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272Y1 -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272Y1
KR200373272Y1 KR20-2004-0023177U KR20040023177U KR200373272Y1 KR 200373272 Y1 KR200373272 Y1 KR 200373272Y1 KR 20040023177 U KR20040023177 U KR 20040023177U KR 200373272 Y1 KR200373272 Y1 KR 200373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ght emitting
boss
cushion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Original Assignee
이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용 filed Critical 이원용
Priority to KR20-2004-0023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5/00Stilts or the like
    • A63B25/10Elastic bouncing shoes fastened to the fo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6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enabling use in the dark, other than powered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착용자의 발에 착용하여서 보행이나 점프 등을 통하여 운동 또는 유희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베이스판(11)과, 베이스판(11)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수용공간(13)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보스(12)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10)와; 보스(12)의 상면에 결합고정되는 중공의 안내부재(40)와;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판(63)과, 받침판(63)의 저면에 고정되고 안내부재(40)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봉(65)을 구비하는 승강부재(60)와; 안내부재(40)에 승강부재(60)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승강부재(60)의 승강에 따라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발생수단과; 전원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램프(90)와; 받침판(63)에 결합되며 탑승자의 발이 착용되는 부츠(70)와; 승강부재(60)와 안내부재(40) 사이에 마련되어 승강부재(60)를 탄성복원시키는 메인스프링(50)과; 보스(12)의 수용공간(13)에 수용되고 하강되는 안내봉(65)과 접촉되어 완충시키는 쿠션튜브(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운동기구는 보행 또는 점프를 하면서 운동을 할 때에 코일이 상하이동작용을 하면서 전자기유도에 의한 전류가 발생되어 발광램프를 발광시키게 됨으로써 야간에 안전사고방지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흥미감을 증진시켜 운동효과를 상승시킨다.

Description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cushion sports apparatus with emitting light lamp}
본 고안은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발에 착용하여서 보행이나 점프 등을 통하여 운동 또는 유희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37972호, 제0277769호 및 제0284894호에는 사용자의 발에 고정하여서 점프 및 보행하면서 쿠션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기구들이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쿠션 기구들은 어린이들이 유희를 즐기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들은 손잡이부분이 길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또한, 바닥부분에 착지되는 부분들이 모두 평편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또한 다양한 동작으로 운동하기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쿠션운동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 운동자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게 한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쿠션감이 향상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 운동기구의 동작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부재 20...쿠션튜브
30...보호부재 40...안내부재
50...메인스프링 60...승강부재
70...부츠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보스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보스의 상면에 결합고정되는 중공의 안내부재와;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안내봉을 구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에 상기 승강부재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안내봉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안내봉의 내주면 상단에 스프링으로 매달리며 상기 발광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에 따라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발생수단과; 상기 전원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탑승자의 발이 착용되는 부츠와; 상기 승강부재와 안내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탄성복원시키는 메인스프링과; 상기 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강되는 안내봉과 접촉되어 완충시키는 쿠션튜브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쿠션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지면에 대하여 시이소작용이 가능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내주면측으로 일부분 돌출되는 안내핀과, 상기 안내봉의 외주면에 상기 안내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쿠션 운동기구는 보행 또는 점프를 하면서 운동을 할 때에 코일이 상하이동작용을 하면서 전자기유도에 의한 전류가 발생되어 발광램프를 발광시키게 됨으로써 특히, 야간에 안전사고방지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흥미감을 증진시켜 운동효과를 상승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수용공간(13)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보스(12)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보스(12)의 상면에 결합고정되는 중공의 안내부재(40)와;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판(63)과, 상기 받침판(63)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부재(40)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안내봉(65)을 구비하는 승강부재(60)와; 상기 안내부재(40)에 상기 승강부재(60)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안내봉(65)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마그네트(81)와, 상기 안내봉(65)의 내주면 상단에 스프링(84)으로 매달리며 상기 발광램프(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82)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재(60)의 승강에 따라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발생수단과; 상기 전원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램프(90)와; 상기 받침판(63)에 결합되며 탑승자의 발이 착용되는 부츠(70)와; 상기 승강부재(60)와 안내부재(4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재(60)를 탄성복원시키는 메인스프링(50)과; 상기 보스(12)의 수용공간(13)에 수용되고 상기 하강되는 안내봉(65)과 접촉되어 완충시키는 쿠션튜브(20)를 구비한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안내부재(40)에 결합공(4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2)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재(40)의 내주면측으로 일부분 돌출되는 안내핀(100)과, 상기 안내봉(65)의 외주면에 상기 안내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홈(6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안내핀(100)은 조립이 간편하도록 결합공(42)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스(12)와 안내부재(40)는 나사공(43)과 조립공(15)을 통하여 나사체결된다.
상기 마그네트(81)는 안내봉(6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되고, 상기 코일(82)은 스프링(84)의 인장/수축에 따라 마그네트(81)를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마그네트(81)와 인접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전원발생수단은 발에 착용한 상태에서 점프 또는 보행 등의 운동을 할 때 스프링(84)에 매달린 코일(82)이 상하이동을 하게 되며, 이때 마그네트(81)와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류가 발생되어 발광램프(90)를 발광시키게 된다. 상기 발광램프(90)는 부츠(70) 또는 승강부재(6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1)은 지면에 대하여 시이소작용이 가능하도록 볼록하게 형성하였다. 이 경우 보행동작시 보다 다양한 동작을 취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운동효과를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안내봉(65)의 하강동작시 쿠션튜브(20)와의 접촉에 따른 쿠션튜브(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스(12)내에 보호부재(30)를 마련하였다.
또한, 상기 부츠(70)는 선단부를 개방하여서 착용자의 발 크기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안내봉(65)이 하강될 때 보스(12)와 안내부재(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스(12)의 상면 및 이에 대응되는 안내부재(40)의 단부에 각각 제1,2에어홈(14)(41)을 형성하여서 내부공기가 흡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안내부재(40)의 내주면에는 안내봉(65)의 승강동작시 마찰경감을 위하여 베어링볼(B)을 채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쿠션 운동기구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부츠(70)에 발을 착용시킨 상태에서 보행, 점프, 제자리 뛰기, 베이스부재(10)를 지면에 착지시킨 상태에서 상하 쿠션운등의 운동을 하게 되면, 상하 유동에 따라서 코일(82)이 스프링(84)에 매달린 채로 상하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81)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전류가 발생되어 발광램프(90)를 발광시키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시 운동자의 하중에 의해서 승강부재(60)가 하강하면서 메인스프링(50)을 압축시키게 되고, 이어서 안내봉(65)의 하단부가 보호부재(30)를 가압하여 쿠션튜브(20)를 수축시킴으로써 보다 쿠션감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보행 정지한 상태에서 몸을 전후로 율동시키면 볼록하게 형성된 베이스판(11)이 시이소작용을 함으로써 몸의 균형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본 고안 쿠션 운동기구는 보행 또는 점프를 하면서 운동을 할 때에 코일이 상하이동작용을 하면서 전자기유도에 의한 전류가 발생되어 발광램프를 발광시키게 됨으로써 야간에 안전사고방지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흥미감을 증진시켜 운동효과를 상승시킨다.
둘째, 볼록하게 형성된 베이스판(11)이 시이소작용을 함으로써 몸의 균형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쿠션튜브의 채용으로 메인스프링(50)의 탄성작용과 함께 보다 쿠션감을 향상시킨다.

