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170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170B1
KR100717170B1 KR1020050094797A KR20050094797A KR100717170B1 KR 100717170 B1 KR100717170 B1 KR 100717170B1 KR 1020050094797 A KR1020050094797 A KR 1020050094797A KR 20050094797 A KR20050094797 A KR 20050094797A KR 100717170 B1 KR100717170 B1 KR 10071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tches
height
support part
control piece
mov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671A (ko
Inventor
최상민
Original Assignee
최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민 filed Critical 최상민
Priority to KR102005009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17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9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겨드랑이받침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중공부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끼움홈을 갖는 이동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중공부 후단과 상기 이동지지부의 선단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이동지지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고정지지부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내부를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목발을 사용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또는 차량 탑승, 실내 입장과 같이 협소한 공간이 요구되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목발의 높이 및 길이를 조절해야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되어 설치되며, 상기 승강제어편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재를 간단하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본 목발의 높이 및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고정된 볼트를 일일이 풀어서 높이조절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동시에 그로 인해 목발의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목발, 높이조절.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CRUTCHES POSSIBLE TO CONTROL IT'S HE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구성을 보인 정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승강제어편의 나사부 선단과 회전부재의 결합공간부의 후단에 태엽스프링이 더 구비된 정면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 승강제어편, 그리고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목발, 10; 겨드랑이받침부,
15; 완충부재, 30; 고정지지부,
30a; 중공부, 50; 이동지지부,
50a; 끼움홈, 70; 제1스프링,
90; 손잡이부, 90a; 가이드홈,
90b; 가이드날부, 110; 승강제어편,
110a; 끼움쇠, 110b; 나사부,
110c; 돌출날부, 110d; 요입부,
130; 회전부재, 130a; 결합공간부,
150; 제2스프링.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발을 사용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또는 차량 탑승, 실내 입장과 같이 협소한 공간이 요구되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목발의 높이 및 길이를 조절해야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되어 설치되며, 상기 승강제어편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재를 간단하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본 목발의 높이 및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고정된 볼트를 일일이 풀어서 높이조절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동시에 그로 인해 목발의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해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목발은 겨드랑이 사이에 밀착되며 인체의 하중을 받는 최상단의 겨드랑이받침부와, 상기 겨드랑이받침부의 하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나 또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 또는 상기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대 하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목발은 상기 지지대가 상기 겨드랑이받침부에 단순하게 고정결합을 이루기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임의로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할 필요한 여러 구체적인 상황에 직면하는 경우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처음부터 자신의 체형과 키에 맞는 목발을 선택구입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고, 차량을 탑승하거나 좁은 실내에 들어가는 경우 매우 난처하고 불편한 일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2270호(1개 볼트타입 높이조절목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2271호(원 볼트타입 목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87444호(목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5812호(목발) 등과 같은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2270호(1개 볼트타입 높이조절목발) 및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2271호(원 볼트타입 목발)의 기술은 공히 1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손잡이의 높이 조절과 가운데 다리대의 높이조절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목발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바, 목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2개 또는 3개 이상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해야 했던 종래의 목발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장점을 지니나, 여전히 목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불편한 몸을 가진 사용자가 직접 상기 볼트와 너트를 풀고 손잡이와 가운데 다리대를 위치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볼트와 너트를 조여야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즉각적인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실상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 역시 지니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87444호(목발)의 기술은 겨드랑이받침대와 지지대 사이에 상기 겨드랑이받침대를 탄성지지하는 승강부와, 상기 겨드랑이받침대의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오르막길이나 계단 등의 경사면을 오르거나 내릴 때 상기 겨드랑이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무리한 하중이 실리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나,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목발의 높낮이 자체를 임의로 조절할 수는 없으며, 또한 비좁은 공간에서 상기 목발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5812호(목발)의 기술은 지지다리의 걸림홈에 걸림될 수 있도록 손잡이에 일원화된 돌기를 형성하여 목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앞서 언급한 기술에 비해 손잡이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목발의 높낮이가 아닌 단순히 상기 손잡이의 높낮이만을 조절할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니며, 그것 역시 단순히 상기 돌기의 불완전한 걸림력에 의해 고정됨으로 그 고정력이 심히 의심스러우며, 하측이 아닌 상측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쉽사리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이탈되어 사용자가 불시에 넘어져 큰 부상을 입을 우려가 다분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목발을 사용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또는 차량 탑승, 실내 입장과 같이 협소한 공간이 요구되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목발의 