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541Y1 -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541Y1
KR200408541Y1 KR2020050033794U KR20050033794U KR200408541Y1 KR 200408541 Y1 KR200408541 Y1 KR 200408541Y1 KR 2020050033794 U KR2020050033794 U KR 2020050033794U KR 20050033794 U KR20050033794 U KR 20050033794U KR 200408541 Y1 KR200408541 Y1 KR 200408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tches
neck
height
spring
uppe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환
Original Assignee
오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환 filed Critical 오경환
Priority to KR2020050033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5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목에 대한 하부목의 높이조절이 상측의 고정레버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고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어 몸이 불편한 사용자들에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계단 또는 경사길과 같이 지면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변화되는 지역을 오르거나 내려갈 경우 사용자는 서 있는 상태에서 고정레버만을 작동하여 그 지면에 높이에 맞춰 목발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몸의 중심이동에 따라 균형을 잡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목발에 관한 것이다.
목발, 상부목, 하부목, 손잡이, 고정레버, 연결끈, 고무팁, 유동부, 스프링, 고정홈, 고정구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A crutches}
도 1은 본 고안의 목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목발을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
도 3a와 3b는 본 고안의 목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상부목
11 : 견착부 12 : 손잡이
13 : 고정레버 14 : 연결끈
20 : 하부목
21 : 고무팁 22 : 유동부
23 : 제1스프링 24 : 고정홈
25 : 고정구 26 : 제2스프링
본 고안은 다리가 불편한 지체부자유자가 사용하는 목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목발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계단 또는 경사길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발은 다리가 불편한 사람들이 다리 대신에 보조적인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기구로서, 겨드랑이에서 지면에까지 닿는 긴 지팡이 형태로 몸을 지탱하여 다리에 직접적으로 체중이 실리지 않도록 하여 걸을 때 몸의 균형을 최소한 유지하거나 불편한 다리를 대신하도록 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발은 상부에 겨드랑이에 끼우기 위한 견착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위에 손잡이가 형성된 상부목과, 하부에 미끄럼 방지의 목적을 갖는 고무팁이 형성된 하부목으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발은 주로 나무로 제작되어 오다가 최근에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 및 합성수지 등과 같이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목발의 재질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다양화되고 있는 반면에 그 외형이나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조금의 차이는 있으나 거의 동일한 형태를 띄고 있으며, 특히 기능적인 추가구성은 거의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상기한 목발은 사용자의 키에 맞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목발의 높이를 한번 조절한 후에는 다시 변경이 용이하지 않고 변경과정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목발을 이용하여 계단 또는 경사길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목발의 길이는 고정적인 상태에서 지면의 위치는 불규칙하게 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중심을 잡기가 어려워 조심성을 요하게 되며, 이 경우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목발의 높이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계단 또는 경사길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목발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목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에 겨드랑이에 끼우기 위한 견착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위에 손잡이가 형성된 상부목과, 하부에 미끄럼 방지의 목적을 갖는 고무팁이 형성된 하부목으로 구성된 목발에 있어서,
상기 상부목의 손잡이 하단에는 연결끈의 일측단과 연결된 고정레버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목은 상부목의 하단에 설치된 유동부 내에 삽입되되, 상기 유동부 내에는 탄성을 갖는 제1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목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연결끈의 타측 단과 연결된 고정구가 탄성을 갖는 제2스프링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목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목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목발을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발은 상부에 겨드랑이에 끼우기 위한 견착부(11)가 형성되고 중간부위에 손잡이(12)가 형성된 상부목(10)과, 하부에 미끄럼 방지의 목적을 갖는 고무팁(21)이 형성된 하부목(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부목(10)의 손잡이(12) 하단에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고정레버(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레버(13)에는 소정의 연결끈(14) 일측단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고정레버(13)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연결끈(14)이 함께 당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레버(13)와 연결끈(14)의 작동원리는 자전거 브레이크장치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하부목(20)은 그 상부가 상기 상부목(10)의 하단에 설치된 유동부(22) 내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유동부(22) 내에는 하부목(20)의 상단과 접촉하며 탄성을 갖는 제1스프링(23)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목(20)의 일측, 유동부(22)에 삽입되는 상부 일측에는 소정 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다수의 고정홈(2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4)에는 연결끈(14)의 타측단과 연결된 고정구(25)가 탄성을 갖는 제2스프링(26)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 있다.
