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67Y1 -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67Y1
KR200483467Y1 KR2020150006997U KR20150006997U KR200483467Y1 KR 200483467 Y1 KR200483467 Y1 KR 200483467Y1 KR 2020150006997 U KR2020150006997 U KR 2020150006997U KR 20150006997 U KR20150006997 U KR 20150006997U KR 200483467 Y1 KR200483467 Y1 KR 200483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knee
worn
wearing par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593U (ko
Inventor
방부현
Original Assignee
방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부현 filed Critical 방부현
Priority to KR2020150006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6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11Walking coordination of arms and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는, 사용자의 무릎에 착용하는 무릎착용부와, 상기 무릎착용부에 연결되며 손으로 잡아당기도록 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무릎착용부는, 무릎 위쪽의 대퇴부에 착용되는 제1밴드; 무릎 아래쪽의 종아리에 착용되는 제2밴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며 굴절가능한 연결밴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며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이 마비된 편마비 장애가 있는 환자의 다리에 착용하여, 마비된 다리를 정상적인 팔로 당겨 들어올려줄 수 있도록 하여 마비된 다리의 움직임을 강제 유도할 수 있어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Hemiplegic Patient Walking Aids Device}
본 고안은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이 마비된 편마비 장애가 있는 환자의 다리에 착용하여, 마비된 다리를 정상적인 팔로 당겨 들어올려줄 수 있도록 하여 마비된 다리의 움직임을 강제 유도할 수 있어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장애인은 뇌손상으로 인해 운동 및 감각 신경 통로의 장애가 있어 기립 및 보행 시 비정상적인 행태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과도한 외회전은 보행 시 안전성을 보장받기 어려워 낙상 등 신체적 위험에 처할 수 있고, 또한 비 장애인의 보행과의 시각적 차이로 인하여 환자들의 심리적 위축감을 가중시키기도 한다.
이에 뇌졸중이나 뇌성마비 혹은 교통사고 등으로 인하여 하지 편마비환자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다양한 보행기구가 연구되고 있다.
국내 특허 등록 제0378573호에는, 상부개구부를 형성하고 하부 양측에 지지판을 본체와 일체로 각각 형성된 하부개구부와, 측면의 중앙에는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의 일측 외주연에 인접하여 반원형 가동공을 갖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기 상부개구부에서 입출 가능하게 삽입된 하부면에 고리를 형성한 상부지지대와; 상기 관체의 상기 하부개구부 내로 삽입되어지도록 삽입양측에 측면 상부는 가동공과 상기 가동공의 하부에 통공을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지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에 회동부를 갖도록 형성한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기 가동홈은 상기 관체내의 상기 가동공과 일치하여 고정되어 가동 형성되는 가동핀과;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기 통공은 상기 관체 내의 통공과 일치하여 각각 삽입되어 힌지와; 상기 관체 내에 각각 상, 하부 개구부에 삽입되어지고,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기 고리와 타측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기 가동공에 고정되는 가동핀에 연결 형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동력을 이용한 여러 가지 첨단과학이 동원된 신체착용식 보행보조기구가 발명되었으나 이 또한 그 복잡함에 있어 전문적인 훈련과 적응기간이 필요하고 무게에 있어서도 환자에게는 무리가 갈 수밖에 없으며 가격이 비싸 구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이 마비된 편마비 장애가 있는 환자의 다리에 착용하여, 마비된 다리를 정상적인 팔로 당겨 들어올려줄 수 있도록 하여 마비된 다리의 움직임을 강제 유도할 수 있어 가급적 정상에 가까운 보행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무릎에 착용하는 무릎착용부와, 상기 무릎착용부에 연결되며 손으로 잡아당기도록 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무릎착용부는, 무릎 위쪽의 대퇴부에 착용되는 제1밴드; 무릎 아래쪽의 종아리에 착용되는 제2밴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며 굴절가능한 연결밴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며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 각각은 신축성을 갖는 띠부재이며,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절개부를 폐쇄하는 마감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띠는 벨크로파스너 또는 스냅파스너로 탈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수단은 일단이 무릎착용부의 연결밴드에 고정되며 길이를 갖는 와이어 또는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이 마비된 편마비 장애가 있는 환자의 다리에 착용하여, 마비된 다리를 정상적인 팔로 당겨 들어올려줄 수 있도록 하여 마비된 다리의 움직임을 강제 유도할 수 있어 가급적 정상에 가까운 보행이 가능해질 수 있어 목발 등의 보조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보행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에서 '견인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에서 '견인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A)는, 사용자의 무릎에 착용하는 무릎착용부(2)와, 무릎착용부(2)에 연결되며 손으로 잡아당기도록 하는 견인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릎착용부(2)는, 무릎 위쪽의 대퇴부에 착용되는 제1밴드(21); 무릎 아래쪽의 종아리에 착용되는 제2밴드(22); 제1밴드(21)와 제2밴드(22)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며 굴절가능한 연결밴드(23); 제1밴드(21)와 제2밴드(22)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며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밴드(21)는 대퇴부 즉 허벅지에 체결되는 것으로, 신축성을 갖는 띠부재이며, 일측에 절개부(211)가 형성되고, 절개부(211)를 폐쇄하는 마감띠(212)가 형성된다.
