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899A -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899A
KR20150104899A KR1020140026838A KR20140026838A KR20150104899A KR 20150104899 A KR20150104899 A KR 20150104899A KR 1020140026838 A KR1020140026838 A KR 1020140026838A KR 20140026838 A KR20140026838 A KR 20140026838A KR 20150104899 A KR20150104899 A KR 20150104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oupled
gait
walking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환
Original Assignee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환 filed Critical 정부환
Priority to KR102014002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4899A/ko
Priority to PCT/KR2015/002139 priority patent/WO2015133841A1/ko
Priority to US15/108,980 priority patent/US20160324714A1/en
Publication of KR2015010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하부에 탄성부재와 비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한 이용자의 보행과정에 발생하는 높낮이 변화에 맞추어 안전벨트가 상부와 하부로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 정상보행에 가까운 보행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는 일반적으로 천정이나 상부에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하부에 상부고리와, 상기 상부고리에 결합되며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보다 일정길이 길도록 제작되는 비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비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하부고리와, 상기 하부고리에 결합되는 벨트 걸쇠와, 상기 벨트 걸쇠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안전벨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SUSPENSION DEVICE CONNECTED TO AIDING APPARATUS FOR GAIT TRAINING}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정상 보행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넘어지지 않도록 상부에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하부와 사람이 착용하는 안전벨트 상부의 사이에 일정길이의 탄성부재와, 탄성부재가 일정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탄성부재보다 일정길이 길게 설치되는 비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안전을 확보한 상태에서 보행운동 과정에 높이 변화가 생기도록 하여 정상보행에 가까운 보행운동을 할 수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각종 질환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스스로 걷지 못하는 환자들이 재활치료를 위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 또는 장치를 말한다.
이족 보행을 하는 사람은 정상 보행과정에 상하로 높낮이가 달라지며, 좌우로도 이동할 수밖에 없으며, 상하로 이동하는 거리가 좌우로 이동하는 거리보다 크다.
최근 보행분석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상인은 보행과정에 좌우로 약 4cm 이동하며, 상하로는 약 5cm의 높낮이 변화가 생긴다고 한다.
보행운동의 최종 목표는 정상보행을 하지 못하는 사람이 최대한 정상 보행에 가깝게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보행운동은 정상 보행과정과 같이 좌우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야 정상적인 보행운동을 할 수가 있다.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들은 이용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운동을 할 때에 상부에서 튼튼하게 잡아주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좌우와 상하로 일정길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야 정상보행에 근접하는 보행운동이 가능하다.
최근 천정에 레일을 설치하거나, 상부에 기둥을 설치하여 로프나 쇠사슬로 연결되는 현수기능이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이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현수기능에만 중점을 두었으며, 상부에 로프나 쇠사슬과 같은 비 탄성부재로 고정되어 있어서 보행 운동과정에 상하로 높낮이 변화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이용자가 일정한 높이로 매달려서 걸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보행운동 과정에 높낮이 변화가 없으며, 높낮이 변화가 있어야 하는 정상보행에 가까운 보행운동을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높낮이 변화가 생기도록 한 장비도 개발되고 있지만 상당한 고가이며, 이용자에 따라 보행습관이 다르다는 문제점과 보행과정에서 생기는 비규칙적인 상황을 전부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현수 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용 보조장치의 하부에 일정길이의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보행운동 과정에 탄성부재가 늘어나고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높낮이의 변화가 생기도록 하였으며, 탄성부재의 특성상 강도가 약하여 일정한 길이 이상 늘어나면 끊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탄성부재가 일정한 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탄성부재보다 일정길이 더 길도록 제작한 비 탄성부재를 함께 설치하여 탄성부재가 일정한 길이 이상 늘어나면 비 탄성부재가 잡아주어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최대한 정상보행에 가까운 보행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모터와 같은 고가의 인위적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도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정상보행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적이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간단하게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제품에 비교적 간단하게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안전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보행과정에 자연스럽게 상하로 높낮이 변화가 생길 수 있도록 비 탄성부재와 탄성 부재를 설치하여 이용자의 보행습관에 따른 최대한 정상보행에 가까운 보행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는 일반적으로 천정이나 상부에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하부와, 하부에 안전벨트가 연결되는 안전벨트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며, 탄성부재와 비탄성부재의 상부가 결합되는 상부고리와, 상기 상부고리에 