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034B1 - 물리 치료용 슬링 - Google Patents

물리 치료용 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034B1
KR102147034B1 KR1020190029574A KR20190029574A KR102147034B1 KR 102147034 B1 KR102147034 B1 KR 102147034B1 KR 1020190029574 A KR1020190029574 A KR 1020190029574A KR 20190029574 A KR20190029574 A KR 20190029574A KR 102147034 B1 KR102147034 B1 KR 102147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ling
physical therapy
tee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환
Original Assignee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환 filed Critical 정부환
Priority to KR102019002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복수의 샤프트(64)가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 케이스(62); 복수의 샤프트(64)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캠(74)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캠(74)이 로프(20)를 기준으로 로프(20)의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된 복수의 투스(70); 및 플레이트 케이스(62)에 설치되고 캠(74)이 로프(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투스(70)를 회전시키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복수의 스프링(6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로프(20)가 복수의 투스(70)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로프(20)를 쉽게 당겨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로프(20)를 투스(70)로부터 이탈시키거나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리 치료용 슬링{Sling for physiotherapy}
본 발명은 물리 치료기구에서 사용자의 신체 또는 신체 일부를 매달 수 있도록 하는 물리 치료용 슬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중 환자, 하지 마비 환자, 재활치료 환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 등은 하지의 근력이 약하여 자력 보행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보행보조기구는 자력 보행이 어려운 사람이 자신 체중으로 인한 부하를 경감시킨 상태에서 쉽게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이다.
물리 치료는 팔, 다리, 허리 등 신체의 일부 매달아 운동할 수 있고, 이때 신체를 매달은 용도로써 슬링이 이용될 수 있다.
슬링은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할 수 있고, 상기 슬링을 천장 구조물, 스탠드 구조물, 물리 치료 기구 등에 매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춰서 또는 치료 목적에 맞도록 신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슬링(10)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슬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슬링(10)은 슬링의 내부에 클리트(11)가 설치되고, 클리트(11)에는 로프(20)가 배치된 구성이다. 로프(20)의 한쪽 끝에 핸들(22)이 갖춰져 있고, 다른 한쪽은 사용자 벨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리트(1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벽의 사이에 로프(20)를 끼워지도록 하거나 빼내는 구성이다.
로프(20)가 클리트(11)에 삽입 상태이면 로프(20)가 클리트(11)에 고정될 수 있고, 로프(20)가 클리트(11)에서 이탈 상태이면 로프(2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로프(20)를 클리트(11)에서 이탈시킬 때는 핸들(22)을 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동작하고, 로프(20)를 클리트(11)에 고정시킬 때 핸들(22)를 후방으로 잡아 당기는 동작한다.
그러나 종래의 슬링(10)은 로프(20)가 클리트(11)에서 쉽게 이탈할 수 있고, 로프(20)를 클리트(11)에 장착할 때 핸들(22)을 후방으로 과도하게 젖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로프(20)가 클리트(11)에 견고하게 삽입되지 않고 어중간하게 걸쳐진 상태에서 사용자 보행할 때,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로프(20)가 클리트(11)에서 풀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로프(20)가 클리트(11)에서 풀리면 사용자는 낙상할 우려가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JP 3194859 U JP 2002-237849 A JP 1998-94125 A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로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로프를 풀고자 할 때 쉽게 풀어낼 수 있도록 하는 물리 치료용 슬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중앙 하측에 플레이트(42)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40); 상기 메인 프레임(40)에 설치되어 로프(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50); 및 상기 플레이트(42)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20)가 지나가는 클리트 유닛(60);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트 유닛(60)은, 복수의 샤프트(64)가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 케이스(62); 상기 복수의 샤프트(64)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캠(74)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캠(74)이 상기 로프(20)를 기준으로 상기 로프(20)의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된 복수의 투스(70); 및 상기 플레이트 케이스(62)에 설치되고 상기 캠(74)이 상기 로프(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투스(70)를 회전시키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복수의 스프링(68);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의 상기 플레이트(42)는, 상기 로프(20)가 이탈되는 방향으로 각도(a)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의 상기 각도(a)는 5도 내지 45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상기 플레이트 케이스(62)에서 상기 복수의 투스(70)의 사이에 돌출 형성된 스테이터(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투스(70) 중에 어느 하나의 투스(70)와 상기 스테이터(80)의 사이에 상기 로프(20)가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상기 클리트 유닛(60)의 바로 위쪽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20)가 상기 복수의 투스(20)로부터 이탈될 때, 이탈되는 한계를 제한하는 가이드 바(5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클리트 유닛에 의하여 로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로프를 당겨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로프(20)를 투스(70)로부터 이탈시키거나 