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231B1 - 보행훈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훈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231B1
KR101618231B1 KR1020140166050A KR20140166050A KR101618231B1 KR 101618231 B1 KR101618231 B1 KR 101618231B1 KR 1020140166050 A KR1020140166050 A KR 1020140166050A KR 20140166050 A KR20140166050 A KR 20140166050A KR 101618231 B1 KR101618231 B1 KR 101618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orking rail
direction switching
walking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르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르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르페
Priority to KR102014016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훈련 시스템은 다각형 모양으로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외곽 워킹 레일 및 외곽 워킹 레일을 연결하는 내부 워킹 레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곽 워킹 레일들을 포함하는 워킹 레일부, 워킹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링부 및 워킹 레일부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워킹 레일부의 제1 외곽 워킹 레일과 제2 외곽 워킹 레일을 연결하고, 모서리에서 슬링부의 방향을 제1 외곽 워킹 레일에서 제2 외곽 워킹 레일 또는 제2 외곽 워킹 레일에서 제1 외곽 워킹 레일로 전환시키는 제1 방향전환장치 및 외곽 워킹 레일과 내부 워킹 레일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슬링부의 방향을 외곽 워킹 레일에서 내부 워킹 레일 또는 내부 워킹 레일에서 외곽 워킹 레일로 전환시키는 제2 방향전환장치를 포함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고, 제2 방향전환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의 제1 개구에 결합되고 아크 모양의 회전 홀이 형성된 상판, 케이스의 제1 개구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슬링부의 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전환 통로가 형성된 하판,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판과 중간판에 결합되는 방향전환 워킹 레일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부재 및 상판에 설치되는 회전바, 회전바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판의 회전 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판과 중간판을 연결하는 연결바, 상판에 고정되어 상판과 회전바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바가 고정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회전바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내부 워킹 레일은 워킹 레일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Description

보행훈련 시스템{SYSTEM FOR GAIT TRAINING}
본 발명은 보행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행훈련장치는 병원, 재활센터 등에서 노인, 재활환자 또는 장애인의 보행훈련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보행훈련장치로는 트레드밀 또는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여 사용자의 보행훈련을 돕고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하네스 장비가 알려져 있다.
하네스 장비는 천정 등에 설치되는 워킹레일, 워킹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행기구 및 보행기구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자켓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워킹레일은 직선형 워킹레일, 자유곡선형 워킹레일 및 타원형 워킹레일로 구분된다.
다만, 종래의 직선형 레일은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훈련 받을 수 없으며 사용자가 연속적인 훈련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유곡선형 워킹레일과 타원형 워킹레일은 폐곡선을 이루어 사용자가 연속적인 훈련을 받을 수 있으나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2인 이상이 훈련할 때 앞 훈련자의 보행 속도에 따라 나중에 출발한 훈련자의 훈련 속도가 영향을 받아 전체적인 보행 훈련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하네스 장비는 단순히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사용자가 평지에서 앞이나 뒤로 걷는 것만을 훈련하게 하므로,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볼을 가지고 운동하는 복합운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훈련 받을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훈련 받을 수 있는 보행훈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설치 공간이 절약되고, 복수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훈련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동시에 훈련 받을 수 있는 보행훈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에게 평지에서의 직진 운동, 경사지에서의 경사운동 및 평지 또는 경사지에서의 자세변형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보행훈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훈련 시스템은 다각형 모양으로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외곽 워킹 레일 및 외곽 워킹 레일을 연결하는 내부 워킹 레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곽 워킹 레일들을 포함하는 워킹 레일부, 워킹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링부 및 워킹 레일부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워킹 레일부의 제1 외곽 워킹 레일과 제2 외곽 워킹 레일을 연결하고, 모서리에서 슬링부의 방향을 제1 외곽 워킹 레일에서 제2 외곽 워킹 레일 또는 제2 외곽 워킹 레일에서 제1 외곽 워킹 레일로 전환시키는 제1 방향전환장치 및 외곽 워킹 레일과 내부 워킹 레일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슬링부의 방향을 외곽 워킹 레일에서 내부 워킹 레일 또는 내부 워킹 레일에서 외곽 워킹 레일로 전환시키는 제2 방향전환장치를 포함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고, 제2 방향전환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의 제1 개구에 결합되고 아크 모양의 회전 홀이 형성된 상판, 케이스의 제1 개구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슬링부의 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전환 통로가 형성된 하판,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판과 중간판에 결합되는 방향전환 워킹 레일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부재 및 상판에 설치되는 회전바, 회전바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판의 회전 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판과 중간판을 연결하는 연결바, 상판에 고정되어 상판과 회전바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바가 고정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회전바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내부 