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871A - 도수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도수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871A
KR20170107871A KR1020160060065A KR20160060065A KR20170107871A KR 20170107871 A KR20170107871 A KR 20170107871A KR 1020160060065 A KR1020160060065 A KR 1020160060065A KR 20160060065 A KR20160060065 A KR 20160060065A KR 20170107871 A KR20170107871 A KR 20170107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pe
fixed
frame
s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495B1 (ko
Inventor
김택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르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르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르페
Publication of KR2017010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87Hanging upr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치료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장소가 협소한 실내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전체 무게를 최소화하여 쉽고 편리하게 운반이 용이하며, 도록 하는 도수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0);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링 유닛(300); 상기 슬링 유닛(300)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상기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락킹 유닛(400); 및 상기 슬링 유닛(300)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환자의 신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링 유닛(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1로프(340);를 포함하되, 상기 슬링 유닛(3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2가이드봉(3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311)가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이 끼움 고정되는 삽입홈(312)이 형성된 몸체(310); 상기 몸체(310)의 내측 면에 설치 고정되고, 사각 형태의 얇은 판넬(321)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판넬(321) 사이에 제2도르래(330)가 축 결합되는 지지대(320); 및 상기 지지대(320)에 구비된 제2도르래(330)에 경유 되도록 연결되고, 일단이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되며, 타단은 도수치료사가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로프(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르래(330)는, 상기 판넬(321)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로프(340)의 일단 부분을 지지하여 경유 되도록 하기 위한 외측도르래(331); 및 상기 판넬(321)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지지편(322)에 축 결합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로프(340)의 타단 부분이 경유 되어 상기 몸체(310)에 형성된 개구부(313)를 통해 상기 몸체(310)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내측 도르래(332);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수치료장치{MANUAL THERAPY DEVICE}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치료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장소가 협소한 실내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전체 무게를 최소화하여 쉽고 편리하게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도수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수치료는 신경, 근육, 골격을 복합적으로 다루는 것이며, 손으로 직접 관절을 자극하여 신경기능을 회복시키고, 허리 통증 치료 및 자세 교정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도수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도수치료를 위한 장치 등이 필요한데, 이러한 장치는 실내 천장 또는 내벽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도수치료장치는 실내 천장 또는 내벽에 앵커 볼트 등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넓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과, 한번 설치하게 되면 보수가 어렵고, 특히, 이동을 할 수 없어 이동성에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7537호(2015년 06월 16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1415104호(2014년 06월 27일 등록)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치료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장소가 협소한 실내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전체 무게를 최소화하여 쉽고 편리하게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도수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링 유닛 내부에 락킹 유닛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고, 락킹 유닛을 지지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어 생산성 향상 및 제작비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도수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0);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링 유닛(300); 상기 슬링 유닛(300)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상기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락킹 유닛(400); 및 상기 슬링 유닛(300)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환자의 신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링 유닛(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1로프(340);를 포함하되, 상기 슬링 유닛(3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2가이드봉(3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311)가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이 끼움 고정되는 삽입홈(312)이 형성된 몸체(310); 상기 몸체(310)의 내측 면에 설치 고정되고, 사각 형태의 얇은 판넬(321)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판넬(321) 사이에 제2도르래(330)가 축 결합되는 지지대(320); 및 상기 지지대(320)에 구비된 제2도르래(330)에 경유 되도록 연결되고, 일단이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되며, 타단은 도수치료사가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로프(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르래(330)는, 상기 판넬(321)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로프(340)의 일단 부분을 지지하여 경유 되도록 하기 위한 외측도르래(331); 및 상기 판넬(321)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지지편(322)에 축 결합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로프(340)의 타단 부분이 경유 되어 상기 몸체(310)에 형성된 개구부(313)를 통해 상기 몸체(310)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내측 도르래(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지면에 지지되는 수평프레임(111)과, 상기 수평프레임(111)의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 수직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진 지주대(110); 상기 수직프레임(112)의 양측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설치 고정된 제1가이드봉(120); 상기 제1가이드봉(1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봉(12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131)와, 상기 이동체(131)의 양측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고정봉(132)으로 이루어진 이동바(130); 및 상기 이동바(130)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슬링 유닛(300)에 연결된 상기 제1로프(340)가 경유 되어 상기 제1로프(340)의 방향을 변경하여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된 상기 제1로프(340)의 일단 부분이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제1도르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00)은, 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지주대(110) 사이에 설치 고정되며,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크랙홈(211)이 형성된 가로대(210); 상기 가로대(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고정대(220); 및 상기 고정대(220)의 양측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각각 체결 고정되고, 상기 슬링 유닛(300)이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제2가이드봉(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유닛(400)은, 