이동바디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관통바와, 관통바의 단부에 결합되며, 가로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에 걸림 가능한 고정편과, 이동바디와 고정편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고정홈에 삽입된 고정편에 의해, 이동바디는 가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불가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근육으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근전도 센서부와, 통신부를 통한 제어명령 입력 또는 근전도 센서부를 통한 근전도 신호 감지에 따라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체 착용체에 의해 구동체가 지지되는 형태로 종래에 비해 장치의 사이즈를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경제성 및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의 제2회전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의 이동부 및 가로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1)의 사시도이다.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1)는 어깨 관절의 운동을 돕는 장치로서, 상체 착용체(10), 세로 프레임(20), 가로 프레임(30), 구동체(40) 및 상지 착용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체 착용체(10)는 세로 프레임(20), 가로 프레임(30) 및 구동체(40)의 하중을 사용자의 상체로 분산시키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체 착용체(10)는 어깨 재활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소매가 없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세로 프레임(20)은 상체 착용체(10)에 결합되어 가로 프레임(3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세로 프레임(20)는 상체 착용체(10)의 후면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체 착용체(10)의 세로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로 프레임(30)은 세로 프레임(20)에 결합되어 구동체(4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로 프레임(30)은 중심부에 세로 프레임(20)이 결합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체 착용체(10)의 가로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체(40)는 가로 프레임(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모터부(42, 4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모터부(42)는 수평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다른 하나의 모터부(44)는 수직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체(40)는 가로 프레임(3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재활하고자 하는 어깨의 위치에 따라 구동체(40)의 결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지 착용체(50)는 구동체(40)와 연결되어 구동체(40)의 회전력을 사용자의 상지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상지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체(40)가 세로 프레임(20)과 가로 프레임(30)으로 연결된 상체 착용체(10)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장치의 크기가 비교적 작게 형성될 수 있어 경제성 및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1)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 또는 일어선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 변경에 따라 구동체(40)의 위치도 함께 이동되어 구동체(40)의 위치를 재셋팅하지 않아도 됨으로 사용자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체 착용체(10)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 몸체(11), 베이스 몸체(11)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메어지는 한 쌍의 어깨띠(12) 및 베이스 몸체(11)에 결합되며 허리에 매어지는 허리띠(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깨띠(12) 및 허리띠(13)는 길이 조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몸체(11)은 사용자의 등과 접촉하는 전면에 쿠션력을 갖는 지지폼(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세로 프레임(20)은 상체 착용체(10)와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다각형 기둥 형상의 제1세로 막대(21) 및 제1세로 막대(21)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다각형 기둥 형상의 제2세로 막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세로 막대(2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세로 프레임(20)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가로 프레임(30)은 제2세로 막대(22)와 결합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다각형 기둥 형상의 제1가로 막대(31) 및 제1가로 막대(31)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가로 막대(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가로 막대(3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가로 프레임(30)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세로 프레임(20) 및 가로 프레임(30)의 길이 조절을 통해 구동체(40)를 사용자에게 적합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제2가로 막대(32)는 제1가로 막대(3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메인 막대체(321), 메인 막대체(321)의 끝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연장 막대체(322) 및 제1연장 막대체(322)의 끝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 막대체(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연장 막대체(322)는 세로 프레임(20)과 멀어지는 측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제2연장 막대체(323)는 메인 막대체(321)와 멀어지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 막대체(32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체(40)는 제2가로 막대(3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부(41), 이동부(41)에 결합되며 수평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모터부(42), 제1모터부(4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43), 제1회전부(43)에 결합되며 수직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부(44) 및 제2모터부(4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며 상지 착용체(5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41)는 제2가로 막대(3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되, 일정 위치에 고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모터부(42)는 이동부(4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축에 제1회전부(43)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회전부(43)는 절곡부를 가져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부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모터부(42)의 회전축이 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제2모터부(44)가 결합될 수 있다.
