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138A -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5138A KR20220165138A KR1020210073756A KR20210073756A KR20220165138A KR 20220165138 A KR20220165138 A KR 20220165138A KR 1020210073756 A KR1020210073756 A KR 1020210073756A KR 20210073756 A KR20210073756 A KR 20210073756A KR 20220165138 A KR20220165138 A KR 202201651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ope
- physical therapy
- sling
- locking device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78—Clamps for flexible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고정 기어(3)와 맞물리도록 한쪽에 기어(12)가 형성된 실린더(11); 상기 실린더(11)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기어(12)와 반대쪽에 당김 줄(6)이 연결된 포크 브래킷(13); 상기 실린더(11)에 설치된 제1 스프링(20); 이동체(4)에 고정되고, 한쪽에 상기 제1 스프링(20)이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프링(20)으로 상기 실린더(11)를 밀어내며, 원통 안쪽 표면에 길이가 다른 제1, 2 키 웨이(31, 32)가 오목하게 원형 배열로 반복 형성되며, 모든 제1, 2 키 웨이(31, 32)의 입구는 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 슬로프(33)가 형성된 배럴(30); 상기 배럴(3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제1 가이드 돌기(41)가 상기 제1 키 웨이(31)에 삽입되어 직선 운동 되며, 끝부분에 상기 제1 슬로프(33)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1 슬로프(33)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1 슬로프(33)의 가장 바깥 끝점(34)이 중간에 위치되게 제2 슬로프(42)가 형성된 슬라이더(40); 상기 슬라이더(4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제1 키 웨이(31)와 상기 제2 키 웨이(32) 중에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제2 가이드 돌기(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52)의 끝부분에 상기 제1 슬로프(33)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3 슬로프(53)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슬로프(53)가 상기 제1, 2 슬로프(33, 42)와 캠 작용하도록 하는 로터리 캠(50); 및 상기 포크 브래킷(13)과 상기 로터리 캠(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 브래킷(13)으로부터 상기 로터리 캠(50)을 밀어내는 제2 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리치료 장치에서 슬링을 잠금 해제하여 이동시키고, 이동한 위치에 슬링을 잠금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리치료 장치는 치료 대상자 신체를 공중에 매달아서 특정 신체 부위에 근육을 재활 치료하거나 강화하도록 한다.
물리치료 장치는, 가이드 샤프트 등의 시설물을 천장 설치하거나, 이동 설치할 수 있는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에는 이동체를 활주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고, 이동체에는 슬링을 장착할 수 있다.
슬링은 신체 벨트가 로프로 연결되어 매달리는 구성이다. 슬링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면, 2개에서 6개까지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신체를 눕힌 자세로 공중에 띄울 수 있으며, 재활 치료 목적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슬링은 재활 치료 목적 또는 치료 대상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종래에 알려진 기술은, 가이드 샤프트에서 슬링을 이동시킨 후에 마찰력에 의해 멈추도록 하는 기술이 있지만, 마찰력보다 더 큰 힘이 작용하면 멈춘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이동되어 소망하는 위치에 슬링을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 알려진 다른 기술은, 이동체에 잠금장치를 갖추도록 하여 슬링을 멈춘 위치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잠금장치는 당김 줄을 당기면 잠금 해제되고, 당김 줄을 놓으면 잠금 설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슬링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 당김 줄을 당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링을 이동시켜야 하는 것으로 2가지 동작을 동시에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리치료 장치에서 슬링을 소망하는 위치로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이 완료된 슬링은 이동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김 줄을 한번 당겼다가 놓을 때마다 잠금 설정과 잠금 해제가 반복될 수 있도록 하여 슬링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에 편리함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고정 기어(3)와 맞물리도록 한쪽에 기어(12)가 형성된 실린더(11); 상기 실린더(11)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기어(12)와 반대쪽에 당김 줄(6)이 연결된 포크 브래킷(13); 상기 실린더(11)에 설치된 제1 스프링(20); 이동체(4)에 고정되고, 한쪽에 상기 제1 스프링(20)이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프링(20)으로 상기 실린더(11)를 밀어내며, 원통 안쪽 표면에 길이가 다른 제1, 2 키 웨이(31, 32)가 오목하게 원형 배열로 반복 형성되며, 모든 제1, 2 키 웨이(31, 32)의 입구는 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 슬로프(33)가 형성된 배럴(30); 상기 배럴(3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제1 