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148B1 -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 Google Patents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3148B1 KR102033148B1 KR1020180084841A KR20180084841A KR102033148B1 KR 102033148 B1 KR102033148 B1 KR 102033148B1 KR 1020180084841 A KR1020180084841 A KR 1020180084841A KR 20180084841 A KR20180084841 A KR 20180084841A KR 102033148 B1 KR102033148 B1 KR 1020331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 support
- rail
- bar
- sto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61H2003/0283—Shock absorbers therefor using elastomeric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고무줄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다리가 불편한 사용자(환자)가 다리를 지탱하는데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보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는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는 상단 지지부(Top Supporter), 상기 상단 지지부에 연결수단(Connecting Means)에 의해 스윙(Swing)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단 지지부(Middle Supporter), 상기 상단 지지부와 상기 중단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 1 탄성부(First Elastic Part), 상기 중단 지지부에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단 지지부(Bottom Supporter), 상기 중단 지지부와 상기 하단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 2 탄성부(Second Elastic Part) 및 상기 하단 지지부에 연결되는 말단부분(Terminal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고무줄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다리가 불편한 사용자(환자)가 다리를 지탱하는데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보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는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는 상단 지지부(Top Supporter), 상기 상단 지지부에 연결수단(Connecting Means)에 의해 스윙(Swing)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단 지지부(Middle Supporter), 상기 상단 지지부와 상기 중단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 1 탄성부(First Elastic Part), 상기 중단 지지부에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단 지지부(Bottom Supporter), 상기 중단 지지부와 상기 하단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 2 탄성부(Second Elastic Part) 및 상기 하단 지지부에 연결되는 말단부분(Terminal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고무줄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다리가 불편한 사용자(환자)가 다리를 지탱하는데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보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조 보행 장치는 보행이 불편한 다리 부상 환자의 거동 및 재활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부상 등의 원인으로 인해 다리가 불편한 사용자는 보행을 위해서는 목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목발을 위해 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할 수 있다. 아울러, 보행 시에 충격이 사용자의 다리에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의 보행을 돕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5-0084361호(문헌 1)에서는 보조 보행 장치에 스프링(Spring)을 무릎 뒤편 위치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에서는 보행 시 충격이 다리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736193호(문헌 2)에서도 사용자가 무릎을 굽혔다가 펴는 상황에서 적은 힘으로도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보행 장치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문헌 2의 보조 보행 장치는 과도하게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보행 시 충격이 다리에 전달되는 것을 충분히 차단하는 기술적 구성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고무줄과 같은 탄성 재료를 이용하여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는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는 상단 지지부(Top Supporter), 상기 상단 지지부에 연결수단(Connecting Means)에 의해 스윙(Swing)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단 지지부(Middle Supporter), 상기 상단 지지부와 상기 중단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 1 탄성부(First Elastic Part), 상기 중단 지지부에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단 지지부(Bottom Supporter), 상기 중단 지지부와 상기 하단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 2 탄성부(Second Elastic Part) 및 상기 하단 지지부에 연결되는 말단부분(Terminal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부 및 상기 제 2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고무줄이고, 상기 제 1 탄성부의 탄성률은 상기 제 2 탄성부의 탄성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지지부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일단이 걸리는 제 1 걸림부(First Hang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단이 걸리는 제 2 걸림부(Second Hang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제 2 걸림부가 이동할 수 있는 제 1 중단 레일(First Middle Ra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단 레일은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art) 및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과 상기 제 1 걸림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수단과 상기 제 2 부분의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제 2 탄성부의 일단이 걸리는 제 3 걸림부(Third Hang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지지부는 상기 제 2 탄성부의 타단이 걸리는 제 4 걸림부(Fourth Hang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제 4 걸림부가 상하왕복운동할 수 있는 제 2 중단 레일(Second Middle Ra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 지지부는 상기 제 3 걸림부가 상하왕복운동할 수 있는 하단 레일(Bottom Ra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단 레일의 길이와 상기 하단 레일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는 고무줄과 같은 탄성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양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4는 상단부분과 중단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1은 중단부분과 하단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4는 상단부분과 중단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1은 중단부분과 하단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보행 장치(100A)는 상단부분(Top Part, 1), 상단부분(1)에 연결되는 중단부분(Middle Part, 2), 중단부분(2)에 연결되는 하단부분(Bottom Part, 3) 및 하단부분(3)에 연결되는 말단부분(Terminal Part, 4)을 포함할 수 있다.
