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103B1 -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 Google Patents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103B1
KR101638103B1 KR1020140094558A KR20140094558A KR101638103B1 KR 101638103 B1 KR101638103 B1 KR 101638103B1 KR 1020140094558 A KR1020140094558 A KR 1020140094558A KR 20140094558 A KR20140094558 A KR 20140094558A KR 101638103 B1 KR101638103 B1 KR 101638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light
lamp
emergency
power sourc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673A (ko
Inventor
류기준
이영빈
Original Assignee
류기준
이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기준, 이영빈 filed Critical 류기준
Priority to KR1020140094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1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전등에 밝기가 다른 두 개의 램프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밝기가 상대적으로 덜 밝은 램프가 점등되어 비상 유도등 기능을 수행하고 정전시에는 밝기가 상대적으로 더 밝은 램프가 함께 점등되어 비상 손전등 기능을 제대로 수행함으로써 신속한 대치를 유도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고 상시전원이 연결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는 손전등; 상기 손전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시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비상전원; 상기 손전등에 설치되고 상기 상시전원 또는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제1램프; 상기 손전등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1램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휘도인 제2램프; 및 상기 손전등에 설치되어 상기 상시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제1램프와 제2램프가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상시전원에 의해 제1램프가 단독으로 점등되고 정전시에는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제1램프와 제2램프가 동시에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Emergency flashlight installed two lamps with different brightness}
본 발명은 비상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전등에 밝기가 다른 두 개의 램프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밝기가 상대적으로 덜 밝은 램프가 점등되어 비상 유도등 기능을 수행하고 정전시에는 밝기가 상대적으로 더 밝은 램프가 함께 점등되어 비상 손전등 기능을 제대로 수행함으로써 신속한 대치를 유도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지하철, 기차, 선박 등의 내부에는 화재 등으로 정전이 일어난 경우 신속하게 비상구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손전등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 손전등에는 정전으로 인한 암흑에도 그 설치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밝을 때 빛을 흡수하여 어두울 때 빛을 방출하는 야광수단 등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야광수단 등은 밝기가 한계가 있으므로 화재로 인하여 연기가 자욱하게 발생한 경우에는 야광수단의 빛이 연기를 투과하지 못하게 되면서 비상 손전등의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상 손전등이 설치되어 있음에 불구하고 사용할 수 없는 무용지물이 되면서 비상구로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을 제대로 달성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하여 연기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밝은 빛을 통해 설치 위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구로의 신속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상 손전등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5071호, 2002.7.29.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정전시 화재로 인하여 연기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밝은 빛을 통해 그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은, 벽면에 설치되고 상시전원이 연결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는 손전등; 상기 손전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시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비상전원; 상기 손전등에 설치되고 상기 상시전원 또는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제1램프; 상기 손전등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1램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휘도인 제2램프; 및 상기 손전등에 설치되어 상기 상시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제1램프와 제2램프가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상시전원에 의해 제1램프가 단독으로 점등되고 정전시에는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제1램프와 제2램프가 동시에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전등의 단부에는,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손전등이 상기 거치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설치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부의 내부 양측에는, 분실방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의 양측에는, 상기 상시전원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작동되면서 상기 분실방지홈(130)에 삽입되는 분실방지핀이 각각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손전등이 상기 거치대에서 분리되지 않고 정전시에는 상기 손전등이 상기 거치대에서 분리 가능하게 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전원은, 배터리, 대용량 커패시터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평상시에는 상대적으로 저휘도의 빛을 발광하여 일반적인 비상 유도등으로 기능을 하는 반면에 정전으로 인하여 정전 상황에서 화재에 따른 연기로 자욱한 비상시에는 상대적으로 고휘도의 빛을 발광하여 설치위치가 용이하게 파악되도록 하여 비상 손전등으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정전시에는 손전등이 거치대에서 분리 가능하게 되지만 상시전원이 인가되는 평상시에는 분실방지수단에 의해 손전등이 거치대에서 분리되지 않아 손전등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면과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정면과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전등의 정면과 배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은, 건물, 지하철, 기차, 선박 등의 내부 벽면에 고정된 거치대에 설치되어 정전으로 인한 암흑 상황에서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주위를 밝혀주는 소방안전기구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은, 정전시 화재로 인해 연기가 자욱하여 시야 확보가 어려운 비상 상황 속에서도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 안내등으로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벽면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전등과, 상기 손전등에 설치되고 밝기가 서로 다른 제1램프와 제2램프를 포함하되, 평상시에는 밝기가 상대적으로 덜 밝은 상기 제1램프만이 상시전원에 의해 점등되고, 정전시에는 상기 제1램프와 함께 밝기가 상대적으로 더 밝은 상기 제2램프가 비상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정전이 일어난 상황에서는 제1램프와 제2램프가 동시에 점등됨에 따라 화재로 인해 연기가 자욱하여 시인성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제2램프의 밝은 빛을 통해 손전등의 설치위치가 용이하게 파악됨으로써 손전등을 사용하여 주변을 밝히면서 신속하게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정전이 아닌 상황에서는 손전등이 거치대에서 분리되지 않고 제1램프만이 점등되어 하방을 밝게 비춤으로써 비상구로 안내하는 일반적인 비상 유도등으로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면과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정면과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전등의 정면과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 손전등(200), 비상전원(300), 제1램프(400), 제2램프(500) 및 전원제어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거치대(100)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손전등(200)이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시전원을 손전등(200)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거치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0)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11)이 천공되며, 상기 지지부(120)에는 상시전원과 연결되는 공급단자(121)가 설치된다.
