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972B1 -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 Google Patents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972B1
KR101829972B1 KR1020160022078A KR20160022078A KR101829972B1 KR 101829972 B1 KR101829972 B1 KR 101829972B1 KR 1020160022078 A KR1020160022078 A KR 1020160022078A KR 20160022078 A KR20160022078 A KR 20160022078A KR 101829972 B1 KR101829972 B1 KR 101829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alf
auxiliary
femor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690A (ko
Inventor
김석중
조미라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97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 수술이나 무릎 시술을 받은 환자가 무릎관절의 치료 유지와 안정화를 위하여 무릎 부위에 착용하여 환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는, 대퇴부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대퇴부밀착부(100);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종아리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종아리밀착부(200);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 지지부에 동시에 연결되면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가 이격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부(300);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외면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지면에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지부(400); 상기 보조지지부(400)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외면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를 지지 하는 메인지지부(500); 및 상기 메인지지부(50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EQUIPMENT OF LEG EXERCISES FOR KNEE JOINT PATIENT}
본 발명은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 수술이나 무릎 시술을 받은 환자가 무릎관절의 치료 유지와 안정화를 위하여 무릎 부위에 착용하여 환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무릎 및 무릎관절 등의 무릎 부위의 수술을 받은 환자나 무릎 시술을 받은 환자는 무릎이 안정될 때까지 무릎 관절의 굽힘 운동이나 무릎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해야하고, 무릎이 완전하게 치료되기 전까지는 보행시 무릎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무릎 부위에 수술이나 시술을 받은 환자들은 무릎 관절을 포함하는 무릎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무릎 보조기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무릎관절 보조기는 사고나 격한 운동 등으로 인하여 무릎의 내, 외측 인대가 파손되거나 늘어나는 경우 관절의 굽힘 각도를 제한하여 손상된 인대의 움직을 최소화함으로써 손상된 부위가 빠르게 치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무릎관절 보조기는 무릎 부위의 수술이나 시술을한 환자 이외에도 근력이 약한 노약자나 근력이 저하된 환자 또는 장애인들이 보행의 보조를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보행 보조기로는 손으로 붙잡고 보행하는데 사용되는 지팡이나, 일정 높이의 프레임 상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바퀴가 장착된 보행 훈련기, 그리고 근력이 약화된 관절 부위에 장착하는 관절 보조기 등이 있다.
그런데, 지팡이나 보행 훈련기는 일어선 상태에서 상체의 힘으로 보행을 보조하는 것일 뿐이어서 실질적으로 보행을 돕는데 한계가 있고, 사용자의 상체 근력을 이용하여 보행을 보조하기 때문에 체력의 소모가 커서 단거리 이동에도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특히 이들이 계단을 내려올 때에는, 계단을 밟는 한쪽 다리에 순간적으로 강한 부하가 걸리므로, 사고 예방을위해서는 발바닥 전체가 계단을 확실히 딛도록 하는 한편, 발바닥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더불어, 환자들이나 노약자들이 보행 보조기를 이용하여 보행 시에 회전을 할 경우, 보행 보조기에 의해 오히려 회전 보행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10-2006-006953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는 무릎 부위의 수술이나 시술을 받은 환자들이나 노약자 들의 무릎을 보호하면서 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면서 장거리 보행에도 에너지소비가 최소화 될 수 있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는 무릎 부위의 수술이나 시술을 받은 환자들이나 노약자 들이 무릎을 보호하면서 보행을 돕는 보행 보조기를 착용한 채로 계단이나 장애물에도 원활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는 무릎 부위의 수술이나 시술을 받은 환자들이나 노약자 들이 보행 보조기를 착용한 채로 보행하면서 회전 하거나 보행 방향을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는, 대퇴부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대퇴부밀착부(100);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종아리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종아리밀착부(200);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 지지부에 동시에 연결되면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가 이격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부(300);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외면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지면에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지부(400); 상기 보조지지부(400)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외면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를 지지 하는 메인지지부(500); 및 상기 메인지지부(50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대퇴부 부위에 고정되는 대퇴부밀착부(100)에 의해 대퇴부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 형태의 대퇴부보호쿠션(110)이 포함되고,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고정되는 종아리밀착부(200)에 의해 종아리 부위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 형태의 종아리보호쿠션(210)이 포함된다.