마감띠(212)는 벨크로파스너 또는 스냅파스너가 형성되어 체결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는 마감띠(212)는 일단에 버클(미도시)이 구비되고, 타단이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밴드(22)는 종아리부위에 체결되는 것으로, 신축성을 갖는 띠부재이며, 일측에 절개부(221)가 형성되고, 절개부(221)를 폐쇄하는 마감띠(222)가 형성된다.
마감띠(222)는 벨크로파스너 또는 스냅파스너가 형성되어 체결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는 마감띠(212,222)는 일단에 버클(미도시)이 구비되고, 타단이 버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한편 연결밴드(23)는 제1밴드(21)와 제2밴드(22)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며 굴절가능한 합성수지 또는 직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연결된다.
탄성체(24)는 제1밴드(21)와 제2밴드(22)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며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굴절 작동시 원 상태로 복귀되는 힘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한편 견인수단(4)은 일단이 무릎착용부의 연결밴드(23)에 고정되며 길이를 갖는 와이어 또는 로프(42)를 포함한다.
견인수단(4)은 반드시 연결밴드(23)에 고정될 필요는 없고, 제1밴드(21) 또는 제2밴드(22)에 고정될 수도 있다.
견인수단(4)의 일단에는 후크(421)가 마련되고, 이 후크(421)가 결합되도록 연결밴드(23)에 고리(231)가 형성된다.
그리고 견인수단(4)의 타단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고정구(44)가 형성된다. 고정구(44)는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파이프 또는 링형 고리로 이루어진다.
고정구(44)는 견인수단(4)에 고정되되 위치의 설정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고정구(44)의 일 예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수단(4)의 일단에 형성되고 다수의 결합공(443)을 갖는 편체부(441)와, 상기 편체부(441)의 결합공(443)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는 봉체(442)와, 상기 봉체(442)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편체부(441)에 밀착되는 너트(445)와 반대편에서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스냅링(446)를 포함한다.
따라서 봉체(442)를 다수의 결합공(443) 중 어느 하나에 끼워 필요한 길이로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계단을 내려갈때는 봉체(442)를 가장 먼 위치(도 2에서 가장 상부), 즉 편체부(441)의 끝부분(무릎착용부로부터 가장 먼 위치임.)에 가까운 결합공에 결합시키고, 평지는 중간 정도 위치의 결합공에 결합시키며, 계단 오를때는 무릎착용부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의 결합공에 결합시킨다.