중단부분(2)은 상단부분(1)과 하단부분(3)의 사이에 위치하고, 하단부분(3)은 중단부분(2)과 말단부분(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단부분(1)은 사용자의 다리의 허벅지 부분에 대응되는 상단 지지부(Top Supporter, 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단부분(1)은 사용자의 다리의 허벅지를 받쳐서 고정하는 허벅지 고정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벅지 고정부(19)는 상단 지지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단 지지부(10)의 형상이 허벅지 뒤편까지 확장되는 경우에는 허벅지 고정부(19)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중단부분(2)은 사용자의 다리의 종아리 부분에 대응되는 중단 지지부(Middle Supporter, 20)를 포함할 수 있다.
중단부분(2)은 상단 지지부(10)가 허용범위를 넘어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속부(28) 및/또는 사용자의 다리의 무릎을 받쳐서 고정하는 무릎 고정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중단부분(2)은 사용자의 다리의 발목이 걸리는 발목 고정부(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목 고정부(39)는 중단 지지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하단부분(3)은 사용자의 발 부분에 대응되는 하단 지지부(Bottom Supporter, 30)를 포함할 수 있다.
말단부분(4)은 하단 지지부(30)와의 연결을 위한 말단 연결부(41)와 말단 연결부(41)에 연결되는 완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 지지부(30)의 형상 변형에 따라 말단 연결부(41)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완충부(40)는 지면과 맞닿는 부분으로 그 끝단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이 있는 재료, 예컨대 고무재질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보행 장치(100A)를 도 3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다리(200A)가 보조 보행 장치(100A)를 착용한 경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단부분(1)과 중단부분(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4는 상단부분과 중단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상단 지지부(10)는 제 1 상단 바(First Top Bar, 10a), 제 2 상단 바(Second Top Bar, 10b), 제 3 상단 바(Third Top Bar, 10c), 제 4 상단 바(Fourth Top Bar, 10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4에서는 허벅지 고정부(19)와 무릎 고정부(29)의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상단 바(10a)와 제 2 상단 바(10b)는 서로 연결되어 우측 상단 지지부(부호 미지정)를 구성하고, 제 3 상단 바(10c)와 제 4 상단 바(10d)는 서로 연결되어 좌측 상단 지지부(부호 미지정)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2, 3, 4 상단 바(10a, 10b, 10c, 10d)에는 각각 상단 홀(11h)과 상단 연결 홀(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 홀(11h)은 제 1 걸림부(First Hanging Part, 11)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걸림부(11)는 제 1 수나사부(11a)와 제 1 암나사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나사부(11a)는 제 1 상단 바(10a)와 제 2 상단 바(10b)의 상단 홀(11h)을 관통하여 제 1 암나사부(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단 바(10a)와 제 2 상단 바(10b)를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수나사부(11a)는 제 3 상단 바(10c)와 제 4 상단 바(10d)의 상단 홀(11h)을 관통하여 제 1 암나사부(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상단 바(10c)와 제 4 상단 바(10d)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제 1 걸림부(11), 연결수단(Connecting Means, CM), 제 2 걸림부(Second Hanging Part, 22), 제 3 걸림부(Third Hanging Part, 24) 및 제 4 걸림부(Fourth Hanging Part, 31)는 각각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제 1 걸림부(11), 연결수단(CM), 제 2 걸림부(22), 제 3 걸림부(24) 및 제 4 걸림부(31) 중 적어도 하나는 리벳, 핀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연결수단(CM), 제 2 걸림부(22), 제 3 걸림부(24) 및 제 4 걸림부(31)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중단 지지부(20)는 제 1 중단 바(First Middle Bar, 20a), 제 2 중단 바(Second Middle Bar, 20b), 제 3 중단 바(Third Middle Bar, 20c), 제 4 중단 바(Fourth Middle Bar, 2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중단 바(20a)와 제 2 중단 바(20b)는 서로 연결되어 우측 중단 지지부(부호 미지정)를 구성하고, 제 3 중단 바(20c)와 제 4 중단 바(20d)는 서로 연결되어 좌측 중단 지지부(부호 미지정)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2, 3, 4 중단 바(20a, 20b, 20c, 20d)에는 각각 중단 홀(24h), 중단 연결 홀(CMh), 제 1 중단 레일(First Middle Rail, 21) 및 제 2 중단 레일(Second Middle Rail, 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중단 레일(21)은 중단 연결 홀(CMh)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고, 제 2 중단 레일(23)은 제 1 중단 레일(21)에 비해 더 아래에 위치하고, 중단 홀(24h)은 제 2 중단 레일(23)에 비해 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중단 레일(21)은 제 2 걸림부(22)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걸림부(22)는 제 2 수나사부(22a)와 제 2 암나사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나사부(22a)는 제 1 중단 바(20a)와 제 2 중단 바(20b)의 제 1 중단 레일(21)을 관통하여 제 2 암나사부(22b)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나사부(22a)는 제 3 중단 바(20c)와 제 4 중단 바(20d)의 제 1 중단 레일(21)을 관통하여 제 2 암나사부(22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걸림부(22)는 제 1 중단 레일(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중단 연결 홀(CMh)은 연결수단(CM)에 대응될 수 있다.