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대퇴부경사면(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아리밀착부(2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종아리경사면(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는, 타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띠 형태가 변경 수 있도록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한 부분이 절개되는 대퇴부절개면(130)과, 상기 대퇴부절개면(130)에 연결되어 상기 대퇴부절개면(13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여 대퇴부밀착부(100)의 내경 크기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대퇴부조인트(140)를 포함하고, 상기 종아리밀착부(200)는, 타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의 띠 형태가 변경 수 있도록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의 한 부분이 절개되는 종아리절개면(230)과, 상기 종아리절개면(230)에 연결되어 상기 종아리절개면(23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여 종아리밀착부(200)의 내경 크기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종아리조인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상부편(310)과, 상기 상부편(3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에 연결되는 하부편(320)과,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축(3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은, 상호 겹쳐지는 부위를 조절하여 상기 간격유지부(3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길이조절공(340)과, 상기 길이조절공(340)을 관통한 채로 고정되어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의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길이조절핀(35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지지부(4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막대형태의 한 쌍의 보조지지봉(410)과,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지면에 직접 닿는 지지판(420)과,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상기 보조지지봉(410)이 회전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보조회전체(43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회전체(43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보조회전볼(432)과, 상기 보조지지봉(410)에 음각형성되어 보조회전볼(432)을 감싸면서 상기 보조지지봉(410)이 대퇴부밀착부(10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회전홈(434)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지지봉(410)과 지지판(420)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지지봉(410)에 전달되는 하중이 완충되면서 분산되도록 하는 스프링(440)이 포함된다.
상기 보조지지봉(410)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 연결되는 보조상부봉(412)과, 상기 보조상부봉(412)이 내부로 수용되어 겹쳐짐으로써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보조상부봉(412)의 하부에 연결되는 보조하부봉(414)과, 상기 보조상부봉(412)과 보조하부봉(414)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보조관통홀(416)과, 상기 보조상부봉(412)과 보조하부봉(414)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통홀(416)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고정볼트(418)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420)은, 상기 보조지지부(400)의 방향전환을 위해 상기 지지판(420)이 지면에 밀착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방향 반호 형태의 방향전환면(422)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지지부(5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지지봉(510)과,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지면에 직접 닿는 메인지지체(520)와, 상기 메인지지봉(510)이 대퇴부밀착부(100)에서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메인지지봉(510)과 연결되는 수평봉(550)과,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상기 수평봉(550)이 회전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메인회전체(5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회전체(53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메인회전볼(532)과, 상기 수평봉(550)에 음각형성되어 메인회전볼(532)을 감싸면서 상기 수평봉(550)과 이와 연동된 메인지지봉(510)이 대퇴부밀착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회전홈(534)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지지봉(510)은, 상기 수평봉(550)에 연결되는 메인상부봉(512)과,상기 메인상부봉(512)이 내부로 수용되어 겹쳐짐으로써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메인상부봉(512)의 하부에 연결되는 메인하부봉(514)과, 상기 메인상부봉(512)과 메인하부봉(514)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메인관통홀(516)과, 상기 메인상부봉(512)과 메인하부봉(514)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관통홀(516)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고정볼트(518)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600)는, 상기 메인지지부(50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대(610)와, 상기 파지대(610)와 메인지지부(500)의 사이에 막대형태로 형성되는 파지봉(620)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봉(620)은, 상기 파지봉(620)에 연결되는 파지상부봉(622)과, 상기 파지상부봉(622)이 내부로 수용되어 겹쳐짐으로써 상기 파지봉(62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파지상부봉(622)의 하부에 연결되는 파지하부봉(624)과, 상기 파지상부봉(622)과 파지하부봉(624)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파지관통홀(626)과, 상기 파지상부봉(622)과 파지하부봉(624)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관통홀(626)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파지봉(62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파지고정볼트(628)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는 무릎을 보호해야하는 사람들의 무릎이 안정화 되도록 보호하면서 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장거리 보행에도 에너지소비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는 환자들이나 노약자 들이 무릎 부위에 보행 보조기를 착용한 채로 계단이나 장애물에도 원활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는 환자들이나 노약자 들이 보행 보조기를 착용한 채로 보행하면서 회전 하거나 보행 방향을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4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무릎 수술이나 무릎 시술을 받은 환자가 무릎관절의 치료 유지와 안정화를 위하여 무릎 부위에 착용하여 환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특히, 보조지지부, 메인지지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는, 대퇴부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종아리밀착부(2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가 이격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3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지면에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지부(4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를 지지 하는 메인지지부(50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는, 무릎 수술을 받은 환자나 무릎부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해야하는 사용자의 대퇴부 부위를 감싸면서 밀착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아리밀착부(2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종아리 부위를 감싸면서 밀착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는 상호 간격을 유지한 채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유지부(300)가 구비되게 된다.
