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985B1 -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 Google Patents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985B1
KR102193985B1 KR1020190085081A KR20190085081A KR102193985B1 KR 102193985 B1 KR102193985 B1 KR 102193985B1 KR 1020190085081 A KR1020190085081 A KR 1020190085081A KR 20190085081 A KR20190085081 A KR 20190085081A KR 102193985 B1 KR102193985 B1 KR 10219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elastic
rehabilitation
cen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박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호 filed Critical 박경호
Priority to KR102019008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레일에 연결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보행보조용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질환 또는 사고로 인해 재활이 필요한 환자가 착용하여 안전한 보행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신체의 좌우측 중 선택적으로 어느 일측으로의 무게중심을 편향시켜 편향된 방향의 신체에 훈련강도를 증가시켜 빠른 재활이 가능하게 하는 무게중심 변경이 가능한 보행보조용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보조용 재활장치{Rehabilitation Apparatus for Walking Assist}
본 발명은 천장레일 및 구조물레일에 연결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보행보조용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노환, 질환 또는 사고로 인해 재활이 필요한 환자가 착용하여 안전한 보행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신체의 좌우측 중 선택적으로 어느 일측으로의 무게중심을 편향시켜 편향된 방향의 신체에 훈련강도를 증가시켜 빠른 재활이 가능하게 하는 무게중심 변경이 가능한 보행보조용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화현상이나 각종질환 및 산업재해나 교통사고와 같은 각종 장애로 인하여 스스로 보행이 어려운 장애인들은 병원이나 가정에서 정해진 시간동안 규칙적인 재활운동을 통해 이전의 건강상태를 유지하여 원활한 직립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비교적 중증의 장애인들은 재활평행봉에서 스스로 몸은 지탱하고 움직일 수 있도록 초보적인 보행 연습을 하도록 하고 있으나 신체적으로 많이 허약해져서 보행상태가 불안정하고, 허약한 신체에 의해 재활운동중에 갑자기 현기증을 일으키거나 팔이나 다리에 힘이 빠져서 몸을 지탱하지 못하고 쓰러질 수 있고, 넘어지는 과정에서 신체균형 복귀 또는 주위환경으로의 대처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몸을 다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불의의 현상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천장 및 구조물에 레일을 설치하여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넘어져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2473호(2009.09.30.공개;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는 보행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평형봉용 재활보조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재활 평행봉의 받침대로부터 소정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성하여 그 하단에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는 안전벨트를 걸림수단으로 이동수단에 걸림되도록 구성하는 보행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평행봉용 재활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하단에, 일정길이의 연결줄이 감겨있는 권취롤러가 체결된 전동모터로 구비되는 전동모터를 고정하여 연결줄 끝단에 양측으로 걸림고리를 구비한 걸림수단의 중심부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문헌1은 레일에 의해 평행봉을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순간적으로 신체 중심이 무너져서 쓰러지는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몸을 감싸는 안전벨트가 지지하여 쓰러지지 않게 하고 있어 재활운동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는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안전사고 예방 이외에 재활운동의 효과를 더 증진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1980호(2017.05.25.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프레임의 일측과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 사이에 구비되어 보행중 사용자의 신체 높낮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상하방향 인장에 대응하여 저항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완충부, 및 비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 및 탄성력 완충부의 상하방향 인장에 대응하여 저항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은, 상기 탄성력 완충부 및 탄성력 구속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저항을 받으며, 상기 탄성력 완충부의 길이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탄성력 구속부의 길이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2는 탄성력제공수단에 의해 일정폭의 높낮이 변화에만 대응하게 한 뿐 추가적인 재활운동의 효과증진에 대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착용자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재활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2473호(2009.09.30.공개) : 보행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평형봉용 재활보조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741980호(2017.05.25.등록) :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재활장치는,