가이드 돌기(41)가 상기 제1 키 웨이(31)에 삽입되어 직선 운동 되며, 끝부분에 상기 제1 슬로프(33)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1 슬로프(33)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1 슬로프(33)의 가장 바깥 끝점(34)이 중간에 위치되게 제2 슬로프(42)가 형성된 슬라이더(40); 상기 슬라이더(4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제1 키 웨이(31)와 상기 제2 키 웨이(32) 중에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제2 가이드 돌기(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52)의 끝부분에 상기 제1 슬로프(33)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3 슬로프(53)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슬로프(53)가 상기 제1, 2 슬로프(33, 42)와 캠 작용하도록 하는 로터리 캠(50); 및 상기 포크 브래킷(13)과 상기 로터리 캠(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 브래킷(13)으로부터 상기 로터리 캠(50)을 밀어내는 제2 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상기 배럴(30)의 표면에 상기 포크 브래킷(13)과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4)에 고정되는 브래킷(3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상기 이동체(4)에 설치되어 상기 당김 줄(6)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캠(50)에 상기 제2 스프링(6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하여 상기 제2 스프링(60)의 이탈을 방지하는 포켓(5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상기 포크 브래킷(13)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프링(60)을 정렬시키고 이탈을 방지하는 핀(1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당김 줄을 당기는 동작으로 잠금 설정과 잠금 해제할 수 있고, 이로써 잠금 해제가 유지되므로 잠금 해제를 위한 추가적 동작을 하지 않고도 물리치료 장치에서 슬링을 소망하는 위치로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이동이 완료된 슬링을 이동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당김 줄을 한번 당겼다가 놓을 때마다 잠금 설정과 잠금 해제가 반복될 수 있고, 이로써 슬링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에 편리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가 적용된 물리치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에서 배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에서 배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물리치료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가 적용된 물리치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리치료 장치는 가이드 샤프트(1)와 중앙 구조물(2)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 또는 중앙 구조물(2)은 공중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천장에 설치될 수 있고, 이동 설치할 수 있는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중앙 구조물(2)에는 고정 기어(3)가 배치될 수 있고, 고정 기어(3)는 도 1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예를 보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동체(4)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에 설치되어 가이드 샤프트(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치료 대상자의 체중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4)는 도 1에서 1개의 예만 나타냈지만, 복수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이하, 도 2부터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에서 배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가동 유닛(10), 제1, 2 스프링(20, 60), 배럴(30), 슬라이더(40) 및 로터리 캠(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가동 유닛(10)은 실린더(11)와 포크 브래킷(1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1)는 고정 기어(3)와 맞물리도록 한쪽에 기어(12)가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11)는 한쪽에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크 브래킷(13)은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1)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기어(12)와 반대쪽에 당김 줄(6)이 연결될 수 있다. 즉, 당김 줄(6)을 잡아당기거나 놓으면 포크 브래킷(13)은 실린더(11)를 함께 이동한다.
상기 포크 브래킷(13)은 한쪽에 고리(15)를 배치할 수 있고, 고리(15)에 당김 줄(6)이 묶일 수 있다. 고리(15)는 U 볼트를 이용할 수 있고, 구멍이 형성된 브래킷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20)은 상기 실린더(11)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스프링(20)은 실린더(11)의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이로써 제1 스프링(20)이 임의로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제1 스프링(20)은 압축 스프링으로서 확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배럴(30)은 이동체(4)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배럴(30)은 한쪽에 상기 제1 스프링(20)이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1 스프링(20)으로 상기 실린더(11)를 밀어낼 수 있다.
