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718B1 -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718B1
KR100868718B1 KR1020070045480A KR20070045480A KR100868718B1 KR 100868718 B1 KR100868718 B1 KR 100868718B1 KR 1020070045480 A KR1020070045480 A KR 1020070045480A KR 20070045480 A KR20070045480 A KR 20070045480A KR 100868718 B1 KR100868718 B1 KR 100868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ercise
frame
load control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filed Critical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Priority to KR102007004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adjustable inclination angle of the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4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by moving the gui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추의 운동방향을 경사지게 한 후 그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기기의 운동부하로 작용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에 장치되어 상기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와이어와, 상기 무게추에 삽입되어 상기 무게추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운동 가이드와, 상기 운동 가이드의 상측 단부와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무게추 지지대와, "U"자 형상으로서 상기 "U"자 형상중 수평부의 측면에는 상기 무게추 지지대의 하측 단부가 장치되고, 상기 수평부 상면에는 상기 운동 가이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스윙 프레임을 포함하는 운동부하조절부와, 상기 스윙 프레임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핀과 결합되어 상기 스윙 프레임을 전후방향 스윙운동되게 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가 각각 장착되는 한편 상기 운동부하조절부가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로 구성되는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부하조절장치에 의한 경우 무게추의 경사진 운동방향의 각도를 조절하여 운동부하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운동부하, 경사, 각도조절

Description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inclination type motion load control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운동부하조절장치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운동부하조절장치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운동부하조절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무게추 및 무게추 홀더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윙 프레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락킹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힌지에 각도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운동부하조절장치 111 : 스윙 프레임
112 : 무게추 지지대 113 : 운동 가이드
114 : 무게추 홀더 115 : 무게추
116 : 버퍼 118 : 제1락킹 프레임
120 : 베이스부 121 : 지지 프레임
122 : 제2락킹 프레임 H : 힌지
130 : 락킹부 131 : 락킹 바아
132 : 밀착 패드 W : 와이어
본 발명은 무게추의 운동방향을 경사지게 한 후 그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기기의 운동부하로 작용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에 장치되어 상기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와이어와, 상기 무게추에 삽입되어 상기 무게추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운동 가이드와, 상기 운동 가이드의 상측 단부와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무게추 지지대와, "U"자 형상으로서 상기 "U"자 형상중 수평부의 측면에는 상기 무게추 지지대의 하측 단부가 장치되고, 상기 수평부 상면에는 상기 운동 가이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스윙 프레임을 포함하는 운동부하조절부와, 상기 스윙 프레임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핀과 결합되어 상기 스윙 프레임을 전후방향 스윙운동되게 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가 각각 장착되는 한편 상기 운동부하조절부가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로 구성되는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장치라고 하는 것은 운동부하로 작용하는 무게추를 들어올림에 의해 근육에 부하를 작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운동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종래의 운동장치(10)는 운동부하로 작용하는 다수개의 무게추(11)와 상기 무게추(11)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무게추 가이드(12)와 상기 무게추(11)를 고정하는 무게추 고정대(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11)는 상기 무게추 가이드(12)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무게추(11)를 당기는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당김에 의해 상기 무게추(11)를 연직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근육에 운동 부하로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상태나 운동능력에 따라 상기 무게추(11)의 중량을 변화시키게 된다. 