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482B1 -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482B1
KR101453482B1 KR1020130046482A KR20130046482A KR101453482B1 KR 101453482 B1 KR101453482 B1 KR 101453482B1 KR 1020130046482 A KR1020130046482 A KR 1020130046482A KR 20130046482 A KR20130046482 A KR 20130046482A KR 101453482 B1 KR101453482 B1 KR 10145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user
belt
walk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 김
김재준
권대규
유창호
박찬희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to KR102013004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착용압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착용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다수의 착용압력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착용압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착용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다수의 착용압력 감지센서와, 사용자의 보행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부를 이동시키는 보행압력 감지센서 및, 상기 착용압력 감지센서들과 상기 보행압력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HARNESS SYSTEM USING OF PRESSURE FEEDBACK FUNCTION AND TRAINING SYSTEM FOR GAIT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보행 재활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압력 감지센서를 이용해 인체의 각 부위 중 압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부위를 광으로 표시함으로써, 압박감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압박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각종 재활센터 등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 장애인, 재활환자 등의 보행 훈련을 위해 보행 훈련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보행 훈련장치는,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행기구와, 상기 보행기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자켓 등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행 훈련장치는 사용자가 자켓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하는 경우에, 자켓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박감에 의해 사용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느끼는 압박감이 인체의 어느 부위에 작용하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 보행 훈련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06437호(공개일: 2008년 01월 16일)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운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하니스를 착용하는 경우, 착용압력 감지센서를 이용해 인체의 각 부위 중 압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부분을 광으로 표시함으로써, 압박감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압박 정도에 따라 구동부에서 압박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용이하게 바로잡을 수 있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인체에 가해지는 압박 정도를 정량화하여 서로 다른 레벨로 표시함으로써, 인체의 각 부위에 어느 정도의 압박감이 작용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감성 공학이 적용된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행압력 감지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보행 개시 시점을 인식한 후, 사용자의 보행방향을 따라 구동부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이 시작되는 경우에만 구동부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구동부의 오동작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착용압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착용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다수의 착용압력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부에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과 보행 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구동부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가속도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용압력 감지센서들에는 감지한 착용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광을 발산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재들은 감지된 착용압력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로 광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부는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상체 벨트 및, 상기 상체 벨트와 연결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양다리에 착용되는 하체 벨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부에는 상기 착용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임부는 상기 벨트부의 두께 내에 배열되는 조임 와이어 및, 상기 조임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임 와이어의 장력을 가변시키는 조절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착용압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착용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다수의 착용압력 감지센서와, 사용자의 보행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부를 이동시키는 보행압력 감지센서 및, 상기 착용압력 감지센서들과 상기 보행압력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롤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보행압력 감지시 상기 이동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동 모터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팅 롤러와, 상기 리프팅 롤러에 권취되며, 일단이 상기 벨트부에 연결되는 리프팅 와이어 및, 상기 리프팅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팅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리프팅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팅 모터에는 상기 리프팅 와이어로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중량 감지신호가 기준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리프팅 모터를 비상구동시켜, 상기 리프팅 와이어의 하강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부에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과 보행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벨트부를 착용하는 경우, 착용압력 감지센서를 이용해 인체의 각 부위 중 압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부위를 광으로 표시함으로써, 압박감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용이하게 바로잡을 수 있는 감성 피드백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사용자의 인체에 가해지는 압박 정도를 정량화하여 서로 다른 레벨로 표시함으로써, 인체의 각 부위에 어느 정도의 압박감이 작용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보행압력 감지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보행 개시 시점을 인식한 후, 사용자의 보행방향을 따라 구동부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이 시작되는 경우에만 구동부가 작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두 발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낙상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동부의 오동작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조임부재를 이용해 벨트부의 착용압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의 구동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의 착용압력 감지센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의 조임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재활훈련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재활훈련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300)는, 벨트부(310)(320)와, 다수의 착용압력 감지센서(4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는 레일(100)과, 구동부(200)와, 벨트부(310)(320)와, 다수의 착용압력 감지센서(400)와, 보행압력 감지센서(5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들 중, 레일(100)은 사용자(10)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된 보행 훈련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실내 또는 실외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00)은 사용자(10)가 직선 왕복 보행을 할 수 있도록 직선 형태로 설치되거나, 연속적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원 또는 타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100)의 끝 부분에 트레드 밀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10)의 상태에 따라 지면보행(Overground gait)과 트레드밀(Treadmill gait) 보행의 2가지 보행 훈련이 동시에 가능하다.
