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037Y1 - 해머 벤치 - Google Patents

해머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037Y1
KR200397037Y1 KR20-2005-0020825U KR20050020825U KR200397037Y1 KR 200397037 Y1 KR200397037 Y1 KR 200397037Y1 KR 20050020825 U KR20050020825 U KR 20050020825U KR 200397037 Y1 KR200397037 Y1 KR 200397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upport
weight
elastic body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일
Original Assignee
(주)헬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스마트 filed Critical (주)헬스마트
Priority to KR20-2005-0020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0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머 벤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중량체를 가감하거나 교체하지 않아도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향상시킨 해머 벤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드와, 상기 베드 하부에 설치되어 베드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베드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소정위치에 손잡이가 구비된 아암과, 상기 아암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어 아암이 상하로 회동됨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해머 벤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해머 벤치{Hammer bench}
본 고안은 해머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중량체를 가감하거나 교체하지 않아도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향상시킨 해머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머 벤치는 신체를 단련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동기구로서, 통상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소정높이에 설치된 베드 및 상기 베드의 상부에 역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된 역기걸이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역기를 반복적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머 벤치는 사용자가 샤프트의 양측에 중량체가 끼워져 구성된 역기를 들어올려야 하므로 샤프트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어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운동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중량체를 가감하거나 교체해야하므로, 여러개의 중량체가 필요하여 비용면에서 부담이 되고 사용상의 불편도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해머 벤치는 역기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역기의 중심을 잃거나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역기를 떨어뜨리는 경우, 안면이나 흉부 등 신체에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면적을 줄여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중량체를 가감하거나 교체하지 않고도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중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해머 벤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드와, 상기 베드 하부에 설치되어 베드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베드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소정위치에 손잡이가 구비된 아암과, 상기 아암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어 아암이 상하로 회동됨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해머 벤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고안 해머 벤치는 상기 아암에는 중량체걸이가 더 구비되어, 상기 중량체걸이에 중량체를 결합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 해머 벤치는 상기 지지대에는 높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에 의해 아암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 해머 벤치에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직립설치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나선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아암의 하측에 접촉된 나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아암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승강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고안 해머 벤치는 상기 아암과 탄성체 사이 또는 지지대와 탄성체 사이에 연결된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 해머 벤치에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체에 고정되거나 상기 아암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체에 고정되는 상기 탄성체에 연결된 나사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켜 탄성체의 신축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성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해머 벤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머 벤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 해머 벤치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된 베드(100)와, 상기 베드(100)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101)와, 상기 지지대(101)에 일측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에는 손잡이(103)가 구비된 아암(102)과,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105)과, 상기 아암(102)과 지지대(101) 사이에 연결된 장력조절수단(107)이 구비된 탄성체(106)와, 상기 탄성체(106)의 장력을 조절하록 탄성체(106)와 아암(102) 또는 지지대(101)에 결합된 장력조절수단(107)을 주된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베드(100)는 사용자가 발을 지면에 대고 누울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드(100) 하부에 설치된 상기 지지대(101)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수평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01)는 베드(100) 하부에 구비된 수평프레임(101d)과, 수평프레임(101d)에서 하향으로 수직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다리(101a ,101b, 101c)로 구성된다. 지지다리(101a, 101b, 101c)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치된 전후방다리(101a, 101c)와 중간다리(101b)로 구성된다. 이때, 후방다리(101c)는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져 베드(100)의 후방에 수직 배치된다. 그리고, 중간다리(101b)에는 측방으로 봉형상의 행거(108)가 설치되어 행거(108)에 사용하지 않는 중량체를 걸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00)의 후방다리(101c) 상단에는 힌지부(102a)를 매개로 상기 아암(102)의 후단이 결합되어, 힌지부(102a)를 중심으로 아암(102)이 상하회동된다. 또한, 아암(102)의 전방에는 하향경사진 손잡이(103)가 구비되며, 이 아암(102)의 측방에는 봉형상의 중량체걸이(104)가 돌출되어 있다. 이때, 중량체걸이는 아암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량체걸이(104)에는 중량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중량체를 고정하는 중량체고정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01)에는 아암(102)의 상하높이조절을 위한 높이조절수단(105)이 구비된다. 즉, 높이조절수단(105)은 지지대(101)의 수평프레임(101d) 후방에 상측으로 수직 연결된 포스트(105a)와, 포스트(105a)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아암(102)의 중간부 하면에 접촉된 나사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나사축을 회전시키면 아암(102)이 후단의 힌지부(102a)를 중심으로 상하회동되므로, 아암(10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아암(10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06)의 상단부는 상기 아암(102)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지지대(101)의 수평프레임(101d)에 연결되어, 아암(102)이 힌지부(102a)를 중심으로 상하회동하면 탄성체(106)는 신축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106)의 탄성복원력이 중량체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베드(100)에 누워서 아암(102)의 손잡이(103)를 파지하고 아암(102)을 상향으로 밀어주면 사용자의 팔에는 탄성체(10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힘이 작용하므로 별도의 중량체 없이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아암(102)에 중량체걸이(104)가 구비되어 중량체걸이(104)에 중량체를 걸어줌으로써 운동시 팔에 작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107)은 일단부가 지지대(101)의 수평프레임(101d)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탄성체(106)의 하단부에 연결된 나사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나사축을 회전시켜서 탄성체(106)의 신축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성체(10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나사축의 일단부가 아암(102)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탄성체(106)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탄성체(106)의 하단부는 지지대(101)의 수평프레임(101d)에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해머 벤치를 사용하여 신체를 단련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아암(102)의 손잡이(103)를 파지하고 아암(102)을 반복적으로 들어올리면, 아암(102)이 후단의 힌지부(102a)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이 아암(102)과 지지대(101)의 수평프레임(101d) 사이에 연결된 탄성체(106)가 늘어나게 되어 탄성체(106)의 탄성복원력 때문에 사용자는 팔에 힘을 받게 되므로, 중량체 없이도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해머 벤치를 사용하는 사람 모두가 체형이 같은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가 베드(100)에 누워서 높이조절수단(105)을 조작하여 아암(102)의 높이를 자신에게 맞게 조절하여 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아암(102)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절수단(107)에 의해 상기 탄성체(106)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중량체를 가감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이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암(102)에 중량체걸이(104)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능력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중량체 없이 운동을 하거나, 중량체를 끼워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102)에 구비된 중량체걸이(104)에 중량체가 끼워지므로, 사용자가 샤프트를 파지하여 역기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역기의 중심을 맞추기 어려워서 중심을 잃고 역기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없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1)에 결합된 포스트(105a)가 아암(102)에 끼워진 중량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종래의 일반 역기와 달리 사용자가 중량체의 무게를 못 이기고 떨어뜨리는 일이 없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중량체가 아암(102)에 직접 결합되어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아암에 연결된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이 사용자의 팔에 작용하여 중량체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흔히 사용하는 역기와 다르게 중량체 없이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절수단으로 탄성체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중량체를 가감하거나 교체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능력을 고려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높이조절 수단에 의해 아암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아암의 높이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암에 중량체걸이가 더 구비되어 중량체를 아암에 걸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역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설치면적을 줄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해머 벤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 해머 벤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드 101 : 프레임
102 : 아암 104 : 중량체걸이
106 : 탄성체 107 : 장력조절수단