즉,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무게추(11)를 관통하는 고정 바아(14)에 관통공(14a)를 형성하고, 상기 무게추(11)의 일측에도 관통되는 관통공(11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각 관통공(11a,14a)를 관통하는 핀(15)에 의해 상기 무게추(11)의 갯수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운동기구(10)에 있어서, 운동부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추(11)의 숫자를 변경하여 상기 부하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노약자나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의 경우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부하를 세밀하게 조정하여야 하나 상기 종래의 운동기구(10)의 경우 운동부하의 조정능력이 그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추(11)의 갯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으며 이를 보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맞는 중량을 가지는 무게추(11)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게추의 운동을 상하방향이 아닌 경사진 방향으로 운동하게 하여 실제 사용자에게 작용되는 운동부하를 조절하여 노약자나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에게 맞도록 운동부하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별도의 무게추를 제작할 필요가 없는 운동부하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운동기기의 운동부하로 작용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에 장치되어 상기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와이어와, 상기 무게추에 삽입되어 상기 무게추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운동 가이드와, 상기 운동 가이드의 상측 단부와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무게추 지지대와, "U"자 형상으로서 상기 "U"자 형상중 수평부의 측면에는 상기 무게추 지지대의 하측 단부가 장치되고, 상기 수평부 상면에는 상기 운동 가이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스윙 프레임을 포함하는 운동부하조절부와, 상기 스윙 프레임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핀과 결합되어 상기 스윙 프레임을 전후방향 스윙운동되게 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가 각각 장착되는 한편 상기 운동부하조절부가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로 구성되는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추의 운동방향을 경사지게함과 동시에 그 경사 각도를 조절함에 의해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부하조절창치로서 이하 첨부된 도 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게추(115)의 운동방향을 종래와 같이 상하 연직방향이 아닌 경사진 방향으로 한 후 그 경사진 각도를 조절하여 운동부하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무게추(115)의 운동방향을 가이드 하는 운동 가이드(113)와 상기 운동 가이드(113)가 고정되는 무게추 지지대(112) 그리고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를 전후방향 운동 즉, 스윙(swing)되는 스윙 프레임(111)을 포함하는 운동부하조절부(11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무게추(115)가 작용시키는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 그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무게추(115)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가이드(113)에 의해 운동방향이 정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운동방향은 상하방향이 아닌 기울어져 있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무게추(115)를 들어올리기 위한 힘은 상기 무게추(115)의 중력에 의한 낙하력과 상기 무게추(115)와 운동 가이드(113)사이의 마찰력을 합한 힘이 된다. 이를 다음과 같이 수학식으로 정리하면,
Figure 112007034739692-pat00001
여기서 상기 Ξ는 상기 운동 가이드(113)와 수평면사이의 각도
m : 무게추의 질량
g : 중력가속도
μ : 마찰계수
상기 수학식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Ξ가 증가하면 중력에 의한 낙하력은 증가하는 반면 마찰력은 감소된다. 이는 상기 Ξ가 증가하면 상기 운동 가이드(113)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게 됨을 뜻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상기 무게추(115)와 상기 운동 가이드(113)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힘이 감소하게 되는 한편, 중력에 의한 낙하력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무게추(113) 내부에 베어링등을 설치하여 상기 마찰계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마찰력은 무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부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7034739692-pat00002
상기 수학식2로부터 운동부하는 상기 운동 가이드(113)와 수평면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에 의해 최소 0 부터 최대 mg사이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무게추(115)의 운동방향을 경사지도록 기울인 다음 상기 무게추(115)를 들어올리게 하면 그 경사진 각도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운동부하조절부(110)에서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의 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스윙 프레임(111)이 전후방향으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윙 프레임(1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가 기울어지고 결국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에 장치되는 운동 가이드(113)가 기울어져 상기 무게추(115)의 운동방향을 기울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부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부하조절장치(100)는 설명된 바와 같은 운동부하조절부(110)와 상기 운동부하조절부(110)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120)와 상기 운동부하조절부(110)의 회전 즉 스윙을 제어하는 락킹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운동부하조절부(110)는 운동기기의 운동부하로 작용하는 무게추(115)와, 상기 무게추(115)에 삽입되어 상기 무게추(115)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운동 가이드(113)와, 상기 운동 가이드(113)의 상측 단부와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무게추 지지대(112)와, "U"자 형상으로서 상기 "U"자 형상중 수평부(111a)의 측면에는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의 하측 단부가 장치되고, 상기 수평부(111a) 상면에는 상기 운동 가이드(113)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스윙 프레임(11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윙 프레임(111)의 수평부(111a)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U"형상을 