왼쪽과 오른쪽 다리 중 재활이 필요한 부분에 더 큰 하중이 작용하여 재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재활장치는,
보행보조용 재활장치에 있어서, 천장 또는 상부영역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롤러와, 상기 이동롤러에서 하부로 연장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중앙부분이 좌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지지대로 구성된 이동장치와; 상기 이동장치의 양측에 줄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몸을 감싸는 안전벨트;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장치의 수평지지대에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무게추에 의해 이동장치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무게중심조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중심조절부는, 이동장치 수평지지대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스크류와; 상기 수평스크류가 삽통되도록 내설되고, 수평스크류에 형성된 나선홈을 따라 좌우 이동하는 무게추와; 상기 수평스크류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수동 또는 전동에 의해 수평스크류를 회전시켜 무게추를 이동시키는 무게추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의 수평지지대는, 지지봉과 연결되는 상부수평지지대와, 무게중심조절부가 형성되는 하부수평지지대로 분리구성하고,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는 양측의 탄성연결수단에 의해 이격간격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하로 연결되되, 상기 탄성연결수단은 내측으로 탄성띠인 제1탄성부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탄성부의 외측으로는 스프링이 내장된 제2탄성부를 각각 배치하여,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의 이중탄성에 의해 안전벨트의 상하 탄성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재활장치는,
재활훈련 및 노령건강회복 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쓰러져서 다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무게중심조절부에 의해 좌우 중 어느 일측으로의 무게중심 변동과 변동폭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재활의 강도조절이 가능하게 하였다.
즉, 사용자의 몸상태에 따라 무게중심 위치를 가변시켜 재활이 필요한 다리로 전달되는 하중의 크기를 조절해 재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용 재활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과 이동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중심조절부가 구비된 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 구성된 수평지지대로 구성된 이동장치와 주요부 확대도 및 작용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용 재활장치를 도시한 착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조절부가 형성된 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용 재활장치(10)는, 천장, 구조물 또는 상부영역에 고정설치되는 레일(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20)은 천장에 직접 고정설치되거나, 다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지역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일(20)은 전후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하여 앞뒤로 이동하면서 재활운동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폐곡선으로 형성하여 연속적인 보행을 통한 재활운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레일(20)은 도시된 형태 이외에 이동롤러를 이탈없이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20)에는 이동장치(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장치(30)는,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롤러(31)와, 상기 이동롤러에서 하부로 연장된 지지봉(32)과, 상기 지지봉에 중앙부분이 좌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지지대(33)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롤러(31)는 수평축(311)에 대해 일측에 하나의 롤러(312)가 설치되어 레일(20)에 결합되거나, 수평축 양측에 각각 롤러를 구비하여 레일상에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32)은 상기 이동롤러(31)의 수평축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봉 또는 관체로, 후술되는 수평지지대와 이동롤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
상기 수평지지대(33)는 중앙부분이 상기 지지봉(32)의 하단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상기 수평지지대는 수평방향으로 긴 막대 형태를 갖고, 안전벨트의 끈 연결이 용이하도록 양 측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장치(30)의 하부에는 안전벨트(50)가 연결된다.
상기 안전벨트(50)는 이동장치의 수평지지대(33) 양측에 줄로 연결된다. 상기 안전벨트(50)는 사용자의 몸체 착용하는 구조로 되어 재활운동시 사용자가 다리힘을 잃어 중심을 잃었을 때 몸체가 하강하는 것을 잡아주어 쓰러지지 않게 한다. 상기 안전벨트는 양 다리를 끼워서 착용하는 형태 또는 몸체를 감싸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재활장치(10)는, 이동장치의 수평지지대(33)에 무게중심조절부(40)가 더 설치된다.