구동부(200)는, 도 3에서처럼 레일(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200)는 본체(210)와, 이동 롤러(220) 및, 이동 모터(230)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00)는 리프팅 롤러(240)와, 리프팅 와이어(250) 및, 리프팅 모터(260)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이동 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2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들 중, 본체(21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함 체 형상을 가지며, 후술 될 이동 모터(230)의 구동력에 의해 레일(100)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의 하부에는 후술 될 리프팅 와이어(250)가 하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개방 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롤러(220)는, 본체(2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일(1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롤러(220)는 수평 회전축을 기준으로 정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롤러(220)는 레일(10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거나, 레일(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롤러(220)는 본체(210)의 내측에서 레일(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모터(230)는,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술 될 보행압력 감지센서(500)의 보행압력 감지에 의해 이동 롤러(22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모터(230)의 구동축은 이동 롤러(220)들 중 어느 하나의 이동 롤러(22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동 모터(230)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며, 상기 이동 모터(230)의 구동축은 다수의 이동 롤러(220)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 모터(230)는 구동축의 정 역방향 회전을 통해 이동 롤러(220)의 이동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리프팅 롤러(240)는, 본체(210)의 내부에서 수평 회전축을 기준으로 정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롤러(240)는 후술 될 리프팅 모터(260)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리프팅 롤러(240)에는, 리프팅 와이어(250)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권취된다.
리프팅 와이어(250)는, 상단이 리프팅 롤러(240)에 일정 길이로 권취되며, 본체(210)의 하부로 연장된 하단에는 후술 될 벨트부(300)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리프팅 와이어(250)는, 일정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섬유, 합성수지, 금속 등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리프팅 모터(260)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며, 일측에 돌출 형성된 구동축에 리프팅 롤러(240)의 축 방향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모터(260)는 구동축의 정 역방향 회전에 의해 리프팅 와이어(2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모터(260)에는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기(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모터(260)에는 리프팅 와이어(250)로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센서(2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량 감지센서(280)는, 리프팅 와이어(250)로 가해지는 중량이 기준중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한 후,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중량 감지센서(280)는 리프팅 와이어(250)로 가해지는 중량이 기준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리프팅 모터(260)를 비상구동시켜 리프팅 와이어(250)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프팅 모터(260)를 비상구동은 리프팅 와이어(250)로 가해지는 중량이 기준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리프팅 모터(260)의 전원 공급차단하여 구동을 정지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리프팅 모터(260)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리프팅 와이어(250)를 상부로 견인함으로써, 일정 힘을 가해 사용자(10)를 현 자세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량 감지센서(280)는 리프팅 와이어(250)로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는 리프팅 모터(260)의 리프팅 압력을 조절하여, 벨트부를 착용한 사용자(10)의 압박감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벨트부(310)(320)는, 리프팅 와이어(250)의 하부에 연결되어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10)가 착용할 수 있도록 자켓이나 벨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310)(320)는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200)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10)가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벨트부는 상체 벨트(310) 및, 하체 벨트(3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체 벨트(310)는,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10)의 상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하체 벨트(320)는, 상체 벨트와 연결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10)의 양다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하체 벨트(320)는, 사용자(10)의 양 다리에 각각 벤딩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체 밴딩부(3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사용자(10)의 양 허벅지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체 벨트(320)는 사용자(10)의 양 발목, 무릎에 전체적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330)는, 리프팅 와이어(250)가 연결되는 지지바(331) 및, 상기 지지바(331)와 상체 밴딩부(310)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밴드(33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331)는, 다수의 연결 밴드(332)를 연결시키기 위해 측부로 다수의 연결단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단들에 연결된 연결 밴드(332)들의 하단이 상체 벨트(310)에 결합되어, 상기 상체 벨트(310)를 착용한 사용자(10)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밴드(332)들에 의해 상체 벨트(310)와 하체 벨트(32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상기 벨트부에는 사용자(10)의 보행 방향과 보행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센서(accelerometer, 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600)는, 사용자(10)의 보행 방향과 보행 속도를 검출한 후,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는 감지신호에 따르도록 이동 모터(230)의 이동 방향(전, 후)과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센서(600)는 상체 벨트(3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설치 위치는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벨트부(300)에는 착용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부재(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부재(340)는 조임 와이어(341) 및, 조절구(34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임 와이어(341)는, 상체 벨트(310)와 하체 벨트(320)의 두께 내에 삽입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임 와이어(341)의 일단은 상체 벨트(310)와 하체 벨트(320)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은 이하 설명된 조절구(342)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절구(342)는, 상체 벨트(310)와 하체 벨트(320)의 외부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구(342)에는 조임 와이어(341)의 고정되지 않은 타단이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절구(342)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조임 와이어(341)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장력이 커지게 된다.
