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706B1 - 길이 가변형 목발 - Google Patents

길이 가변형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706B1
KR101223706B1 KR1020100112318A KR20100112318A KR101223706B1 KR 101223706 B1 KR101223706 B1 KR 101223706B1 KR 1020100112318 A KR1020100112318 A KR 1020100112318A KR 20100112318 A KR20100112318 A KR 20100112318A KR 101223706 B1 KR101223706 B1 KR 10122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d
lifting rod
lift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858A (ko
Inventor
정채균
정준혁
Original Assignee
정준혁
정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혁, 정채균 filed Critical 정준혁
Priority to KR102010011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7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88Ferrules or tip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61H2003/0283Shock absorbers therefor using elastomer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가변형 목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발의 길이를 필요시 짧게 줄일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목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겨드랑이받침부가 형성되고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대들과, 지지대들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지지대들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통로가 마련되며 하부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통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승강로드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고정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승강로드의 고정을 해제시키면 상기 승강로드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길이 가변형 목발{Variable length crutches}
본 발명은 길이 가변형 목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발의 길이를 필요 시 짧게 줄일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발은 몸을 지탱하여 몸의 중심을 유지하는데 편리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목발은 Y형 지지대의 상부에 겨드랑이를 받쳐주는 겨드랑이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겨드랑이지지부의 하측에 손잡이가 설치되며, Y형 지지대의 하단에는 선택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봉이 결합되는 한편, 높이조절봉의 하단에는 고무재질의 지지캡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목발은 통상 일체형으로 전체길이가 매우 길어 목발을 짚고 택시를 승하차하거나 식당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 또는 휠체어를 타야할 경우 목발의 길이로 인해 간섭을 받게 되어 일상적인 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목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장기 보관시에도 길이가 길어 보관상에 애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목발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목발의 일 예가 한국 특허 등록 제10-07171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목발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중공부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내측면에 등간격의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된 이동지지부와 고정지지부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내부를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편을 구비한다. 손잡이부에 연접하여 설치된 회전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 회전에 따라 승강제어편이 끼움홈에 끼움 또는 끼움해제됨으로써, 목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목발은 회전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 회전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으나, 회전부재가 손잡이부에 연접하여 설치되므로 목발을 짚고 보행시 회전부재를 건드려 회전부재가 회전을 하게 되면 목발에 체중을 실어 보행하는 사용자에게 예기치 않은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회전부재가 전후방으로 회전하여 목발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손목이 약한 여성 환자나 노인 환자는 조작이 힘들고, 손목에 무리한 힘을 주다가 손목에 부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보행 중에는 무의식 중 또는 실수로 길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길이 가변형 목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성이나 노약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편의성이 증대된 길이 가변형 목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겨드랑이받침부가 형성되고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대들과; 상기 지지대들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들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통로가 마련되며 하부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통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승강로드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고정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승강로드의 고정을 해제시키면 상기 승강로드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하가 개방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승강로드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걸림구가 마련되고 타측에 손가락이 걸리는 레버가 마련된 조작부와, 상기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걸림구를 상기 승강로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승강통로에 설치되어 상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로드에 연결되는 스프링이고, 상기 승강로드의 이동시 상기 스프링의 변형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로드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로부터 상기 가이드봉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는 지면과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의 하단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시 상기 완충수단과 연동하여 발광이 가능한 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탭은 투광소재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인가 및 차단시키기 위해 몸체 내부에 형성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내부가 빈 고정케이스와, 상기 고정케이스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봉과, 상기 이동봉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봉의 하강시 상기 장착부로 진입하여 상기 스위치와 접촉하는 스위치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고정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봉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드를 슬라이딩시켜 하우징의 내부로 넣거나 외부로 뺄 수 있도록 하여 목발의 길이를 작게 함으로써 택시를 승하차하거나 식당에서 식사하는 경우 또는 휠체어를 타야할 경우 목발의 길이로 인해 간섭을 받지 않아 사용이 편하고 휴대가 간편하다.