도 3a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무게중심조절부(40)는 수평지지대(33)의 중앙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장치로, 무게추(43)가 내설되어 무게추를 좌우로 이동시켜 수평지지대(33)의 전체 무게중심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게중심조절부(40)는 수평지지대(33)에 수평으로 수용공간(41)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외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수평스크류(42)를 내설하고, 상기 수평스크류는 무게추(43)의 중심을 삽통하여 무게추가 수평스크류 외면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고, 수평스크류의 일측에는 무게추를 이동시키는 무게추이동부(4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스크류(42)는 수용공간(41)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수평스크류 일단에 모터 또는 회동레버를 장착하여 전동에 의해 수평스크류를 회전시키거나 회동레버를 직접 회전시켜 수평스크류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수평스크류(42)가 회전하게 되면 무게추(43)는 수평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평스크류상에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무게중심조절부가 설치된 수평지지대 전체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키게 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무게추(43)는 수평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같이 회전되지 않게 하기 위해 수용공간(41)을 형성하는 상부벽과 하부벽에 각각 홈(411)을 형성하여 상기 홈(411)에 무게추의 상단과 하단 일부를 내입해 회전을 억제시킴으로써 수평스크류의 회전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무게추이동부(44)를 전동으로 구성할 경우 제어부가 더 포함되고, 수평지지대에 버튼을 설치하여 버튼 조작에 의해 무게추의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이동부에는 무선통신부를 더 장착하여 외부 무선리모컨을 통해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모터를 작동시켜 무게추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무선리모컨을 사용하면 재활대상자인 사용자가 직접 재활대상 방향으로 필요한 강도를 증감시켜 재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3c를 참조한 바와같이 수용공간(41)에 수평스크류(42)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된 수평스크류에 결합된 무게추(43)를 원판으로 형성하여 외측면이 외부에 돌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면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무게추(43)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무게추가 수평스크류 외면의 나사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좌우로 이동하여 수평지지대 전체의 무게중심 위치를 가변시키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a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이동장치의 수평지지대(33)는, 상부수평지지대(331)와 하부수평지지대(332)로 분리구성하고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는 탄성연결수단(333)에 의해 연결하여 일정폭의 상하 탄성이동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보행시 보행위치에 따라 몸체의 높낮이가 가변됨으로 이에 따라 일정폭의 탄성이동 간격을 제공하여 지지하게 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된 상부수평지지대(331)는 중앙부분이 지지봉(32)의 하단과 결합되고, 하부수평지지대(332)에는 무게중심조절부(40)가 설치되고,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는 탄성연결수단(333)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된다.
상기 탄성연결수단(333)으로는 적어도 200kg의 하중에 대한 탄성지지력을 갖는 탄성띠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등산용 슬링, 가죽, 엔지니어링 특수사, 금속사밸트, 인장 또는 압축스프링에서 선택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에 2개씩 탄성연결수단(333)을 연결하여 상부수평지지대(331)와 하부수평지지대(332)를 연결하게 한다. 상기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연결수단인 2개의 제1탄성부(334)는 탄성띠로 형성하고,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연결수단인 2개의 제2탄성부(335)는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의 이중탄성에 의해 안전벨트를 탄성지지하게 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탄성부(334)와 제2탄성부(335)는 모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수평지지대 및 하부수평지지대의 양측부분을 연결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제1탄성부는 상부수평지지대 및 하부수평지지대의 좌우 폭방향 중앙부분으로 편중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부수평지지대 및 하부수평지지대의 양측에 배치되게 하여, 제1탄성부는 하중을 주로 담당하게 하고, 제2탄성부는 좌우 기울임의 지지를 주도 담당하게 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탄성부(334)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띠 형태로 형성하고, 상부수평지지대(331)와 하부수평지지대(332)에는 서로 대향되는 면에 "ㄴ"자 또는 고리 형태의 걸림홈(336)을 형성해 제1탄성부(334)를 내입하여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걸림홈(336)에 내입된 띠 형태의 제1탄성부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탄성부가 안치되지 않는 걸림홈의 일부분에 돌출된 잠금돌기(336a)를 형성하여 걸림홈의 폭을 일정구간 좁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336)은 제1탄성부(334)와 접하는 면을 쇄기 모양으로 돌출시켜 제1탄성부가 측면으로 미끌려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335)는 스프링(338)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간에 탄성지지가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338)은 양단부를 각각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에 결합하여 지지력을 제공하거나,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외부 일단에는 연결편이 형성되어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몸체통(337)과, 상기 몸체통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38)과, 일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을 삽통하여 몸체통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단부는 몸체통 외부로 연장되어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인출봉(339)으로 구성된다. 