이때, 길이가 짧아진 조임 와이어(341)에 의해 상체 벨트(310)와 하체 벨트(320)는 사용자(10)의 인체에 더 큰 압력으로 밀착된다.
반대로, 상기 조절구(342)를 조임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조임 와이어(341)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장력이 작아진다.
보행압력 감지센서(500)는, 도 2에서처럼 사용자(10)가 착용한 신발의 인솔 또는저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10)의 보행압력을 감지하며, 보행압력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보행압력 감지센서(500)는 압력 가속도 스트레인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압전센서(Piezoelectric sensor) 또는 기계적인 스위치를 이용한 풋 스위치(Foot switch) 또는 로드셀(Loadcell)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행압력 감지센서(500)는 보행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200)의 이동 모터(2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압력 감지센서(500)는 사용자(10)가 착용한 신발의 앞꿈치와 뒤꿈치에 각각 부착되어 사용자(10)의 보행 주기, 즉, 입각기(Stance phase)와 유각기(Swing phase)를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행압력 감지센서(500)는 사용자(10)의 보행압력뿐 아니라 사용자(10)의 두 발이 지면으로부터 모두 떨어지는지(낙상)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착용압력 감지센서(400)와, 보행압력 감지센서(500)와, 중량 감지센서(280) 및, 가속도센서(6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동 모터(230)와, 리프팅 모터(2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보행압력 감지센서(500)로부터 보행압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이동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10)의 두 발이 지면에서 모두 떨어졌다는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10)의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10)의 낙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리프팅 모터(260)를 비상구동시켜 리프팅 와이어(250)를 현 위치에 정지시키거나, 리프팅 와이어(250)를 일정 높이로 견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보행을 시작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10)의 뒤꿈치에 부착된 보행압력 감지센서(500)가 보행압력을 감지①한다.
이때, 상기 보행압력 감지센서(500)의 보행압력 감지신호가 이동 모터(230)로 전달됨에 따라 이동 모터(230)가 사용자(10)의 보행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설명된 상기 착용압력 감지센서(400)와 보행압력 감지센서(500)는, 전술한 구동부(200)의 제어 패널(2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된 보행압력 감지센서(500)와 착용압력 감지센서(400)는,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제어 패널(270)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미도시 하였으나 벨트부(300)의 내부와 리프팅 와이어(250)의 내부를 통해 제어 패널(270)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착용압력 감지센서(400)에는 사용자(10)의 인체에 가해지는 압박 정도를 정량화하여 서로 다른 레벨로 표시하는 표시부재(41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재(410)는, 인체의 각 부위에 어느 정도의 압박감이 작용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주변인(치료사, 보호자 등)에게 사용자(10)의 압력 정도를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재(410)를 통해 표시되는 광은 착용압력의 강도가 높을수록 진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표시부재(410)는 광의 강도가 높을수록 점등되는 게이지수가 많아지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착용압력 감지센서(400)들은 착용 부위에 따른 압력 분포를 외부로 표시하여 사용자(10)의 불편함을 찾아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부착된 모든 착용압력 감지센서(400)의 압력 분포를 통합하여, 사용자(10)에게 가해지는 압력 강도와 압력 범위를 계산하여, 통합적인 결과(알림 기능)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모니터링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주변 근거리에서 치료사/보호자 등이 사용자(10)의 훈련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부와 전술한 표시부재(410)는, 엘이디(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10)가 스스로 독립적인 보행 훈련을 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10)에게 가해지는 위험 상황(압력 강도 및 압력 범위; 압력강도가 커질수록, 압력 범위가 넓을수록 욕창 발생 확률이 커짐.)을 치료사 또는 보호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욕창 발생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10)가 상체 벨트(310)와 하체 벨트(320)를 착용하는 경우, 착용압력 감지센서(400)를 이용해 인체의 각 부위에 작용하는 압력을 개별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압박감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10)가 느끼는 불편함을 용이하게 바로잡을 수 있다.