장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슬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로프를 클리트 유닛으로부터 잠금을 해제하거나 잠금을 설정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클리트 유닛의 구성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클리트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다른 실시예 클리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다른 실시예 클리트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3부터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로프를 클리트 유닛으로부터 잠금을 해제하거나 잠금을 설정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클리트 유닛의 구성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메인 프레임(40), 복수의 가이드 롤러(50) 및 클리트 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40)은 중앙 하측에 플레이트(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러(50)는 상기 메인 프레임(40)에 설치되어 로프(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클리트 유닛(60)은 상기 플레이트(42)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로프(20)가 지나갈 수 있다. 상기 클리트 유닛(60)은, 플레이트 케이스(62), 복수의 투스(70) 및 복수의 스프링(68)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케이스(62)는 복수의 샤프트(6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샤프트(64)는 외팔보 형태로써 한쪽은 상기 플레이트 케이스(62)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투스(70)는 상기 복수의 샤프트(64)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될 수 있고, 캠(74)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투스(70)는 상기 캠(74)이 상기 로프(20)를 기준으로 상기 로프(20)의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스(70)는 상기 로프(20)와 접촉하는 쪽에 요철을 형성시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로프(20)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프링(68)은 상기 플레이트 케이스(62)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캠(74)이 상기 로프(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투스(70)를 회전시키도록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68)은 도면에 C형으로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토션 스프링,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 투스(70)에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케이스(62)에 가이드 웨이(66)가 원호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투스(70)에 핀(76)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76)은 상기 가이드 웨이(66)를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68)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케이스(62)의 뒤쪽에 커버(78)가 갖춰질 수 있고, 커버(78)는 클리트 유닛(60)에서 스프링(68)이 플레이트 케이스(62)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클리트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핸들(22)을 잡아당겨 로프(20)를 이동시키는 예이다. 로프(20)를 잡아당기면 캠(74)은 로프(20)가 이동에 순응하여 스프링(68)이 압착될 수 있다. 즉, 투스(70)의 캠(74)은 로프(20)를 당기는 것에 대하여 저항을 일으키기 않고 쉽게 당겨질 수 있다.
핸들(22)을 잡아 당기면, 사용자에 묶여있는 벨트가 당겨져 상승할 수 있고, 이로써 키 높이를 높게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핸들(22)을 놓은 상태에서 로프(20)가 정지된 예이다. 핸들(22)을 놓으면 로프(20)에는 사용자의 체중이 실리고 이로써 로프(20)는 클리트 유닛(60)에서 상승할 수 있다. 아울러 투스(70)는 스프링(68)의 복원력에 의하여 캠(74)이 로프(20)쪽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후, 캠(74)은 로프(20)의 양쪽에서 로프(20)에 압착하여 결국 로프(20)는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게 로프(20)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를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플레이트(4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프(20)가 이탈되는 방향으로 각도(a)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로프(20)는 바깥쪽(out 참조)으로 젖히면 투스(70)의 사이에서 벗어날 수 있고, 안쪽(in 참조)으로 젖히면 투스(70)의 두께(w)에서 뿌리 부분 깊숙이 삽입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로프(20)를 투스(70)의 깊숙이 삽입시킬 수 있고 이로써 로프(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각도(a)는 5도 내지 45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각도(a)가 5도 보다 크면 로프(20)를 안쪽(in)으로 밀어 넣을 때 로프(20)가 투스(70)의 사이로 확실하게 집어 넣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각도(a)가 수직에 가깝게 작으면 로프(20)를 투스(70) 사이로 밀어 넣을 때 후방 쪽으로 더 젖혀야 하는 것으로써 불편할 수 있지만, 수직선을 벗어난 각도를 가지면 로프(20)를 투스(70)에 쉽게 집어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a)가 45도 이하이면 로프(20)를 젖힐 때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부연설명하면, 사용자 본인 또는 도움을 주는 사람은 로프(20)를 바깥(out)으로 당겨야 하는데 상기 각도(a)가 크면 그만큼 더 놓게 손을 들어 올려야 하므로 불편할 수 있지만, 상기 각도(a)가 45도 이하이면 대부분의 사람은 불편함을 느끼지 않은 범위(b 참조)에서 로프(20)를 투스(7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클리트 유닛(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의 일실시예에서 2개를 나타내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1개를 실시할 수 있고 이는 도 10부터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다른 실시예 클리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에서 다른 실시예 클리트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리트 유닛(60)은 상기 플레이트 케이스(62)에서 상기 복수의 투스(70)의 사이에 돌출 형성된 스테이터(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로프(20)는 도 10부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투스(70) 중에 어느 하나의 투스(70)와 상기 스테이터(80)의 사이에 통과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2는 로프(20)가 투스(70)와 스테이터(80)의 사이에 고정된 예를 보인 것으로써, 로프(20)를 놓으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로프(20)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당겨 짐과 아울러 스프링(68)의 복원력에 의하여 투스(70)의 캠(74)이 로프(20)를 압착할 수 있다.
