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114B1 -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 - Google Patents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114B1
KR102077114B1 KR1020190169576A KR20190169576A KR102077114B1 KR 102077114 B1 KR102077114 B1 KR 102077114B1 KR 1020190169576 A KR1020190169576 A KR 1020190169576A KR 20190169576 A KR20190169576 A KR 20190169576A KR 102077114 B1 KR102077114 B1 KR 102077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ring
crutch
crutches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우
Original Assignee
정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우 filed Critical 정현우
Priority to KR1020190169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88Ferrules or tip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2003/0216Crutches in which movement is limited to a pivoting in one plane, e.g. 2-point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61H2003/0283Shock absorbers therefor using elastomer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에 관한 것이다. 탄력접지발은, 힌지와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하는 받침플레이트와; 링크핀을 통해 힌지에 연결된 상태로 링크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단부가 커넥터를 통해 외부의 목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링크핀과 커넥터의 사이에 스프링걸이부를 갖는 지지컬럼과; 스프링걸이부와 스프링지지부를 연결하여, 받침플레이트에 대한 지지컬럼이 예각의 사이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목발용 탄력접지발은, 목발에 대한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므로, 필요할 때만 장착 사용할 수 있고, 필요 없을 때에는 목발로부터 분리하여 별도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접지 시, 앞쪽이 지면에 먼저 닿고 뒤쪽이 나중에 닿으므로, 충격이 일단 두 번으로 나뉘고, 특히 뒤쪽이 지면에 닿는 동안 스프링이 작용하여 완충을 수행하므로 전체적인 충격 감쇠효과가 양호하다. 아울러, 접지면적이 넓어 안정적이며 미끄러지지 않고, 스스로 직립할 수 있음은 물론, 스프링의 탄력을 간단히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최적화시킴으로써 사용 시 피로를 최대한 경감시켜준다.

Description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Detachable elastic foot for crutch and functional crutch having the elastic foot}
본 발명은 다리가 불편한 사람이 사용하는 목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발에 장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함은 물론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충격을 감쇠시키는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에 관한 것이다.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이, 이동용 보조 기구로서 사용하는 목발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목발은 과거에는 대부분 목재로 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보다 단단하고 간편한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으로 제작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목발은, 사용자의 어깨 높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몸체, 몸체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겨드랑이지지부, 겨드랑이 지지부의 하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하단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 등이 끼워진다. 사용자는 겨드랑이지지부에 본인의 겨드랑이를 올리고 손을 내려 손잡이를 잡은 상태로 보행한다.
그런데 목발은, 딱딱한 나무나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이상, 겨드랑이지지부나 손잡이를 소프트한 재질로 마감한다 하더라도, 보행 중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었다. 목발을 타고 전달되는 충격은 손이나 팔 및 어깨에 전달될 수밖에 없고, 게다가 체중을 목발에 어느 정도 싣고 있으므로, 목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오히려 목발로 인해 팔이나 어깨 등에 부상을 입거나 큰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탄성 합성수지재를 목발 하단에 장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또한, 사용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에는 부족하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5852호에 개시된 완충장치를 갖는 목발은, 목발의 버팀구와 다리 사이에 완충스프링을 설치하여, 다리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스프링으로 어느 정도 감쇠시켜, 신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가이드관의 내부에 가이드슬리브와 완충스프링을 내장하고, 다리의 상단부를 가이드관에 끼워 다리가 스프링과 접한 상태로 신축운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목발은, 