결합되며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보다 일정길이 길도록 제작되는 비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비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하부고리와, 상기 하부고리에 결합되는 벨트 걸쇠와, 상기 벨트 걸쇠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벨트 걸쇠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와 비 탄성부재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비 탄성부재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상부고리와 하부고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다른 상부고리와 하부고리에 결합되어 같은 방향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결합되는 현수장치는 현재 개발되거나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현수기능을 가진 보행운동 보조 장치에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용수철과 탄성재질의 케이블과 로프와 고무줄과 같은 탄성재질을 가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비 탄성부재는 케이블과 로프와 쇠사슬과 같은 비 탄성재질의 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달리, 상기 탄성부재는 비 탄성부재와 분리하여 설치하지 않고 비 탄성부재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하부와 벨트걸쇄 사이에 상부고리와 하부고리로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비 탄성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비탄성부재의 일측부의 하부 일정길이 지점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다른 일단부는 상기 비탄성부재의 상부 일정길이 지점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하부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비 탄성부재의 하부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가 결합되는 비 탄성부재의 상부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까지의 길이보다 일정길이 짧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가 일정길이 이상 늘어나면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비탄성부재의 일측부는 탄성부재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비 탄성부재의 일측부에 결합하지 않고, 일측 단부만 상기 비탄성부재의 일측부 일정길이 지점에 결합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상부고리와 상기 하부고리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하부와 벨트걸쇄 사이에 상부고리와 하부고리로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비 탄성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비 탄성부재의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다른 일단부는 상기 상부고리와 상기 하부고리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비 탄성부재의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반대측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상부와 하부고리중 어느 하나까지의 길이보다 일정길이 짧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비탄성부재의 설치위치를 달리하여, 상술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비탄성부재의 설치방법과 같이 적용하여, 상기 벨트걸쇄 하부와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 사이에도 설치 가능하다.
이때, 상기 단성부재와 비 탄성부재는 벨트걸쇄와 안전벨트연결부재의 형태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상기 비 탄성부재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 하부에 안전벨트가 연결되는 안전벨트 연결부재의 일측부를 비 탄성부재로 대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의 일측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부는 상기 안전벨트 연결부재의 일측 상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부는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 상부의 일단부에 결합하지 않고, 상기 벨트 걸쇠에 결합되는 상기 벨트 고리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설치되는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의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에서 상기 벨트고리에 연결되는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의 일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일정길이 짧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전벨트 연결부재와 상기 안전벨트가 연결되는 수량만큼 복수 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와 비 탄성부재는 설치위치와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결합되는 현수장치는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하부에 일정길이의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이용자의 보행습관에 따라 자연스럽게 늘어나고 줄어들어 최대한 정상보행에 가까운 보행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가 일정길이 이상 늘어나면 탄성부재보다 일정길이 길게 설치된 상기 비탄성부재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게 잡아주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끊어지는 것을 막고, 이용자가 안전하게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현수기능에만 중점을 두고 개발되어 비 탄성 로프나 쇠사슬로 연결되어 있는 제품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이러한 종래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이용자의 높이 변화가 없어서 매달려서 보행운동을 할 수밖에 없으며, 보행과정에 정상에 가까운 보행운동을 하기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결합되는 현수장치는 현재 판매되거나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간단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고가의 장비들도 구현하기 어려운 정상에 가까운 보행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적은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며, 종래의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결합되는 현수장치의 추가만으로도 그 효과가 극대화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정상인의 보행과정에 따른 상하의 높낮이 변화를 보행 분석한 분석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현수장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제1 변형 예에 