상기 몸체(310) 내부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411)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연결바(412)와, 상기 회전축(411)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형성된 크랙홈(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바(413)가 형성된 회전부(410); 및 상기 회전부(410)의 외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410)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제2로프(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로프(420)를 당기게 되면 회전부(410)는 회전축(4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바(412)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 되고, 상기 고정바(413)는 상부 방향으로 회동 되어 상기 고정바(413)의 끝단이 상기 크랙홈(211)에 걸려 상기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치료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장소가 협소한 실내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전체 무게를 최소화하여 쉽고 편리하게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는 슬링 유닛 내부에 락킹 유닛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고, 락킹 유닛을 지지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어 생산성 향상 및 제작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가로대의 저면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로프는 하나의 실시 예이고, 다른 수단으로 대치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기에, 단지 로프로만 한정할 것이 아니기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도르래는 힘이나 동력을 전달하는 하나의 예이고, 다른 수단으로 대치가능하며 그런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서 가로대의 저면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10)는 지지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슬링 유닛(300) 및 락킹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도수치료장치(10)의 전체적인 무게를 지지하며, 도수치료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지주대(110), 제1가이드봉(120), 이동바(130) 및 제1도르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대(110)는 도수치료장치(10)의 하중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수평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111)의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 수직프레임(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봉(120)은 일정 지름을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수직프레임(112)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며, 이동바(130)가 체결되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동바(130)는 제1가이드봉(120)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봉(12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131)와, 이동체(131)의 일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고정봉(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동바(130)에 결합되는 제1도르래(140)가 상, 하 또는 좌, 우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도르래(140)는 이동바(130)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슬링 유닛(300)에 연결된 제1로프(340)가 경유되어 진행 방향을 바꾸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동바(130)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슬링 유닛(300)에 연결된 상기 제1로프(340)가 경유 되어 상기 제1로프(340)의 방향을 변경하여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된 상기 제1로프(340)의 일단 부분이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제1가이드봉(120)에 상, 하 또는 좌, 우로 이동되는 제1도르래(140)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제1도르래(140)에 연결되는 제1로프(340)를 환자의 치료 위치에 따라 도수치료사가 용이하게 적용하여 설정할 수 있고, 특히, 도수치료사가 제1로프(340)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당길 수 있도록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테이블에 누워있는 환자를 도수치료사가 제1로프(340)를 당겨 환자를 테이블에서 일정 높이 이격되게 공중부양을 시켜야 하는데, 이때, 도수치료사가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된 제1로프(340)를 제1도르래(140)에 연결하여 작은 힘으로도 환자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도르래(140)는 제1로프(34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바꾸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제1로프(340)를 제1도르래(140)에 연결한 상태에서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하여 도수치료사가 제1로프(340)를 당기게 되면, 환자의 발이 당겨지면서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는데, 이때, 이동바(130)에 구비된 이동체(131)가 제1가이드봉(120)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동시에 제1도르래(14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르래(140)의 이동에 따라 제1로프(340)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도르래(140)는 이동바(130)에 구비된 고정봉(13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는 환자에 연결된 제1로프(34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프레임(200)은 슬링 유닛()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312)에 끼워진 상태에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00) 사이에 설치 고정되고, 슬링 유닛(300)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200)은 가로대(210), 고정대(220) 및 제2가이드봉(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210)는 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주대(110) 사이에 설치 고정되며, 하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크랙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크랙홈(211)은 고정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정대(220)는 가로대(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고, 제2가이드봉(23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대(220)의 양측에 각가 체결되는 제2가이드봉(230)이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하기 위하여 슬링 유닛(3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봉(2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대(220)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대(2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제2가이드봉(230)은 슬링 유닛(300)이 지지하도록 결합 되고,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슬링 유닛(300)은 가로대(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가이드봉(230)에 결합하여 외력에 의해 제2가이드봉(2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며, 환자의 체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슬링 유닛(300)은 몸체(310), 지지대(320), 제2도르래(330) 및 제1로프(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에는 제2가이드봉(2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311)와, 상부 중앙에 고정프레임(200)이 끼움 고정되도록 삽입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홈(312)에 끼움 고정된 고정프레임(200)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고정프레임(200)의 하단면에 형성된 크랙홈(211)이 슬링 유닛(300) 내부에 설치된 락킹 유닛(400)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슬링 유닛(300)은 락킹 유닛(400)의 작동에 의해 락킹 유닛()에 구비된 회전부(410)가 크랙홈(211)에 걸리도록 하여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몸체(310)는 전면 중앙에 개구부(313)가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 가슴, 허리 또는 다리 등 각 부위에 위치하도록 고정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개구부()는 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제1로프()의 타단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320)는 몸체(310)의 내측 면에 설치 고정되고, 미리 정한 모양, 예를 들어 사각 형태의 얇은 판넬(321)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판넬(321) 사이에 제2도르래(330)가 축 결합될 수 있다.