연결수단(CM)은 상단 지지부(10)와 중단 지지부(20)를 스윙(Swing)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수단(CM)은 상단 지지부(10), 중단 지지부(20) 및 단속부(28)를 함께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상단 지지부(10)와 중단 지지부(20)는 스윙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수단(CM)은 연결 수나사부(CMa)와 연결 암나사부(CMb)를 포함할 수 있다.
단속부(28)에는 단속홀(28h)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상단 지지부와 우측 중단 지지부의 연결부분에 대해서, 연결 수나사부(CMa)는 단속부(28)의 단속홀(28h), 제 2 중단 바(20b)의 중단 연결 홀(CMh), 제 2 상단 바(10b)의 상단 연결 홀(18), 제 1 상단 바(10a)의 상단 연결 홀(18), 제 1 중단 바(20a)의 중단 연결 홀(CMh), 단속부(28)의 다른 단속홀(28h)을 관통하여 연결 암나사부(CMb)에 연결될 수 있다.
좌측 상단 지지부와 좌측 중단 지지부의 연결부분에 대한 내용은 우측 상단 지지부와 우측 중단 지지부의 연결부분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살펴보면, 제 1 걸림부(11)는 제 1 롤러부(First Roller Part, 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롤러부(12)는 제 1 수나사부(11a)가 관통하는 제 1 롤러홀(12h)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나사부(11a)는 제 2 상단 바(10b)의 상단 홀(11h), 제 1 롤러부(12)의 제 1 롤러홀(12h), 제 1 상단 바(10a)의 상단 홀(11h)을 관통하여 제 1 암나사부(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롤러부(12)는 제 1 수나사부(11a)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탄성을 가진 탄성부(Elastic Part)의 일단은 제 1 롤러부(12)에 걸릴 수 있다. 탄성부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롤러부(12)는 탄성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롤러부(12)는 탄성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걸림부(11)의 재질보다는 무른 재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단 지지부(10)가 제 1, 2, 3, 4 상단 바(10a, 10b, 10c, 10d)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제 1 상단 바(10a)와 제 2 상단 바(10b)가 일체화되어 우측 상단 지지부(10e)를 형성할 수 있다.
우측 상단 지지부(10e)는 제 1 상단 바(10a)의 일측 끝단과 제 2 상단 바(10b)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단면이 일측이 열린(Open) 알파벳 유(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좌측 상단 지지부(10f)는 우측 상단 지지부(10e)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살펴보면, 무릎 고정부(29)는 단속부(28)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릎 고정부(29)는 단속부(28)에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단속부(28)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릎 고정부(29)는 단속부(28)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는, 무릎 고정부(29)가 단속부(28)에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무릎 고정부(29)는 중단 지지부(20)에 연결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연결수단(CM)은 연결 롤러부(Connection Roller Part, 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롤러부(27)는 연결 수나사부(CMa)가 관통하는 연결 롤러홀(27h)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 롤러부(27)는 두 개의 상단 바(10a, 10b, 10c, 10d)의 상단 연결 홀(18)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 롤러부(27)는 연결 수나사부(CMa)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탄성을 가진 탄성부는 연결 롤러부(27)에 밀착하여 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걸림부(22)는 제 2 롤러부(Second Roller Part, 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롤러부(25)는 제 2 수나사부(22a)가 관통하는 제 2 롤러홀(25h)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나사부(22a)는 제 2 중단 바(20b)의 제 1 중단 레일(21), 제 2 롤러부(25)의 제 2 롤러홀(25h), 제 1 중단 바(20a)의 제 1 중단 레일(21)을 관통하여 제 2 암나사부(22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롤러부(25)는 제 2 수나사부(22a)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탄성을 가진 탄성부의 타단은 제 2 롤러부(25)에 걸릴 수 있다.