워킹 레일은 워킹 레일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또한, 제1 방향전환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의 제1 개구에 결합되는 상판, 케이스의 제1 개구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슬링부의 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전환 통로가 형성된 하판,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중간판과 중간판에 결합되는 방향전환 워킹 레일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부재 및 상판에 설치되는 모터, 모터에 결합되는 제1 기어, 상판과 중간판을 연결하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링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자켓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슬링부는 사용자를 승하강 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행훈련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훈련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훈련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행훈련 시스템에 의하면,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훈련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동시에 훈련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보행훈련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평지에서의 직진 운동, 경사지에서의 경사운동 및 평지 또는 경사지에서의 자세변형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훈련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방향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방향전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방향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2 방향전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훈련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훈련 시스템(100)은 워킹 레일부(10), 워킹 레일부(10)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방향 전환부(20) 및 워킹 레일부(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링부(3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워킹 레일부(10)는 다각형 모양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외곽 워킹 레일들(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외곽 워킹 레일들(11)은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 모양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워킹 레일부(10)는 사각형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설치 장소에 따라 삼각형 또는 육각형 모양 등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워킹 레일부(10)가 다각형 모양을 가지므로 다각형의 워킹 레일부(10)의 둘레를 따라 사용자가 훈련을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훈련을 진행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보행 훈련을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부(20)는 워킹 레일부(10)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모서리 부분에서 슬링부(3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 방향전환장치(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방향전환장치(21)는 워킹 레일부(10)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제1 외곽 워킹 레일(11a)과 제2 외곽 워킹 레일(11b)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전환장치(21)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슬링부(30)가 제1 외곽 워킹 레일(11a)에서 제1 방향전환장치(21)로 이동된 것이 감지되면, 센서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미도시)는 슬링부(30)의 진행방향이 제2 외곽 워킹 레일(11b)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1 방향전환장치(21)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방향전환장치(21)는 제1 외곽 워킹 레일(11a)에서 제2 외곽 워킹 레일(11b)로 슬링부(30)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외곽 워킹 레일(11b)에서 제2 외곽 워킹 레일(11a)로 슬링부(30)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방향전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방향전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방향전환장치(21)는, 케이스(211), 상판(212), 하판(213), 방향전환부재(214) 및 회전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212)은 케이스(211)의 제1 개구(211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판(213)은 케이스(211)의 제1 개구(211a)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개구(211b)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판(213)은 제2 개구(211b)에 결합되는 하판 몸체(213a)와 하판 몸체(213a)에 형성되는 방향전환 통로(21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전환부재(214)는 상판(212)과 하판(213)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212)과 연결되는 중간판(214a)과 중간판(214a)에 결합되는 방향전환 워킹 레일(21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15)는 상판(212)에 설치되는 모터(215a), 모터(215a)에 결합되는 제1 기어(215b), 상판(212)과 중간판(214a)을 연결하는 회전축(215c) 및 회전축(215c)에 결합되어 제1 기어(215b)와 맞물리게 설치되는 제2 기어(215d)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방향전환장치(21)에서 슬링부(30)의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것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링부(30)가 제1 외곽 워킹 레일(11a)에서 이동될 때 제1 방향전환장치(21)의 방향전환부재(214)의 방향전환 워킹 레일(214b)과 제1 외곽 워킹 레일(11a)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슬링부(30)가 제1 외곽 워킹 레일(11a)에서 방향전환 워킹 레일(214b)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슬링부(30)가 제1 외곽 워킹 레일(11a)에서 하판(213)의 방향전환 통로(213b)을 따라 방향전환 워킹 레일(214b)로 이동된 것이 방향전환장치(21)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회전부재(215)의 모터(215a)를 작동시킨다. 이때, 모터(215a)의 회전력이 제1 기어(215b), 회전축(215c) 및 제2 기어(215d)을 경유하여 방향전환부재(214)에 전달되어 방향전환부재(214)를 회전시켜 제2 외곽 워킹 레일(11b)과 방향전환 워킹 레일(214b)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방향전환 워킹 레일(214b)와 제2 외곽 워킹 레일(11b)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슬링부(30)는 하판(213)의 방향전환 통로(213b)를 따라 이동하여 방향전환 워킹 레일(214b)에서 제2 외곽 워킹 레일(11b)로 이동될 수 있다.