또한, 배럴(30)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 안쪽 표면에 제1, 2 키 웨이(31, 32)가 제1 높이(d1)를 갖고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원형 배열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키 웨이(31)는 제1 길이(s1)를 갖고, 제2 키 웨이(32)는 제1 길이(s1)보다 짧은 제2 길이(s2)를 갖는다. 한편, 제1 키 웨이(31)는 한쪽 끝이 막힌 형태로 나타나 있지만, 배럴(30)의 끝부분까지 관통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제1, 2 키 웨이(31, 32)의 입구는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 슬로프(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럴(30)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면에 제1 가이드 돌기(41)가 제2 높이(d2)를 갖도록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돌기(41)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키 웨이(31)에 삽입되고, 이로써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배럴(30)에서 회전운동이 억제되고 오로지 직선 운동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40)는 끝부분에 제2 슬로프(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로프(42)는 상기 제1 슬로프(33)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1 슬로프(3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 슬로프(33)의 가장 바깥 끝점(34)은 옆에서 볼 때 상기 제2 슬로프(42)의 중간에 위치된다.
상기 로터리 캠(50)은 원 기동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슬라이더(40)에 삽입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4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캠(50)은 상기 제1 키 웨이(31)와 상기 제2 키 웨이(32) 중에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제2 가이드 돌기(52)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높이(d3)를 갖는다.
또한, 상기 로터리 캠(50)은 끝부분에 플랜지(51)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51)는 상기 로터리 캠(50)이 직선 운동하여 배럴(30)에 진입할 때 플랜지(51)에 제1 슬로프(33)의 끝점(34)이 닿도록 하여 진입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캠(5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 돌기(52)의 끝부분에 상기 제1 슬로프(33)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3 슬로프(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슬로프(53)는 로터리 캠(50)이 배럴(30)에 대하여 직선 운동할 때,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어느 때는 상기 제1 슬로프(33)와 캠 작용할 수 있고 다른 때는 제2 슬로프(42)와 캠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60)은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포크 브래킷(13)과 상기 로터리 캠(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 브래킷(13)으로부터 상기 로터리 캠(50)을 밀어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도 6을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은 잠금 설정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하여 나타낸 것으로, (a) 부터 (d)까지 장면 단계마다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과정은 연속된 하나의 작동으로 구현된다.
도 6의 (a)는, 기어(12)가 전진한 상태로서 잠금 설정 상태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로터리 캠(50)의 제2 가이드 돌기(52)가 배럴(30)의 제1 키 웨이(31)의 깊숙한 곳까지 진입하였고, 슬라이더(40)는 로터리 캠(50) 때문에 밀려서 제1 키 웨이(31)의 깊숙한 곳까지 진입한다.
한편, 로터리 캠(50)이 배럴(30)의 안쪽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가동 유닛(10)이 전진 위치 쪽으로 이동하는 데에 방해 요소가 없고, 제1 스프링(20)은 복원력을 작용할 것이므로 가동 유닛(10)이 전진 위치로 이동되어 기어(12)를 전진시킨다. 기어(12)가 전진함에 따라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설정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잠금 설정 상태에서 치료 대상자에게 물리치료를 한다.
이후, 슬링의 위치를 옮기고자 할 때 당김 줄(6)을 한번 당긴다. 당김 줄(6)을 당기면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유닛(10)은 후퇴하고, 제1 스프링(20)을 압축하며, 기어(12)는 고정 기어(3)에서 이탈한다.
가동 유닛(10)의 후퇴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40)가 후퇴 방향으로 밀려나고, 슬라이더(40)는 로터리 캠(50)을 밀어낸다. 로터리 캠(50)은 로터리 캠(50)의 제2 가이드 돌기(52)가 배럴(30)의 제1 키 웨이(31)의 바깥까지 밀려날 수 있다.
이후,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캠(50)은 캠 작용으로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리 캠(50)이 회전하는 것에 대하여 좀 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스프링(60)은 가동 유닛(10)의 후퇴 이동에 따라 함께 후퇴 이동하지만, 여전히 로터리 캠(50)을 배럴(30) 쪽으로 복원력을 작용한다.