즉,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 지지부에 동시에 연결되면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가 이격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부(4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외면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지면에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지지부(500)는, 상기 보조지지부(400)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외면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를 지지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파지부(600)는 상기 메인지지부(50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보조지지부(400)와 메인지지부(500)가 각각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를 지면을 통해 지지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사용자의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는 상태로 보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파지부(600)와 메인지지부(500)는 사용자가 보행자세를 유지한 채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착용된 다리가 상기 보조지지부(400)와 메인지지부(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전체 중심을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는 탄력을 갖는 금속 또는 탄력을 갖는 고형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대퇴부 부위에 고정되는 대퇴부밀착부(100)에 의해 대퇴부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 형태의 대퇴부보호쿠션(11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고정되는 종아리밀착부(200)에 의해 종아리 부위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 형태의 종아리보호쿠션(21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퇴부보호쿠션(110)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사용자의 대퇴부에 밀착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견고한 밀착에 의해 대퇴부 부위가 긁히거나 하여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이나 발포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종아리보호쿠션(210) 또한 상기 종아리밀착부(200)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밀착시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의 견고한 밀착에 의해 종아리 부위가 긁히거나 하여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이나 발포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대퇴부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종아리밀착부(2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가 이격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3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지면에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지부(4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를 지지 하는 메인지지부(50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대퇴부경사면(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아리밀착부(2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종아리경사면(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퇴부경사면(120)은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루면서 사용자의 대퇴부 부위를 가압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고, 상기 종아리경사면(220)은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루면서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를 가압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는, 타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띠 형태가 변경 수 있도록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한 부분이 절개되는 대퇴부절개면(130)과, 상기 대퇴부절개면(130)에 연결되어 상기 대퇴부절개면(13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여 대퇴부밀착부(100)의 내경 크기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대퇴부조인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는, 상기 대퇴부절개면(130)을 통해 사용자의 대퇴부 부위를 원활하게 감싼 채로 밀착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의 대퇴부 두께에 따라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대퇴부 부위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상기 대퇴부조인트(14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퇴부조인트(14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대퇴부절개면(130)의 이격 간격을 제어함으로써 대퇴부밀착부(100)가 사용자의 대퇴부 부위를 감싸는 압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종아리밀착부(200)는, 타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의 띠 형태가 변경 수 있도록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의 한 부분이 절개되는 종아리절개면(230)과, 상기 종아리절개면(230)에 연결되어 상기 종아리절개면(23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여 종아리밀착부(200)의 내경 크기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종아리조인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종아리밀착부(200)는, 상기 종아리절개면(230)을 통해 사용자의 대퇴부 부위를 원활하게 감싼 채로 밀차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의 종아리 두께에 따라 상기 종아리밀착부(200)가 종아리 부위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상기 종아리조인트(240)를 통해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종아리조인트(240) 역시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종아리절개면(230)의 이격 간격을 제어함으로써 종아리밀착부(200)가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를 감싸는 압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 지지부에 동시에 연결되면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가 이격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상부편(310)과, 상기 상부편(3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에 연결되는 하부편(320)과,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축(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330)은 상기 상부편(31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편(320)의 상부는 상기 힌지축(330)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편(310)의 상부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 고정연결되고, 상기 상부편(310)의 하부는 상기 하부편(3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편(320)의 하부는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에 고정연결되고, 상기 하부편(320)의 상부는 상기 상부편(3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상부편(310)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 고정연결되고, 하부편(320)은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에 고정연결된 채로, 사용자의 무릎 관절의 굽혀짐에 따라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은 상기 힌지축(330)을 통하여 상호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은, 상호 겹쳐지는 부위를 조절하여 상기 간격유지부(3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길이조절공(340)과, 상기 길이조절공(340)을 관통한 채로 고정되어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의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길이조절핀(3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겹쳐진 길이에 따라 상기 간격유지부(300)의 전체 길이가 간편하게 변경될 수 있게 되고, 상기 간격유지부(300)의 전체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의 이격 간격이 변경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핀(350)과 힌지축(330) 및 길이조절핀(350)은 간격유지부(3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면서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상호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두 가지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사용자가 보행시 다리를 전혀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무릎의 보호를 위해서 무릎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경우인데, 이때 상기 힌지축(330)은 상기 하부편(320)의 길이조절공(340)에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핀(350)은 상기 힌지축(330)이 연결된 상기 하부편(320)의 길이조절공(340)과 다른 하부편(320)의 길이조절공(340)에 고정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상호 회전 없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행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겹쳐짐으로 인해 간격유지부(300)의 길이 조절은 가능하게 된다.