제2도르래(330)는 지지대(320)의 내부에 축 결합되어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제1로프(340)가 지지되며, 제1로프(34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바꾸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도르래(330)는 외측도르래(331) 및 내측도르래(33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도르래(331)는 판넬(321)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1로프(340)의 일단 부분을 지지하여 경유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내측도르래(332)는 판넬(321)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지지편(322)에 축 결합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1로프(340)의 타단 부분이 경유 되어 판넬(321)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313)와 몸체(310)에 형성된 개구부(313)를 통해 몸체(310)의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몸체(310)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되는 제1로프(340)의 일단은 외측도르래(331)에 지지되고, 사용자, 예를 들어 도수치료사가 당기는 제1로프(340)의 타단에는 내측도르래(332)에 지지되도록 한다.
제1로프(340)는 제2도르래(330)에 경유하도록 연결되고, 일단에는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 클립 등이 고정될 수 있다. 제1로프(340)는 테이블에 누워있는 환자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환자가 서서 걸을 수 있도록 환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환자의 다리에 착용한 보조 벨트에 제1로프(340)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도수치료사가 제1로프(340)의 타단을 당기게 되면, 도수치료사는 제2도르래(330)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환자를 들어올릴 수 있고, 환자의 다리가 일정 높이 올려진 상태에서 제1로프(340)의 타단 부분을 고정시켜 환자의 다리가 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몸체(310) 내부에 위치하는 제1로프(340)의 일단은 몸체(3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제1로프(340)의 타단은 몸체(3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313)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락킹 유닛(400)은 외력에 의해 제2가이드봉(230)을 따라 이동되는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락킹 유닛(400)은 몸체(310)의 내부에 축 결합되는 회전부(410)와, 회전부(410)에 연결되는 제2로프(4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410)는 몸체(310) 내부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411)과,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몸체()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연결바(412)와, 회전축(411)의 타측에 연결되고 고정프레임(200)에 형성된 크랙홈(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바(4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로프()는 회전부(410)의 외측에 연결되고, 회전부(41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부(410)의 외측에 고정된 제2로프(420)를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부(410)는 회전축(4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연결바(412)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 되고, 고정바(413)는 상부 방향으로 회동 되며, 고정바(413)의 끝단이 크랙홈(211)에 걸려 슬링 유닛(30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고정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도수치료장치 100; 지지프레임
110; 지주대 111; 수평프레임
112; 수직프레임 120; 제1가이드봉
130; 이동바 131; 이동체
132; 고정봉 140; 제1도르래
200; 고정프레임 210; 가로대
211; 크랙홈 220; 고정대
230; 제2가이드봉 300; 슬링 유닛
310; 몸체 311; 가이드부
312; 삽입홈 313; 개구부
320; 지지대 321; 판넬
322; 지지편 330; 제2도르래
331; 외측도르래 332; 내측도르래
340; 제1로프 400; 락킹 유닛
410; 회전부 411; 회전축
412; 연결바 413; 고정바
420; 제2로프

Claims (5)

  1.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0);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링 유닛(300);
    상기 슬링 유닛(300)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상기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락킹 유닛(400); 및
    상기 슬링 유닛(300)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환자의 신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링 유닛(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1로프(340);를 포함하되,
    상기 슬링 유닛(3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에 제 2가이드봉(2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311)가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이 끼움 고정되는 삽입홈(312)이 형성된 몸체(310);
    상기 몸체(310)의 내측 면에 설치 고정되고, 미리 정한 형태의 얇은 판넬(321)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판넬(321) 사이에 제 2도르래(330)가 축 결합되는 지지대(320); 및
    상기 지지대(320)에 구비된 제2도르래(330)에 경유 되도록 연결되고, 일단이 보조 벨트에 연결되며, 타단은 당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로프(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치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르래(330)는,
    상기 판넬(321)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로프(340)의 일단 부분을 지지하여 경유 되도록 하기 위한 외측도르래(331); 및
    상기 판넬(321)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지지편(322)에 축 결합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로프(340)의 타단 부분이 경유 되어 상기 몸체(310)에 형성된 개구부(313)를 통해 상기 몸체(310)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내측 도르래(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치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지면에 지지되는 수평프레임(111)과, 상기 수평프레임(111)의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 수직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진 지주대(110);
    상기 수직프레임(112)의 양측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설치 고정된 제1가이드봉(120);
    상기 제1가이드봉(1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봉(12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131)와, 상기 이동체(131)의 양측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고정봉(132)으로 이루어진 이동바(130); 및
    상기 이동바(130)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슬링 유닛(300)에 연결된 상기 제1로프(340)가 경유 되어 상기 제1로프(340)의 방향을 변경하여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된 상기 제1로프(340)의 일단 부분이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제1도르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치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00)은,
    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지주대(110) 사이에 설치 고정되며,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크랙홈(211)이 형성된 가로대(210);
    상기 가로대(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고정대(220); 및
    상기 고정대(220)의 양측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각각 체결 고정되고, 상기 슬링 유닛(300)이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제2가이드봉(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치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유닛(400)은,
    상기 몸체(310) 내부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411)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연결바(412)와, 상기 회전축(411)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형성된 크랙홈(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바(413)가 형성된 회전부(410); 및
    상기 회전부(410)의 외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410)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제2로프(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로프(420)를 당기게 되면 회전부(410)는 회전축(4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바(412)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 되고, 상기 고정바(413)는 상부 방향으로 회동 되어 상기 고정바(413)의 끝단이 상기 크랙홈(211)에 걸려 상기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치료장치.