제 2 롤러부(25)는 탄성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탄성을 가진 제 1 탄성부(First Elastic Part, 50)의 일단은 상단 지지부(10)의 제 1 걸림부(11)에 결리고, 제 1 탄성부(50)의 타단은 중단 지지부(20)의 제 2 걸림부(22)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제 1 탄성부(50)는 상단 지지부(10)와 중단 지지부(20)를 연결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제 1 탄성부(50)와 이하에서 설명될 제 2 탄성부(6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0) 및 제 2 탄성부(60) 중 적어도 하나는 고무줄일 수 있다.
제 1 탄성부(50)는 하나의 고무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의 고무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고무줄을 이용하여 제 1 탄성부(5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 1 탄성부(50)의 탄성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탄성부(50)는 단속부(28)와 연결수단(CM)의 사이 공간을 지날 수 있다.
제 1 탄성부(50)는 줄어드는 힘으로 인해 상단 지지부(10)와 중단 지지부(20)가 일자로 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B)의 상태에서는 제 1 탄성부(50)에 의해 도 9의 (A)와 같은 상태로 회귀하려는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의 보조 보행 장치(100A)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쉽게 일어설 수 있다.
단속부(28)는, 도 9의 (A)와 같이, 상단 지지부(10)가 기준라인(Reference Line, RL)을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단 지지부(10)가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속부(28)는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B)와 같이,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는 경우에는 연결수단(CM)의 회전에 따라 단속부(28)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중단 지지부(20)는 단속부(28)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단속부(28)가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 ST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STP)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걸림부(22)를 제 1 중단 레일(21)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보행 장치(100A)의 모드(Mode)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1 및 도 12를 살펴보면, 제 1 중단 레일(21)은 제 1 부분(First Part, 21a)과 제 2 부분(Second Part, 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21a)은, 도 12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으로 연장되고, 제 2 부분(21b)은 제 1 부분(21a)과 연결되며 제 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부분(21a)은 제 2 부분(21b)보다 연결수단(CM)에 더 근접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중단 레일(21)은 꺾어진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걸림부(22)가 제 1 중단 레일(21)의 제 1 부분(21a)에 위치하는 상태(도 11의 (A))에서, 제 2 걸림부(22)를 제 1 중단 레일(21)의 제 2 부분(21b)으로 이동(도 11의 (B))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손으로 제 2 걸림부(22)를 잡고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의 (A)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보조 보행 장치(100A)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구부리거나 펼 수 있다. 이러한 도 11의 (A)는 평상 타입(Normal Type)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1의 (B)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 1 탄성부(50)의 길이가 확장되어 무릎이 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조 보행 장치(100A)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펼 수 있어서 계단 등을 오르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1의 (B)는 오르막 타입(Ascent Type)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면의 상태, 컨디션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제 2 걸림부(22)의 위치를 도 11의 (A), (B)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보조 보행 장치(100A)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50)의 탄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연결수단(CM)과 제 1 걸림부(11) 사이의 거리(d1)는 연결수단(CM)과 제 2 부분(21b)의 끝단 사이의 거리(d2)보다 긴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2의 (A)를 살펴보면, 중단 지지부(20)의 길이방향을 X축이라 할 때, 제 2 부분(21b)의 진행방향, 즉 제 2 방향(DR2)은 대략 직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중단 레일(21)의 제 1 부분(21a)의 진행방향, 즉 제 1 방향(DR1)은 제 1 부분(21a)의 중심라인(CL1)이 향하는 방향이고, 제 2 부분(21b)의 진행방향, 즉 제 2 방향(DR2)은 제 2 부분(21b)의 중심라인(CL2)이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는, 도 12의 (B)와 같이, X축과 제 2 부분(21b)의 중심라인(CL2)이 이루는 각(θ1)이 예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걸림부(22)가 제 2 부분(21b)에 위치하는 경우에 안정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제 1 걸림부(21)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A)와 같이, 제 1 중단 레일(21)의 방향이 도 12의 (A)의 경우와 비교해서 반대일 수 있다.
