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597B1 - 안전 손잡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전 손잡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597B1
KR102463597B1 KR1020200063922A KR20200063922A KR102463597B1 KR 102463597 B1 KR102463597 B1 KR 102463597B1 KR 1020200063922 A KR1020200063922 A KR 1020200063922A KR 20200063922 A KR20200063922 A KR 20200063922A KR 102463597 B1 KR102463597 B1 KR 10246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odule
user
module structur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738A (ko
Inventor
강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Priority to KR102020006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5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8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handles or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안전 손잡이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설치되는 통형 손잡이부, 통형 손잡이부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통형 손잡이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 모듈 구조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시 발광 모듈이 자동적으로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파지하는 경우에 발광 모듈 구조체를 손으로 직접 접촉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해 손으로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강하게 파지하는 압력에도 불구하고 발광 모듈 구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안전 손잡이 구조체{Safety Handle Structure}
본 발명은 안전 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시 발광 모듈이 자동적으로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파지하는 경우에 발광 모듈 구조체를 손으로 직접 접촉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해 손으로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강하게 파지하는 압력에도 불구하고 발광 모듈 구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통형 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 모듈 구조체를 통형 손잡이부의 단부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안접 손잡이 구조체의 벽면에의 설치 상태에서의 사용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광 모듈 구조체를 필요시 정비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의 노약자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서 벽면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안전 손잡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손잡이는 새벽 시간과 같이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는 노약자가 쉽게 찾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18-007164호에서는 LED를 구비한 손잡이 난간 어셈블리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LED 모듈이 손잡이의 전면(前面)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는 경우에 직접 LED 모듈에 압력이 가해지게 됨에 따라 LED 모듈의 파손 및 그로 인한 부상의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시 발광 모듈이 자동적으로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파지하는 경우에 발광 모듈 구조체를 손으로 직접 접촉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해 손으로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강하게 파지하는 압력에도 불구하고 발광 모듈 구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통형 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 모듈 구조체를 통형 손잡이부의 단부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안접 손잡이 구조체의 벽면에의 설치 상태에서의 사용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광 모듈 구조체를 필요시 정비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설치되는 통형 손잡이부; 상기 통형 손잡이부를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통형 손잡이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 모듈 구조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는, 상기 벽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형 손잡이부에는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에 구비된 상기 발광 모듈 및 상기 스위칭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는 슬릿형 개방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모듈은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통형 손잡이부의 측면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통형 손잡이부의 측면을 따라 상기 통형 손잡이부를 파지하는 파지구 및 상기 파지구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형 손잡이부의 일측 단부를 통해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가 상기 통형 손잡이부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가 상기 통형 손잡이부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칭 모듈이 통과하게 되는 통과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시 발광 모듈이 자동적으로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파지하는 경우에 발광 모듈 구조체를 손으로 직접 접촉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해 손으로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강하게 파지하는 압력에도 불구하고 발광 모듈 구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통형 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 모듈 구조체를 통형 손잡이부의 단부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안접 손잡이 구조체의 벽면에의 설치 상태에서의 사용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광 모듈 구조체를 필요시 정비 및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로부터 발광 모듈 구조체가 분리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에서의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에서의 발광 모듈 구조체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통형 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된 발광 모듈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발광 모듈 구조체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통형 손잡이부의 단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서와 같은 통형 손잡이부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는 발광 모듈 구조체의 일측 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통형 손잡이부와 발광 모듈 구조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통형 손잡이부의 타측 단부를 통해 발광 모듈 구조체의 일측 단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의 통형 손잡이부의 타단을 통해 노출된 발광 모듈 구조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는 통형 손잡이부(100), 고정부(200), 및 발광 모듈 구조체(300)를 포함한다.
통형 손잡이부(100)는 노약자가 필요시 거동을 위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벽면의 적정한 위치에 도 1에서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고정부(200)는 통형 손잡이부(1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벽면에 나사 방식 또는 접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통형 손잡이부(100)를 벽면에 고정시킨다.