단, 상기 공급단자(121)의 전단에는 교류전원인 상시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제1램프(400)와 비상전원(300) 및 전원제어기(600)로 전원을 공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기(70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손전등(200)은, 단부가 거치대(100)의 지지부(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비상 유도등 기능을 하고 정전시에는 비상 유도등과 비상 손전등 기능을 겸하는 구성이다.
이때 손전등(200)의 단부에는 결합돌부(210)가 돌출 형성되고 거치대(100)의 지지부(120)에는 상기 결합돌부(210)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부(122)가 형성된다. 즉, 손전등(200)은 거치대(100)의 지지부(1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결합돌부(210)의 하면에는 거치대(100)의 공급단자(121)와 연결되어 상시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자(211)가 설치된다. 따라서 손전등(200)이 거치대(100)에 결합될 때 손전등(200)의 입력단자(211)와 거치대(100)의 공급단자(121)가 상호 접촉되면서 상시전원이 손전등(200)으로 인가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비상전원(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전등(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입력단자(211)와 연결되어 상시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구성이다.
이때 비상전원(300)은 상시전원을 충전하여 일정시간 동안 손전등(2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는 배터리, 고용량 커패시터 중의 하나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램프(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전등(200)에 설치되어 상시전원 또는 비상전원(300)을 전원으로 사용하여 점등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램프(400)는 입력단자(211)와 함께 비상전원(300)의 출력단자에 동시에 연결된다. 단, 제1램프(400)는 제2램프(5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밝기가 덜 밝은 저휘도 램프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램프(400)는 전기에너지로 작동하여 빛을 내는 다양한 발광수단으로 구성 가능하지만, 에너지효율 면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엘이디(LED)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램프(500)는, 도 3과 같이 손전등(200)에 설치되어 비상전원(300)을 전원으로 이용하여 점등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램프(500)는 비상전원(300)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단, 제2램프(500)는 상기 제1램프(4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밝기가 더 밝은 고휘도 램프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램프(500)도 전기에너지로 작동하여 빛을 내는 다양한 발광수단으로 구성 가능하지만, 에너지 측면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엘이디(LED)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원제어기(600)는, 손전등(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시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제1램프(400)와 제2램프(500)가 비상전원(300)을 전원으로 이용하여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전원제어기(600)는 입력단자(211)와 비상전원(300)과 제1램프(400) 및 제2램프(500)의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단자(211)를 통해 인가되는 상시전원이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감지되는 상시전원의 유무에 따라 제1램프(400)를 상시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제1램프(400)와 제2램프(500)를 비상전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즉, 상시전원이 인가되는 평상시에는 제1램프(400)가 점등되도록 제어하여 비상 유도등으로 기능을 하도록 하고 상시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정전시에는 제1램프(400)와 제2램프(500)가 동시에 점등되도록 제어하여 비상 손전등으로 기능을 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에는 손전등(20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도 포함된다.
즉, 거치대(100)의 결합홈부(122)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분실방지홈(130)과, 손전등(200)의 결합돌부(210)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분실방지홈(130)에 삽입되는 분실방지핀(220)을 더 포함한다.