그리고 승강로드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손잡이와 인접한 하우징에 설치하여 보행시에 무의식 중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승강로드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성이나 노약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발췌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발의 요부를 발췌한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발의 요부를 발췌한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발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목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목발은 상부에 겨드랑이받침부(10)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들(5)과, 지지대들(5)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40)와, 지지대들(5)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15)를 구비한다.
지지대(5)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형성된다. 겨드랑이받침부(10)에는 쿠션부재(13)가 설치된다. 손잡이부(40)는 양단이 각 지지대의 일측에 용접결합된 뼈대(미도시)와, 뼈대를 둘러싸며 상호 결합하는 상하커버(41)(43)로 이루어진다.
양 지지대(5)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15)는 볼트(45) 및 너트(47)에 의해 지지대(5)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대(5)의 하단에는 다리(15)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소켓(17)이 설치된다. 다리(15)의 하단에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고무 소재의 탭(80)이 설치되다.
본 발명은 지지대(5)의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지지대(5)는 좌우 하나씩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데, 좌우 지지대는 구성이 동일하므로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5)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통형의 하우징(20)과, 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로드(30)와, 승강로드(30)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50)과, 승강로드(3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다.
하우징(20)은 겨드랑이받침부(10)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하우징(20)은 내부에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승강통로가 마련되는데, 승강 통로는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20)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20)의 상부는 막혀 있고, 하부는 개방된다. 도시된 예에서 하우징(20)은 외형이 원형으로 이루어졌으나 이 외에도 사각형, 오각, 육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의 하부에는 후술할 조작부의 걸림구가 드나들 수 있는 제 1출입홀(21)이 형성된다.
승강로드(3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하우징(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승강로드(30)는 지지대(5)의 길이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가 달라진다. 승강로드(30)는 외형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외경은 하우징(20)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승강로드(30)는 경량화를 위해 내부가 빈 중공 형태의 파이프 형상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로드(30)의 하부는 인접하는 지지대(5) 방향으로 절곡되어 다리(15)에 밀착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승강로드(30)의 절곡된 부위의 윗 부분인 직선부위가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승강통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승강로드(30)의 상단부에는 승강로드(30)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스프링지지구(35)가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지지구(35)는 후술할 스프링(7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승강로드(30)에는 2개의 고정홈(31)(33)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하부의 고정홈을 제 1고정홈(31), 상부의 고정홈을 제 2고정홈(33)이라고 한다. 제 1고정홈(31)과 제 2고정홈(33)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 1고정홈(31)과 제 2고정홈(33)의 이격거리가 지지대(5)가 변화되는 길이이다.
하우징(20) 내부에는 가압부재가 설치되어 승강로드(3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탄성바아어스시킨다. 도시된 예에서 가압부재로 코일 스프링(70)을 이용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프링(70)의 상단은 하우징(20)에 고정되고, 하단은 승강로드(30)의 상단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구(35)에 고정된다. 스프링(70)의 탄성력은 승강로드(3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항상 승강로드(30)를 가압하게 된다. 스프링(70)의 탄성력은 승강로드(30)가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된 길이에 따라 다르다.
고정수단(50)은 하우징(20)에 설치되어 승강로드(30)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50)은 조작의 용이성을 위해 손잡이(40)를 잡은 상태에서 검지만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고정수단(50)으로 하우징(2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가 개방된 플랜지(51)와, 상기 플랜지(51)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승강로드(30)에 형성된 제 1 또는 제 2고정홈(31)(33)에 삽입되는 걸림구(63)가 마련되고 타측에 손가락이 걸리는 레버(61)가 마련된 조작부(60)와, 상기 레버(61)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걸림구(63)를 상기 승강로드(30)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플랜지(51)는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태를 갖는다. 하우징(20)은 플랜지(51)에 억지끼움된다. 억지끼움방식 외에도 플랜지(51)와 하우징(20)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51)의 하단에는 하우징(20)의 통과를 막는 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51)에 하우징의 하단이 삽입되어 플랜지에 결합되는 데, 바람직하게 플랜지(51)의 위치는 손잡이부(40)와 인접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된다. 플랜지(51)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브라켓트(53)가 마련되고, 브라켓트(53)의 하부측에는 관통되어 형성된 제 2출입홀(55)이 마련된다.