한편, 발광 모듈 구조체(300)는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특정한 상황(예를 들면, 어두운 실내에서 사용자가 통형 손잡이부(100)를 잡으려고 접근하는 경우 등)에서 자동적으로 발광됨으로써 사용자가 통형 손잡이부(100)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발광 모듈 구조체(300)는 통형 손잡이부(100)의 단부를 통해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통형 손잡이부(100)에서 벽면을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부분인 통형 손잡이부(100)의 배면에 구비된 통형 손잡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개되는 슬릿형 개방구(110)를 통해 통형 손잡이부(100)가 설치된 벽면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부(200)는 통형 손잡이부(100)의 측면의 원통형 곡면을 따라 감싸는 방식으로 통형 손잡이부(100)를 파지하는 파지구(210)와 파지구(2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볼트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230)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파지구(210)의 상부면에는 형광 테이프 또는 야광 테이프 등의 등의 발광 표지(250)를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 모듈 구조체(300)는 발광 모듈(310), 스위칭 모듈(330) 및 조도 센서(350)를 포함하며, 발광 모듈(310), 스위칭 모듈(330) 및 조도 센서(350)는 통형 손잡이부(100)에서 벽면을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부분인 배면에 구비된 통형 손잡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개되는 슬릿형 개방구(110)를 통해 통형 손잡이부(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발광 모듈 구조체(300)를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설치하고, 발광 모듈 구조체(300)에 구비되어 있는 발광 모듈(310), 스위칭 모듈(330) 및 조도 센서(350)는 통형 손잡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되, 통형 손잡이부(100)에서 벽면을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부분인 배면에 구비된 슬릿형 개방구(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해 손으로 통형 손잡이부(100)를 강하게 파지하는 압력에도 불구하고 발광 모듈 구조체(300) 및 이에 구비되어 있는 발광 모듈(310), 스위칭 모듈(330) 및 조도 센서(350)에 직접 가해지는 압력이 없거나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통형 손잡이부(100)에서 벽면을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부분인 배면에 구비된 슬릿형 개방구(110)를 통해 발광 모듈(310), 스위칭 모듈(330) 및 조도 센서(350)를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평상시 통형 손잡이부(100)를 파지하는 사용 과정에서 발광 모듈(310), 스위칭 모듈(330) 및 조도 센서(350)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접촉하게 되는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광 모듈 구조체(300)에 구비된 발광 모듈(310)은 안전 손잡이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는 벽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며, 발광 모듈 구조체(300)에 구비된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사용자는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발광 모듈 구조체(300)에 구비된 조도 센서(350)는 안전 손잡이 구조체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조도를 측정한다.
아울러, 발광 모듈 구조체(300)에는 스위칭 모듈(330)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 및 조도 센서(35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발광 모듈(310)의 점등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사용자는 점등(ON) 모드, 소등(OFF) 모드, 자동(AUTO) 모드의 3가지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위칭 모듈(330)을 통한 동작 모드 선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스위칭 모듈(330)에 구비된 동작 모드 선택용 노브(knob)는 통형 손잡이부(100)의 개방구(110)를 통해 통형 손잡이부(100)의 측면 상부로 소정의 높이(예를 들면, 0.5cm) 만큼 돌출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점등(ON)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제어부는 발광 모듈 구조체(300)에 구비된 발광 모듈(310)을 상시적으로 점등하며, 소등(OFF)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제어부는 발광 모듈(310)을 상시적으로 소등한다.
아울러, 자동(AUTO)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제어부는 조도 센서(350)가 측정한 조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50 lux) 미만인 경우에만 발광 모듈(310)을 점등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2에서와 같이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형 발광 모듈 구조체(300) 좌우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320)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는 조도 센서(350)가 측정한 조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50 lux) 미만인 경우라 해도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이용하기 위해 다가오는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정보를 모션 센서(32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만 발광 모듈(310)을 점등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발광 모듈 구조체(300)가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의 전원부를 자체 구비함에 따라, 배터리 교체를 위해 발광 모듈 구조체(300)를 통형 손잡이부(100)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도 2에서와 같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부(390)를 분리함으로써 덮개부(390)의 내측면에 구비된 걸림구(393)와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걸개홈(345)의 걸림 방식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덮개부(39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통형 손잡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잡아 당김으로써 발광 모듈 구조체(300)를 통형 손잡이부(10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방식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하부에는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하부면로부터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ㄷ'자 단면을 갖는 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3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돌출부(340)가 통형 손잡이부(100)의 하부(배면)에 구비된 슬릿형 개방구(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통형 손잡이부(100)와의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돌출부(340)에 발광 모듈(310), 스위칭 모듈(330) 및 조도 센서(350)가 일체로서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돌출부(340)의 통형 손잡이부(100)의 개방구(110)를 통한 노출면에 발광 모듈(310), 스위칭 모듈(330) 및 조도 센서(350)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발광 모듈(310), 스위칭 모듈(330) 및 조도 센서(3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각각의 기능성이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와의 접촉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통형 손잡이부(100)의 개방구(110)를 통해 통형 손잡이부(100)의 측면 상부로부터 소정의 높이(예를 들면, 0.5cm) 만큼 돌출되도록 설치있는 스위칭 모듈(330)의 동작 모드 선택용 노브(knob)가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통형 손잡이부(100)와의 분리 또는 결합 과정에서 손잡이부(100)의 측면을 감싸며 파지하고 있는 파지구(210)에 걸리지 않을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파지구(210)의 내측면에는 발광 모듈 구조체(300)가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위칭 모듈(330)의 동작 모드 선택용 노브(knob)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용 홈(215)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를 통형 손잡이부(100)로부터 분리하여 배터리 교체 등의 필요한 정비를 마친 다음 사용자는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통형 손잡이부(100)의 일측 단부를 통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를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로 삽입 설치한 다음,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가 통형 손잡이부(100)의 타측 단부로 노출되도록 발광 모듈 구조체(300)를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통형 손잡이부(100)의 타측 단부에 덮개부(390)를 결합 설치하게 된다.