대한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제2 변형 예에 대한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제3 변형 예에 대한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제4 변형 예에 대한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현수기능이 있는 보행운동 보조장치(60)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고리(40)와, 상기 상부고리(40)에 상부가 결합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탄성부재(10)와, 상기 상부고리(40)에 상부가 결합되는 비 탄성부재(20)와, 상기 탄성부재(10)와 상기 비 탄성부재(20)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고리(41)와, 상기 하부고리(41)에 결합되는 벨트 걸쇠(30)와, 상기 벨트 걸쇠(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벨트고리(42)와, 상기 벨트고리(42)의 하부에 결합되는 안전벨트 연결부재(51)와, 상기 안전벨트 연결부재(51)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안전벨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 탄성부재(20)의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10)가 늘어나지 않았을 때의 길이보다 일정길이 길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10)와 비 탄성부재(20)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리(40)와 상기 하부고리(4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다른 상기 상부고리(40)와 상기 하부고리(41)에 결합되어 같은 방향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는 상기 탄성부재(10)는 상기 비 탄성부재(20)와 분리하여 설치하지 않고, 상기 비 탄성부재(20)에 상기 탄성부재(10)의 양단부를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행운동 보조장치(60)의 하부와 상기 벨트걸쇄(30) 사이에 상기 상부고리(40)와 상기 하부고리(41)에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상기 비 탄성부재(20)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10)는 상기 비 탄성부재(20)의 일측부의 하부 일정길이 지점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다른 일단부는 상기 비 탄성부재(20)의 상부 일정길이 지점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0)는 상기 탄성부재(10) 하부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비 탄성부재(20)의 하부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에서 상기 탄성부재(10)의 상부가 결합되는 비 탄성부재(20)의 상부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까지의 길이보다 늘어나지 않았을 때의 길이가 일정길이 짧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탄성부재(10)의 양단부를 상기 비 탄성부재(20)의 일측부에 결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10)의 일측 단부만 상기 비 탄성부재(20)의 일측부 일정길이 지점에 결합하고, 탄성부재(10)의 다른 단부는 상기 상부고리(40)와 상기 하부고리(41)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보행운동 보조장치(60)의 하부와 상기 벨트걸쇄(30) 사이에 상기 상부고리(40)와 상기 하부고리(41)로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상기 비 탄성부재(20)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10)는 상기 비 탄성부재(20)의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10)의 다른 일단부는 상기 상부고리(40)와 상기 하부고리(41)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10)는 상기 탄성부재(1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비 탄성부재(20)의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에서 상기 탄성부재(10)의 반대측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상부고리(40)와 상기 하부고리(41)중 어느 하나까지의 길이보다 늘어나지 않았을 때의 길이가 일정길이 짧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탄성부재(10)와 비 탄성부재(20)의 설치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벨트걸쇄(30)의 하부와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51)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10)와 비 탄성부재(2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탄성부재(10)와 상기 비 탄성부재(20)는 상기 벨트걸쇄(30)의 형태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변형 예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는 상술한 제1 변형 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10)의 양단부가 상기 비 탄성부재(20)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걸쇄(30)의 하부와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51)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미도시)하며, 제2 변형 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10)의 일측 단부만 상기 비 탄성부재(20)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걸쇄(30)의 하부와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51)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미도시)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벨트걸쇄(30)의 하부에 상기 비 탄성부재(20)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 상기 안전벨트 연결부재(51)의 일측부를 비 탄성부재(20)로 사용하고,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51)의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에 상기 탄성부재(10)의 일측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10)의 다른 일단부는 상기 안전벨트 연결부재(51) 상부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0)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51)의 일측부와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51)의 다른 일측부 사이의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10)가 늘어나지 않았을 때의 길이보다 일정길이 길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0)는 상기 안전벨트(50)와 결합되는 상기 안전벨트연결부재(51)의 수량만큼 복수 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상기 탄성부재(10)의 다른 일단부는 상기 안전벨트 연결부재(51)상부의 일측부에 결합하지 않고, 상기 벨트걸쇠(30)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고리(42)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미도시)하다.