두 번째는, 사용자가 보행시 다리를 사용하면서 재활을 하는 경우, 무릎이 굽혀지고 펴지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경우인데, 이때 상기 힌지축(330)은 상기 하부편(320)의 길이조절공(340)에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핀(350)은 상기 힌지축(330)을 관통하면서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상호 회전운동 가능하면서도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상호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상부편(310)에 구비된 힌지축(330)이 상기 하부편(3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길이조절공(34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연결되면서,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상호 겹쳐짐으로 인해간격유지부(300)의 길이 조절은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상호 부분적으로 겹쳐진 상태로 상기 길이조절핀(350)과 힌지축(330)이 상기 하부편(320)에 다수 개가 형성되는 상기 길이조절공(340)을 관통하면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간격유지부(300)의 전체길이가 결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편(310)의 하부에 상기 힌지축(33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부분적으로 겹쳐짐에 따라 상기 하부편(320)에 형성되는 길이조절공(340)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힌지축(33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부편(320)은 상기 상부편(310)과 상호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4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대퇴부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종아리밀착부(2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가 이격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3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지면에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지부(4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를 지지 하는 메인지지부(50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지지부(400)는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지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받는 하중을 전달받아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지지부(4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막대형태의 한 쌍의 보조지지봉(4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부(400)는,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지면에 직접 닿는 지지판(420)과,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상기 보조지지봉(410)이 회전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보조회전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회전체(43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보조회전볼(432)과, 상기 보조지지봉(410)에 음각형성되어 보조회전볼(432)을 감싸면서 상기 보조지지봉(410)이 대퇴부밀착부(10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회전홈(434)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지지부(400)의 상기 보조지지봉(410)과 지지판(420)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지지봉(410)에 전달되는 하중이 완충되면서 분산되도록 하는 스프링(44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지지부(400)는, 상기 보조지지봉(410)이 상기 보조회전체(430)의 보전회전볼(432)과 보조회전홈(434)을 통해 사용자의 보행 동작에 따라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보행시 발생되는 신체 하중을 원활하게 지면으로 전달하면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회전체(430)의 보전회전볼(432)과 보조회전홈(434)이 보조고정핀(43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보행동작 시 상기 보조지지부(400)가 사용자의 다리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스프링(440)은 상기 보조지지봉(410)과 지지판(420)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440)의 탄성력이 보조지지봉(410)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지지봉(410)에 전달되는 신체의 하중이 완충되면서 분산되도록 하고,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 발생되는 하중 또한 완충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지지봉(410)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 연결되는 보조상부봉(412)과, 상기 보조상부봉(412)이 내부로 수용되어 겹쳐짐으로써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보조상부봉(412)의 하부에 연결되는 보조하부봉(414)과, 상기 보조상부봉(412)과 보조하부봉(414)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보조관통홀(4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봉(410)은, 상기 보조상부봉(412)과 보조하부봉(414)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통홀(416)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고정볼트(4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봉(410)은 보조상부봉(412)과 보조하부봉(414) 및 보조관통홀(416)을 통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전체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보조상부봉(412)이 보조하부봉(414)의 내부로 많이 진입되면 될수록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전체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고, 상기 보조상부봉(412)이 보조하부봉(414)의 외부로 많이 노출되면 노출될수록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전체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보조상부봉(412)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조하부봉(414)에 진입 된 후에는 상기 보조고정볼트(418)가 상기 보조상부봉(412)과 보조하부봉(414)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보조관통홀(416)에 동시에 관통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설정된 길이가 유지된 