도 6은 통형 손잡이부(100)로부터 분리된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발광 모듈 구조체(3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슬리브 형태의 손잡이 홈(370)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좌우 측면에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도 6에서 같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상부면에는 배터리 덮개(38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배터리 덮개(380)를 제거한 후 내부 배터리를 교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통형 손잡이부(100)의 단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통형 손잡이부(100)의 단부에는 통형 손잡이부(100)의 둘레를 감싸며 설치되는 파지구(21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통형 손잡이부(100)의 개구부에는 개구부의 진행 방향(도 7에서의 지면 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0)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0)은 통형 손잡이부(100)의 개구부에서의 발광 모듈 구조체(300)에 구비된 돌출부(340)의 개구부의 진행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0)은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돌출부(340)의 발광 모듈 구조체(300)로부터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또한 개구부의 단부로부터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120)의 높이와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돌출부(340)의 발광 모듈 구조체(300)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돌출부(340)의 개구부를 통한 돌출면은 통형 손잡이부(100)의 원통형 측면과 동일한 곡면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통형 손잡이부(100)를 통형 손잡이부(100)의 배면까지 깊숙하게 파지하는 경우라도 돌출부(340)로 인한 이물감을 전혀 느낄 수 없게 된다.
아울러, 도 7에서와 같이 파지구(210)의 내측면에는, 발광 모듈 구조체(300)가 통형 손잡이부(100)의 개방구(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에 스위칭 모듈(330)의 동작 모드 선택용 노브(knob)가 통과하게 되는 통과용 홈(215)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7에서와 같은 통형 손잡이부(100)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는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 중앙에는 모션 센서(320)가 설치되어 있으며,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 중앙 아래쪽에는 돌출부(340)가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길이 방향(도 8에서의 지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40)의 일측 단부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덮개부(390)의 내측 공간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구(393)가 걸림 방식으로 결합되는 걸개홈(345)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8에서와 같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의 좌우 측면에는 고정홈(360)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길이 방향(도 8에서의 지면 방향)을 따라 도 11에서의 덮개부(390)의 내측 공간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 돌기(397)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후 도 10에서와 같이 통형 손잡이부(100)의 타단부를 통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가 노출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덮개부(390)의 고정 돌기(397)를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홈(36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8에서의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를 도 7에서의 통형 손잡이부(100)의 일측 단부에 삽입한 다음 도 9에서와 같이 발광 모듈 구조체(300)를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발광 모듈 구조체(300)를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그 결과 도 10에서와 같이 통형 손잡이부(100)의 타단을 통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가 노출되게 된다.
도 11은 도 10에서의 통형 손잡이부(100)의 타단을 통해 노출된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39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덮개부(390)의 중앙에는 도 10에서의 모션 센서(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모션 센서홀(391)이 구비되어 있으며, 덮개부(390)의 내측 공간의 좌우측에는 도 10에서의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일측 단부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360)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발광 모듈 구조체(300)가 통형 손잡이부(100)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 돌기(397)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덮개부(390)의 내측 공간의 하단에는 도 10에서의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돌출부(3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개홈(345)에 걸림 방식으로 결합되는 걸림구(393)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걸개홈(345)과 걸림구(393)의 상호 결합을 통해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통형 손잡이부(100) 내부에서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11에서와 같이 걸림구(393)는 덮개부(390)의 하단에 구비된 누름 방식의 해제 버튼부(395)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시 해제 버튼부(395)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걸개홈(345)과 걸림구(393)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덮개부(390)를 도 2에서와 같이 제거한 다음 발광 모듈 구조체(300)를 통형 손잡이부(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에서의 발광 모듈 구조체(300)는 발광 모듈(310), 모션 센서(320), 스위칭 모듈(330) 및 조도 센서(350) 이외에도 통신부, 입력 패널, 마이크 모듈,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 패널은 감압식 터치 패널로서 사용자가 통형 손잡이부(100)를 파지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며, 사용자가 통형 손잡이부(100)를 제대로 파지지 못하고 넘어짐으로써 통형 손잡이부(100)를 놓치는 경우에 입력 패널의 표면에서의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짐에 따른 감지 정보(즉, 터치&드래그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로 송신한다.