제2 가이드 돌기(52)가 제1 키 웨이(31)에 위치할 때는 로터리 캠(50)이 회전할 수 없고 오로지 직선 운동할 수 있지만, 제2 가이드 돌기(52)가 제1 키 웨이(31)를 벗어난 순간부터 로터리 캠(5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다. 이때 제3 슬로프(53)는 제2 슬로프(42)와 캠 작용함으로써 로터리 캠(50)은 회전한다.
이후, 도 6의 (d)는 당김 줄(6)을 놓은 상태이다. 당김 줄(6)을 놓으면 제1 스프링(20)의 복원력으로 가동 유닛(10)을 전진 이동시킨다. 가동 유닛(10)이 전진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40)는 구속이 해제되어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제2 스프링(60)은 항상 로터리 캠(50)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므로, 가동 유닛(10)이 전진 이동할 때 로터리 캠(50)이 함께 전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40)를 배럴(30)의 안쪽으로 밀고 들어간다.
이후, 로터리 캠(50)의 전진 이동으로 배럴(30)의 제1 슬로프(33)에 접하면 그 순간부터 캠 작용하여 로터리 캠(50)이 회전한다.
로터리 캠(50)은 전진 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하고, 이로써 제2 가이드 돌기(52)는 제2 키 웨이(32)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로터리 캠(50)은 제2 키 웨이(32)에 가로막히므로 전진 이동이 제한되고, 이로써 가동 유닛(10)의 전진 이동이 제한되어 멈춘다.
도 6의 (a)와 (d)를 비교하면, 배럴(30)은 이동체(4)에 고정될 것이므로, 위치가 변하지 않아 비교 기준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기어(12)의 끝부분은 도 6의 (a)와 (d)를 비교하면, 거리(S)만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기어(12)는 잠금 설정 상태에 비교하여 거리 (S)만큼 후퇴한 위치에 있으므로 고정 기어(3)와 맞물림이 해제되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기어(12)와 고정 기어(3)가 맞물리지 않으므로 이동체(4)를 가이드 샤프트(1)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잠금 설정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돌기(52)가 제1 키 웨이(31)에서 벗어나 제2 키 웨이(32)에 삽입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설정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제2 가이드 돌기(52)가 제2 키 웨이(32)에서 벗어나 제1 키 웨이(31)에 삽입되는 과정이다. 즉, 도 6의 (d)의 상태에서 당김 줄(6)을 잡아당기면, 슬라이더(40)는 로터리 캠(50)을 밀어내고 제2 가이드 돌기(52)가 제2 키 웨이(32)를 벗어나는 순간에 제3 슬로프(53)와 제2 슬로프(42)와 먼저 캠 작용하면서 회전하고, 당김 줄(6)을 놓으면 로터리 캠(50)이 전진 이동하면서 제3 슬로프(53)와 제1 슬로프(33)와 캠 작용하면서 회전하며, 제2 가이드 돌기(52)가 제1 키 웨이(31)에 삽입된다. 제1 키 웨이(31)는 제1 길이(s1)가 제2 길이(s2)보다 현저하게 길게 형성되므로, 더욱 먼 거리까지 전진 이동할 수 있다.
로터리 캠(50)은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진 이동됨으로써 가동 유닛(10)이 전진 이동하는 데에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동 유닛(10)은 최대한 전진 이동함으로써 기어(12)가 고정 기어(3)이 맞물릴 수 있고, 결국 이동체(4)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동체(4)에는 슬링이 설치될 것이므로, 이동체(4)의 이동이 억제됨으로써 슬링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당김 줄(6)을 당기는 동작으로 잠금 설정과 잠금 해제할 수 있고, 이로써 잠금 해제가 유지되므로 잠금 해제를 위한 추가적 동작을 하지 않고도 물리치료 장치에서 슬링을 소망하는 위치로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이동이 완료된 슬링을 이동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당김 줄(6)을 한번 당겼다가 놓을 때마다 잠금 설정과 잠금 해제가 반복될 수 있고, 이로써 슬링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에 편리함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으로,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럴(30)의 표면에 브래킷(3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35)은 상기 포크 브래킷(13)과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서 배럴(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4)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브래킷(35)으로 이동체(4)의 특정한 위치에 안정되게 배치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5)는 상기 이동체(4)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당김 줄(6)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상기 가동 유닛(10)의 진퇴 운동 방향이 수평일 수 있고, 수직일 수 있으며, 제조사의 의지에 따라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당김 줄(6)의 끝부분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늘어뜨릴 수 있다.