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지지판(420)은, 상기 보조지지부(400)의 방향전환을 위해 상기 지지판(420)이 지면에 밀착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방향 반호 형태의 방향전환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판(420)의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방향전환면(422)은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행시 방향 전환을 할 경우, 상기 지지판(420)의 중심부위와 방향전환면(422)의 어느 한 부위가 동시에 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조지지부(400)의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대퇴부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종아리밀착부(2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가 이격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3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지면에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지부(400)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를 지지 하는 메인지지부(50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지지부(5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지지봉(510)과,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지면에 직접 닿는 메인지지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지지부(500)는, 상기 메인지지봉(510)이 대퇴부밀착부(100)에서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메인지지봉(510)과 연결되는 수평봉(550)과,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상기 수평봉(550)이 회전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메인회전체(53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메인회전체(53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메인회전볼(532)과, 상기 수평봉(550)에 음각형성되어 메인회전볼(532)을 감싸면서 상기 수평봉(550)과 이와 연동된 메인지지봉(510)이 대퇴부밀착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회전홈(5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지지부(500)는, 상기 메인지지봉(510)이 상기 메인회전체(530)의 메인회전볼(532)과 메인회전홈(534)을 통해 사용자의 보행 동작에 따라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보행시 발생되는 신체 하중을 원활하게 지면으로 전달하면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지지봉(510)은, 상기 수평봉(550)에 연결되는 메인상부봉(512)과,상기 메인상부봉(512)이 내부로 수용되어 겹쳐짐으로써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메인상부봉(512)의 하부에 연결되는 메인하부봉(514)과, 상기 메인상부봉(512)과 메인하부봉(514)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메인관통홀(5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지지봉(510)은, 상기 메인상부봉(512)과 메인하부봉(514)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관통홀(516)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고정볼트(5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지지봉(510)은 메인상부봉(512)과 메인하부봉(514) 및 메인관통홀(516)을 통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전체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메인상부봉(512)이 메인하부봉(514)의 내부로 많이 진입되면 될수록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전체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고, 상기 메인상부봉(512)이 메인하부봉(514)의 외부로 많이 노출되면 노출될수록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전체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메인상부봉(512)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메인하부봉(514)에 진입 된 후에는 상기 메인고정볼트(518)가 상기 메인상부봉(512)과 메인하부봉(514)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메인관통홀(516)에 동시에 관통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설정된 길이가 유지된 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파지부(600)는, 상기 메인지지부(50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대(610)와, 상기 파지대(610)와 메인지지부(500)의 사이에 막대형태로 형성되는 파지봉(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봉(620)은, 상기 파지봉(620)에 연결되는 파지상부봉(622)과, 상기 파지상부봉(622)이 내부로 수용되어 겹쳐짐으로써 상기 파지봉(62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파지상부봉(622)의 하부에 연결되는 파지하부봉(6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봉(620)은, 상기 파지상부봉(622)과 파지하부봉(624)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파지관통홀(626)과, 상기 파지상부봉(622)과 파지하부봉(624)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관통홀(626)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파지봉(62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파지고정볼트(6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봉(620)은 파지상부봉(622)과 파지하부봉(624) 및 파지관통홀(626)을 통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파지봉(620)의 전체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파지상부봉(622)이 파지하부봉(624)의 내부로 많이 진입되면 될수록 상기 파지봉(620)의 전체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고, 상기 파지상부봉(622)이 파지하부봉(624)의 외부로 많이 노출되면 노출될수록 상기 파지봉(620)의 전체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파지상부봉(622)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파지하부봉(624)에 진입 된 후에는 상기 파지고정볼트(628)가 상기 파지상부봉(622)과 파지하부봉(624)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파지관통홀(626)에 동시에 관통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파지봉(620)의 설정된 길이가 유지된 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대퇴부밀착부 110 : 대퇴부보호쿠션