높이 및 길이를 조절해야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되어 설치되며, 상기 승강제어편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재를 간단하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본 목발의 높이 및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고정된 볼트를 일일이 풀어서 높이조절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동시에 그로 인해 목발의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해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겨드랑이받침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중공부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끼움홈을 갖는 이동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중공부 후단과 상기 이동지지부의 선단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이동지지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고정지지부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내부를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제어편은 일단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쇠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하여 설치되는 회전부재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날부 또는 요입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 내부에는 상기 승강제어편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간부가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제어편의 나사부 선단과 상기 회전부재의 결합공간부 후단 사이에 제2스프링이 게재되어 상기 승강제어편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스프링은 전방으로 돌출된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구성을 보인 정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승강제어편의 나사부 선단과 회전부재의 결합공간부의 후단에 태엽스프링이 더 구비된 정면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 승강제어편, 그리고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크게 겨드랑이받침부(10)의 하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부 (30a)를 갖는 고정지지부(30); 상기 고정지지부(30)의 중공부(30a)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끼움홈(50a)을 갖는 이동지지부(50); 상기 고정지지부(30)의 중공부(30a) 후단과 상기 이동지지부(50)의 선단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이동지지부(5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70); 상기 고정지지부(30)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90)의 내부를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지지부(50)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편(110);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90)에 연접하여 설치되며 내부에 결합공간부(130a)를 갖는 회전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지지부(30)는 그 내부에 소정의 중공부(30a)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중공부(30a)는 상기 이동지지부(50)의 몸체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지지부(50)의 내측면에는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끼움홈(50a)이 형성되는바, 상기 끼움홈(50a)은 하기에서 상설할 승강제어편(110)의 끼움쇠(110a)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지지부(50)의 하부에는 노면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통상의 완충부재(1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지부(30) 및 상기 이동지지부(50)의 형상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또는 각종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상기 이동지지부(50)의 형상과 상기 중공부(30a)의 형상은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의존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이동지지부(50)의 형상이 원통형인 경우에는 상기 중공부(30a)의 형상 역시 원통형으로, 사각형인 경우에는 동일하게 사각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지지부(50)의 형상과 상기 중공부(30a)의 형상을 상호 의존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이동지지부(50)가 상기 중공부(30a)를 따라 상하이동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스프링(7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중공부(30a)의 후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지지부(50)의 선단에 고정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중공부(30a)의 후단과 상기 이동지지부(50)의 선단에 고정결합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한 상기 제1스프링(70)은 상기 이동지지부(50)를 상기 고정지지부(30)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경우, 즉 상기 중공부(30a)를 따라 상부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동지지부(50)에 완충력을 부여하여 급격한 상부이동을 방지하고, 역으로 상기 이동지지부(50)를 상기 고정지지부(30)의 내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즉 상기 중공부(30a)를 따라 하부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상기 이동지지부(50)를 하부로 당기지 않더라도 복원력에 의해 저절로 하부이동을 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90)는 상기 고정지지부(30)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고정지지부(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지지부(30)와 고정결합되며, 도 6과 같이 상기 고정지지부(30)가 하나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고정지지부(30)의 측면에 고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90)는 하기에서 상설할 승강제어편(110)을 그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바,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돌출날부(110c) 또는 요입부(110d)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드홈(90a) 또는 가이드날부(90b)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지지부(50)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상기 승강제어편(110)은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에 형성되는 끼움쇠(110a), 타단에 형성되는 나사부(110b), 그리고 외주에 형성되는 돌출날부(110c) 또는 요입부(110d) 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쇠(110a)는 상기 이동지지부(50)의 끼움홈(50a)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단, 상기 끼움쇠(110a)는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반드시 하나의 끼움쇠(110a)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복수개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110b)는 하기에서 상설할 회전부재(130)의 내부의 결합공간부(130a)에 삽입되어 나사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즉, 상기 결합공간부(130a)의 내주연이 암나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나사부(110b)는 수나사로 이루어지고, 역으로 상기 결합공간부(130a)의 내주연이 수나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나사부(110b)는 암나사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외주에는 상기 손잡이부(90)의 내부 구조에 맞게, 즉 도 4a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90)의 내부에 상기한 가이드홈(90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돌출날부(110c)가 형성되어야 하고,
도 4b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90)의 내부에 상기한 가이드날부(90b)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입부(110d)가 형성되어야 한다.