또는, 도 13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중단 레일(21)은 제 1 부분(21a), 제 1 부분(21a)과 교차하는 제 2 부분(21b), 제 1 부분(21a)과 교차하며 제 2 부분(21b)과 나란한 제 3 부분(21c), 제 1 부분(21a)과 교차하며 제 3 부분(21c)과 나란한 제 4 부분(21d), 제 1 부분(21a)과 교차하며 제 4 부분(21d)과 나란한 제 5 부분(21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탄성부(5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보조 보행 장치(100A)의 모드를 더욱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중단 지지부(20)가 제 1, 2, 3, 4 중단 바(20a, 20b, 20c, 20d)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같이, 제 1 중단 바(20a)와 제 2 중단 바(20b)가 일체화되어 우측 중단 지지부(20e)를 형성할 수 있다.
우측 중단 지지부(20e)는 제 1 중단 바(20a)의 일측 끝단과 제 2 중단 바(20b)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단면이 일측이 열린 알파벳 유(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좌측 중단 지지부(20f)는 우측 중단 지지부(20e)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중단부분(2)과 하단부분(3)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21은 중단부분과 하단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살펴보면, 하단 지지부(30)는 중단 지지부(20)에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하단 지지부(30)는 제 1 하단 바(First Bottom Bar, 30a), 제 2 하단 바(Second Bottom Bar, 30b), 제 3 하단 바(Third Bottom Bar, 30c), 제 4 하단 바(Fourth Bottom Bar, 3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단 바(30a)와 제 2 하단 바(30b)는 서로 연결되어 우측 하단 지지부(부호 미지정)를 구성하고, 제 3 하단 바(30c)와 제 4 하단 바(30d)는 서로 연결되어 좌측 하단 지지부(부호 미지정)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2, 3, 4 하단 바(30a, 30b, 30c, 30d)에는 각각 하단 홀(31h)과 하단 레일(Bottom Rail, 3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단 레일(32)은 하단 홀(31h)보다 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중단 홀(24h)과 하단 레일(32)은 제 3 걸림부(24)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걸림부(24)는 제 3 수나사부(24a)와 제 3 암나사부(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수나사부(24a)는 제 3 중단 바(20c)와 제 4 중단 바(20d)의 중단홀(24h)과 제 3 하단 바(30c)와 제 4 하단 바(30d)의 하단 레일(32)을 관통하여 제 3 암나사부(24b)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 3 수나사부(24a)는 제 1 중단 바(20a)와 제 2 중단 바(20b)의 중단홀(24h)과 제 1 하단 바(30a)와 제 2 하단 바(30b)의 하단 레일(32)을 관통하여 제 3 암나사부(24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3 걸림부(24)는 하단 레일(32)을 따라 이동(상하왕복운동)할 수 있다.
제 2 중단 레일(23)과 하단홀(31h)은 제 4 걸림부(31)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 4 걸림부(31)는 제 4 수나사부(31a)와 제 4 암나사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수나사부(31a)는 제 1 중단 바(20a)와 제 2 중단 바(20b)의 제 2 중단 레일(23)과 제 1 하단 바(30a)와 제 2 하단 바(30b)의 하단홀(31h)을 관통하여 제 4 암나사부(31b)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 4 수나사부(31a)는 제 3 중단 바(20c)와 제 4 중단 바(20d)의 제 2 중단 레일(23)과 제 3 하단 바(30c)와 제 4 하단 바(30d)의 하단홀(31h)을 관통하여 제 4 암나사부(31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4 걸림부(31)는 제 2 중단 레일(23)을 따라 이동(상하왕복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중단 레일(23)의 길이(d3)와 하단 레일(32)의 길이(d4)는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 3 걸림부(24)와 제 4 걸림부(31)에는 각각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제 3 걸림부(24)는 제 3 롤러부(Third Roller Part, 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롤러부(26)는 제 3 수나사부(24a)가 관통하는 롤러홀(부호 미지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4 걸림부(31)는 제 4 롤러부(Fourth Roller Part, 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4 롤러부(33)는 제 4 수나사부(31a)가 관통하는 롤러홀(부호 미지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롤러부(26) 및 제 4 롤러부(33)의 설치 방법은 앞서 제 1 롤러부(12), 제 2 롤러부(25) 및 연결 롤러부(27)의 설명을 통해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중단 지지부(20)와 하단 지지부(30)를 연결하는 제 2 탄성부(Second Elastic Part, 60)의 일단은 제 3 걸림부(24)에 걸리고, 제 2 탄성부(60)의 타단은 제 4 걸림부(33)에 걸릴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탄성부(60)의 일단은 제 3 걸림부(24)의 제 3 롤러부(26)에 걸리고, 제 2 탄성부(60)의 타단은 제 4 걸림부(31)의 제 4 롤러부(33)에 걸릴 수 있다.