제2모터부(44)는 브라켓(441)에 의해 제1회전부(43)의 상면 또는 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축에 제2회전부(45)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회전부(45)는 상지 착용체(50)와 결합되어 상지 착용체(50)에 제2모터부(44)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지 착용체(50)는 제2회전부(45)에 결합되는 베이스 몸체(51), 베이스 몸체(51)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완에 매어지는 제1상지띠(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 몸체(51)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하완에 매어지는 제2상지띠(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상지띠(52) 및 제2상지띠(53)는 길이 조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1)의 제2회전부(45)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회전부(45)는 제2모터부(44)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을 구비한 제1하우징(451), 제1하우징(451)과 결합되어 소정의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452), 제2모터부(44)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스프로킷(453), 제1하우징(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지 착용체(50)와 결합되는 제2스프로킷(454) 및 제1스프로킷(453)의 회전력을 제2스프로킷(454)으로 전달하는 체인(4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451)은 제2모터부(44)가 수용되는 일측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제2모터부(44)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452)은 제1하우징(451)과 함께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되, 상지 착용체(50)의 수직방향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프로킷(453) 및 제2스프로킷(454)은 상호 이격되어 개방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스프로킷(453)의 직경은 제2스프로킷(454)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스프로킷(452, 454) 및 체인(455)은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상태에서 제2모터부(44)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상지 착용체(5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1)의 이동부(41) 및 가로 프레임(30)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41)는 제2연장 막대체(323)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2연장 막대체(32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바디(411), 이동바디(411)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바(412), 관통바(412)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편(413) 및 이동바디(411)와 고정편(413)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4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바디(411)는 제2연장 막대체(323)의 상면 및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양측면에 제2연장 막대체(323)의 슬라이딩 홈(3232)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돌기(41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홈(3232) 및 슬라이딩 돌기(4111)에 의해 이동바디(411)의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동바디(411)는 상면에 제1모터부(42) 및 관통바(412)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관통바(412)는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바디(411)를 관통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고정편(413)은 다각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연장 막대체(323)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3231)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3231)에 삽입되어 걸림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고정편(413)은 압축하는 힘에 저항하는 스프링(414)에 의해 고정홈(3231) 방향으로 하강되어 고정홈(3231)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414)은 관통바(4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고정편(4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연장 막대체(323)는 상면에 고정편(413)이 걸림 가능한 복수의 고정홈(3231)이 상호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통바(412)에 상측방향을 향하는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편(413)이 고정홈(3231)으로부터 분리되며 이동바디(411)는 제2연장 막대체(323)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측방향을 향하는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관통바(412)에 가해지지 않는 경우, 스프링(414)에 의해 고정편(413)이 고정홈(3231)에 삽입되어 걸리며, 이동바디(411)는 제2연장 막대체(323)를 따라 이동 불가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1)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1)는 제1각도 센서부(60), 제2각도 센서부(70), 근전도 센서부(80), 통신부(90) 및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각도 센서부(60)는 제1모터부(42)의 회전축(이하, 제1회전축)에 장착되어 제1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제어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각도 센서부(70)는 제2모터부(44)의 회전축(이하, 제2회전축)에 장착되어 제2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제어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근전도 센서부(80)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어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제어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근전도 센서부(80)는 재활 운동을 행하는 어깨에 부착될 수 있다.