조작부(60)는 플랜지(51)에 힌지결합된다. 플랜지(51)에는 걸림구(63)가 드나들 수 있는 제 2출입홀(55)이 형성된다. 하우징(20)에 플랜지(5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2출입홀(55)은 제 1출입홀(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조작부(60)는 플랜지(51)에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트(53)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핀(67)이 브라켓트(53)와 조작부의 관통홀(62)을 관통하여 너트(59)와 나사결합된다. 레버(61)를 하우징(2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걸림구(63)는 하우징(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레버(61)를 하우징(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걸림구(63)는 하우징(20) 방향으로 접근하게 된다.
탄성부재는 레버(61)에 탄성력을 가하여 걸림구(63)를 승강로드(30)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이러한 탄성부재로 토션 스프링(67)이 이용된다. 토션스프링(67)은 조작부(60)의 양측에 하나씩 각각 설치된다. 토션스프링(67)은 고정핀(57)에 의해 지지되며, 일단은 조작부(60)에 형성된 돌기편(69)에 걸리고, 타단은 플랜지(51)의 외측면에 걸린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61)에 손가락을 걸어 레버(61)를 하우징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긴 후 손가락을 놓게 되면 토션스프링(67)은 레버(61)를 하우징(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구(63)는 제 2출입홀(55) 및 제 1출입홀(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승강로드(30)의 제 1 또는 제 2고정홈(31)(33)에 걸리게 된다.
한편, 상술한 탄성부재 외에 레버와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을 탄성부재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은 레버를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드(30)의 이동시 상기 스프링(70)의 변형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봉(75)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봉(75)은 하우징(20)의 승강통로 상에 설치된다. 가이드봉(75)의 상단은 하우징(20)의 단부 내측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승강로드(30)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승강봉(75)은 스프링(70)의 내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승강봉(75)은 스프링(70)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스프링(70)이 승강봉(75)을 나선형으로 감싸게 된다. 이를 위해 승강로드(30)의 상단에는 가이드봉(75)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로드(30)의 내부로 삽입된 가이드봉(75)의 하단에는 가이드봉(75)이 승강로드(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77)가 형성된다. 지지대의 길이 가변시 승강로드(30)는 가이드봉(75)을 따라 하우징(2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승강로드(30)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70)이 변형된다. 이때 가이드봉(75)에 의해 스프링(70)의 변형 방향이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져 스프링(70)의 변형력이 승강로드(30)에 전부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리는 지면과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를 위해 도시된 예에서 다리는 제 1파이프(91)와 제 2파이프(95)로 분할된 구조를 갖는다. 제 1파이프(91)는 양 지지대의 승강로드(30)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 2파이프(95)의 하부에는 탭(80)이 결합된다.
제 1 및 제 2파이프(91)(95)는 완충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완충수단으로 코일스프링(97)이 적용된다. 코일스프링(97)의 상단은 제 1파이프(91)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92)에 결합되고, 코일스프링(97)의 상단은 제 2파이프(95)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96)에 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탭(80)이 지면에 접촉시 코일스프링(97)이 압축되면서 지면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리는 내부가 빈 고정케이스(100)와, 고정케이스(100)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봉(101)과, 이동봉(101)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위치조작구(105)를 구비한다.