Claims (4)

  1. 삭제
  2.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수용공간(13)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보스(12)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보스(12)의 상면에 결합고정되는 중공의 안내부재(40)와;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판(63)과, 상기 받침판(63)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부재(40)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안내봉(65)을 구비하는 승강부재(60)와;
    상기 안내부재(40)에 상기 승강부재(60)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안내봉(65)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마그네트(81)와, 상기 안내봉(65)의 내주면 상단에 스프링(84)으로 매달리며 발광램프(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82)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재(60)의 승강에 따라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발생수단과;
    상기 전원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램프(90)와;
    상기 받침판(63)에 결합되며 탑승자의 발이 착용되는 부츠(70)와;
    상기 승강부재(60)와 안내부재(4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재(60)를 탄성복원시키는 메인스프링(50)과;
    상기 보스(12)의 수용공간(13)에 수용되고 상기 하강되는 안내봉(65)과 접촉되어 완충시키는 쿠션튜브(2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1)은 지면에 대하여 시이소작용이 가능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안내부재(40)에 결합공(4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2)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재(40)의 내주면측으로 일부분 돌출되는 안내핀(100)과, 상기 안내봉(65)의 외주면에 상기 안내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홈(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KR20-2004-0023177U 2004-08-13 2004-08-13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KR200373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177U KR200373272Y1 (ko) 2004-08-13 2004-08-13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177U KR200373272Y1 (ko) 2004-08-13 2004-08-13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272Y1 true KR200373272Y1 (ko) 2005-01-14

Family

ID=4935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177U KR200373272Y1 (ko) 2004-08-13 2004-08-13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2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8895B2 (en) Vibration device for an article and vibration generating shoe
US6761666B2 (en) Reciprocal device having sensing feature
KR101256167B1 (ko) 자가 발전식 발광 지팡이
KR101132699B1 (ko) 무선 줄넘기 세트
KR200373272Y1 (ko) 발광램프를 채용한 쿠션 운동기구
JP3235683U (ja) 自転車用ペダルの弾性結合構造
JP3748412B2 (ja) 板ばねを使用した弾性度可変型トランポリン
CN112516520A (zh) 一种新型组合式多功能体育健身器材
KR200391079Y1 (ko) 쿠션 운동기구
CN112007316A (zh) 一种自发电彩灯循环弹跳器
KR102402869B1 (ko) 스틱봉 체결구조를 갖는 운동기구
KR101223706B1 (ko) 길이 가변형 목발
CN108577023B (zh) 儿童用攀岩鞋
KR101837100B1 (ko)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0262451Y1 (ko) 어린이용 점프유희구
JP3124435U (ja) 靴の構造
TWI266641B (en) Exercise machine
CN219897001U (zh) 一种游戏无障碍控制装置及系统
CN216568728U (zh) 一种具有防滑功能的老年人用拐杖
CN220276235U (zh) 一种新型跳跳杆
CN201079061Y (zh) 一种减震制鞋技术
CN201161083Y (zh) 健身迪台
KR200308048Y1 (ko) 신발의 발광 장치
KR20070099728A (ko) 전기발생 스텝퍼
KR100475832B1 (ko) 원거리 이동이 가능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