즉, 당김 줄(6)은 항상 중력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지만, 가동 유닛(10)의 진퇴 운동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상기 가이드 롤러(5)는 당김 줄(6)이 꺾이도록 함으로써 가동 유닛(10)이 배치된 자세와 상관없이 사용자는 항상 익숙한 방향으로 당김 줄(6)을 잡아당겨 작동시킬 수 있고, 제조사는 물리치료 장치의 설계를 좀 더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캠(50)에 포켓(5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켓(54)은 상기 제2 스프링(6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하여 상기 제2 스프링(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60)의 길이를 더욱 길게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포크 브래킷(13)과 로터리 캠(50) 간의 거리가 변화하더라도 안정되게 로터리 캠(50)에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크 브래킷(13)에 핀(14)을 더 형성할 수 있다. 핀(14)은 상기 포크 브래킷(13)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스프링(60)을 정렬시키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핀(14)의 일부는 상기 포켓(54)에 수용될 수 있고, 이로써 제2 스프링(60)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더욱 강하게 억제할 수 있으며, 제2 스프링(60)의 이탈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는, 물리치료 장치에서 슬링을 잠금 해제하여 이동시키거나, 이동한 위치에 슬링을 잠금 설정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 가이드 샤프트
2: 중앙 구조물
3: 고정 기어 4: 이동체
5: 가이드 롤러 6: 당김 줄
10: 가동 유닛 11: 실린더
12: 기어 13: 포크 브래킷
14: 핀 15: 고리
20, 60: 제1, 2 스프링
30: 배럴 31, 32: 제1, 2 키 웨이
33: 제1 슬로프 34: 끝점
35: 브래킷
40: 슬라이더
41: 제1 가이드 돌기 42: 제2 슬로프
50: 로터리 캠
51: 플랜지 52: 제2 가이드 돌기
53: 제3 슬로프 54: 포켓
60: 제2 스프링
3: 고정 기어 4: 이동체
5: 가이드 롤러 6: 당김 줄
10: 가동 유닛 11: 실린더
12: 기어 13: 포크 브래킷
14: 핀 15: 고리
20, 60: 제1, 2 스프링
30: 배럴 31, 32: 제1, 2 키 웨이
33: 제1 슬로프 34: 끝점
35: 브래킷
40: 슬라이더
41: 제1 가이드 돌기 42: 제2 슬로프
50: 로터리 캠
51: 플랜지 52: 제2 가이드 돌기
53: 제3 슬로프 54: 포켓
60: 제2 스프링
Claims (5)
- 고정 기어(3)와 맞물리도록 한쪽에 기어(12)가 형성된 실린더(11);
상기 실린더(11)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기어(12)와 반대쪽에 당김 줄(6)이 연결된 포크 브래킷(13);
상기 실린더(11)에 설치된 제1 스프링(20);
이동체(4)에 고정되고, 한쪽에 상기 제1 스프링(20)이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프링(20)으로 상기 실린더(11)를 밀어내며, 원통 안쪽 표면에 길이가 다른 제1, 2 키 웨이(31, 32)가 오목하게 원형 배열로 반복 형성되며, 모든 제1, 2 키 웨이(31, 32)의 입구는 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 슬로프(33)가 형성된 배럴(30);
상기 배럴(3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제1 가이드 돌기(41)가 상기 제1 키 웨이(31)에 삽입되어 직선 운동 되며, 끝부분에 상기 제1 슬로프(33)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1 슬로프(33)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1 슬로프(33)의 가장 바깥 끝점(34)이 중간에 위치되게 제2 슬로프(42)가 형성된 슬라이더(40);
상기 슬라이더(4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제1 키 웨이(31)와 상기 제2 키 웨이(32) 중에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제2 가이드 돌기(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52)의 끝부분에 상기 제1 슬로프(33)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3 슬로프(53)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슬로프(53)가 상기 제1, 2 슬로프(33, 42)와 캠 작용하도록 하는 로터리 캠(50); 및
상기 포크 브래킷(13)과 상기 로터리 캠(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 브래킷(13)으로부터 상기 로터리 캠(50)을 밀어내는 제2 스프링(60);
을 포함하는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30)의 표면에 상기 포크 브래킷(13)과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4)에 고정되는 브래킷(35);
을 포함하는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4)에 설치되어 상기 당김 줄(6)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5);