또한, 보행압력 감지센서(500)를 이용해 사용자(10)의 보행 개시 시점을 인식한 후, 사용자(10)의 보행방향을 따라 구동부(200)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10)의 보행이 시작되는 경우에만 구동부(200)가 작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두 발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낙상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동부(200)의 오동작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조임부재를 이용해 상체 벨트(310)와 하체 벨트(320)의 사이즈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10)들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보행 재활훈련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100: 레일
200: 구동부 210: 본체
220: 이동 롤러 230: 이동 모터
240: 리프팅 롤러 250: 리프팅 와이어
260: 리프팅 모터 270: 제어 패널
280: 중량 감지센서 300: 벨트부
310: 상체 벨트 320: 하체 벨트
330: 연결부재 331: 지지바
332: 연결 밴드 340: 조임부
341: 조임 와이어 342: 조절구
400: 착용압력 감지센서 410: 표시부재
420: 누름부재 500: 보행압력 감지센서
600: 가속도센서

Claims (10)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착용압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착용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다수의 착용압력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에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과 보행 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구동부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가속도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압력 감지센서들에는,
    감지한 착용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광을 발산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들은,
    감지된 착용압력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로 광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상체 벨트 및,
    상기 상체 벨트와 연결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양다리에 착용되는 하체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에는,
    상기 착용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임부는,
    상기 벨트부의 두께 내에 배열되는 조임 와이어 및,
    상기 조임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임 와이어의 장력을 가변시키는 조절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7.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착용압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착용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다수의 착용압력 감지센서;
    사용자의 보행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부를 이동시키는 보행압력 감지센서; 및
    상기 착용압력 감지센서들과 상기 보행압력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롤러 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보행압력 감지시 상기 이동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동 모터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팅 롤러와,
    상기 리프팅 롤러에 권취되며, 일단이 상기 벨트부에 연결되는 리프팅 와이어 및,
    상기 리프팅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팅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리프팅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모터에는,
    상기 리프팅 와이어로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중량 감지신호가 기준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리프팅 모터를 비상구동시켜, 상기 리프팅 와이어의 하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에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과 보행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KR1020130046482A 2013-04-26 2013-04-26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KR10145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482A KR101453482B1 (ko) 2013-04-26 2013-04-26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482A KR101453482B1 (ko) 2013-04-26 2013-04-26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482B1 true KR101453482B1 (ko) 2014-10-23

Family

ID=5199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482A KR101453482B1 (ko) 2013-04-26 2013-04-26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482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231B1 (ko) 2014-11-26 2016-05-04 주식회사 마르페 보행훈련 시스템
KR101657277B1 (ko) 2015-04-29 2016-09-13 차유리 동작관찰을 통한 보행운동 대상자 맞춤형 실시간 되먹임 보행운동 장치
KR20160115263A (ko) 2015-03-26 2016-10-06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보행 재활 훈련 장치
KR20160115245A (ko) 2015-03-26 2016-10-06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70016911A (ko) 2017-02-06 2017-02-1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101777755B1 (ko) * 2016-06-27 2017-09-26 이종민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재활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101866217B1 (ko) * 2017-07-28 2018-06-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인솔을 이용한 레일 하네스 재활 시스템
WO2018135781A1 (ko) * 2017-01-19 2018-07-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중력 무한이동 가상체험장치
KR20190012986A (ko) 2017-07-31 2019-02-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 인식 기반 동적 하네스 재활 훈련 시스템
CN109966709A (zh) * 2019-04-23 2019-07-05 王盛 一种基于视本体反馈的步态训练设备
WO2020159442A1 (en) 2019-01-29 2020-08-06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obility aid
KR102147033B1 (ko) * 2019-03-13 2020-08-21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CN111784988A (zh) * 2016-12-27 2020-10-16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穿戴式装置与相关检测方法