무릎착용부(2)를 무릎에 착용한 후 앞으로 나아갈때 견인수단(4)을 정상의 팔로 잡아당겨줌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다리, 즉 무릎을 구부리고 앞으로 나갈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자력으로 보행이 가능해지고, 보행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무릎착용부 4 : 견인수단
21 : 제1밴드 22 : 제2밴드
23 : 연결밴드 24 : 탄성체
42 : 와이어 또는 로프 44 : 고정구

Claims (5)

  1. 사용자의 무릎에 착용하는 무릎착용부와,
    상기 무릎착용부에 연결되며 손으로 잡아당기도록 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무릎착용부는,
    무릎 위쪽의 대퇴부에 착용되는 제1밴드;
    무릎 아래쪽의 종아리에 착용되는 제2밴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며 굴절가능한 연결밴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며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
    를 포함하되,
    상기 견인수단은,
    일단에는 무릎착용부의 연결밴드에 고정되며 길이를 갖는 와이어 또는 로프; 및
    타단에는 다수의 결합공을 갖는 편체부와, 상기 편체부의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는 봉체와, 상기 봉체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편체부에 밀착되는 너트와, 반대편에서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스냅링으로 구성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 각각은
    신축성을 갖는 띠부재이며,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절개부를 폐쇄하는 마감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띠는 벨크로파스너 또는 스냅파스너가 형성되어 체결 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6997U 2015-10-28 2015-10-28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KR200483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97U KR200483467Y1 (ko) 2015-10-28 2015-10-28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97U KR200483467Y1 (ko) 2015-10-28 2015-10-28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93U KR20170001593U (ko) 2017-05-10
KR200483467Y1 true KR200483467Y1 (ko) 2017-05-18

Family

ID=5871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997U KR200483467Y1 (ko) 2015-10-28 2015-10-28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836A (ko) 2019-12-31 2021-07-08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용 스마트 체중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1113A (zh) * 2019-01-17 2019-03-19 郑州华山医院 一种阴茎牵引器及阴茎固定设备
KR20200102176A (ko) 2019-02-21 2020-08-31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묘 장난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741B2 (ja) * 1998-07-31 2001-04-16 ▲シィ▼品精密工業股▲分▼有限公司 Cspのbga構造を備えた半導体パッケージ
JP2001314431A (ja) * 2000-05-11 2001-11-13 Kojiro Wakatsuki 簡易膝関節免荷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741U (ja) * 2009-06-19 2009-12-03 川村 拓也 片麻痺者麻痺側下肢支持振出し誘導装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741B2 (ja) * 1998-07-31 2001-04-16 ▲シィ▼品精密工業股▲分▼有限公司 Cspのbga構造を備えた半導体パッケージ
JP2001314431A (ja) * 2000-05-11 2001-11-13 Kojiro Wakatsuki 簡易膝関節免荷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836A (ko) 2019-12-31 2021-07-08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용 스마트 체중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93U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12B1 (ko) 전동보행보조기
EP3225363B1 (en) Exoskeleton for assisting human movement
EP2649976B1 (en) Device for assisting joint exercise
EP2442763B1 (en) Orthotic lift apparatus
KR200483467Y1 (ko) 편마비 환자용 보행보조기구
WO2018023109A1 (en) Powered gait assistance systems
US20170105862A1 (en) Leg Lift Walking Aid
JP2011036367A (ja) 歩行支援装具
KR20170006367A (ko) 작업용 근력 보조기구
WO2019156002A1 (ja) 歩行補助具、歩行補助方法
KR101516758B1 (ko) 상지 근력 보조 장치
KR101056621B1 (ko) 발목보호대와 탈, 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Ma et al. The development and preliminary test of a powered alternately walking exoskeleton with the wheeled foot for paraplegic patients
KR101466306B1 (ko) 무릎 굽힘이 가능한 착용식 다리지지장치
KR100767192B1 (ko)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US20160030222A1 (en) Ankle-Foot Flexion Device
KR101175727B1 (ko) 보행 훈련 장치
JP2018079132A (ja) 下肢動作支援装具
US8409121B1 (en) Dynamic manual elbow and knee flexion-extension assist device
KR20180110694A (ko) 전동보행보조기
US98551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lantar flexion force and controlling forward tibial progression in stance phase of gait for stance stability and propulsion
CN210785275U (zh) 足踝骨科医疗康复辅助步行器
JP2011019737A (ja) 引上げ式自力歩行用装具
JP4979139B2 (ja) 腰部負担軽減用具
JPH09313553A (ja) 足の矯正用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