통신부(90)는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통신부(9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명령 신호 또는 근전도 센서부(80)를 통해 감지되는 근전도 신호에 따라 제1모터부(42) 및 제2모터부(44)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제1모터부(42) 및 제2모터부(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100)는 근전도 센서부(80)의 신호에 따라 제1모터부(42) 및 제2모터부(44)를 제어하되, 제1각도 센서부(60) 및 제2각도 센서부(70)를 통해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의 각도를 감지하고,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지 착용체(50)가 회전되도록 제1모터부(42) 및 제2모터부(4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통신부(9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명령 신호에 따라 제1모터부(42) 및 제2모터부(44)를 제어하되, 제1각도 센서부(60) 및 제2각도 센서부(70)를 통해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의 각도를 감지하고,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지 착용체(50)가 회전되도록 제1모터부(42) 및 제2모터부(4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제어 명령 신호 또는 근전도 신호에 따라, 제1모터부(42)와 제2모터부(44)를 순차적으로 작동하거나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모터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관절의 가동 범위를 넘거나 관절에 과도한 힘이 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근전도 센서부(80) 및 통신부(90)를 함께 구비한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1)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전도 센서부(80) 및 통신부(90) 중 어느 한 구성만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10 : 상체 착용체
20 : 세로 프레임
30 : 가로 프레임
40 : 구동체
50 : 상지 착용체

Claims (5)

  1.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상체 착용체와,
    상기 상체 착용체에 결합되는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모터부를 구비하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사용자의 상지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는 상지 착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상지 착용체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며 사용자의 어깨 관절 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은,
    상기 세로 프레임에 결합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로 막대와,
    상기 제1가로 막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가로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가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면에 구비되며 수평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모터부와,
    상기 제1모터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에 구비되며 수직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부와,
    상기 제2모터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상지 착용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가로 막대의 상면 및 일측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되되, 양측면에 상기 제2가로 막대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가로 막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의 상면을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관통바와,
    상기 관통바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다각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가로 막대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에 걸림 가능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측에 상기 관통바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바디와 상기 고정편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고정편에 의해, 상기 이동바디는 슬라이딩 이동이 불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2모터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모터부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어 소정의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개방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스프로킷과,
    상기 개방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지 착용체와 결합되는 제2스프로킷과,
    상기 제1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상기 제2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근육으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근전도 센서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한 제어 명령 신호 입력 또는 상기 근전도 센서부를 통한 근전도 신호 감지에 따라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KR1020200158195A 2020-11-23 2020-11-23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KR10245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195A KR102453402B1 (ko) 2020-11-23 2020-11-23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195A KR102453402B1 (ko) 2020-11-23 2020-11-23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044A KR20220072044A (ko) 2022-06-02
KR102453402B1 true KR102453402B1 (ko) 2022-10-12

Family

ID=8198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195A KR102453402B1 (ko) 2020-11-23 2020-11-23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4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715Y1 (ko) 2004-01-20 2004-05-10 김인학 중풍환자용 재활운동기구
WO2017222052A1 (ja) * 2016-06-23 2017-12-28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筋力補助装置
JP6759356B2 (ja) * 2016-11-28 2020-09-23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筋力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420B1 (ko) * 2008-12-16 2011-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거동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KR101556953B1 (ko) 2014-12-29 2015-10-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를 이용한 어깨관절 재활 운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715Y1 (ko) 2004-01-20 2004-05-10 김인학 중풍환자용 재활운동기구
WO2017222052A1 (ja) * 2016-06-23 2017-12-28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筋力補助装置
JP6759356B2 (ja) * 2016-11-28 2020-09-23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筋力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044A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43246B (zh) 肢体动作辅助装置
KR102510931B1 (ko) 반-능동 로봇 관절
US11617700B2 (en) Robot for upper-limb rehabilitation
KR102693465B1 (ko)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CA2587864C (en) Training apparatus
KR101247078B1 (ko) 와이어 구동방식 외골격 로봇과 그 구동방법
JP6723284B2 (ja) 上肢リハビリ支援装置
TW201725020A (zh) 肩關節復健輔具
KR101330532B1 (ko) 고관절 재활훈련장치
KR20150134770A (ko) 보행보조장치
US20160106613A1 (en) Whole body exercise machine capable of circular orbital movement of waist
US20110009788A1 (en) Orthotic Device with Removably Attachable Actuator
EP2931203B1 (en)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a shadow leg
KR102193985B1 (ko)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JP2013116146A (ja) 腕振り機能付き歩行器
KR101677920B1 (ko) 신체착용식 상지 운동장치
KR20160141128A (ko) 손목 관절 재활훈련용 로봇
GB2389533A (en) Stretching apparatus
KR102084168B1 (ko) 어깨 재활로봇
KR102453402B1 (ko)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KR102003720B1 (ko) 하지 복합 운동기기
US11197796B2 (en) Mobile upper extremity (UE) supports for use in railed environments
KR101674044B1 (ko) 체간 안정화 운동을 위한 재활치료 로봇
KR20230145636A (ko) 재활 운동 장치
KR101872721B1 (ko) 팔꿈치 재활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