CN112587870A (zh) * 2020-12-25 2021-04-02 河南省祥和康复产业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动态减重装置中实现自适应训练的方法
KR20220021211A (ko) * 2020-08-13 2022-02-22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20230063082A (ko) * 2021-11-01 2023-05-09 알바이오텍 주식회사 서보모터와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체중부하 조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2648B2 (ja) 1995-12-07 2002-06-17 株式会社松本設計 歩行訓練器具
KR20120071555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활 로봇 제어 장치
KR101176168B1 (ko) 2011-03-10 2012-08-22 김태유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2648B2 (ja) 1995-12-07 2002-06-17 株式会社松本設計 歩行訓練器具
KR20120071555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활 로봇 제어 장치
KR101176168B1 (ko) 2011-03-10 2012-08-22 김태유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231B1 (ko) 2014-11-26 2016-05-04 주식회사 마르페 보행훈련 시스템
KR20160115263A (ko) 2015-03-26 2016-10-06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보행 재활 훈련 장치
KR20160115245A (ko) 2015-03-26 2016-10-06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101657277B1 (ko) 2015-04-29 2016-09-13 차유리 동작관찰을 통한 보행운동 대상자 맞춤형 실시간 되먹임 보행운동 장치
KR101777755B1 (ko) * 2016-06-27 2017-09-26 이종민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재활훈련 장치 및 그 방법
US11450195B2 (en) 2016-12-27 2022-09-20 Pixart Imaging Inc. Wearable device and associated detecting method
CN111784988A (zh) * 2016-12-27 2020-10-16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穿戴式装置与相关检测方法
KR20180085613A (ko) * 2017-01-19 2018-07-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중력 무한이동 가상체험장치
WO2018135781A1 (ko) * 2017-01-19 2018-07-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중력 무한이동 가상체험장치
KR101939301B1 (ko) * 2017-01-19 2019-01-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중력 무한이동 가상체험장치
KR20170016911A (ko) 2017-02-06 2017-02-1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101866217B1 (ko) * 2017-07-28 2018-06-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인솔을 이용한 레일 하네스 재활 시스템
KR20190012986A (ko) 2017-07-31 2019-02-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 인식 기반 동적 하네스 재활 훈련 시스템
KR101958908B1 (ko) * 2017-07-31 2019-03-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 인식 기반 동적 하네스 재활 훈련 시스템
WO2020159442A1 (en) 2019-01-29 2020-08-06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obility aid
EP3917482A4 (en) * 2019-01-29 2023-01-25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OBILITY ASSISTANCE
KR102147033B1 (ko) * 2019-03-13 2020-08-21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CN109966709A (zh) * 2019-04-23 2019-07-05 王盛 一种基于视本体反馈的步态训练设备
KR102379786B1 (ko) 2020-08-13 2022-03-25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20220021211A (ko) * 2020-08-13 2022-02-22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CN112587870B (zh) * 2020-12-25 2022-03-08 河南省祥和康复产业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动态减重装置中实现自适应训练的方法
CN112587870A (zh) * 2020-12-25 2021-04-02 河南省祥和康复产业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动态减重装置中实现自适应训练的方法
KR20230063082A (ko) * 2021-11-01 2023-05-09 알바이오텍 주식회사 서보모터와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체중부하 조절 장치
KR102587931B1 (ko) 2021-11-01 2023-10-10 알바이오텍 주식회사 서보모터와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체중부하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482B1 (ko)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KR101327178B1 (ko)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
KR102339664B1 (ko)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4162B1 (ko) 하지 재활용 보행 밸런스 모니터링 시스템
KR100795195B1 (ko) 편마비 환자의 보행훈련기구
US7322904B2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KR101958908B1 (ko) 동작 인식 기반 동적 하네스 재활 훈련 시스템
KR101667179B1 (ko) 사용자-연계 휴먼-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의 외골격 제어 방법
US7641591B2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CN106137489A (zh) 交互式外骨骼膝关节机器系统
US11103413B2 (en) Assistance apparatus, assistan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146363B1 (ko) 착용형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100907425B1 (ko) 인체용 다리의 재활장치
KR101763214B1 (ko) 보행 훈련 보조 장치
KR20190056592A (ko) 발목보조장치
KR101913187B1 (ko) 편마비 환자용 보행 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116721A1 (en) Motion assistance device
CN110559157B (zh) 一种踝关节运动辅助装置
CN113230094A (zh) 一种单腿外骨骼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100391830B1 (ko) 보행장애인의 재활훈련을 위한 복지용 로봇
KR102282205B1 (ko)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W201436779A (zh) 意向偵測與步態調整裝置及方法
KR102262191B1 (ko) 하지 운동 로봇과 이의 제조방법 및 제어방법
KR102107583B1 (ko) 보행 보조 기구
US20190125614A1 (en) Assistance apparatus, assistan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