단, 상기 분실방지핀(220)은 전원이 인가되면 직선 운동하는 솔레노이드 구조로 구성되어 상시전원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분실방지홈(130)에 삽입됨에 따라 손전등(200)이 거치대(100)에서 분리되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상시전원이 인가되는 평상시에는 분실방지핀(220)이 작동하면서 손전등(200)이 거치대(100)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여 분실을 방지하게 되고, 상시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정전시에는 분실방지핀(220)이 작동되지 않으면서 손전등(200)이 거치대(100)에서 자유롭게 분리되도록 하여 비상 손전등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손전등(20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구조와 반대로 분실방지핀(220)이 거치대(100)의 결합홈부(122)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분실방지홈(130)이 손전등(200)의 결합돌부(21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은, 평상시에는 상시전원에 의해 상대적으로 저휘도인 제1램프가 점등되어 도난 방지 기능을 유지하면서 비상 유도등 기능을 할 수 있게 되고, 정전시에는 비상전원에 의해 제1램프와 함께 상대적으로 고휘도인 제2램프가 동시에 점등되어 비상 유도등 기능은 물론이고 연기가 심하여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파악 가능하게 하여 비상 손전등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거치대
110: 고정부
111: 고정홀
120: 지지부
121: 공급단자
122: 결합홈부
130: 분실방지홈
200: 손전등
210: 결합돌부
211: 입력단자
220: 분실방지핀
300: 비상전원
400: 제1램프
500: 제2램프
600: 전원제어기
700: 전원공급기

Claims (4)

  1. 벽면에 설치되고 상시전원이 연결되는 거치대(100);
    상기 거치대(100)에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는 손전등(200);
    상기 손전등(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시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비상전원(300);
    상기 손전등(200)에 설치되고 상기 상시전원 또는 상기 비상전원(300)에 의해 작동되는 제1램프(400);
    상기 손전등(200)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전원(300)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1램프(4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휘도인 제2램프(500); 및
    상기 손전등(200)에 설치되어 상기 상시전원이 제1램프(400)로 인가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상시전원이 인가될 상기 제1램프(400)가 상시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시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제1램프(400)와 제2램프(500)가 비상전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상시전원에 의해 제1램프(400)가 단독으로 점등되어 비상유도등으로의 기능을 하고 정전시에는 상기 비상전원(300)에 의해 제1램프(400)와 제2램프(500)가 동시에 점등되어 비상손전등으로의 기능을 하되,
    상기 손전등(200)의 단부에는 결합돌부(2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10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부(210)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손전등(200)이 상기 거치대(1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결합홈부(122)의 내부 양측에는 분실방지홈(13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210)의 양측에는 상기 상시전원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작동되면서 상기 분실방지홈(130)에 삽입되는 분실방지핀(220)이 각각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손전등(200)이 상기 거치대(1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정전시에는 상기 손전등(200)이 상기 거치대(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원(300)은,
    배터리, 대용량 커패시터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KR1020140094558A 2014-07-25 2014-07-25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KR101638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58A KR101638103B1 (ko) 2014-07-25 2014-07-25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58A KR101638103B1 (ko) 2014-07-25 2014-07-25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73A KR20160012673A (ko) 2016-02-03
KR101638103B1 true KR101638103B1 (ko) 2016-07-08

Family

ID=5535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558A KR101638103B1 (ko) 2014-07-25 2014-07-25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695A (ko) 2017-01-13 2018-07-23 (주)위너에코텍 손전등 겸용 조명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245B1 (ko) * 2022-03-21 2023-02-14 (주)나라기술단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699B2 (ja) * 1996-10-21 2001-07-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レーザレーダの取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038B2 (ja) * 1989-12-21 1995-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ー装置
KR20030018524A (ko) * 2001-08-30 2003-03-06 장성완 비상등을 겸한 휴대용 랜턴
KR200285071Y1 (ko) 2002-05-13 2002-08-13 (주)리더스테크 거치형 비상손전등
KR20100132156A (ko) * 2009-06-09 2010-12-17 김태화 Led 비상 유도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699B2 (ja) * 1996-10-21 2001-07-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レーザレーダの取付け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695A (ko) 2017-01-13 2018-07-23 (주)위너에코텍 손전등 겸용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73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WO2009118796A1 (ja) 表示灯及び表示灯の発光方法
CN203463952U (zh) 小夜灯
KR20110003107U (ko) 비상구 안내 기능을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101638103B1 (ko)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KR20150029116A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KR100908073B1 (ko) 피난문 손잡이 유도조명장치
JP3172228U (ja) 便利に使用できる移動式led応急灯管
CN202145575U (zh) 应急照明充电座
JP2009097230A (ja) 照明付き手摺
KR101118095B1 (ko) 비상조명 광고판
TW431999B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rticles under an atmosphere
TWI494021B (zh) 照明系統及照明驅動方法
JP6241730B2 (ja) 照明器具
KR101206469B1 (ko) Led 조명장치
JP2012247845A (ja) 誘導灯装置及び誘導灯システム
JP5454912B2 (ja) 照明装置
KR101451077B1 (ko) 비상시 휴대가 용이한 조명기구
KR101483399B1 (ko) 정전비상용 및 휴대 겸용 조명등
JP3179731U (ja) 避難経路表示装置
KR102594070B1 (ko) 소화기용 비상 led 램프
KR20120124562A (ko) 연기투사용 비상조명등
KR101899491B1 (ko) 조명장치
KR101691990B1 (ko) 비상램프장치
JP3163865U (ja) Led誘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