이물질이 걸림구멍을 통해 가이드관 내부로 쉽게 침투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침투한 이물질은 가이드관과 다리의 틈새로 들어가, 다리의 신축운동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5852호 (완충장치를 갖는 목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697호 (목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7417호 (아이젠이 구비된 목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목발에 대한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므로 필요할 때만 장착 사용할 수 있고 필요 없을 때에는 목발로부터 분리하여 별도 휴대가 가능하며, 전체적인 충격 감쇠효과가 양호하고, 사용자의 피로를 최대한 경감시켜줄 수 있는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목발용 탄력접지발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힌지와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하고, 사용 시 지면에 접하는 받침플레이트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링크핀을 통해 상기 힌지에 연결된 상태로 링크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단부가 커넥터를 통해 외부의 목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링크핀과 커넥터의 사이에 스프링걸이부를 갖는 지지컬럼과; 상기 스프링걸이부와 스프링지지부를 연결하여, 받침플레이트에 대한 지지컬럼이 예각의 사이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는;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지면을 향하는 저면의 네 귀퉁이부에 하부로 개방된 수용홈을 가지고, 각 수용홈의 내부에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와 접하며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받침플레이트에 하중이 실릴 때 지면으로부터의 반작용력을 압전소자에 전달하여 압전소자로 하여금 전력을 발생하게 하는 승강써포터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써포터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한 가압블록과, 상기 가압블록에 대해 착탈 가능하며 지면에 접하는 착탈형받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플레이트에는; 상기 압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판,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며 배터리의 전력을 받아 점등되는 엘이디램프가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에는, 상기 지지컬럼이 인장스프링에 당겨져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컬럼은, 수용공간을 갖는 중공형 사각파이프로서, 일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일정폭의 가이드통로를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가이드통로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받침톱니부가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걸이부가; 상기 지지컬럼의 수용공간내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받침톱니부에 물려 지지되는 걸림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록킹블록과, 상기 록킹블록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가이드통로를 통해 지지컬럼의 외부로 연장되고 스프링과 연결되는 손잡이를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기능성목발은,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쳐 지지하며 하단부에 길이조절다리가 장착되어 있는 목발본체와;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힌지와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하고 사용 시 지면에 접하는 받침플레이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링크핀을 통해 상기 힌지에 연결된 상태로 링크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단부가 커넥터를 통해 상기 목발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링크핀과 커넥터의 사이에 스프링걸이부를 갖는 지지컬럼, 상기 스프링걸이부와 스프링지지부를 연결하여 받침플레이트에 대한 지지컬럼이 예각의 사이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한 목발용 탄력접지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기능성 목발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힌지와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하고, 사용 시 지면에 접하는 받침플레이트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링크핀을 통해 상기 힌지에 연결된 상태로 링크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단부가 커넥터를 통해 외부의 목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링크핀과 커넥터의 사이에 스프링걸이부를 갖는 지지컬럼과; 상기 스프링걸이부와 스프링지지부를 연결하여, 받침플레이트에 대한 지지컬럼이 예각의 사이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목발용 탄력접지발은, 목발에 대한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므로, 필요할 때만 장착 사용할 수 있고, 필요 없을 때에는 목발로부터 분리하여 별도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접지 시, 앞쪽이 지면에 먼저 닿고 뒤쪽이 나중에 닿으므로, 충격이 일단 두 번으로 나뉘고, 특히 뒤쪽이 지면에 닿는 동안 스프링이 작용하여 완충을 수행하므로 전체적인 충격 감쇠효과가 양호하다.