Claims (6)

  1.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드(100)와, 상기 베드(100) 하부에 설치되어 베드(100)를 지지하는 지지대(101)와, 상기 지지대(101)의 힌지부(102a)를 매개로 결합되어 베드(100)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소정위치에 손잡이(103)가 구비된 아암(102)과, 상기 아암(102)과 상기 지지대(101) 사이에 연결되어 아암(102)이 상하로 회동됨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체(106)를 포함하는 해머 벤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102)에는 중량체걸이(104)가 더 구비되어, 상기 중량체걸이(104)에 중량체를 결합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된 해머 벤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1)에는 높이조절수단(105)이 더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105)의 작동에 의해 아암(102)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해머 벤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05)은 상기 지지대(101)의 상측에 직립설치된 포스트(105a)와, 상기 포스트(105a)의 상부에 나선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아암(102)의 하측에 접촉된 나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아암(102)의 힌지부(102a)를 중심으로 승강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해머 벤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102)과 탄성체(106) 사이 또는 지지대(101)와 탄성체(106) 사이에 연결된 장력조절수단(10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해머 벤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107)은 일단부가 상기 지지대(101)를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체(106)에 고정되거나 상기 아암(102)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체(106)에 고정되는 상기 탄성체(106)에 연결된 나사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켜 탄성체(106)의 신축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성체(106)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해머 벤치.
KR20-2005-0020825U 2005-07-18 2005-07-18 해머 벤치 KR200397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825U KR200397037Y1 (ko) 2005-07-18 2005-07-18 해머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825U KR200397037Y1 (ko) 2005-07-18 2005-07-18 해머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037Y1 true KR200397037Y1 (ko) 2005-09-28

Family

ID=4369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825U KR200397037Y1 (ko) 2005-07-18 2005-07-18 해머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0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JPH03139370A (ja) 昇降運動用装置
KR20180089337A (ko) 노 젓기와 승마 운동 효과를 겸비한 헬스기구
KR200397037Y1 (ko) 해머 벤치
KR100868718B1 (ko) 경사형 운동부하조절장치
KR100704448B1 (ko) 운동기구
KR20130070068A (ko) 역기 운동대용 안전장치
CN111084963B (zh) 一种健身用的引体向上运动装置
CN211912615U (zh) 小腿前侧肌群坐式训练器
KR20190091664A (ko) 철봉운동 보조구
CN213031767U (zh) 一种田径运动员腿部力量训练装置
KR100867206B1 (ko) 트위스트운동 및 밴드운동이 가능한 복부운동기구
KR102077114B1 (ko)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
CN208096485U (zh) 一种多功能摇椅
KR200409168Y1 (ko) 마우스 받침대를 형성한 의자용 팔걸이
CN209092665U (zh) 一种舞蹈训练下腰装置
CN214633718U (zh) 一种用于舞蹈排练的器材
KR200368585Y1 (ko) 가정용 해머벤치
CN220877656U (zh) 一种胫骨前肌训练器材
KR20070037558A (ko) 발목 자극 운동기구
KR200194769Y1 (ko) 미니 헬스 기구
CN210331539U (zh) 一种舞蹈教学用的韧带训练装置
CN108324518A (zh) 一种儿科训练用的拐杖
KR200389694Y1 (ko) 운동과 컴퓨터를 함께 즐기는 모니터와 마우스패드 거치대
CN215653619U (zh) 一种用于体育训练的多功能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