이루는 수직부(111b)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111b)의 측면에 돌출되어 후술하는 힌지(H)에 결합되는 핀(P)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스윙 프레임(111)이 회전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운동 가이드(113)가 기울어지게 되어 상기 무게추(115)가 경사진 각도상에서 운동하게 되므로 그 경자진 각도를 조절하여 운동부하를 조절하게 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무게추(115)를 들어올리기 위해 와이어(W)를 상기 무게추(115)에 결합시킨 후 상기 와이어(W)를 당기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무게추(115) 중심부에 장치할 수 없어 주변부에 설치함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무게추(115)의 중심부에는 통상 상기 운동 가이드(113)가 삽입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가 상기 무게추(115)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에 장치된 관계로 상기 무게추(115)가 들려질때 상기 무게추(115)가 흔들리면서 상승된다. 이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게추(115) 상부에 무게추 홀더(114)를 설치한다. 상기 무게추 홀더(1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115)상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무게추(115)와 같이 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무게추 홀더(114) 역시 상기 운동 가이드(113)가 삽입되는 구성으을 가져서 상기 무게추(115)가 상승할때 상기 무게추(115)에 의해 같이 들려지는 한편 상기 무게추(115)가 하강할때는 자중에 의해 같이 하강하여 결과적으로 같이 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무게추(115)가 상승될때 상술한 바와 같이 흔들리는 형상이 발생되나 상기 무게추 홀더(114)가 상기 무게추(115)와 접촉하며 상승되어 상기 무게추(115)가 흔들림없이 정숙하게 운동하도록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게추 홀더(114)와 상기 무게추(115)가 단순 면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나있으나 상기 무게추 홀더(114)의 기능은 상기 무게추(115)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국한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무게추 홀더(114)와 무게추(115)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게추 홀더(114)와 무게추(115)사이에 상호 결합되는 관계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 홀더(114) 하측면에 돌출 바아(114a)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무게추(115)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돌출 바아(114a)를 수용하는 커버(115a)의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경우 상기 무게추 홀더(114)를 상기 무게추(115)상에 위치해놓고 상기 무게추 홀더(114)를 회전시켜 상기 돌출 바아(114a)를 상기 무게추(115)의 커버(115a)에 삽입되게 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 홀더(114) 하측면에 슬라이딩 바아(114b)를 돌출 형성한 후 상기 무게추(115) 상면에 상호 대향되는 "ㄱ"자 형상을 슬라이딩 그루브(115b)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아(114b)를 상기 슬라이딩 그루브(115b)에 삽입시킴에 의해 상호 고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무게추 홀더(114)는 상기 무게추(115)상에 위치하여 같이 운동함에 의해 상기 무게추(115)의 정숙한 운동을 확보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은 상술 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무게추(115)에 장치되는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상에 장치되는 도르레(117)에 의해 그 당기는 방향을 바꿀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의 무게추(115)와 무게추 홀더(114) 그리고 상기 무게추(115)와 무게추 홀더(114)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운동 가이드(113)에 대해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며, 이하 상기 운동 가이드(113)를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 앞서 설명된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운동 가이드(113)의 상하 단부는 "ㄷ"자 형상의 무게추 지지대(112)에 결합된다. 즉,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의 상측 단부 및 상기 스윙 프레임(111)의 수평부(111a) 사이에 상기 운동 가이드(113)의 상하 단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부(111a)의 측면에는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의 하측 단부가 장치된다. 즉, 상기 스윙 프레임(111)은 "U"자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의 하측 단부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윙 프레임(111)은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121)상의 힌지(H)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스윙 운동 예를 들어 그네운동과 유사한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 및 운동 가이드(113)를 기울어지게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운동부하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운동 가이드(113)의 하부에는 상기 무게추(115)와의 접촉시 충격 을 흡수하는 버퍼(1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윙 프레임(111)은 본 실시예의 경우 "U"자 형상을 대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스윙 프레임(111)의 기능 즉,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121)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U"자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형상(111-1)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스윙 프레임(111)은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를 스윙운동하기 위해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121)의 힌지(H)에 핀 결합할 수 있는 한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이상 본 발명중 