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399B1 -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 - Google Patents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3399B1 KR101483399B1 KR1020140092961A KR20140092961A KR101483399B1 KR 101483399 B1 KR101483399 B1 KR 101483399B1 KR 1020140092961 A KR1020140092961 A KR 1020140092961A KR 20140092961 A KR20140092961 A KR 20140092961A KR 101483399 B1 KR101483399 B1 KR 1014833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unit
- emergency
- commercial
- port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으로 인해 상용AC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감지하여 점등되어 비상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휴대용 조명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은,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선택 사용하도록 스위칭 기능을 갖는 스위치부; 상용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를 통해 DC전원으로 변환된 전력을 저장하는 충전부;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빛을 발생하는 조명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정전비상용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용AC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용AC전원의 공급차단여부를 감지하여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스위치부의 휴대용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용AC전원이 DC전원으로 변환되도록 변환부를 제어하며, 변환된 DC전원이 충전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충전된 DC전원을 통해 조명부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은,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선택 사용하도록 스위칭 기능을 갖는 스위치부; 상용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를 통해 DC전원으로 변환된 전력을 저장하는 충전부;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빛을 발생하는 조명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정전비상용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용AC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용AC전원의 공급차단여부를 감지하여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스위치부의 휴대용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용AC전원이 DC전원으로 변환되도록 변환부를 제어하며, 변환된 DC전원이 충전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충전된 DC전원을 통해 조명부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으로 인해 상용AC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감지하여 점등되어 비상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휴대용 조명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형광등, 백열등 또는 엘이디 조명등은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AC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실내의 조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상용AC전원의 공급 차단 등으로 정전이 발생됨으로 인해 실내가 어두워져 생활이 어려운 경우, 이를 대체하기 위해 촛불과 같은 비상 조명용구를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정전으로 인한 어두운 상황에서 촛불과 같은 조명용구를 찾기 위해 실내를 어렵게 찾아 헤메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촛불에 인화성 물질이 닿는 경우 실내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68409호 (등록일자: 2004. 11. 11.) 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기술은 스위치 개방과 관계없이 정전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비상등에 관한 것으로서, 2선식 비상등에서 스위치가 개방된 경우에도 교류상용전원이 정전되는 경우 비상등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비상등이 지속적으로 상용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정전시 비상등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없어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86460호 (등록일자: 2012. 09. 21.) 의 경우, 조명 및 랜턴 겸용 엘이디 램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 조명램프로 사용하다가 정전 등 비상시에는 랜턴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평상시에 조명등으로 사용하고 있을 뿐, 갑작스런 정전시 이를 대체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휴대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정전을 감지하여 점등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관계로 정전에 즉시 대응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정전시 상용AC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곧바로 점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전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휴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전비상용 및 휴대용으로 겸용이 가능한 조명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전비상용으로 사용시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시 연장부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조명등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함께, 연장부를 축소하였을 때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길이의 변동이 자중에 의해 또는 자유자재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은,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선택 사용하도록 스위칭 기능을 갖는 스위치부; 상용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를 통해 DC전원으로 변환된 전력을 저장하는 충전부;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빛을 발생하는 조명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정전비상용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용AC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용AC전원의 공급차단여부를 감지하여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스위치부의 휴대용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용AC전원이 DC전원으로 변환되도록 변환부를 제어하며, 변환된 DC전원이 충전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충전된 DC전원을 통해 조명부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부는, 전방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측으로부터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는 길이연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의 후방 끝단에는 상용AC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소켓이 더 구비되며, 휴대용으로 사용시 상기 소켓을 덮기 위한 소켓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헤드부의 측면에는 길이연장을 위해 사용자의 엄지가 파지되는 푸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부의 가이드부에 대응하여 고정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후방 끝단에는 고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가 축소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부에 걸림고정됨을 통해 상기 연장부의 연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축소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시 상용AC전원의 공급 차단여부를 감지하여, 곧바로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전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전등용 소켓으로부터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랜턴 등이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비상용으로 사용시 연장부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전등으로 사용시 사용자와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조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으로 사용시 연장부를 축소하여 사용이 가능함과 함께, 연장부 축소시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길이의 변동이 자중 또는 자유자재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을 나타내는 사시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등을 나타내는 블록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등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등의 연장부의 연장 및 축소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등의 헤드부에 구비된 푸시부의 동작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등을 나타내는 블록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등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등의 연장부의 연장 및 축소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등의 헤드부에 구비된 푸시부의 동작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을 나타내는 사시도면으로서, 연장부(160)가 헤드부(150)의 내부로 축소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등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어부(100), 스위치부(110), 변환부(120), 충전부(130) 및 조명부(140)로 크게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조명등이 상용AC전원(17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정전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등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조명등의 세부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부(140)는 크게 헤드부(150)와 연장부(160)로 이루어져 있고, 스위치부(110)는 헤드부(1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을을 알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10)는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선택 사용하도록 스위칭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도 1의 화살표 방향, 즉 상기 스위치부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정전비상용(전등용, 111) 또는 휴대용(112)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스위치부를 off버튼(114)에 위치하는 경우 조명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
스위치등(113)은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발광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충전부(130)에 전원이 충전되는 경우 예를 들면 녹색등이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충전여부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변환부(120)는 상용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이오드를 포함한 정류회로, 정류된 전압을 평활화하는 평활컨덴서 등의 세부구성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부(130)는 상기 변환부를 통해 DC전원으로 변환된 전력을 저장하여 정전비상시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시 필요한 전력을 소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테면, 스위치부(110)를 정전비상용(111)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용AC전원에 연결접속된 상태에서 변환부를 통해 DC전원으로 변환된 전력이 상기 충전부에 충전될 수 있고, 정전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조명등을 점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를 휴대용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조명등을 점등하게 된다.