아울러, 접지면적이 넓어 안정적이며 미끄러지지 않고, 스스로 직립할 수 있음은 물론, 스프링의 탄력을 간단히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최적화시킴으로써 사용 시 피로를 최대한 경감시켜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목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탄력접지발의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도 2에 도시한 탄력접지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력접지발의 변형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력접지발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가압블록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승강써포터에 적용할 수 있는 착탈형받침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력접지발에서의 변형된 지지컬럼과 지지컬럼에 적용되는 스프링걸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지지컬럼에 스프링걸이부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도 8b에 도시한 스프링걸이부를 이용한 스프링 탄력조절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목발은, 일반적인 목발에 탄력지지발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된 것으로서, 충격 흡수 능력이 양호하며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이러한 기능성목발의 기본 구성은,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쳐 지지하며 하단부에 길이조절다리가 장착되어 있는 목발본체와;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힌지와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하고 사용 시 지면에 접하는 받침플레이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링크핀을 통해 상기 힌지에 연결된 상태로 링크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단부가 커넥터를 통해 상기 목발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링크핀과 커넥터의 사이에 스프링걸이부를 갖는 지지컬럼, 상기 스프링걸이부와 스프링지지부를 연결하여 받침플레이트에 대한 지지컬럼이 예각의 사이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한 목발용 탄력접지발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목발(10)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목발(10)은, 목발본체(10a)와 탄력접지발(30)을 포함한다. 목발본체(10a)는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며, 하단의 길이조절다리(17)가 탄력접지발(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목발본체(10a)는,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는 바디(11), 바디(1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겨드랑이지지대(13), 겨드랑이지지대(13)의 하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손잡이(15), 바디(11) 하단부에 고정되는 수직의 길이조절다리(17)를 갖는다. 길이조절다리(17)는 나사(미도시)를 통해 바디(11)에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하단에 길이조절다리(17)가 구비되어 있는 한, 모든 목발을 탄력접지발(30)에 결합시켜 기능성목발(10)로서 사용 가능하다.
상기 탄력접지발(30)은, 받침플레이트(40), 지지컬럼(33), 커넥터(31), 인장스프링(47)을 구비한다. 받침플레이트(40)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서, 힌지(43)를 통해 지지컬럼(33)과 연결된다. 또한 지지컬럼(33)은 커넥터(31)를 매개로 하여 길이조절다리(17)의 하단부에 링크된다. 아울러 인장스프링(47)은 받침플레이트(40)와 지지컬럼(33)을 연결하여 받침플레이트(40)가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탄력접지발(30)은 도 2를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탄력접지발(30)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플레이트(40)는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본체(41)와 완충시트(42)를 갖는다. 플레이트본체(41)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제작된 사각판으로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G)에 면접하여 지지력을 제공받는다.
완충시트(42)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제작된 판상 소재로서, 플레이트본체(41)의 저면에 고정되며, 플레이트본체(41)가 지면에 부딪힐 때의 충격을 감쇠시킨다. 또한, 완충시트(42)의 저면에는, 마치 운동화의 바닥면처럼 요철이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받침플레이트(40)의 접지면적이 (일반 목발에 비해 현저히) 넓고, 또한 완충시트(42)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받침플레이트(40)는 지면에 면접한 상태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플레이트본체(41)의 상면에는 힌지(43)와 스프링지지부(45)가 고정되어 있다. 힌지(43)는 링크핀(43a)을 통해 지지컬럼(33)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지지컬럼(33)을 화살표 a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프링지지부(45)는 인장스프링(47)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체이다. 스프링지지부(45)에는 인장스프링(47)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걸이구멍(45a)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지지부(45)는 가급적 힌지(43)로부터 멀리 이격됨이 좋다.
지지컬럼(33)은 링크핀(43a)에 지지된 막대형 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커넥터(31)를 갖는다. 지지컬럼(33)은 길이조절다리(17)의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컬럼(33)의 일측에는 스프링걸이부(35)가 고정된다. 스프링걸이부(35)는 인장스프링(47)의 상단부를 걸어 고정하는 돌출부이다. 스프링걸이부(35)에는 인장스프링(47)이 끼워지는 걸이구멍(35a)이 형성된다.
인장스프링(47)은, 상단부가 스프링걸이부(35)에, 하단부가 스프링지지부(45)에 연결된 탄력부재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컬럼(33)과 플레이트본체(41)를 소정 사이각(θ)의 범위 내에 유지시킨다. 상기 사이각은 50도 내지 8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장스프링(47)의 작용에 의해, 지지컬럼(33)은 스프링지지부(45)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를테면, 지지컬럼(33)을 지면(G)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하강시키면, 받침플레이트(40)의 전방측 선단부가 지면(G)에 먼저 닿고, 이어서 지지컬럼(33)을 더 내리면 후단부가 지면에 도달하게 된다. 특히, 선단부가 지면에 닿은 후 지지컬럼(33)을 더 내릴 때, 인장스프링(47)이 인장되며, 받침플레이트(40) 후단부의 하강속도를 낮추어, 받침플레이트(40)가 지면에 부딪힐 때의 충격을 감쇠시킨다.