제 2 탄성부(60)에 힘이 가해지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약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도 18의 (A), (B)와 같이 제 2 탄성부(60)가 수축하여 제 3 걸림부(24)와 제 4 걸림부(31) 사이의 거리가 근접할 수 있다.
도 18과 같은 경우는 사용자가 보조 보행 장치(100A)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조 보행 장치(100A)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다리를 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보조 보행 장치(100A)가 지면에 닿는 등의 이유로 인해 제 2 탄성부(60)에 힘이 가해지면, 도 19의 (A), (B)와 같이 제 2 탄성부(60)의 길이가 확장될 수 있다.
이처럼, 제 2 탄성부(60)가 확장하면서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보행중인 사용자의 보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중단 레일(23) 및 하단 레일(32)의 길이, 제 2 중단 레일(23)과 중단홀(24h) 사이의 거리, 하단 레일(32)과 하단홀(31h) 사이의 거리는 보행중 사용자의 발이 말단부분(4)에 닿지 않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보행 장치(100A)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조 보행 장치(100A)가 지면에 닿아 제 2 탄성부(60)에 힘이 가해지면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탄성부(60)가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3 걸림부(24)와 제 4 걸림부(32)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제 2 탄성부(60)가 최대한 확장했을 경우(제 3 걸림부(24)와 제 4 걸림부(32) 사이의 거리가 치대인 경우)에도 사용자의 발이 말단부분(1)(혹은 말단 연결부(41))에 닿지 않도록 소정거리(g1)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탄성부(60)가 충분히 큰 중량을 버틸 수 있도록 탄성률을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탄성부(50)의 탄성률은 제 2 탄성부(60)의 탄성률보다 클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탄성부(50)와 제 2 탄성부(60)가 복수의 고무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2 탄성부(60)의 고무줄이 제 1 탄성부(50)의 고무줄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하단 지지부(30)가 제 1, 2, 3, 4 하단 바(30a, 30b, 30c, 30d)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의 경우와 같이, 제 1 하단 바(30a)와 제 2 하단 바(30b)가 일체화되어 우측 하단 지지부(30e)를 형성할 수 있다.
우측 하단 지지부(30e)는 제 1 하단 바(30a)의 일측 끝단과 제 2 하단 바(30b)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단면이 일측이 열린 알파벳 유(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좌측 하단 지지부(30f)는 우측 하단 지지부(30e)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100A)는 값싸고 단순한 고무줄 등의 탄성재료를 이용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하게 하며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고무줄 등의 탄성재료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사용자는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도 효과적인 보행이 가능할 수 있다.
보행의 편리함을 더하기 위해 벨트(Belt) 형태의 고정수단을 더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는 상단 지지부(Top Supporter);
상기 상단 지지부에 연결수단(Connecting Means)에 의해 스윙(Swing)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단 지지부(Middle Supporter);
상기 상단 지지부와 상기 중단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 1 탄성부(First Elastic Part);
상기 중단 지지부에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단 지지부(Bottom Supporter);
상기 중단 지지부와 상기 하단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 2 탄성부(Second Elastic Part); 및
상기 하단 지지부에 연결되는 말단부분(Terminal Part);
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지지부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일단이 걸리는 제 1 걸림부(First Hang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단이 걸리는 제 2 걸림부(Second Hang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제 2 걸림부가 이동할 수 있는 제 1 중단 레일(First Middle Ra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단 레일은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art) 및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art)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연결수단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연결수단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더 작고,
상기 제 1 탄성부는 상기 제 2 걸림부가 상기 제 2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에서 상기 제 2 걸림부가 상기 제 1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더 연장되는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부 및 상기 제 2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고무줄이고,