자유곡선형 워킹레일과 타원형 워킹레일로 구성된 보행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유곡선형 워킹레일과 타원형 워킹레일의 폐곡선을 따라 연속적인 훈련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자유곡선형 워킹레일과 타원형 워킹레일에서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운동하기 위해서는 모서리 부분이 곡선으로 처리되어야 하므로 설치공간이 많이 소비되고 설치 장소에 제약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워킹 레일부(10)는 모서리가 곡선처리 되지 않은 다각형 모양임에도 모서리에 설치된 제1 방향전환장치(21)에 의하여 슬링부(30)가 방향전환될 수 있으므로 워킹 레일부(10)의 모서리가 곡면처리 되지 않다고 된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워킹 레일부(10)에 곡선부분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행훈련 시스템(100)의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의 제약 없이 보행훈련 시스템(100)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방향전환장치(21)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전동식 방향전환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정되는 수동식 방향전환장치일 수 있다.
도 1를 다시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워킹 레일부(10)는 워킹 레일부(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내부 워킹 레일(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워킹 레일(12)은 워킹 레일부(10)는 워킹 레일부(10)의 내부를 가로질러 다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외곽 워킹 레일들(11) 중 서로 마주보는 외곽 워킹 레일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부(20)는 외곽 워킹 레일(11)과 내부 워킹 레일(12)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제2 방향전환장치(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전환장치(22)는 외곽 워킹 레일(11)과 내부 워킹 레일(12)의 교차점에서 외곽 워킹 레일(11)에서 내부 워킹 레일(12) 또는 내부 워킹 레일(12) 또는 외부 워킹 레일(11)로 슬링부(3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2 방향전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2 방향전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방향전환장치(22)는, 케이스(221), 상판(222), 하판(223), 방향전환부재(224) 및 회전부재(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222)은 케이스(221)의 제1 개구(221a)에 결합될 수 있고, 상판(222)에는 아크 모양의 회전 홀(22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판(223)은 케이스(221)의 제1 개구(221a)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개구(221b)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판(223)은 제2 개구(221b)에 결합되는 하판 몸체(223a)와 하판 몸체(223)에 형성되는 방향전환 통로(22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전환부재(224)는 상판(222)과 하판(223)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222)과 연결되는 중간판(224a)과 중간판(224a)에 결합되는 방향전환 워킹 레일(22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25)는 상판(222)에 설치되는 회전바(225a), 연결바(225b), 지지부재(225c) 및 스프링 부재(225d)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바(225b)는 회전바(225a)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판의 회전 홀(22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판(222)과 중간판(224a)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25c)는 상판(222)에 고정되어 상판(222)과 회전바(225a)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바(225a)가 고정 지지되며 지지부재(225c) 및 회전바(225a)와 지지부재(225c)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225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방향전환장치(22)에서 슬링부(30)의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것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를 다시 참고하여 설명하면, 슬링부(30)가 제3 외곽 워킹 레일(11c)에서 이동될 때 제2 방향전환장치(22)의 방향전환부재(224)의 방향전환 워킹 레일(224b)과 제3 외곽 워킹 레일(11c)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슬링부(30)가 제3 외곽 워킹 레일(11c)에서 방향전환 워킹 레일(224b)로 이동될 수 있다.
슬링부(30)가 제3 외곽 워킹 레일(11c)에서 하판(223)의 방향전환 통로(223b)을 따라 방향전환 워킹 레일(224b)로 이동된 후 사용자가 회전바(225a)에 연결된 로프(R)를 아래로 잡아 당기면 회전바(225a)의 일단에 결합된 연결바(225b)가 회전 홀(222a)의 제1 고정홀(222a1)에서 이탈된다.
이때, 사용자가 로프(R)를 이용하여 회전바(225a)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연결바(225b)가 회전홀(222a)의 회전 통로(222a2)를 따라 제2 고정홀(222a3)까지 이동하게 되어 연결바(225b)에 연결된 방향전환부재(224)의 방향전환 워킹 레일(224b)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전환 워킹 레일(224b)이 회전하여 내부 워킹 레일(12)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전환 워킹 레일(224b)와 제3 외곽 워킹 레일(11b)이 동일선상이 위치하게 되므로, 슬링부(30)는 하판(223)의 방향전환 통로(223b)를 따라 이동하여 방향전환 워킹 레일(224b)에서 내부 워킹 레일(12)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링부(30)의 진행 방향은 내부 워킹 레일(12)에서 제3 외곽 워킹 레일(11c)의 반대쪽에 위치한 다른 레일로 방향을 전환될 수 있다.