커넥터(31)는 지지컬럼(33)과 길이조절다리(17)를 일직선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상부홈(31a)과 하부홈(31b)을 갖는다. 상부홈(31a)은 길이조절다리(17)의 하단부를 수용 고정하고, 하부홈(31b) 지지컬럼(33)의 상단부를 수용 고정한다. 길이조절다리(17)와 지지컬럼(33)은 커넥터(31)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핀(31c)을 통해 고정된다.
도 3a 내지 3d는 도 2에 도시한 탄력접지발(3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사용자가 보행을 위해 원하는 보폭만큼 기능성목발(10)을 앞으로 뻗은 모습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컬럼(33)과 스프링지지부(45)가 인장스프링(47)에 의해 최대한 당겨져 있다.
도 3b는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이동하며 기능성목발(10)에 체중을 싣기 시작하는 순간의 모습이다. 받침플레이트(40)의 진행방향 선단부가 지면(G)에 먼저 닿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기능성목발(10)에 체중을 실으면 탄력접지발(30)이 하강하며 받침플레이트(40)의 전체면이 지면(G)에 면접한다. 사용자의 체중이 60kg이고, 인장스프링(47)의 출력이 30kg의 힘에 해당한다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은 인장스프링(47)이 없을 때의 절반에 불과하다. 도 3d는 기능성목발(10)을 넘어간 사용자가, 목발(10)을 앞으로 들어 이동시키는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력접지발(30)의 변형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본체(41)의 저면에 다수의 고정써포터(49)가 위치하고 있다. 고정써포터(49)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제작된 탄성부재로서, 플레이트본체(41)의 저면 네 귀퉁이부에 고정되며 완충 작용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력접지발(30)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압블록(51)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레이트본체(41)의 저면에 하부로 개방된 다수의 수용홈(41a)이 마련되어 있고, 각 수용홈내에 압전소자(61)와 승강써포터(5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용홈(41a)은 플레이트본체(41)의 네 귀퉁이부에 위치하며, 내주면에 날개홈(41b)을 갖는다. 날개홈(41b)은 도 6에 도시한 가압블록(51)의 탄성날개(51b)를 수용하는 홈이다.
압전소자(61)는 외부로부터 힘을 받을 때 전력을 발생하는 일반적인 전자 부품으로서, 수용홈(41a)에 갇힌 상태로 승강써포터(50)에 의해 화살표 p방향의 상향 압력을 전달받는다. 각각의 압전소자(61)는 전력선(61a)을 통해 제어기판(63)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플레이트본체(41) 내에는 전력선(61a)을 배선하기 위해 통로(41c)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기판(63)은 압전소자(61)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배터리(64)로 유도하여 충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배터리(64)의 전력을 엘이디램프(6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기판(63)에는 스위치(63a)가 장착된다. 스위치(63a)는 엘이디램프(65)와 연결되는 회로를 온오프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스위치(63a)를 통해 엘이디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써포터(50)는, 그 자체가 고정써포터(49)와 마찬가지로 완충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받침플레이트에 하중이 실릴 때 지면으로부터의 반작용력을 압전소자(61)에 전달하여 압전소자로 하여금 전력을 발생하게 하는 두 가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승강써포터(50)는, 수용홈(41a)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한 가압블록(51)과, 가압블록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며 지면에 접하는 착탈형받침(53)으로 구성된다. 착탈형받침(53)은 플레이트본체(41)의 하부로 돌출된다.