고정케이스(100)는 탭(120)의 상부에 결합된다. 고정케이스(100)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이다. 이동봉(101)은 고정케이스(100)의 내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고정케이스(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봉(101)의 하단에 형성된 스위치조작구(105)는 이동봉(105)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스위치조작구(105)는 이동봉(105)에서 일정 길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스위치조작구(105)는 고정케이스(100)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다. 스위치조작구(105)의 하부에는 고정케이스(100) 하단에 걸려 스위치조작구(105)의 상승을 제한시키는 스토퍼(107)가 형성된다. 그리고 완충수단으로 고정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110)이 적용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10)은 스위치조작구(105)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코일스프링(110)의 상단은 이동봉(101)의 하단에 걸리고, 코일스프링(110)의 하단은 고정케이스(100)의 내측 하단에 지지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탭(120)이 지면과 접촉시 이동봉(101)이 하강하면서 코일스프링(110)을 압축하여 지면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예에서 탭(120)은 지면과 접촉시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탭(120)은 투광소재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에 설치되는 광원(127)과, 상기 광원(127)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121)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129)와, 상기 전원공급부(129)로부터 상기 광원(127)으로 전원을 인가 및 차단시키기 위해 몸체(121) 내부에 형성된 장착부(123)에 장착되는 스위치(125)를 구비한다.
몸체(121)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무소재로 이용한다. 또한, 몸체(121)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광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21)의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된 장착부(123)가 마련된다. 그리고 몸체(121)의 상부에는 고정케이스(100)가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장착부(123)는 고정케이스(100) 하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봉(101)의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조작구(105)는 이동봉(101)의 하강에 의해 장착부(123)의 하부로 이동한다.
광원(127)으로 낮은 전류로 구동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다. 광원(127)은 몸체(121)의 내부에 하나 또는 2 이상이 배치되어 매설된다. 또한, 광원(127)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9)로 배터리가 몸체(121)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스위치(125)는 장착부(123)의 하부에 설치된다. 스위치(125)로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택트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택트스위치의 단자들 중 하나는 광원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목발을 사용하여 보행하게 되는 경우 탭(120)이 지면에 접촉하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이 이동봉(101)으로 가해진다. 이때 이동봉(101)은 하강하면서 코일스프링(110)을 압축시킨다. 이동봉(101)의 하강에 의해 스위치조작구(105)가 장착부(123)로 하강하여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위치조작구(105)의 하단부가 스위치(125)의 버튼을 누르게 된다. 버튼이 눌리면 전기회로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129)로부터 광원(127)으로 전기가 공급되어 광원(127)이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야간에 목발을 사용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주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광원(127)에서 생성된 광을 이용하여 지면을 비추는 랜턴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목발의 작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승강로드(30)가 하우징(20)으로부터 하강된 상태로 사용자는 목발을 짚고 보행을 한다. 이때 목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의 걸림구(63)가 승강로드(30)의 제 2고정홈(33)에 인입되어 승강로드(3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건물 내로 출입하거나 택시에 승차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0)를 잡은 상태에서 방아쇠 당기듯이 검지를 레버(61)에 건 상태에서 레버(61)를 하우징(20)쪽으로 당기게 되면 걸림구(63)가 제 2고정홈(33)에서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40)에 체중을 적절하게 가하게 되면 체중에 의해 하우징(2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승강로드(30)가 하우징(20)의 내부로 수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레버(61)를 놓은 상태이므로 걸림구(63)가 제 1고정홈(31)과 일치되면 탄성부재(67)에 의해 플랜지(51) 내부로 가압되는 걸림구(63)는 제 1고정홈(31)에 인입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승강로드(3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3의 상태에서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켜 목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40)를 잡은 상태에서 검지를 레버(61)에 건 후 레버(61)를 하우징(20)쪽으로 당기게 되면 걸림구가 제 1고정홈에서 이탈된다. 이때 승강로드(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인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는 레버(61)를 놓은 상태이므로 걸림구(63)가 제 1고정홈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걸림구(63)는 제 1고정홈에 인입되어 승강로드(30)를 고정시킨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겨드랑이받침부 15: 다리
20: 하우징 30: 승강로드
40: 손잡이 50: 고정수단
51: 플랜지 60: 조작부
61: 레버 63: 걸림구
70: 스프링 80: 탭

Claims (6)

  1. 상부에 겨드랑이받침부가 형성되고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대들과;
    상기 지지대들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들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통로가 마련되며 하부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통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승강로드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고정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승강로드의 고정을 해제시키면 상기 승강로드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는 지면과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다리의 하단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시 상기 완충수단과 연동하여 발광이 가능한 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목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하가 개방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승강로드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걸림구가 마련되고 타측에 손가락이 걸리는 레버가 마련된 조작부와, 상기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걸림구를 상기 승강로드의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목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승강통로에 설치되어 상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로드에 연결되는 스프링이고,
    상기 승강로드의 이동시 상기 스프링의 변형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로드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로부터 상기 가이드봉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목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투광소재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인가 및 차단시키기 위해 몸체 내부에 형성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내부가 빈 고정케이스와, 상기 고정케이스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봉과, 상기 이동봉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봉의 하강시 상기 장착부로 진입하여 상기 스위치와 접촉하는 스위치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고정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봉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목발.