도 11은 로프(20)의 핸들(22)을 당김으로써 로프(20)는 스프링(68)의 복원력을 이기고 당겨질 수 있고, 이로써 캠(74)은 로프(20)로부터 이완될 수 있다.
한편으로, 메인 프레임(40)의 겉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90)가 씌워질 수 있고, 커버(90)에는 가이드 슬롯(9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92)은 로프(20)를 젖힐 때 로프(20)의 운동 범위를 안내할 수 있고 이로써 로프(20)를 투스(70)에 삽입 장착할 때 정확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40)의 상측에는 행거(94)가 갖춰질 수 있고, 행거(94)는 물리 치료기구와 체인, 로프, 링크 등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50)와 상기 클리트 유닛(60)의 중간에는 가이드 바(51)가 메인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바(51)는 로프(20)를 투스(70)로부터 분리시킬 때 로프(20)가 과도하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로프(20)를 투스(70)로 다시 삽입시킬 때 로프(20)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여 똑바로 삽입하도록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치료용 슬링은 사용자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슬링을 천장 구조물, 스탠드 구조물, 물리 치료 기구 등에 매달아 올릴 때 이용할 수 있다.
10: 슬링 11: 클리트
20: 로프 22: 핸들
30: 슬링 40: 메인 프레임
42: 플레이트 50: 가이드 롤러
51: 가이드 바 60: 클리트 유닛
62: 플레이트 케이스 64: 샤프트
66: 가이드 웨이 68: 스프링
70: 투스 72: 보스
74: 캠 76: 핀
78: 커버 80: 스테이터
90: 커버 92: 가이드 슬롯
94: 행거

Claims (5)

  1. 중앙 하측에 플레이트(42)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40);
    상기 메인 프레임(40)에 설치되어 로프(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50); 및
    상기 플레이트(42)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20)가 지나가는 클리트 유닛(60);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트 유닛(60)은,
    복수의 샤프트(64)가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 케이스(62);
    상기 복수의 샤프트(64)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캠(74)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캠(74)이 상기 로프(20)를 기준으로 상기 로프(20)의 양쪽에 배치된 복수의 투스(70); 및
    상기 플레이트 케이스(62)에 설치되고 상기 캠(74)이 상기 로프(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투스(70)를 회전시키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복수의 스프링(68);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42)는 상기 로프(20)가 이탈되는 방향으로 각도(a)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물리 치료용 슬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a)는 5도 내지 45도인 것을 포함하는 물리 치료용 슬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케이스(62)에서 상기 복수의 투스(70)의 사이에 돌출 형성된 스테이터(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스(70) 중에 어느 하나의 투스(70)와 상기 스테이터(80)의 사이에 상기 로프(20)가 통과하는 것
    을 포함하는 물리 치료용 슬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 유닛(60)의 바로 위쪽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20)가 상기 복수의 투스(20)로부터 이탈될 때, 이탈되는 한계를 제한하는 가이드 바(51);
    를 포함하는 물리 치료용 슬링.