가압블록(5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외주부에 탄성날개(51b)를 갖는다. 탄성날개(51b)는 1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링의 형태를 취하고, 위아래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탄성날개(51b)는 날개홈(41b)에 끼워져 가압블록(51)이 수용홈(41a)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한다. 가압블록(51)은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가압블록(51)의 저면 중앙에는 암나사구(51c)가 마련되어 있다. 암나사구(51c)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홈으로서, 착탈형받침(53)의 수나사부(53b)와 결합한다. 또한 가압블록의 상면에는 압전소자지지홈(51d)이 위치한다. 압전소자지지홈(51d)은 압전소자(61)의 하측부를 수용 지지하는 홈이다.
착탈형받침(53)은, 수나사부(53b)를 갖는 디스크부(53a)와, 디스크부(53a)의 저면에 고정되는 탄력고무(53c)를 구비한다. 탄력고무(53c)는 디스크부(53a)의 저면에 접착 고정된다. 디스크부(53a)는 가압블록(51)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착탈형받침(53)과 가압블록(51)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승강써포터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구조의 착탈형받침(53)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탄력고무(53c)가 일정두께를 갖는 디스크의 형상을 취하고, 탄력고무(53c) 하부에 스파이크(53e)가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파이크(53e)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가령 눈길이나 얼음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착탈형받침(53)은 가압블록(51)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므로,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갈아 끼울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력접지발에서의 변형된 지지컬럼과 지지컬럼에 적용되는 스프링걸이부(36)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지지컬럼에 스프링걸이부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또한, 도 9a 및 9b는 도 8b에 도시한 스프링걸이부를 이용한 스프링 탄력조절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컬럼(33)이, 수용공간(33b)을 갖는 중공형 사각파이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수용공간(33b)은 스프링걸이부(36)의 록킹블록(36a)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가이드통로(33c)를 통해 측방향으로 개방된다. 가이드통로(33c)는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형 관통구로서 손잡이(36c)를 통과시킨다.
특히 수용공간(33b)의 내부에는 받침톱니부(33d)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톱니부(33d)는 가이드통로(33c)의 좌우측에 형성된 톱니로서, 록킹블록(36a)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톱니부(36b)에 대향한다.
도면부호 33a는 링크핀(43a)이 끼워지는 핀구멍이다.
또한 지지컬럼(33)의 하단부 일측에는 걸림홈(33e)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33e)은,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43)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43b)에 걸리는 홈이다. 걸림홈(33e)이 스토퍼(43b)에 걸림으로써, 지지컬럼(33)의 화살표 e방향 회전운동은 정지한다. 스토퍼(43b)는 핀 형태의 부속으로서, 힌지(43)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컬럼(33)이 인장스프링(47)에 당겨져 화살표 e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한한다.
스프링걸이부(36)는, 록킹블록(36a)과 손잡이(36c)를 포함한다. 록킹블록(36a)은 육면체의 형상을 취하며 일측에 손잡이(36c)를 갖는다. 록킹블록(36a)은 수용공간(33b)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컬럼(33)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함은 물론, 걸림톱니부(36b)에 대해 진퇴가 가능하다. 즉, 걸림톱니부(36b)에 근접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록킹블록(36a)의 손잡이(36c) 양측에는 걸림톱니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톱니부(36b)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톱니부(33d)에 대향한다. 따라서, 걸림톱니부(36b)는 받침톱니부(33d) 측으로 다가가 받침톱니부(33d)에 치합하거나, 받침톱니부(33d)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걸림톱니부(36b)가 받침톱니부(33d)에 치합하면, 스프링걸이부(36)가 그 자리에 고정되어 하강하지 못하고, 분리되면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해진다.