상기 제 1 탄성부의 탄성률은 상기 제 2 탄성부의 탄성률보다 큰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과 상기 제 1 걸림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수단과 상기 제 2 부분의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 긴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제 2 탄성부의 일단이 걸리는 제 3 걸림부(Third Hang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지지부는 상기 제 2 탄성부의 타단이 걸리는 제 4 걸림부(Fourth Hang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제 4 걸림부가 상하왕복운동할 수 있는 제 2 중단 레일(Second Middle Ra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 지지부는 상기 제 3 걸림부가 상하왕복운동할 수 있는 하단 레일(Bottom Ra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단 레일의 길이와 상기 하단 레일의 길이는 동일한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4841A KR102033148B1 (ko) | 2018-07-20 | 2018-07-20 |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4841A KR102033148B1 (ko) | 2018-07-20 | 2018-07-20 |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3148B1 true KR102033148B1 (ko) | 2019-10-16 |
Family
ID=6842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4841A KR102033148B1 (ko) | 2018-07-20 | 2018-07-20 |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31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7390B1 (ko) * | 2021-03-24 | 2021-12-08 | 이춘식 | 하지용 보행 보조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7664A (ko) * | 2010-11-04 | 2012-05-14 | 유한회사 큐리더 | 재활용 하체 보조기구 |
JP2012100983A (ja) * | 2010-11-12 | 2012-05-31 | Toyota Motor Corp | 歩行支援装置 |
JP2015084361A (ja) | 2013-10-25 | 2015-04-30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半導体素子 |
CN106109181A (zh) * | 2016-05-03 | 2016-11-16 | 袁博 | 一种复位外骨骼关节及其外骨骼助力装置 |
KR101703634B1 (ko) * | 2016-05-10 | 2017-02-08 | (재)예수병원유지재단 | 편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훈련 장치 |
KR101736193B1 (ko) | 2017-02-28 | 2017-05-17 | 주식회사 에스코넥 | 보행을 위한 기어형 무동력 보조 보행장치 |
-
2018
- 2018-07-20 KR KR1020180084841A patent/KR1020331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7664A (ko) * | 2010-11-04 | 2012-05-14 | 유한회사 큐리더 | 재활용 하체 보조기구 |
JP2012100983A (ja) * | 2010-11-12 | 2012-05-31 | Toyota Motor Corp | 歩行支援装置 |
JP2015084361A (ja) | 2013-10-25 | 2015-04-30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半導体素子 |
CN106109181A (zh) * | 2016-05-03 | 2016-11-16 | 袁博 | 一种复位外骨骼关节及其外骨骼助力装置 |
KR101703634B1 (ko) * | 2016-05-10 | 2017-02-08 | (재)예수병원유지재단 | 편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훈련 장치 |
KR101736193B1 (ko) | 2017-02-28 | 2017-05-17 | 주식회사 에스코넥 | 보행을 위한 기어형 무동력 보조 보행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7390B1 (ko) * | 2021-03-24 | 2021-12-08 | 이춘식 | 하지용 보행 보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041300A1 (en) |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s | |
US20160346111A1 (en) | Joint support device | |
KR102087484B1 (ko) | 발목 보조장치 | |
KR20130101847A (ko) | 무릎보호대 | |
US20190125613A1 (en) | Walking assistance device | |
KR100780416B1 (ko) | 착용이 간편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 |
KR102033148B1 (ko) | 탄성 재료를 이용한 보조 보행 장치 | |
KR101975493B1 (ko) | 충격완화 보행 보조기 | |
JP6396126B2 (ja) | 下肢装具 | |
JP6475725B2 (ja) | 膝関節用装具 | |
KR102011203B1 (ko) |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 |
CN106625598B (zh) | 一种刚度自动切换的膝关节助力装置 | |
TWI522093B (zh) | 關節支架結構 | |
KR200378573Y1 (ko) | 무릎보호대에 설치되는 무릎보호 및 충격완화장치 | |
KR101829972B1 (ko) |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 |
KR20160130562A (ko) | 퇴행성 관절 및 보행 불편자를 위한 보조기 | |
KR101766201B1 (ko) | 기능성 무릎 보호대 | |
KR102258018B1 (ko) | 무릎밴드조립체 | |
JP4481934B2 (ja) | サポータ | |
TWM542494U (zh) | 加壓型關節護具(一) | |
JP7150299B2 (ja) | 歩行補助具 | |
KR20170133647A (ko) | 파킨슨병 환자용 보행 보조기 | |
CN208582680U (zh) | 一种外骨骼机器人及其脚部支撑部件 | |
JP3199270U (ja) | 膝装具 | |
KR102431035B1 (ko) | 무릎보호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