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072B1 -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072B1
KR102225072B1 KR1020190130048A KR20190130048A KR102225072B1 KR 102225072 B1 KR102225072 B1 KR 102225072B1 KR 1020190130048 A KR1020190130048 A KR 1020190130048A KR 20190130048 A KR20190130048 A KR 20190130048A KR 102225072 B1 KR102225072 B1 KR 10222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nnector
elastic
fram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진
정부환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환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와 사용자의 보행 경로를 따라 천장에 설치된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일측과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 사이에 구비되어 보행중 사용자의 신체 높낮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현수 장치용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와,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높낮이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안전벨트에 결합되는 걸이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Connector for suspension safety}
본 발명은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정상 보행 운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현수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와 사용자의 보행 경로를 따라 천장에 설치된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장치는 각종 질환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스스로 걷지 못하는 환자들이 재활치료를 위한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 또는 장치를 말한다.
두발로 보행을 하는 사람의 경우, 정상 보행 과정에 상하로 높낮이가 달라지며, 좌우로도 일정한 변위폭을 가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행자가 보행 시 몸의 높낮이 변화 및 보행시 좌우로의 움직임 이 발생하는데, 정상인은 보행과정에 좌우로 약 4cm 이동하며, 상하로는 약 5cm의 높낮이 변화가 생긴다고 한다.
특히, 장애인의 경우 양측 다리 길이의 차이로 인하여 보행시 상하 높낮이 변화가 더 많기 때문에 보행 충격이 더 크고 불편하여 이를 고려한 보행 보조장치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보행 운동의 최종 목표는 정상보행을 하지 못하는 사람이 최대한 정상 보행에 가깝게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보행시 좌우와 상하로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신체를 정상 보행 상태로 원복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정상적인 보행 운동을 할 수가 있다.
즉, 현수(suspending) 기능이 있는 보행 보조장치들은 이용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운동을 할 때에 상부에서 튼튼하게 잡아주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좌우와 상하로 소정의 탄성력을 줄 수 있도록 하여야 정상 보행에 근접하는 보행 운동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천정에 레일을 설치하거나, 고정된 기둥을 설치하여 로프나 쇠사슬로 연결되는 현수 기능이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현수 장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현수 장치의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가 매듭지는 슬리브에 로프의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어 양방향에 고리 형상을 이루었다.
이러한 종래의 현수 장치의 연결구는 로프와 슬리브로 이루어지므로, 현수 장치를 반복 사용함에 따라 로프의 압착력 저하로 인한 내구성이 떨어지고, 로프가 절단되어 보행자가 낙상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980호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 보조 장치"(등록일자 : 2017.05.2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수 장치에 연결되는 연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는 프레임의 일측과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 사이에 구비되어 보행중 사용자의 신체 높낮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현수 장치용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와,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높낮이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안전벨트에 결합되는 걸이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낮이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측면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측면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면에 걸쳐지는 걸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는 몸체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이동 부재가 결합되고, 이동 부재에 탄성 부재가 결합되어 보행자가 보행 운동 시 넘어지더라도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는 몸체부와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며, 몸체부와 프레임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보행자의 신체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몸체부, 고정부 및 탄성부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제작되어 보행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고, 반복 사용하더라도 파손되지 않아 안전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 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탄성 부재가 결합되며, 이동 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제1 탄성 부재는 보행 중 헛디디는 동작에 의해 이동 부재가 몸체부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충격량을 감소시키고, 이동 부재의 상부에 위치한 제2 탄성 부재는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이동 부재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몸체부의 천장면에 충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한 보행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1000, 이하 연결구)는 몸체부(100), 고정부(200) 및 탄성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연결구(1000)는 건물 내부의 천장에 보행자의 이동 동선을 따라 일정한 형태로 설치되는 프레임(10)와 보행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미도시) 사이에 결합되어 보행 훈련 중 사용자의 신체 높낮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10)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300)가 가이드 레일(110)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는 폐쇄되어 고정부(200)가 결합되고, 하부는 개방 되어지며 탄성부(30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00)는 프레임(10)과 몸체부(100) 사이에 결합되며 프레임(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부(10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0)는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210)와, 일단은 고정 부재(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몸체부(200)에 결합되는 높낮이 부재(2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고정 부재(210)의 상부는 프레임(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의 일단에는 힌지가 결합되어 프레임(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부재(220)는 고정 부재(210)의 하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높낮이 부재(220)는 수직 프레임(221), 걸림면(222), 경사면(223) 및 걸림핀(224)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수직 프레임(221)은 고정 부재(21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221)의 측면에 걸림면(222)이 법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경사면(223)은 수직 프레임(221)에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며, 수직 프레임(221)의 측면에 걸림면(222)과 경사면(223)이 반복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핀(224)은 고정 부재(2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걸림면(222)에 맞물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 부재(220)는 고정 부재(21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211)을 통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높이가 결정되며, 수직 프레임(221)에 형성된 걸림면(222)에 걸림핀(224)이 맞물리며 높낮이 부재(220)가 고정 부재(210)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223)은 걸림면(222)의 끝단에서 수직 프레임(221)의 외주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며, 걸림핀(224)이 걸림면(222)에 걸리면서 수직 프레임(221)이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탄성부(300)는 몸체부(100)에 연결되며 안전밸트를 착용하는 보행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동 부재(310), 제1 탄성 부재(320), 제2 탄성 부재(330) 및 걸이 부재(3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이동 부재(310)는 가이드 레일(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 부재(320)는 상부가 이동 부재(3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는 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이동 부재(310)에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탄성 부재(330)는 하부가 이동 부재(3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몸체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이동 부재(310)에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걸이 부재(340)는 이동 부재(3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안전벨트에 결합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 부재(310)는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이동 부재(310)의 하부에 연결된 걸이 부재(340)에 결합되는 안전벨트를 착용한 보행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왕복 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 부재(310)의 상하부에 각각 제1 및 제2 탄성 부재(320, 330)이 결합되며, 이동 부재(310)의 하부에 위치한 제1 탄성 부재(320)는 보행 과정에서 헛디디는 동작에 의해 이동 부재(310)가 몸체부(100)의 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 탄성 부재(320)가 탄성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 부재(310) 및 상기 제2 탄성 부재(320)는 스프링 또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력을 제공하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잦은 사용에도 탄성력이 저하되지 않고, 파손되지 않아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 부재(31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 부재(310)가 상부로 이동되게 되며, 이때, 제2 탄성 부재(320)가 이동 부재(310)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이동 부재(310)를 하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동 부재(310)와 몸체부(100)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이동 부재(310)가 몸체부(100) 내부에서 이동되는 것은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보행자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동 부재(310)가 몸체부(100) 상에서 제1 및 제2 탄성 부재(310, 320)에 의해 이동되더라도 안전벨트의 높이에는 변화가 없으며, 보행자가 넘어질 때 안전벨트가 일정위치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연결구(1000)는 프레임(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고정부(200)가 결합되고, 고정부(200)는 보행자의 신체에 따라 높낮이 부재(22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고, 탄성부(300)는 몸체부(100)와 안전벨트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보행자가 보행 시 발을 헛디디더라도 낙상되지 않게 지지하면서, 넘어지는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연결구(1000)의 몸체부(100), 고정부(200) 및 탄성부(300)는 내구성이 강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보행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잦은 반복 사용에도 압착력 저하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10 : 프레임 100 : 몸체부
110 : 가이드 레일 200 : 고정부
210 : 고정 부재 220 : 슬라이딩 부재
221 : 수직 프레임 222 : 걸림면
223 : 경사면 224 : 걸림핀
300 : 탄성부 310 : 이동 부재
311 : 제1 탄성 부재 312 : 제2 탄성 부재
313 : 걸이 부재