손잡이(36c)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스프링고정구멍(36d)을 갖는다. 스프링고정구멍(36d)은 인장스프링(47)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구멍이다. 스프링걸이부(36)에 손잡이(36c)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스프링걸이부(36)의 위치를 상하로 움직여, 인장스프링(47)의 출력 탄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령, 탄력지지발(3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인장스프링(47)의 탄력이 부족하다고 느낄 경우, 손잡이(36c)를 잡고 스프링걸이부(36)를 도 9a의 화살표 k방향으로 올려놓으면, 도 9b와 같이 인장스프링(47)이 늘어난 상태가 되고, 강화된 탄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장스프링(47)의 탄력이 과도할 경우에는 탄력지지발(30)을 하부로 이동시켜, 인장스프링(47)의 탄력을 낮출 수 있다.
스프링걸이부(36)의 걸림톱니부(36b)가 받침톱니부(33d)에 걸려 있고, 인장스프링(47)이 스프링걸이부(36)를 하부로 당기고 있으며, 또한 스토퍼(43b)가 지지컬럼(33)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위와 같은 인장스프링(47)의 탄력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기능성목발 10a:목발본체 11:바디
13:겨드랑이지지대 15:손잡이 17:길이조절다리
30:탄력접지발 31:커넥터 31a:상부홈
31b:하부홈 31c:연결핀 33:지지컬럼
33a:핀구멍 33b:수용공간 33c:가이드통로
33d:받침톱니부 33e:걸림홈 35:스프링걸이부
35a:걸이구멍 36:스프링걸이부 36a:록킹블록
36b:걸림톱니부 36c:손잡이 36d:스프링고정구멍
40:받침플레이트 41:플레이트본체 41a:수용홈
41b:날개홈 41c:통로 42:완충시트
43:힌지 43a:링크핀 43b:스토퍼
45:스프링지지부 45a:걸이구멍 47:인장스프링
49:고정써포터 50:승강써포터 51:가압블록
51b:탄성날개 51c:암나사구 51d:압전소자지지홈
53:착탈형받침 53a:디스크부 53b:수나사부
53c:탄력고무 53e:스파이크 61:압전소자
61a:전력선 63:제어기판 63a:스위치
64:배터리 65:엘이디램프

Claims (5)

  1.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쳐 지지하며 하단부에 길이조절다리가 장착되어 있는 목발본체와; 목발본체에 연결된 목발용 탄력접지발을 포함하되,
    상기 목발용 탄력접지발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힌지와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하고, 사용 시 지면에 접하는 받침플레이트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링크핀을 통해 상기 힌지에 연결된 상태로 링크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단부가 커넥터를 통해 외부의 목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링크핀과 커넥터의 사이에 스프링걸이부를 갖는 지지컬럼과; 상기 스프링걸이부와 스프링지지부를 연결하여, 받침플레이트에 대한 지지컬럼이 예각의 사이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플레이트는;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지면을 향하는 저면의 네 귀퉁이부에 하부로 개방된 수용홈을 가지고,
    각 수용홈의 내부에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와 접하며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받침플레이트에 하중이 실릴 때 지면으로부터의 반작용력을 압전소자에 전달하여 압전소자로 하여금 전력을 발생하게 하는 승강써포터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써포터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한 가압블록과, 상기 가압블록에 대해 착탈 가능하며 지면에 접하는 착탈형받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플레이트에는;
    상기 압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판,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며 배터리의 전력을 받아 점등되는 엘이디램프가 배치된 목발용 탄력접지발을 포함하는 기능성목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는, 상기 지지컬럼이 인장스프링에 당겨져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컬럼은, 수용공간을 갖는 중공형 사각파이프로서, 일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일정폭의 가이드통로를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가이드통로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받침톱니부가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걸이부가;
    상기 지지컬럼의 수용공간내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받침톱니부에 물려 지지되는 걸림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록킹블록과,