도 3a와 3b는 본 고안의 목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3a와 같이 손잡이(12) 하단에 설치된 고정레버(13)를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이와 연결된 연결끈(14)도 함께 당겨지게 되며, 상기 연결끈(14)의 타측과 연결된 고정구(25)는 위와 같은 당겨진 힘에 의해 하부목(20)의 고정홈(24)으로 부터 탈착되어 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와 같이 고정구(25)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구(25)와 밀착된 제2스프링(26)은 신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25)가 고정홈(24)으로 부터 탈착됨에 따라 하부목(20)은 유동부(22)내에서 자유롭게 되는데, 유동부(22) 내부에 내장된 제1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하단을 통해 돌출된다. 반면, 하부목(20)의 고무팁(21)을 지면에 지지한 상태로 소정의 힘을 가해 누르게 되면, 하부목(20)은 제1스프링(23)을 가압하면서 유동부(22)내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목(20)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b와 같이 하부목(20)의 길이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하고 상측으로 잡아당겼던 고정레버(13)를 놓게 되면, 연결끈(14)을 당기고 있던 힘이 제거되어 고정구(25)는 제2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하부목(20)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홈(24)에 삽입되어 하부목(20)이 유동부(22) 내에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전술한 방법에 의해 작동되는 본 고안의 목발은 그 높이조절을 상측의 고정레버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고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어 몸이 불편한 사용자들에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목발을 이용하여 계단 또는 경사길과 같이 지면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변화되는 지역을 오르거나 내려갈 경우 사용자는 서 있는 상태에서 고정레버만을 작동하여 그 지면에 높이에 맞춰 목발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몸의 중심이동에 따라 균형을 잡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목발은 그 높이조절을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고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어 몸이 불편한 사용자들에게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며, 특히 계단 또는 경사길과 같이 지면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변화되는 지역을 오르거나 내려갈 경우 사용자는 서 있는 상태에서 그 지면에 높이에 맞춰 목발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몸의 중심이동에 따라 균형을 잡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상부에 겨드랑이에 끼우기 위한 견착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위에 손잡이가 형성된 상부목과, 하부에 미끄럼 방지의 목적을 갖는 고무팁이 형성된 하부목으로 구성된 목발에 있어서,
    상기 상부목의 손잡이 하단에는 연결끈의 일측단과 연결된 고정레버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목은 상부목의 하단에 설치된 유동부 내에 삽입되되, 상기 유동부 내에는 탄성을 갖는 제1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목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연결끈의 타측단과 연결된 고정구가 탄성을 갖는 제2스프링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목발.
KR2020050033794U 2005-11-30 2005-11-30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KR200408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794U KR200408541Y1 (ko) 2005-11-30 2005-11-30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794U KR200408541Y1 (ko) 2005-11-30 2005-11-30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541Y1 true KR200408541Y1 (ko) 2006-02-13

Family

ID=4175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794U KR200408541Y1 (ko) 2005-11-30 2005-11-30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5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06B1 (ko) * 2010-11-11 2013-02-01 정준혁 길이 가변형 목발
KR101709738B1 (ko) 2016-02-15 2017-02-23 이승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KR20220096114A (ko) 2020-12-30 2022-07-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공학이 적용된 기능성 목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06B1 (ko) * 2010-11-11 2013-02-01 정준혁 길이 가변형 목발
KR101709738B1 (ko) 2016-02-15 2017-02-23 이승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KR20220096114A (ko) 2020-12-30 2022-07-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공학이 적용된 기능성 목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61594A1 (en) Wheeled support cane
KR200408541Y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KR101433339B1 (ko) 기립용 손잡이를 구비한 지팡이
ES2318093T3 (es) Sistema para distribuir el peso del cuerpo en las manos.
WO2011146200A3 (en) Adaptable mobility aid device for level and inclined walkways and for stairs
US4253479A (en) Extendable cane
US9375378B2 (en) Stair-assist device
CN109393676A (zh) 一种拐杖
KR101798753B1 (ko) 보조지지부가 설치되는 목발
KR200463663Y1 (ko) 보행 보조기
CN104799511A (zh) 一种方便上下斜坡的拐杖
CN107088141B (zh) 一种助行器
KR101776037B1 (ko) 기능성 목발
CN211560744U (zh) 一种安全轮椅
GB2425253A (en) Walking aid with curved foot
CN2289548Y (zh) 多功能助行器
CN211750872U (zh) 一种康复用辅助行走装置
JP2004073331A (ja) 補助握手付杖
CN211230198U (zh) 一种可调节式一步梯
CN208243065U (zh) 一种多功能拐杖
JP3163070U (ja) 階段昇降補助踏み台付杖
CN220676660U (zh) 一种上下台阶的辅助垫
JP2006075557A (ja) 両手が使えて歩ける傘ホルダー
TWM548531U (zh) 助行器
KR102323047B1 (ko) 다리 받침대가 형성되는 목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