120 : 대퇴부경사면 130 : 대퇴부절개면
140 : 대퇴부조인트
200 : 종아리밀착부 210 : 종아리보호쿠션
220 : 종아리경사면 230 : 종아리조인트
240 : 종아리조인트
300 : 간격유지부 310 : 상부편
320 : 하부편 330 : 흰지축
340 : 길이조절공 350 : 길이조절편
400 : 보조지지부 410 : 보조지지봉
412 : 보조회전볼 414 : 보조하부봉
416 : 보조관통홀 418 : 보조고정볼트
420 : 지지판 422 : 방향전환면
430 : 보조회전체
440 : 스프링
500 : 메인지지부 510 : 메인지지봉
512 : 메인상부봉 514 : 메인하부봉
516 : 메인관통홀 518 : 메인고정볼트
520 : 메인지지체 530 : 메인회전체
532 : 메인회전볼 534 : 메인회전홈
550 : 수평봉
600 : 파지부 610 : 파지대
620 : 파지봉 622 : 파지상부봉
624 : 파지하부봉 626 : 파지관통홈
628 : 파지고정볼트

Claims (16)

  1. 대퇴부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대퇴부밀착부(100);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종아리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종아리밀착부(200);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 지지부에 동시에 연결되면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와 종아리밀착부(200)가 이격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부(300);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외면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퇴부밀착부(100)가 지면에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지부(400);
    상기 보조지지부(400)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외면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를 지지 하는 메인지지부(500); 및
    상기 메인지지부(50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600);를 포함하여서 되고,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대퇴부 부위에 고정되는 대퇴부밀착부(100)에 의해 대퇴부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 형태의 대퇴부보호쿠션(110)이 포함되고,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고정되는 종아리밀착부(200)에 의해 종아리 부위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 형태의 종아리보호쿠션(210)이 포함되며,
    상기 보조지지부(4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막대형태의 한 쌍의 보조지지봉(410)과,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지면에 직접 닿는 지지판(420)과,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상기 보조지지봉(410)이 회전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보조회전체(430)를 더 포함하여서 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대퇴부경사면(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아리밀착부(2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종아리경사면(220)을 더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밀착부(100)는,
    타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띠 형태가 변경 수 있도록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의 한 부분이 절개되는 대퇴부절개면(130)과,
    상기 대퇴부절개면(130)에 연결되어 상기 대퇴부절개면(13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여 대퇴부밀착부(100)의 내경 크기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대퇴부조인트(140)를 포함하고,
    상기 종아리밀착부(200)는,
    타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의 띠 형태가 변경 수 있도록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의 한 부분이 절개되는 종아리절개면(230)과,
    상기 종아리절개면(230)에 연결되어 상기 종아리절개면(23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여 종아리밀착부(200)의 내경 크기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종아리조인트(240)를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상부편(310)과,
    상기 상부편(3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종아리밀착부(200)에 연결되는 하부편(320)과,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축(330)을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은,
    상호 겹쳐지는 부위를 조절하여 상기 간격유지부(3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길이조절공(340)과,
    상기 길이조절공(340)을 관통한 채로 고정되어 상기 상부편(310)과 하부편(320)의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길이조절핀(350)을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전체(43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보조회전볼(432)과,
    상기 보조지지봉(410)에 음각형성되어 보조회전볼(432)을 감싸면서 상기 보조지지봉(410)이 대퇴부밀착부(10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회전홈(434)을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봉(410)과 지지판(420)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지지봉(410)에 전달되는 하중이 완충되면서 분산되도록 하는 스프링(440)이 포함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봉(410)은,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 연결되는 보조상부봉(412)과,
    상기 보조상부봉(412)이 내부로 수용되어 겹쳐짐으로써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보조상부봉(412)의 하부에 연결되는 보조하부봉(414)과,
    상기 보조상부봉(412)과 보조하부봉(414)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보조관통홀(416)과,
    상기 보조상부봉(412)과 보조하부봉(414)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통홀(416)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보조지지봉(4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고정볼트(418)을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20)은,
    상기 보조지지부(400)의 방향전환을 위해 상기 지지판(420)이 지면에 밀착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방향 반호 형태의 방향전환면(422)을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50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지지봉(510)과,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지면에 직접 닿는 메인지지체(520)와,