자유곡선형 워킹레일이나 타원형 워킹레일로 구성된 보행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훈련 속도는 앞이나 뒤에 위치한 사용자의 훈련 속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워킹 레일에서 앞에 위치한 사용자의 보행 속도가 앞 사용자의 뒤에 위치한 사용자의 보행 속도보다 느리다면, 뒤에 위치한 사용자는 앞에 있는 사용자의 보행 속도에 맞추어 보행 훈련을 받아야 하므로 보행 속도가 빠른 사용자의 보행 훈련 효율이 낮아진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워킹 레일에서 훈련하는 경우 전체 사용자가 가장 늦은 사용자의 보행 속도에 맞추어야 하므로 전체적인 보행 훈련 효율이 낮아진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앞에 위치한 사용자의 보행 속도가 앞 사용자의 뒤에 위치한 사용자보다 늦을 경우, 뒤에 위치한 사용자가 슬링부(30)의 진행 방향을 내부 워킹 레일(12)로 전환 시켜 자신의 보행 속도대로 보행 훈련을 지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훈련 시스템(100)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훈련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동시에 훈련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훈련 시스템(100)은 슬링부(3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자켓(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링부(30)는 슬링부 몸체(31), 슬링부 몸체(3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자켓(40)이 고정되는 견인로프(32) 및 슬링부 몸체(31) 내부에 설치되어 자켓(40)을 착용한 사용자를 승하강 시키는 모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훈련 시스템(100)에 의하면 워킹 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고 모터(33)에 의해 사용자를 승하강 시키는 슬링부(3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평지에서의 직진 운동, 경사지에서의 경사운동 및 평지 또는 경사지에서의 자세변형 훈련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방향전환장치(2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동식 방향전환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에 의해 전동으로 제어되는 전동식 방향전환장치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보행훈련 시스템 10: 워킹 레일부
11: 외곽 워킹 레일 12: 내부 워킹 레일
20: 방향전환부 21: 제1 방향전환장치
211, 221: 상판 212, 222: 상판
213, 223: 하판 213a, 223a: 하판 몸체
213b, 223b: 방향전환 통로 214, 224: 방향전환부재
214a, 224a: 중간판 214b, 224b: 방향전환 워킹 레일
215, 225: 회전부재 215a: 모터
215b: 제1 기어 215c: 회전축
215d: 제2 기어 225a: 회전바
225b: 연결바 225c: 지지부재
225d: 스프링 부재 30: 슬링부
31: 슬링부 몸체 32: 견인로프
33: 모터 40: 자켓

Claims (5)

  1. 다각형 모양으로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외곽 워킹 레일 및 상기 외곽 워킹 레일을 연결하는 내부 워킹 레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곽 워킹 레일들을 포함하는 워킹 레일부;
    상기 워킹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링부; 및
    상기 워킹 레일부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워킹 레일부의 제1 외곽 워킹 레일과 제2 외곽 워킹 레일을 연결하고, 상기 모서리에서 상기 슬링부의 방향을 상기 제1 외곽 워킹 레일에서 상기 제2 외곽 워킹 레일 또는 상기 제2 외곽 워킹 레일에서 상기 제1 외곽 워킹 레일로 전환시키는 제1 방향전환장치 및 상기 외곽 워킹 레일과 상기 내부 워킹 레일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상기 슬링부의 방향을 상기 외곽 워킹 레일에서 상기 내부 워킹 레일 또는 상기 내부 워킹 레일에서 상기 외곽 워킹 레일로 전환시키는 제2 방향전환장치를 포함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제1 개구에 결합되고 아크 모양의 회전 홀이 형성된 상판;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개구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슬링부의 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전환 통로가 형성된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에 결합되는 방향전환 워킹 레일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부재; 및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상기 회전 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을 연결하는 연결바, 상기 상판에 고정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회전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바가 고정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바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워킹 레일은 상기 워킹 레일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보행훈련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제1 개구에 결합되는 상판;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개구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슬링부의 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전환 통로가 형성된 하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에 결합되는 방향전환 워킹 레일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부재; 및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제1 기어,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을 연결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보행훈련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링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자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링부는 상기 사용자를 승하강 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보행훈련 시스템.