상기 탄성부재(10)는 상기 탄성부재(1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안전벨트 연결부재(51)의 일측부의 일정길이 지점에서 상기 탄성부재(10)의 다른 일측부가 결합되는 상기 하부고리(42)까지의 길이보다 일정길이 짧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0)는 상기 안전벨트(50)와 연결되는 안전벨트연결부재(51)의 수량만큼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는 설치위치와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며,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탄성부재
20 : 비탄성부재
30 : 벨트걸쇠
40 : 상부고리
41 : 하부고리
42 : 벨트고리
50 : 안전벨트
51 : 안전벨트 연결부재
60 : 보행운동용 보조장치

Claims (4)

  1. 상부는 보행운동 보조장치(60)에 결합되고, 하부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안전벨트(50)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이웃하게 형성된 비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2.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같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비탄성부재와 이격 형성되거나,
    비탄성부재에 탄성부재의 양단부가 접합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비탄성부재의 일측 지점에 탄성부재가 접합된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3.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부재 몸체 중, 탄성부재에 이웃하게 형성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가 일정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탄성부재(10)가 인장되지 않았을 때의 길이보다는 더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50)와, 보행운동용 보조장치(60) 사이 위치에 벨트걸쇠(30)가 더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및 비탄성부재는,
    상기 벨트걸쇠(30)의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벨트걸쇠(30)의 하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KR1020140026838A 2014-03-06 2014-03-06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KR20150104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838A KR20150104899A (ko) 2014-03-06 2014-03-06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PCT/KR2015/002139 WO2015133841A1 (ko) 2014-03-06 2015-03-05 보행보조장치
US15/108,980 US20160324714A1 (en) 2014-03-06 2015-03-05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838A KR20150104899A (ko) 2014-03-06 2014-03-06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99A true KR20150104899A (ko) 2015-09-16

Family

ID=5424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838A KR20150104899A (ko) 2014-03-06 2014-03-06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489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839A (ko) 2018-01-19 2019-07-29 정부환 보행 훈련 장치
KR102193985B1 (ko) * 2019-07-15 2020-12-22 박경호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KR102225072B1 (ko) * 2019-10-18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KR102225060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KR102225063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KR20210079762A (ko) * 2019-12-20 2021-06-3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 운동기기에 장착되는 암 밴드
KR102543219B1 (ko) 2022-12-08 2023-06-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내 탑승자 가슴 착용 안전벨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839A (ko) 2018-01-19 2019-07-29 정부환 보행 훈련 장치
KR102193985B1 (ko) * 2019-07-15 2020-12-22 박경호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KR102225060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KR102225063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KR102225072B1 (ko) * 2019-10-18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KR20210079762A (ko) * 2019-12-20 2021-06-3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 운동기기에 장착되는 암 밴드
KR102543219B1 (ko) 2022-12-08 2023-06-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내 탑승자 가슴 착용 안전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4899A (ko)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KR102339664B1 (ko)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U2643341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тренировки ходьбы и способ тренировки ходьбы для него
KR101741980B1 (ko)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EP0625341A4 (en) Device for treating patients with disturbances of pose and motor activity.
CN101340950A (zh) 康复治疗悬吊装置
CN103735392B (zh) 一种偏瘫病人肢体训练学步车
US20190125613A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KR20100101714A (ko) 안전레일이 구비된 보행운동용 평행봉
CN206837090U (zh) 一种脑瘫偏瘫行走康复训练平衡杠
CN107224152B (zh) 一种儿童肢体协调能力训练装置
KR101517028B1 (ko) 남성 성기 근력 강화 운동기구
KR200483467Y1 (ko)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US20160324714A1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CN204931921U (zh) 医疗康复训练用多功能系统装置
CN203493786U (zh) 一种偏瘫患者康复矫正器械
CN205672461U (zh) 拉簧式举臂器
CN213431482U (zh) 一种辅助行走的下肢骨骼架
CN210785275U (zh) 足踝骨科医疗康复辅助步行器
CN107582321A (zh) 一种多功能康复训练机
KR101601715B1 (ko) 재활훈련장치의 제어방법
CN202497658U (zh) 一种下肢辅助训练装置
CN205814985U (zh) 一种踏步训练机
JP6004352B2 (ja) エアー散歩器具
KR102301770B1 (ko) 재활 운동기기에 장착되는 암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