조명부(140)는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빛을 발생하게 되며, 크게 헤드부(150)와 연장부(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150)에는 최전방에 빛이 투과되는 조명창(151)이 구비되고, 상기 조명창의 내부에 LED램프가 칩형태로 복수로 구비된 LED보드(153)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LED보드에 인접하여 제어부(100)가 구비되게 되며, 상기 제어부에 스위치부(110)가 함께 구비된 상태에서 조명등의 스위칭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150)의 외부 측면에는 푸시부(154)가 1개 이상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푸시부는 조명등의 길이연장을 위해 사용자의 엄지가 파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지를 위해 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등의 헤드부에 구비된 푸시부의 동작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헤드부로부터 연장부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헤드부(150)의 내측에는 고정돌기(155)가 1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가 후술하는 연장부의 가이드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필요시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부(162)에 안착되면서 연장부의 연장이 방지되고 길이가 축소된 형태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조명부(140)에 구비된 연장부(160)는 내부가 속이 빈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충전부(13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가 헤드부(15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로터 이탈되지 않도록 연장부의 상부 끝단에는 1개 이상의 걸림부(16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부(161)가 오목한 형태로 1개 이상 파여 있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부는 전술한 헤드부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55)에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장부의 길이가 헤드부로부터 안정된 상태로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의 후방 끝단에는 고정부(16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 헤드부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돌기(155)기 안착되면서 연장부의 연장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헤드부의 내측으로 연장부를 축소시킨 후 헤드부를 고정부쪽으로 회전시키거나, 헤드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장부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헤드부의 고정돌기가 고정부에 안착되면서 헤드부와 연장부의 길이가 축소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헤드부를 고정부가 위치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 후 푸시부를 엄지로 밀어올리게 되면 연장부의 길이가 다시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등에 구비된 연장부(160)의 연장 및 축소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부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으며, 확대도면은 헤드부의 고정돌기(155)가 고정부(162)에 안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예를 보면, 고정돌기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반대로 고정돌기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부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걸림부 또한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장부(160)의 후방 끝단에는 상용AC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소켓(163)이 더 구비될 수 있고, 휴대용으로 사용시 상기 소켓을 덮기 위한 소켓커버(1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켓커버에는 걸이부(165)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걸이부를 통해 본 발명의 조명등이 일정 위치에 걸림고정된 상태에서 조명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00)는 상기 스위치부(110)의 정전비상용(111)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용AC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용AC전원의 공급차단여부를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상용AC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정전이 되는 경우 곧바로 상기 충전부(130)에 저장된 DC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00)는 상기 스위치부(110)의 휴대용(112) 선택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충전부(130)에 저장된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상용AC전원이 DC전원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변환부(120)를 제어하고, 변환된 DC전원이 충전부(130)에 저장되도록 하며, 충전된 DC전원을 통해 조명부(140)의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시 상용AC전원의 공급 차단여부를 감지 후 곧바로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전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전등용 소켓으로부터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랜턴 등이 필요치 않으며, 정전비상용으로 사용시 연장부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전등으로 사용시 사용자와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조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휴대용으로 사용시 연장부를 축소하여 사용이 가능함과 함께, 연장부 축소시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길이의 변동이 자중 또는 자유자재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제어부
110: 스위치부
111: 전등용 112: 휴대용
113: 스위치등 114: off버튼
120: 변환부 130: 충전부
140: 조명부 150: 헤드부
151: 조명창 152: LED램프
153: LED보드 154: 푸시부
155: 고정돌기
160: 연장부