즉, 인출봉(339)의 단부와 몸체통(337)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되어 하중 작용시 스프링이 압착되고, 하중 제거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334)는 길이를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 사이의 길이보다 5~10%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에는 하중이 전달되면 1차적으로 제2탄성부(335)를 통해서 탄성력을 제공하고, 제2탄성부가 일정량 이상 늘어났을 때 하중은 제1탄성부(334)에도 전달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등 다단으로 탄성력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c와 같이 상부수평지지대(331)와 하부수평지지대(332) 모두 설치위치에서 각각 일정각으로 회동되도록 하거나, 도 4d와 같이 상부수평지지대(331)와 지지봉(32)을 일체로 결합하여 상부수평지지대(331)는 수평을 유지하고 하부수평지지대(332)가 회동되어 좌우 높낮이 변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용 재활장치(10)는 상부의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면서 보행 재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사용자가 안전벨트(50) 착용 후 필요에 따라서 좌우 중 어느 일측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크기를 조절하여 재활 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특히 좌우 다리 중 어느 일측에만 재활이 필요한 경우 또는 선택된 어느 일측에만 집중적인 훈련을 요구할 경우에 수평지지대에 형성된 무게중심조절부를 통해 무게중심을 일측으로 편향되게 함으로써 하중크기를 증감시킬 수 있다.
이는 재활초기에는 무게중심을 타측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재활대상 다리측에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이 전달되도록 하고, 재활후기에는 무게중심을 재활대상측으로 이동시켜 재활대상 다리측에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전달되어 재활훈련강도를 상황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재활측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세기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재활훈련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10 :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20 : 레일
30 : 이동장치
31 : 이동롤러 32 : 지지봉
33 : 수평지지대
311 : 수평축 312 : 롤러
331 : 상부수평지지대 332 : 하부수평지지대
333 : 탄성연결수단 334 : 제1탄성부
335 : 제2탄성부 336 : 걸림홈
336a : 잠금돌기 337 : 몸체통
338 : 스프링 339 : 인출봉
40 : 무게중심조절부
41 : 수용공간 42 : 수평스크류
43 : 무게추 44 : 무게추이동부
411 : 홈
50 : 안전벨트

Claims (3)

  1. 보행보조용 재활장치에 있어서,
    천장 또는 상부영역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20)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롤러(31)와, 상기 이동롤러에서 하부로 연장된 지지봉(32)과, 상기 지지봉에 중앙부분이 좌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지지대(33)로 구성된 이동장치(30)와;
    상기 이동장치의 수평지지대(33)에 형성되되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무게추(43)에 의해 이동장치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무게중심조절부(40)와;
    상기 이동장치의 양측에 줄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몸을 감싸는 안전벨트(50);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장치의 수평지지대(33)는,
    지지봉(32)과 연결되는 상부수평지지대(331)와, 무게중심조절부(40)가 형성되는 하부수평지지대(332)로 분리구성하고,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는 양측의 탄성연결수단(333)에 의해 이격간격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하로 연결되되,
    상기 탄성연결수단(333)은 내측으로 탄성띠인 제1탄성부(334)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탄성부의 외측으로는 스프링이 내장된 제2탄성부(335)를 각각 배치하여,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의 이중탄성에 의해 안전벨트(50)의 상하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85081A 2019-07-15 2019-07-15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KR10219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081A KR102193985B1 (ko) 2019-07-15 2019-07-15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081A KR102193985B1 (ko) 2019-07-15 2019-07-15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985B1 true KR102193985B1 (ko) 2020-12-22

Family

ID=7408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081A KR102193985B1 (ko) 2019-07-15 2019-07-15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9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138A (ko) 2021-06-07 2022-12-14 (주)위니즈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KR20220165102A (ko) 2021-06-07 2022-12-14 정부환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KR102556181B1 (ko) * 2023-06-16 2023-07-14 이삼용 미용실의 헤어 손질 보조장치