한편, 마이크 모듈은 통형 손잡이부(100)를 놓친 사용자가 바닥에 넘어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실내 소음 또는 사고를 당한 사용자의 신음 소리 등과 같은 안전 손잡이 구조체가 설치된 실내 공간에서의 사운드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입력 패널에서의 감지 정보와 마이크 모듈에서의 수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스피커 등의 출력부를 통해 소정의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보호자를 호출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제어부가 판단한 경우에 생성한 알람신호를 통신부는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인 보호자 단말기 또는 의료 센터에 설치된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구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실내 바닥이나 침대에 누워있거나 앉아있는 상태에 있는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이용하여 이동하기 위하여 안전 손잡이 구조체에 손을 뻗어 접근하는 경우에 통형 손잡이부(100)에 설치되어 있는 모션 센서(32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션 센서(32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게 되며, 구체적으로 제어부가 모션 센서(32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어부는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사용을 위해 접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410).
한편, 스위칭 모듈(330)이 자동(AUTO) 모듈로 설정된 경우에 제어부는 조도 센서(350)가 측정한 조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50 lux) 미만임과 동시에 안전 손잡이 구조체를 이용하기 위해 다가오는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정보를 모션 센서(32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만 발광 모듈(310)을 점등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야간에도 손잡이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S430).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10 단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정보를 모션 센서(320)로부터 수신한 경우라도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현재 시각 정보가 소정의 시간대(예를 들면, PM 07:00 ~ AM 07:00) 이내인 경우에만 발광 모듈(310)을 점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 구조체의 사용을 마친 사용자가 통형 손잡이부(100)를 자발적으로 놓고 이동함으로써 모션 센서(320)로부터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는 발광 모듈(310)을 소등시키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5초) 경과 후에 발광 모듈(310)을 소등시킴으로써, 발광 모듈(310)이 사용자의 안전한 이동을 위한 조명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통형 손잡이부(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의도했던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실수로 넘어짐으로써 사용자가 통형 손잡이부(100)를 잡은 상태에서 통형 손잡이부(100)를 놓치게 되는 경우에 터치식 입력 패널의 표면에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짐에 따른 터치&드래그 정보(이른 바, 사용자의 파지 상태 감지 정보)가 입력 패널에 의해 감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터치식 입력 패널에서의 파지 상태 감지 정보가 제어부로 송신되면, 제어부는 입력 패널로부터 수신되는 파지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의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S450).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파지 정보에서의 드래그(drag) 동작이 감지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0.5초) 미만인 경우에 사용자가 넘어짐에 따라 통형 손잡이부(100)를 급격하게 놓치게 된 상황일 수 있다고 판단하고, 드래그 동작이 감지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0.5초)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형 손잡이부(100)를 정상적으로 놓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파지 정보에서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0.5초) 미만인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통형 손잡이부(100)를 놓침으로써 넘어지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신음 소리 또는 사용자의 신체가 바닥 등의 주면 물체에 충격됨으로써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 모듈이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어부는 파지 정보에서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0.5초) 미만인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이라고 최종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드래그 동작이 감지된 시각으로부터 약 1~2초 전후의 시간 구간 동안에 마이크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실내 사운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S470).