161: 가이드부 162: 고정부
163: 소켓 164: 소켓커버
165: 걸이부 166: 걸림부
110: 스위치부
111: 전등용 112: 휴대용
113: 스위치등 114: off버튼
120: 변환부 130: 충전부
140: 조명부 150: 헤드부
151: 조명창 152: LED램프
153: LED보드 154: 푸시부
155: 고정돌기
160: 연장부
161: 가이드부 162: 고정부
163: 소켓 164: 소켓커버
165: 걸이부 166: 걸림부
Claims (4)
-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선택 가능하도록 스위칭 기능을 갖는 스위치부(110);
상용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변환부(120);
상기 변환부(120)를 통해 DC전원으로 변환된 전력을 저장하는 충전부(130);
정전비상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빛을 발생하는 조명부(140); 및
상기 스위치부(110)의 정전비상용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용AC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용AC전원의 공급차단여부를 감지하여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130)에 저장된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스위치부(110)의 휴대용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부(130)에 저장된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용AC전원이 DC전원으로 변환되도록 변환부를 제어하며, 변환된 DC전원이 충전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충전된 DC전원을 통해 조명부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명부(140)는,
전방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부(150)와,
상기 헤드부(150)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측으로부터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 연장부(1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160)의 후방 끝단에는,
상용AC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소켓(163)이 더 구비되며,
휴대용으로 사용시 상기 소켓을 덮기 위한 소켓커버(164)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160)는,
내부가 속이 빈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충전부(1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장부(160)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부(161)가 1개 이상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부(150)의 내측에는 고정돌기(155)가 1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155)가 상기 연장부의 가이드부(16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고정돌기(155)가 상기 가이드부(161)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부(162)에 안착되면서 상기 연장부의 연장이 방지되고 길이가 축소된 형태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비상용 및 휴대용 조명등.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2961A KR101483399B1 (ko) | 2014-07-23 | 2014-07-23 |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2961A KR101483399B1 (ko) | 2014-07-23 | 2014-07-23 |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3399B1 true KR101483399B1 (ko) | 2015-01-15 |
Family
ID=5258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2961A KR101483399B1 (ko) | 2014-07-23 | 2014-07-23 |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339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8974B1 (ko) * | 2015-03-04 | 2015-09-01 | 허재원 | 정전 상황의 대비를 위한 손전등 겸용 조명등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2130Y1 (ko) * | 2003-04-25 | 2003-08-02 | 장성완 | 휴대용 비상 조명장치 |
KR200433738Y1 (ko) * | 2006-09-13 | 2006-12-12 | (주) 피에스디테크 | 비상점등용 충전수단이 내장된 엘이디 조명등 |
-
2014
- 2014-07-23 KR KR1020140092961A patent/KR1014833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2130Y1 (ko) * | 2003-04-25 | 2003-08-02 | 장성완 | 휴대용 비상 조명장치 |
KR200433738Y1 (ko) * | 2006-09-13 | 2006-12-12 | (주) 피에스디테크 | 비상점등용 충전수단이 내장된 엘이디 조명등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8974B1 (ko) * | 2015-03-04 | 2015-09-01 | 허재원 | 정전 상황의 대비를 위한 손전등 겸용 조명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34004B (zh) | Multi-purpose lighting device | |
JP5284734B2 (ja) | 携帯可能なledランプ | |
KR101186460B1 (ko) | 조명 및 랜턴 겸용 엘이디 램프 및 그 제어방법 | |
CN102022621A (zh) | 提灯装置 | |
KR101483399B1 (ko) |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 | |
US8950887B2 (en) | LED light strip with detachable LED flashlights assembly | |
WO2009011562A2 (en) | Emergency light adapter | |
JP2016219220A (ja) | 照明装置 | |
JP2009097230A (ja) | 照明付き手摺 | |
WO2015079618A1 (ja) | 照明器具 | |
KR101638103B1 (ko) |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 |
KR101887948B1 (ko) | 직류전원 led 조명 장치 | |
JP4654924B2 (ja) | 人体検出型自動スイッチ | |
JPH0520913A (ja) | アダプタ型照明具 | |
JP2012248530A (ja) | Led照明装置 | |
KR101743068B1 (ko) | 랜턴 겸용 led 램프 | |
JP6376489B2 (ja) | 照明器具 | |
KR200408107Y1 (ko) | 연등 점등장치 | |
KR100686699B1 (ko) | 동작감지 기능을 갖는 적외선 스탠드 | |
KR101691990B1 (ko) | 비상램프장치 | |
JP3179025U (ja) | 照明器具 | |
CN210771496U (zh) | 一种智能应急灯泡 | |
JP6340710B2 (ja) | 照明器具 | |
JP6443789B2 (ja) | 照明器具 | |
KR20160033468A (ko) | 랜턴 겸용 led램프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