Claims (2)

  1. 프레임의 일측과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 사이에 구비되어 보행중 사용자의 신체 높낮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현수 장치용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와,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높낮이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안전벨트에 결합되는 걸이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측면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측면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면에 걸쳐지는 걸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KR1020190130048A 2019-10-18 2019-10-18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KR10222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48A KR102225072B1 (ko) 2019-10-18 2019-10-18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48A KR102225072B1 (ko) 2019-10-18 2019-10-18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072B1 true KR102225072B1 (ko) 2021-03-09

Family

ID=7517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048A KR102225072B1 (ko) 2019-10-18 2019-10-18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0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135A (ko) * 1988-08-10 1990-03-23 닛뽕 케미파가부시끼가이샤 신규 이미다졸 유도체
KR970010441A (ko) * 1995-08-21 1997-03-27 한승준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조절장치
JPH09154901A (ja) * 1995-12-07 1997-06-17 Matsumoto Sekkei:Kk 歩行訓練器具
JP2014150861A (ja) * 2013-02-06 2014-08-25 Japan Running Promotion Organization ランニング鍛錬装置
KR20150104899A (ko) * 2014-03-06 2015-09-16 정부환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KR20160107563A (ko) * 2015-03-04 2016-09-19 정부환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135A (ko) * 1988-08-10 1990-03-23 닛뽕 케미파가부시끼가이샤 신규 이미다졸 유도체
KR970010441A (ko) * 1995-08-21 1997-03-27 한승준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조절장치
JPH09154901A (ja) * 1995-12-07 1997-06-17 Matsumoto Sekkei:Kk 歩行訓練器具
JP3292648B2 (ja) * 1995-12-07 2002-06-17 株式会社松本設計 歩行訓練器具
JP2014150861A (ja) * 2013-02-06 2014-08-25 Japan Running Promotion Organization ランニング鍛錬装置
KR20150104899A (ko) * 2014-03-06 2015-09-16 정부환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KR20160107563A (ko) * 2015-03-04 2016-09-19 정부환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KR101741980B1 (ko) 2015-03-04 2017-05-31 정부환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9336B (zh) 浴室安全装置
KR101741980B1 (ko)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KR102193985B1 (ko)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KR20150104899A (ko)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JP2018117770A (ja) 介護リフト装置
KR102225072B1 (ko)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KR20160145379A (ko) 보행 재활 훈련용 발목 관절 각도 변화 유도 장치
US107067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people to a modified gait or posture
US20190125613A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1278720B1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20150104749A (ko) 입 운동 장치
US20160324714A1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147034B1 (ko) 물리 치료용 슬링
KR101909048B1 (ko) 보행 보조 장치
KR101983067B1 (ko) 보행 보조 장치
KR102225060B1 (ko)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JP2011110301A (ja) 歩行訓練装置
JP2003339802A (ja) 歩行用杖
KR102225063B1 (ko)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KR101909050B1 (ko) 보행 보조 장치
KR102173859B1 (ko)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KR101505600B1 (ko) 전자석형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족관절 보조기
US3673615A (en) Body attached stilts with vertically adjustable steps
KR102033148B1 (ko)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KR20210104414A (ko) 충격완화 보행 훈련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