KR1020140166050A 2014-11-26 2014-11-26 보행훈련 시스템 KR101618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050A KR101618231B1 (ko) 2014-11-26 2014-11-26 보행훈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050A KR101618231B1 (ko) 2014-11-26 2014-11-26 보행훈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231B1 true KR101618231B1 (ko) 2016-05-04

Family

ID=5602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050A KR101618231B1 (ko) 2014-11-26 2014-11-26 보행훈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23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13B1 (ko) * 2017-09-29 2018-12-07 대한민국 짚 라인 보행 보조 및 운동 시스템
KR20190088839A (ko) * 2018-01-19 2019-07-29 정부환 보행 훈련 장치
KR102147033B1 (ko) 2019-03-13 2020-08-21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102162068B1 (ko) * 2019-05-09 2020-10-06 김세곤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
KR20220021211A (ko) 2020-08-13 2022-02-22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20220068288A (ko) * 2020-11-18 2022-05-26 주식회사 베스트메디칼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훈련 시스템
KR20220121485A (ko) 2021-02-25 2022-09-01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룸커버링 레일시스템
KR20230123694A (ko) 2022-02-17 2023-08-24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룸커버링 레일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26B1 (ko) 2007-02-22 2008-01-14 박홍재 레일형 운동보조장치
JP4107665B2 (ja) * 2004-03-31 2008-06-25 沢根スプリング株式会社 歩行訓練装置
KR101453482B1 (ko) 2013-04-26 2014-10-23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7665B2 (ja) * 2004-03-31 2008-06-25 沢根スプリング株式会社 歩行訓練装置
KR100793726B1 (ko) 2007-02-22 2008-01-14 박홍재 레일형 운동보조장치
KR101453482B1 (ko) 2013-04-26 2014-10-23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13B1 (ko) * 2017-09-29 2018-12-07 대한민국 짚 라인 보행 보조 및 운동 시스템
KR20190088839A (ko) * 2018-01-19 2019-07-29 정부환 보행 훈련 장치
KR102020658B1 (ko) * 2018-01-19 2019-09-10 정부환 보행 훈련 장치
KR102147033B1 (ko) 2019-03-13 2020-08-21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102162068B1 (ko) * 2019-05-09 2020-10-06 김세곤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
KR20220021211A (ko) 2020-08-13 2022-02-22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102379786B1 (ko) 2020-08-13 2022-03-25 정부환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20220068288A (ko) * 2020-11-18 2022-05-26 주식회사 베스트메디칼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훈련 시스템
KR102427686B1 (ko) * 2020-11-18 2022-08-02 주식회사 베스트메디칼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훈련 시스템
KR20220121485A (ko) 2021-02-25 2022-09-01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룸커버링 레일시스템
WO2022182008A1 (ko) * 2021-02-25 2022-09-01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룸커버링 레일시스템
KR102570104B1 (ko) * 2021-02-25 2023-08-23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룸커버링 레일시스템
KR20230123694A (ko) 2022-02-17 2023-08-24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룸커버링 레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231B1 (ko) 보행훈련 시스템
KR101748330B1 (ko) 보행 훈련 장치
CN203354789U (zh) 一种可站可躺可坐的电动轮椅
US20130253385A1 (en) Motorized exoskeleton unit
KR101859745B1 (ko) 입식 수영 시뮬레이터
TWI700081B (zh) 起身輔助裝置
KR102147033B1 (ko)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KR101573840B1 (ko) 보행의 자유도가 향상된 보행 보조 시스템 및 보행 보조용 병렬 레일 시스템
KR101363850B1 (ko)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
CN203234932U (zh) 一种基于模糊控制技术的多功能智能护理床
KR20180012543A (ko) 보행 훈련 장치
CN107224390A (zh) 一种肢体功能性障碍病人在室内用的移动康复锻炼器材
KR100963276B1 (ko) 전동식 보행기
WO2018131131A1 (ja) 介助装置
JP2008023273A (ja) 障害者用自立補助機械
KR20160115263A (ko) 보행 재활 훈련 장치
KR102050733B1 (ko)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CN204199418U (zh) 一种可调节高度的马桶
WO2014189302A1 (ko) 전방향 보행보조 로봇
CN103784269B (zh) 一种助推型可下颌控制的智能轮椅
ATE448708T1 (de) Gepäckstück mit drehbarem griff
US20060252606A1 (en) Recreational guidance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20150041605A1 (en) Clamping device
KR101437681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
KR102379786B1 (ko)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