WO2024029763A1 (ko) * 2022-08-02 2024-02-08 휴카시스템 주식회사 체중지지수단을 구비한 보행재활장치
KR102674324B1 (ko) * 2022-08-02 2024-06-12 휴카시스템 주식회사 체중지지수단을 구비한 보행재활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668A (ja) * 1994-03-01 1995-09-12 Yasuhiro Fukui 歩行訓練用リハビリ機器
JPH09154901A (ja) * 1995-12-07 1997-06-17 Matsumoto Sekkei:Kk 歩行訓練器具
KR20090102473A (ko) 2008-03-26 2009-09-30 유삼만 보행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평행봉용 재활보조장치
KR20100090395A (ko) *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보행보조기 지지장치
KR20150104899A (ko) * 2014-03-06 2015-09-16 정부환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KR20150110654A (ko) * 2013-01-22 2015-10-02 고벨 인코포레이티드 수평력과 수직력 감지 기능 및 동작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의료 재활 리프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7563A (ko) * 2015-03-04 2016-09-19 정부환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KR20160115245A (ko) * 2015-03-26 2016-10-06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70016911A (ko) * 2017-02-06 2017-02-1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90051421A (ko) * 2017-11-07 2019-05-15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자세 교정용 슬링바를 구비한 보행 재활 훈련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668A (ja) * 1994-03-01 1995-09-12 Yasuhiro Fukui 歩行訓練用リハビリ機器
JPH09154901A (ja) * 1995-12-07 1997-06-17 Matsumoto Sekkei:Kk 歩行訓練器具
KR20090102473A (ko) 2008-03-26 2009-09-30 유삼만 보행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평행봉용 재활보조장치
KR20100090395A (ko) *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보행보조기 지지장치
KR20150110654A (ko) * 2013-01-22 2015-10-02 고벨 인코포레이티드 수평력과 수직력 감지 기능 및 동작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의료 재활 리프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4899A (ko) * 2014-03-06 2015-09-16 정부환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KR20160107563A (ko) * 2015-03-04 2016-09-19 정부환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KR101741980B1 (ko) 2015-03-04 2017-05-31 정부환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KR20160115245A (ko) * 2015-03-26 2016-10-06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70016911A (ko) * 2017-02-06 2017-02-1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90051421A (ko) * 2017-11-07 2019-05-15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자세 교정용 슬링바를 구비한 보행 재활 훈련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138A (ko) 2021-06-07 2022-12-14 (주)위니즈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KR20220165102A (ko) 2021-06-07 2022-12-14 정부환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WO2024029763A1 (ko) * 2022-08-02 2024-02-08 휴카시스템 주식회사 체중지지수단을 구비한 보행재활장치
KR102674324B1 (ko) * 2022-08-02 2024-06-12 휴카시스템 주식회사 체중지지수단을 구비한 보행재활장치
KR102556181B1 (ko) * 2023-06-16 2023-07-14 이삼용 미용실의 헤어 손질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985B1 (ko)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US10413470B2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US9414987B2 (en) Walker
KR101277253B1 (ko) 보행 훈련 장치
CN102802583A (zh) 换乘/移动装置
KR101508552B1 (ko) 착용형 하지 재활 로봇의 중량 지지 장치
WO2018014912A1 (de) Fortbewegungshilfe
CN111228089B (zh) 一种穿戴式可伸缩下肢外骨骼助力装置
US201602567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ysical Exercise
KR101796251B1 (ko) 압박 벨트의 경사 조절이 가능한 호흡 기능 보조용 복부 압박 장치
KR102043282B1 (ko) 보행보조기
US20190125613A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1205343B1 (ko)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US20230098355A1 (en) Shock absorbing assembly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KR101630570B1 (ko) 근력 보조장치
CN109276417A (zh) 康复辅助自理车
US20160324714A1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546625B1 (ko) 보행보조기
RU2729732C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реабили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нудительного передвижения ног
KR102225060B1 (ko)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KR20180025712A (ko) 하지 강화 재활운동을 위한 페달형 휠체어
KR102453402B1 (ko)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CN212940482U (zh) 一种便于心脑血管病康复行走的辅助器装置
CN206896680U (zh) 室外退步走健身器
KR102225072B1 (ko)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