    상기 록킹블록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가이드통로를 통해 지지컬럼의 외부로 연장되고 스프링과 연결되는 손잡이를 갖는 목발용 탄력접지발을 포함하는 기능성목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69576A 2019-12-18 2019-12-18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 KR102077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76A KR102077114B1 (ko) 2019-12-18 2019-12-18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76A KR102077114B1 (ko) 2019-12-18 2019-12-18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114B1 true KR102077114B1 (ko) 2020-02-13

Family

ID=6951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576A KR102077114B1 (ko) 2019-12-18 2019-12-18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11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852Y1 (ko) 1998-11-17 2001-10-25 전용우 완충장치를갖는목발
JP2003325604A (ja) * 2002-05-13 2003-11-18 Sumitomo Rubber Ind Ltd
KR200387417Y1 (ko) 2005-03-30 2005-06-17 임지선 아이젠이 구비된 목발
KR200398697Y1 (ko) 2005-08-02 2005-10-14 유민수 목발
KR20110073014A (ko) * 2009-12-23 2011-06-29 정준혁 접철식 목발
KR20120050858A (ko) * 2010-11-11 2012-05-21 정채균 길이 가변형 목발
KR101206514B1 (ko) * 2012-08-10 2012-11-30 서석윤 완충성이 우수한 목발
KR101630665B1 (ko) * 2015-01-29 2016-06-15 탁재현 비대칭 발판을 이용한 힌지 목발
KR102026074B1 (ko) * 2018-04-11 2019-09-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킨슨 환자 보행 도움 지팡이
KR102027250B1 (ko) * 2018-04-04 2019-10-01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형 발판이 형성된 보행보조용 전동목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852Y1 (ko) 1998-11-17 2001-10-25 전용우 완충장치를갖는목발
JP2003325604A (ja) * 2002-05-13 2003-11-18 Sumitomo Rubber Ind Ltd
KR200387417Y1 (ko) 2005-03-30 2005-06-17 임지선 아이젠이 구비된 목발
KR200398697Y1 (ko) 2005-08-02 2005-10-14 유민수 목발
KR20110073014A (ko) * 2009-12-23 2011-06-29 정준혁 접철식 목발
KR20120050858A (ko) * 2010-11-11 2012-05-21 정채균 길이 가변형 목발
KR101206514B1 (ko) * 2012-08-10 2012-11-30 서석윤 완충성이 우수한 목발
KR101630665B1 (ko) * 2015-01-29 2016-06-15 탁재현 비대칭 발판을 이용한 힌지 목발
KR102027250B1 (ko) * 2018-04-04 2019-10-01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형 발판이 형성된 보행보조용 전동목발
KR102026074B1 (ko) * 2018-04-11 2019-09-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킨슨 환자 보행 도움 지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8093T3 (es) Sistema para distribuir el peso del cuerpo en las manos.
US7270138B2 (en) Joint mechanism
US9314114B2 (en) Device for assisted walking
KR102077114B1 (ko)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
KR101766779B1 (ko) 하지 지체장애인 및 보행부자유 노약자를 위한 안전스틱
KR100807304B1 (ko) 평형 유지 및 충격 흡수 지팡이
CN203986471U (zh) 便携式拐杖
KR101630665B1 (ko) 비대칭 발판을 이용한 힌지 목발
KR20120022474A (ko) 보행보조장치
CN104799511A (zh) 一种方便上下斜坡的拐杖
JP5956852B2 (ja) 杖支持具
KR200408541Y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KR101709613B1 (ko) 웨어러블 크러치
JP2004073331A (ja) 補助握手付杖
CN208678250U (zh) 一种平衡训练系统
KR101075311B1 (ko) 인체공학적 목발
KR200387417Y1 (ko) 아이젠이 구비된 목발
JP3204362U (ja) 杖の石突構造
KR20210012458A (ko) 목발
KR20190010088A (ko) 체중알림용 지팡이
KR20080006174U (ko)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개선된 목발
KR200356738Y1 (ko) 탄성을 갖는 목발
CN220442876U (zh) 减震拐杖
KR101226438B1 (ko) 손잡이 하부에 보조손잡이를 형성한 지팡이
KR200397037Y1 (ko) 해머 벤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