KR1020190029574A 2019-03-14 2019-03-14 물리 치료용 슬링 KR102147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574A KR102147034B1 (ko) 2019-03-14 2019-03-14 물리 치료용 슬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574A KR102147034B1 (ko) 2019-03-14 2019-03-14 물리 치료용 슬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034B1 true KR102147034B1 (ko) 2020-08-21

Family

ID=7223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574A KR102147034B1 (ko) 2019-03-14 2019-03-14 물리 치료용 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0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4953A (zh) * 2021-02-23 2021-06-08 杭州市第一人民医院 用于孕产妇悬吊位锻炼的辅助装置
KR20220165102A (ko) * 2021-06-07 2022-12-14 정부환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329A (ja) * 1996-01-29 1996-09-17 Masamichi Ito ロープ固定金具
JPH1094125A (ja) 1996-09-10 1998-04-10 Ekomo:Kk 金車装置の支持装置
KR19980049238A (ko) * 1996-12-19 1998-09-15 김정국 수문용 권양기 드럼의 2중겹침 되감기 장치
JP3048367B2 (ja) * 1989-02-28 2000-06-05 株式会社ガスター 自動風呂装置の湯張り方法および装置
JP2001025492A (ja) * 1999-07-13 2001-01-30 Kilony Kk 足腰が不自由な人のための立ち上がり自助器具
JP2002237849A (ja) 2001-02-09 2002-08-23 Fuji Xerox Co Ltd 中継転送サービス提供装置、中継転送サービス利用装置及び中継転送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5237849A (ja) * 2004-02-27 2005-09-08 Ito Seisakusho:Kk ロープ固定具
US20070054784A1 (en) * 2005-08-24 2007-03-08 Taiwan Bicycle Industry R&D Center Suspension system for walk training
JP3194859U (ja) 2014-09-30 2014-12-11 株式会社モリトー 免荷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訓練装置
KR20150110654A (ko) * 2013-01-22 2015-10-02 고벨 인코포레이티드 수평력과 수직력 감지 기능 및 동작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의료 재활 리프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2638A (ko) * 2014-07-25 2016-02-03 (주)화담알앤알 인명 구조용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367B2 (ja) * 1989-02-28 2000-06-05 株式会社ガスター 自動風呂装置の湯張り方法および装置
JPH08238329A (ja) * 1996-01-29 1996-09-17 Masamichi Ito ロープ固定金具
JPH1094125A (ja) 1996-09-10 1998-04-10 Ekomo:Kk 金車装置の支持装置
KR19980049238A (ko) * 1996-12-19 1998-09-15 김정국 수문용 권양기 드럼의 2중겹침 되감기 장치
JP2001025492A (ja) * 1999-07-13 2001-01-30 Kilony Kk 足腰が不自由な人のための立ち上がり自助器具
JP2002237849A (ja) 2001-02-09 2002-08-23 Fuji Xerox Co Ltd 中継転送サービス提供装置、中継転送サービス利用装置及び中継転送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5237849A (ja) * 2004-02-27 2005-09-08 Ito Seisakusho:Kk ロープ固定具
US20070054784A1 (en) * 2005-08-24 2007-03-08 Taiwan Bicycle Industry R&D Center Suspension system for walk training
KR20150110654A (ko) * 2013-01-22 2015-10-02 고벨 인코포레이티드 수평력과 수직력 감지 기능 및 동작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의료 재활 리프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2638A (ko) * 2014-07-25 2016-02-03 (주)화담알앤알 인명 구조용 리프팅 장치
JP3194859U (ja) 2014-09-30 2014-12-11 株式会社モリトー 免荷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訓練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4953A (zh) * 2021-02-23 2021-06-08 杭州市第一人民医院 用于孕产妇悬吊位锻炼的辅助装置
CN112914953B (zh) * 2021-02-23 2023-09-19 杭州市第一人民医院 用于孕产妇悬吊位锻炼的辅助装置
KR20220165102A (ko) * 2021-06-07 2022-12-14 정부환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KR102547128B1 (ko) 2021-06-07 2023-06-22 정부환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7931T3 (es) Cinta de andar curvada
EP1768637B1 (fr) Dispositif de reeducation des deficiences motrices de patients notamment de la marche
KR102147034B1 (ko) 물리 치료용 슬링
EP2923685B1 (en) Walking assist device
KR102218960B1 (ko) 몸통 지지 외골격 및 사용 방법
KR102611905B1 (ko)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EP1651316B1 (en) Exercising device
US11185730B2 (en) Neuromuscular activation vertical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10894182B2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KR101330532B1 (ko) 고관절 재활훈련장치
KR102340447B1 (ko) 지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432862B1 (ko) 조인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CN110833673A (zh) 穿戴式辅助件及其健身套装和应用
US20170196764A1 (en) Leg Muscle Massage Apparatus
JP5491706B2 (ja) 運動補助装置
KR20220080437A (ko) 발목 근육 훈련 장치의 제어 시스템
KR100868718B1 (ko)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KR200476637Y1 (ko) 마사지벨트가 구비된 침대
KR20180050032A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102225063B1 (ko)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KR20070006256A (ko) 완력기
KR20180025712A (ko) 하지 강화 재활운동을 위한 페달형 휠체어
JP6902232B2 (ja) 下肢筋力の強化冶具および下肢筋力の強化装置
CN216169730U (zh) 一种便于固定的硅胶健身环
KR102501720B1 (ko) 착용형 운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