운동부하조절부(11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 상기 운동부하조절부(11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20)에 대해 앞서 살펴본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부(120)는 상기 스윙 프레임(111)의 수직부(111b)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핀(P)이 삽입되는 힌지(H)와 상기 힌지(H)가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12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121)은 상기 운동부하조절부(110)의 스윙 프레임(111)이 스윙 운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 프레임(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H)를 지지하는한 그 형상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은 베이스부(120)와 운동부하조절부(110)의 구성에 의해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운동부하조절부(110)의 스 윙 프레임(111)은 상기 베이스부(120)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무게추(115)의 운동방향을 경사지게 하는바 상기 특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해야 특정 운동부하를 계속 작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무게추 지지대(112) 및 지지 프레임(121)의 일측면에 각각 장치되는 제1 락킹 프레임(118) 및 제2 락킹 프레임(12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2 락킹 프레임(118,122)사이에 장치되는 락킹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락킹부(130)는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에 상호 밀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밀착 패드(132)와, 상기 제2락킹 프레임(122)상에 핀 결합하는 한편 상기 밀찰 패드와 결합되는 락킹 바아(131)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락킹 바아(131)의 일측은 상기 제2락킹 프레임(122)에 핀(P)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밀착 패드(132)와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은 고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이 설치되는 운동부하조절부(110)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밀착 패드(132)는 한 쌍으로서 상기 밀착 패드(132)에 형성된 통공(132a)을 통해 고정구(133)가 삽입되어 상호 밀착된다. 이때 상기 락킹 바아(131)는 그 단부에 형성되는 통공(h)과 상기 밀착 패드(132)의 통공(132b)를 관통하는 핀(도시되지 않음)이나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프레임(111)을 특정 각도로 기울어진 후 상기 락킹 바아(131)와 결합되어 있는 밀착 패드(132)가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에 결함됨에 의해 고정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락킹 바아(131)가 상기 제2락킹 프레임(122)과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스윙 프레임(111)이 특정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운동부하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밀착 패드(132)를 분리한 후 상기 운동부하조절부(110)의 스윙 프레임(111)을 더욱 경사지도록 기울이고, 상기 밀착 패드(132)를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에 다시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 밀착 패드(132)가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의 단부에 돌출되는 스토퍼(119)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밀착 패드(132)는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과 상호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하는 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밀착 패드(132)상호간의 밀착력에 의해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과 고정되었으나,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상에 형성된 통공(118a)과 상기 밀착 패드의 통공(132a)를 관통하는 핀(P)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락킹 프레임(118)에 고정되는 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밀착 패드(132)에 의해 경사각도를 조절하였으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아(131)의 길이를 조절하여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락킹 바아(131)를 하우징(131a)와 상기 하우징(131a)내부에서 운동하는 작동 바아(131b)로 구성한 후 상기 하우징(131a)에 형성되는 통공(131c)을 관 통하는 고정구(F)에 의해 상기 작동 바아(131b)를 조임하게 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밀착 패드(132)는 고정상태로 두고 상기 고정구(F)를 풀었다가 조임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작동 바아(131b)를 밖으로 길게 노출하거나 상기 하우징(131a)내부에 삽입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운동부하조절부(110)의 경사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결국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추(115)의 운동방향을 경사지게 한 후 그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경사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프레임(111)의 핀(P) 단부측에 지시선(M)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H)에도 각도를 도시하는 눈금(S)을 도시하면 상기 스윙 프레임(11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핀(P)도 회전하므로 상기 핀(P)에 도시된 지시선(M)이 상기 힌지(H)에 도시된 눈금(S)을 가리키게 되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그 각도를 알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운동부하를 조절하기 위해 무게추의 갯수를 조절하는 구성인 관계로 운동부하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부하조절장치의 경우 무게추의 운동방향을 경사지게 하는 것으로서, 그 경사진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에 의해 부하조절을 세밀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운동기기의 운동부하로 작용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에 장치되어 상기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와이어와, 상기 무게추에 삽입되어 상기 무게추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운동 가이드와, 상기 운동 가이드의 상측 단부와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무게추 지지대와, "U"자 형상으로서 상기 "U"자 형상중 수평부의 측면에는 상기 무게추 지지대의 하측 단부가 장치되고, 상기 수평부 상면에는 상기 운동 가이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스윙 프레임을 포함하는 운동부하조절부;와,