    상기 메인지지봉(510)이 대퇴부밀착부(100)에서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메인지지봉(510)과 연결되는 수평봉(550)과,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상기 수평봉(550)이 회전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메인회전체(530)를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13. 제 12항에서
    상기 메인회전체(530)는,
    상기 대퇴부밀착부(100)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메인회전볼(532)과,
    상기 수평봉(550)에 음각형성되어 메인회전볼(532)을 감싸면서 상기 수평봉(550)과 이와 연동된 메인지지봉(510)이 대퇴부밀착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회전홈(534)을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봉(510)은,
    상기 수평봉(550)에 연결되는 메인상부봉(512)과,
    상기 메인상부봉(512)이 내부로 수용되어 겹쳐짐으로써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메인상부봉(512)의 하부에 연결되는 메인하부봉(514)과,
    상기 메인상부봉(512)과 메인하부봉(514)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메인관통홀(516)과,
    상기 메인상부봉(512)과 메인하부봉(514)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관통홀(516)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메인지지봉(5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고정볼트(518)을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600)는,
    상기 메인지지부(50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대(610)와,
    상기 파지대(610)와 메인지지부(500)의 사이에 막대형태로 형성되는 파지봉(620)을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봉(620)은,
    상기 파지봉(620)에 연결되는 파지상부봉(622)과,
    상기 파지상부봉(622)이 내부로 수용되어 겹쳐짐으로써 상기 파지봉(62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파지상부봉(622)의 하부에 연결되는 파지하부봉(624)과,
    상기 파지상부봉(622)과 파지하부봉(624)에 다수 개가 각각 관통형성되는 파지관통홀(626)과,
    상기 파지상부봉(622)과 파지하부봉(624)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관통홀(626)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파지봉(62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파지고정볼트(628)을 포함하는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KR1020160022078A 2016-02-24 2016-02-24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KR101829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78A KR101829972B1 (ko) 2016-02-24 2016-02-24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78A KR101829972B1 (ko) 2016-02-24 2016-02-24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90A KR20170099690A (ko) 2017-09-01
KR101829972B1 true KR101829972B1 (ko) 2018-02-19

Family

ID=5992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078A KR101829972B1 (ko) 2016-02-24 2016-02-24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390B1 (ko) * 2021-03-24 2021-12-08 이춘식 하지용 보행 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2286A (zh) * 2021-11-19 2022-02-15 优品优家(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骨科用腿部康复辅助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750A (ja) 2002-03-27 2003-10-07 Tama Tlo Kk 歩行補助装具
JP3728248B2 (ja) * 2002-01-16 2005-12-21 株式会社宇宙船 松葉杖
JP2010082419A (ja) 2008-10-02 2010-04-15 Susumu Matsuyama 下腿部を支持に使う歩行支援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8248B2 (ja) * 2002-01-16 2005-12-21 株式会社宇宙船 松葉杖
JP2003284750A (ja) 2002-03-27 2003-10-07 Tama Tlo Kk 歩行補助装具
JP2010082419A (ja) 2008-10-02 2010-04-15 Susumu Matsuyama 下腿部を支持に使う歩行支援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390B1 (ko) * 2021-03-24 2021-12-08 이춘식 하지용 보행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90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11939B (zh) 一种单侧下肢残疾人士专用助力康复机器人
US8771210B2 (en) Multi-fit orthotic and mobility assistance apparatus
KR100688327B1 (ko) 정형외과 무릎관절 보조기구
US4873967A (en) Knee orthosis
AU2008338256B2 (en) Shoulder brace
CN106535833B (zh) 膝关节矫形器
US20200253774A1 (en) Ankle Brace or Ankle Exoskeleton
US9265646B2 (en) Orthotic device for treating knee flexion contracture
EP0574627B1 (en) Wrist brace
US10736765B1 (en) Knee orthosis with variable stiffness and damping
KR101829972B1 (ko) 무릎 환자의 다리 지지보조기
KR102157514B1 (ko) 등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1413329B1 (ko) 보행 보조 장치
KR102071611B1 (ko) 발목 근력 보조기
KR101975493B1 (ko) 충격완화 보행 보조기
US20060124162A1 (en) Orthopedic device
US20170360646A1 (en) Exoskeleto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40091257A (ko) 편마비 환자용 상체 지지장치
Georgarakis et al. Supporting and stabilizing the scapulohumeral rhythm with a body-or robot-powered orthosis
KR20160130562A (ko) 퇴행성 관절 및 보행 불편자를 위한 보조기
CA2543217C (en) Pressure off knee brace
KR102591871B1 (ko) 상지관절 재활훈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9066786B1 (en) Laterally applied orthosis
Kempfer et al. Prosthetic and orthotic devices
KR20190084450A (ko) 팔 근력 보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