구체적으로, 해당 시간 구간 동안에 마이크 모듈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제어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정보로서, 사람이 넘어지는 경우에 발생되는 다양한 충격 사운드 정보, 사고 발생시의 사용자의 다양한 음성 정보와 마이크 모듈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정보가 일치하거나, 해당 시간 구간 동안에 마이크 모듈로부터 수신된 사운드가 소정의 크기(예를 들면, 50dB)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에 제어부는 사용자가 넘어진 것으로 최종적으로 판단하고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스피커 등의 출력부는 상기 알람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보호자 단말기 또는 의료 센터의 서버로 알람 신호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S49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용자가 넘어진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스피커 등의 출력부를 통해 '괜찮으신가요?' 등과 같은 소정의 안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 다음, 안부 확인 메시지 출력 이후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초) 이내에 사용자로부터의 '괜찮습니다' 등과 같은 안부 확인 음성을 마이크 모듈(190)을 통해 수신한 경우에는 전술한 S390 단계를 실행하지 않으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초) 이내에 사용자의 안부 확인 음성을 마이크 모듈을 통해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만 전술한 S490 단계를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를 위해서 제어부에는 소정의 안부 확인 메시지뿐만 아니라, '예','괜찮습니다'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의 안부 확인 음성 정보가 저장됨으로써 마이크 모듈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와 기 저장된 안부 확인 음성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부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통형 손잡이부, 110: 개방구,
120: 가이드 레일, 200: 고정부,
210: 파지구, 215: 통과용 홈,
230: 고정구, 250: 발광 표지,
300: 발광 모듈 구조체, 310: 발광 모듈,
320: 모션 센서, 330: 스위칭 모듈,
340: 돌출부, 345: 걸개홈
360: 고정홈, 370: 손잡이 홈,
380: 배터리 덮개, 390: 덮개부,
391: 모션 센서홀, 393: 걸림구,
395: 해제 버튼부, 397: 고정 돌기.

Claims (3)

  1.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벽면을 마주보는 부분인 배면에 슬릿형 개방구(110)가 구비된 통형 손잡이부(100);
    상기 통형 손잡이부(100)를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0); 및
    상기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 모듈 구조체(300)
    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300)는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스위칭 모듈(330), 및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모듈(330)은 상기 슬릿형 개방구(110)를 통해 상기 통형 손잡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300)는 상기 통형 손잡이부(100)의 내부에서의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통형 손잡이부(100)의 단부를 통해 상기 통형 손잡이부(10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통형 손잡이부(100)의 측면을 파지하는 파지구(210)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구(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300)가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경우에 외부로 돌출된 상기 스위칭 모듈(330)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용 홈(2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안전 손잡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300)는,
    상기 슬릿형 개방구(110)를 통해 상기 통형 손잡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도 센서(350)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전 손잡이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300)는,
    상기 발광 모듈 구조체(300)의 단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통형 손잡이부(1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390)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전 손잡이 구조체.
KR1020200063922A 2020-05-27 2020-05-27 안전 손잡이 구조체 KR10246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922A KR102463597B1 (ko) 2020-05-27 2020-05-27 안전 손잡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922A KR102463597B1 (ko) 2020-05-27 2020-05-27 안전 손잡이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738A KR20210146738A (ko) 2021-12-06
KR102463597B1 true KR102463597B1 (ko) 2022-11-04

Family

ID=7890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922A KR102463597B1 (ko) 2020-05-27 2020-05-27 안전 손잡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5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2037A (ja) * 2011-10-03 2013-05-16 Myst:Kk 手摺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474A (ja) * 1994-05-12 1995-11-21 Kowa Sangyo Kk 建築物の通路の壁面に取り付ける手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2037A (ja) * 2011-10-03 2013-05-16 Myst:Kk 手摺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738A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066B2 (en) Decontamination system and decontamination unit housing equipped with remote control
US10174932B2 (en) Universally attachable light accessory apparatus for use with mobility aids, system, and method of use
JP4589378B2 (ja) 航空機の扉の改良
JP7407000B2 (ja) つり革及び把持部材
JP2020045026A (ja) つり革
KR200425930Y1 (ko) 비상구 무인유도 장치
JP2007073193A (ja) 非常用照明装置
KR102463597B1 (ko) 안전 손잡이 구조체
KR20070117716A (ko) 비상구 무인유도 장치
CN111569127B (zh) 一种消毒装置控制方法
JP2012125387A (ja) ステッキ
CN208139029U (zh) 一种感应式自动起夜灯
KR102292039B1 (ko) 안전 손잡이 구조체
KR102278554B1 (ko) 발광형 안내 장치를 구비한 화재 진압용 소화기
JP2006045817A (ja) 照明手段付き手摺及び手摺ブラケット
JP2006141583A (ja) 水洗便器
KR101084643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발광팁
KR101223706B1 (ko) 길이 가변형 목발
JP5454912B2 (ja) 照明装置
JP2005108703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483399B1 (ko)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
KR102269613B1 (ko) 손잡이용 발광 안전 및 무드등 장치
EP1602877A3 (en) Light device having an automatic switching device
JP3179731U (ja) 避難経路表示装置
JP2007313187A (ja) 伸縮手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