    상기 스윙 프레임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핀과 결합되어 상기 스윙 프레임을 전후방향 스윙운동되게 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가 각각 장착되는 한편 상기 운동부하조절부가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 지지대 및 지지 프레임의 일측면에 각각 장치되는 제1 및 제2 락킹 프레임;과,
    상기 제1락킹 프레임에 상호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 패드와, 상기 제2락킹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밀측 패드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윙 프레임의 스윙 운동을 금지하는 락킹 바아로 구성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 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패드가 상기 제1락킹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의 상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무게추와 같이 운동하게 하여 상기 무게추의 운동을 정숙하게 하는 무게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가이드의 하부에 장치되어 상기 무게추와의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KR1020070045480A 2007-05-10 2007-05-10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KR100868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480A KR100868718B1 (ko) 2007-05-10 2007-05-10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480A KR100868718B1 (ko) 2007-05-10 2007-05-10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718B1 true KR100868718B1 (ko) 2008-11-13

Family

ID=4028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480A KR100868718B1 (ko) 2007-05-10 2007-05-10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7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0420A (ja) * 2010-11-22 2012-06-14 Koreyoshi Kogyo Kk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671504B1 (ko) * 2015-08-13 2016-11-02 주식회사 한메드 헬스기구에 사용되는 하중 조절장치
KR101790309B1 (ko) 2016-10-26 2017-10-25 주식회사 한메드 헬스기구에 사용되는 하중 조절방법
CN107693186A (zh) * 2017-09-26 2018-02-16 宜昌市中心人民医院 一种组合式枕颌带牵引装置及其牵引方法
KR102621159B1 (ko) * 2023-06-28 2024-01-03 김동섭 중량 조절이 용이한 운동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5275A (en) 1981-12-30 1984-08-14 Lingelbach Everett C Slide board exercise apparatus
US5044628A (en) 1988-01-22 1991-09-03 T.E.K. S.R.L. Machine for the therapeutic treatment of lumbago and lumbago/sciatica
US5169363A (en) 1991-10-15 1992-12-08 Campanaro Thomas J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5275A (en) 1981-12-30 1984-08-14 Lingelbach Everett C Slide board exercise apparatus
US5044628A (en) 1988-01-22 1991-09-03 T.E.K. S.R.L. Machine for the therapeutic treatment of lumbago and lumbago/sciatica
US5169363A (en) 1991-10-15 1992-12-08 Campanaro Thomas J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0420A (ja) * 2010-11-22 2012-06-14 Koreyoshi Kogyo Kk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671504B1 (ko) * 2015-08-13 2016-11-02 주식회사 한메드 헬스기구에 사용되는 하중 조절장치
KR101790309B1 (ko) 2016-10-26 2017-10-25 주식회사 한메드 헬스기구에 사용되는 하중 조절방법
CN107693186A (zh) * 2017-09-26 2018-02-16 宜昌市中心人民医院 一种组合式枕颌带牵引装置及其牵引方法
KR102621159B1 (ko) * 2023-06-28 2024-01-03 김동섭 중량 조절이 용이한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718B1 (ko)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US8157714B2 (en) Dynamic balance reformer exercise apparatus
KR20070115254A (ko) 모니터 스탠드
EP1559347A3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HK1059966A1 (en) Portable projection screen assembly with adjustable height.
KR101627359B1 (ko) 리포머 운동기구
TW200513213A (en) Chair base with inclination adjustment device
GB2372713A (en) Weights for an exercise device
KR20100045008A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0994815B1 (ko) 웨이트 운동기구
KR20180089337A (ko) 노 젓기와 승마 운동 효과를 겸비한 헬스기구
JPH03139370A (ja) 昇降運動用装置
KR20220068897A (ko) 스쿼트 머신
KR100704448B1 (ko) 운동기구
US5135451A (en) Adjustable weight lifting machine
KR102147034B1 (ko) 물리 치료용 슬링
KR102502709B1 (ko) 스탠딩 스쿼트 카프레이즈
KR102501783B1 (ko) 무게추 조절장치
KR102022179B1 (ko) 철봉운동 보조구
KR20100066201A (ko)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EP4249086A1 (en) Squat machine
KR200379517Y1 (ko) 상체 및 어깨운동기구
KR102149237B1 (ko) 학습용 지진체험장치
KR200397037Y1 (ko) 해머 벤치
CN214860896U (zh) 踩踏荷重可调的平衡踏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