물론, 상기 돌출날부(110c) 및 상기 요입부(110d)의 개수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한 쌍으로 대칭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30)는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타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나사부(110b)와 나사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결합공간부(130a)가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간부(130a)의 내주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110b)에 대응하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나사부(110b) 선단과 상기 회전부재(130)의 결합공간부(130a) 후단 사이에 제2스프링(150)을 게재시켜 상기 승강제어편(11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스프링(150)은 일단은 상기 나사부(110b)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공간부(130a)의 후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바, 앞서 설명한 제1스프링(70)과 동일하게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좌우이동에 소정의 완충력과 복원 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지지부(50)의 상하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프링(150)은 상기 제1스프링(70)과 달리 전방으로 돌출된 태엽스프링을 채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스프링(150)을 전방으로 돌출된 태엽스프링으로 구성하게 되면, 상기 나사결합의 풀림과 조임에 의해서 좌우이동을 수행하는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회전이동에 맞추어 상기 완충력과 복원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도 3 및 도 5a,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실시예는 본 목발(1)의 정상적인 상태, 즉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끼움쇠(110a)가 상기 이동지지부(50)의 끼움홈(50a)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이동지지부(50)가 상기 고정지지부(30)의 중공부(30a)를 따라 상하이동이 되지 않도록 잠금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나사부(110b) 선단과 상기 회전부재(130)의 결합공간부(130a)의 후단 사이에 게재된 상기 제2스프링(150)은 전방으로 돌출된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제어편(110)을 상기 이동지지부(50) 방향으로 밀착함으로써 상기 끼움홈(50a)에 대한 상기 끼움쇠(110a)의 결합력을 더욱 배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목발(1)의 높이를 줄이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90)에 연접하여 설치된 상기 회전부재(130)를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나사부(110b)의 선단은 상기 회전부재(130)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제2스프링(150)을 내측으로 압축시키며 상기 결합공간부(130a)의 내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끼움쇠(110a)는 상기 이동지지부(50)의 끼움홈(50a)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단,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상기 회전부재(130)를 회전시킴으로써 예기치 않게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끼움쇠(110a)가 상기 이동지지부(50)의 끼움홈(5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소한 상기 회전부재(130)를 일방향으로 완전히 1회 이상 회전시킨 경우에만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끼움쇠(110a)가 상기 이동지지부(50)의 끼움홈(50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해야 함은 밝힌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130)의 회전으로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나사부(110b)가 상기 결합공간부(130a)의 내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외주에 형성된 돌출날부(110c) 또는 요입부(110d)가 상기 손잡이부(90)의 가이드홈(90a) 또는 가이드날부(90b)에 지지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30)의 회전으로 상기 끼움결합을 해제시킨 후에는 도 5a와 같이 상기 이동지지부(50)가 상기 고정지지부(30)의 중공부(30a)를 따라 상부로 압축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동지지부(50)를 상기 고정지지부(30)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본 목발(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목발(1)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는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나사부(110b)가 역으로 상기 공간결합부의 내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다시금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끼움쇠(110a)가 상기 이동지지부(50)의 끼움홈(50a)에 끼움결합을 이루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스프링(150)은 그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외측 이동을 돕게 된다.