KR1020100112318A 2010-11-11 2010-11-11 길이 가변형 목발 KR10122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318A KR101223706B1 (ko) 2010-11-11 2010-11-11 길이 가변형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318A KR101223706B1 (ko) 2010-11-11 2010-11-11 길이 가변형 목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858A KR20120050858A (ko) 2012-05-21
KR101223706B1 true KR101223706B1 (ko) 2013-02-01

Family

ID=4626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318A KR101223706B1 (ko) 2010-11-11 2010-11-11 길이 가변형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14B1 (ko) * 2019-12-18 2020-02-13 정현우 목발용 탄력접지발 및 상기 탄력접지발을 갖는 기능성목발
KR102637620B1 (ko) * 2022-04-13 2024-02-16 최용준 무릎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지지가 가능한 목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74U (ko) * 1998-09-08 2000-04-06 홍재석 목발
KR200408541Y1 (ko) * 2005-11-30 2006-02-13 오경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KR100717170B1 (ko) * 2005-10-10 2007-05-10 최상민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74U (ko) * 1998-09-08 2000-04-06 홍재석 목발
KR100717170B1 (ko) * 2005-10-10 2007-05-10 최상민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KR200408541Y1 (ko) * 2005-11-30 2006-02-13 오경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858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706B1 (ko) 길이 가변형 목발
JP2007521177A (ja) 乗り物の伸縮自在なステム用の停止装置
US20160000636A1 (en) Walking aid
KR101256167B1 (ko) 자가 발전식 발광 지팡이
KR20130006764U (ko)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
KR101707129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CN111096877A (zh) 助行器
JP3129855U (ja) 安全スイッチを具えた携帯型紫外線殺菌灯
CN213896863U (zh) 一种电气施工用安全警示装置
CN214284733U (zh) 自移动装置、安全绳及安全绳可靠性检测装置
CN210472563U (zh) 把手与行动装置
CN202892348U (zh) 支脚可伸缩的腋拐
CN210673638U (zh) 扶手手杖及床
KR200215227Y1 (ko) 이동이 가능한 의자 지지발
JP4573804B2 (ja) 伸縮手摺装置
KR102463597B1 (ko) 안전 손잡이 구조체
CN110558692A (zh) 一种利用电磁感应定律工作的户外用多功能手杖
KR200282306Y1 (ko) 지팡이
KR102529039B1 (ko) 근력 보조 로봇용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KR200373272Y1 (ko)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CN103800178A (zh) 支脚可伸缩的腋拐
CN103800179A (zh) 一种带照明功能的腋拐
KR102199968B1 (ko) 자가 발전을 이용한 보행용 스틱
CN104586609A (zh) 一种多功能助行器
CN220469760U (zh) 一种高安全性的伸缩爬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