를 포함하는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캠(50)에 상기 제2 스프링(6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하여 상기 제2 스프링(60)의 이탈을 방지하는 포켓(54);
을 포함하는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브래킷(13)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프링(60)을 정렬시키고 이탈을 방지하는 핀(14);
을 포함하는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3756A KR102572334B1 (ko) | 2021-06-07 | 2021-06-07 |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3756A KR102572334B1 (ko) | 2021-06-07 | 2021-06-07 |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5138A true KR20220165138A (ko) | 2022-12-14 |
KR102572334B1 KR102572334B1 (ko) | 2023-08-28 |
Family
ID=8443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3756A KR102572334B1 (ko) | 2021-06-07 | 2021-06-07 |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233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07411B2 (en) * | 2008-08-15 | 2011-08-30 | Lemond Fitness Inc. | Apparatus for positioning a component of an exercise device |
KR101359993B1 (ko) * | 2013-09-17 | 2014-02-11 | 주식회사 오리온햄프로 |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부하 조절 장치 |
KR101781495B1 (ko) | 2016-03-16 | 2017-09-27 | 주식회사 마르페 | 도수치료장치 |
KR102193985B1 (ko) | 2019-07-15 | 2020-12-22 | 박경호 |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
-
2021
- 2021-06-07 KR KR1020210073756A patent/KR1025723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07411B2 (en) * | 2008-08-15 | 2011-08-30 | Lemond Fitness Inc. | Apparatus for positioning a component of an exercise device |
KR101359993B1 (ko) * | 2013-09-17 | 2014-02-11 | 주식회사 오리온햄프로 |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부하 조절 장치 |
KR101781495B1 (ko) | 2016-03-16 | 2017-09-27 | 주식회사 마르페 | 도수치료장치 |
KR102193985B1 (ko) | 2019-07-15 | 2020-12-22 | 박경호 |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2334B1 (ko) | 2023-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38803C (zh) | 伸缩装置、抽屉装置和滑门装置 | |
CN107985142B (zh) | 一种isofix连接器以及儿童安全座椅 | |
US9137911B2 (en) | Computer security lock for trapezoidal security slot | |
JP2020038672A (ja) |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ドック | |
CN107130402B (zh) | 一种推弹锁及洗衣机 | |
KR101915250B1 (ko) | 수동식 도어락 장치 | |
US20130180295A1 (en) | Computer security lock for trapezoidal security slot | |
CN107142685B (zh) | 一种推弹式洗涤剂盒及洗衣机 | |
CA3097565A1 (en) | Lock with sliding lock body portions | |
RU2621396C2 (ru) | Узел рулонной шторк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KR102572334B1 (ko) |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 |
EP2440726B1 (en) | A pin-tumbler locking mechanism | |
MX2007010707A (es) | Aparato de cierre mejorado. | |
JP2005034348A (ja) | 引込み装置、引出し装置及び引き戸装置 | |
KR101649853B1 (ko) | 세탁기용 도어락 장치 | |
US6971316B2 (en) | Restraint | |
KR102547128B1 (ko) |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 |
JP7278265B2 (ja) | ロック装置 | |
KR101464266B1 (ko) | 누름 개폐형 슬라이딩 장치 | |
KR20210000400U (ko) |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 |
CN217463066U (zh) | 多用途旋转锁紧链及一种串连旋转锁紧链的定位收纳装置 | |
TW200928072A (en) | Lock with key mechanism | |
KR100925686B1 (ko) | 루프랙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 |
CN107905637A (zh) | 电子挂锁 | |
GB2584582A (en) | Baby carriage and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