또한, 도 5b와 같이 본 목발(1)의 높이를 축소시킨 후, 다시 정상적인 상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금 상기 회전부재(1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제어편(110)의 끼움쇠(110a)에 의한 끼움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지지부(30)의 중공부(30a) 후단과 상기 이동지지부(50)의 선단 사이에 게재된 제1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지지부(50)가 하부로, 즉 상기 중공부(30a)의 외부로 저절로 이탈되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상기 이동지지부(50)를 밖으로 빼내서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완전히 해소하였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즉 상기 고정지지부(30) 및 상기 이동지지부(50)가 하나로 이루어진 목발(1)의 경우에도 상기한 원리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서 본 목발(1)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의 실시예 역시 상기 제2스프링(150)이 부가되지 않았을 뿐 상기한 원리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본 목발(1)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목발을 사용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또는 차량 탑승, 실내 입장과 같이 협소한 공간이 요구되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목발의 높이 및 길이를 조절해야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되어 설치되며, 상기 승강제어편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재를 간단하게 회전시키는 것만 으로 본 목발의 높이 및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고정된 볼트를 일일이 풀어서 높이조절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동시에 그로 인해 목발의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5)

  1. 겨드랑이받침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중공부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끼움홈을 갖는 이동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중공부 후단과 상기 이동지지부의 선단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이동지지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고정지지부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내부를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편;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제어편은 일단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쇠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하여 설치되는 회전부재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날부 또는 요입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 내부에는 상기 승강제어편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간부가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편의 나사부 선단과 상기 회전부재의 결합공간부 후단 사이에 제2스프링이 게재되어 상기 승강제어편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은 전방으로 돌출된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5. 삭제
KR1020050094797A 2005-10-10 2005-10-10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KR10071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797A KR100717170B1 (ko) 2005-10-10 2005-10-10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797A KR100717170B1 (ko) 2005-10-10 2005-10-10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671A KR20070039671A (ko) 2007-04-13
KR100717170B1 true KR100717170B1 (ko) 2007-05-10

Family

ID=3816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797A KR100717170B1 (ko) 2005-10-10 2005-10-10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06B1 (ko) * 2010-11-11 2013-02-01 정준혁 길이 가변형 목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4994A1 (en) * 2007-01-12 2008-07-17 Kyungil Cho Pin type one pole crutches
KR101595890B1 (ko) * 2014-11-12 2016-03-07 김진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KR102337591B1 (ko) * 2021-03-17 2021-12-09 이주효 전립선 치료용 가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30U (ko) * 1998-11-17 2000-06-15 전용우 완충장치를 갖는 목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30U (ko) * 1998-11-17 2000-06-15 전용우 완충장치를 갖는 목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2000001013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06B1 (ko) * 2010-11-11 2013-02-01 정준혁 길이 가변형 목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671A (ko) 200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17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US5702326A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US5586352A (en) Support pole with a pivoting and locking handrail for elderly and disabled persons
JP3309357B2 (ja) 2ハンドル式つえ
US20140261594A1 (en) Wheeled support cane
US20050076939A1 (en) Walker
US20120167933A1 (en) Length Adjustable Crutch
US20100186789A1 (en) Length Adjustable Crutch
US20190186115A1 (en) Bariatric Bidet Seat System
CN208677869U (zh) 一种医疗用康复防摔倒拐杖
CN212699396U (zh) 一种移动式内科护理用减震床
EP4193982A1 (en) Lift assist shower chair
US6491050B2 (en) Leg support for crutch
KR200215227Y1 (ko) 이동이 가능한 의자 지지발
KR100807304B1 (ko) 평형 유지 및 충격 흡수 지팡이
US20050133078A1 (en) Hand-gripped device for assistance in lowering to and rising from a seated position
CN213911247U (zh) 一种老年病科护理用行走辅助装置
CN214207260U (zh) 一种护颈围
JP2002336017A (ja) 歩行補助具
CN213490257U (zh) 组合式伸长长度调节机构
CN217186789U (zh) 一种舒适可调节的儿童轮椅
KR10159589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WO2003099122A1 (en) Rollator
JP3030995U (ja) 伸縮補助杖
CN214510395U (zh) 一种多角度可调节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