KR1020160060065A 2016-03-16 2016-05-17 도수치료장치 KR101781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431 2016-03-16
KR20160031431 2016-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871A true KR20170107871A (ko) 2017-09-26
KR101781495B1 KR101781495B1 (ko) 2017-09-27

Family

ID=6003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065A KR101781495B1 (ko) 2016-03-16 2016-05-17 도수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4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030B1 (ko) * 2017-09-11 2019-02-25 김세곤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CN110403800A (zh) * 2019-08-27 2019-11-05 北京君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可移动多科室床旁悬吊康复训练系统
CN110420109A (zh) * 2019-09-03 2019-11-08 北京君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全电动康复训练悬吊
KR102162069B1 (ko) * 2019-05-09 2020-10-06 김세곤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72B1 (ko) 2019-08-21 2020-11-13 정부환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KR102551484B1 (ko) 2020-09-01 2023-07-04 염경성 도수 치료를 위한 진료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47128B1 (ko) 2021-06-07 2023-06-22 정부환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KR102572334B1 (ko) 2021-06-07 2023-08-28 (주)위니즈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KR102602122B1 (ko) 2021-07-29 2023-11-14 (주)위니즈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KR102553465B1 (ko) 2022-08-05 2023-07-12 주식회사 바디블 도수치료장치
KR102662371B1 (ko) 2023-04-25 2024-05-08 대전하늘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 도수 치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663B2 (ja) 1991-09-17 2000-05-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薄スラブを用いて深絞り性に優れた熱延鋼板を製造する方法
KR200477537Y1 (ko) 2015-03-04 2015-06-22 박영한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030B1 (ko) * 2017-09-11 2019-02-25 김세곤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KR102162069B1 (ko) * 2019-05-09 2020-10-06 김세곤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CN110403800A (zh) * 2019-08-27 2019-11-05 北京君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可移动多科室床旁悬吊康复训练系统
CN110420109A (zh) * 2019-09-03 2019-11-08 北京君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全电动康复训练悬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495B1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495B1 (ko) 도수치료장치
KR20180042820A (ko) 다양한 자세 또는 위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도수치료장치
JP6920772B2 (ja) ウエイト運動器具
KR101330532B1 (ko) 고관절 재활훈련장치
DE8530304U1 (de) Durch elektromechanischen Antrieb kippbares Bett
CN109124987B (zh) 一种全自动脚踝全方位活动及负重康复装置
US11253415B2 (en) Body lightening system for gait training
KR20160074221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US20170157451A1 (en) Bed Exercise Apparatus
CN206852991U (zh) 一种健身座椅
CN204501396U (zh) 一种下肢牵引换药设备
CN211271775U (zh) 一种新型神经内科用诊疗护理床
KR20180112613A (ko) 운동 지원형 높이 조절 책상
KR101176168B1 (ko)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
JP6640841B2 (ja) クレードル
US9427370B2 (en) Kit for rehabilitation apparatus
KR20080070614A (ko) 오십견 또는 육십견을 예방할 수 있는 조립식 간이 철봉
KR101182117B1 (ko) 다기능 복합 스트레칭기구
CN108524188B (zh) 肢体康复训练器
JP2016171859A (ja) 入浴装置
KR100763804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CN216318515U (zh) 一种卧床使用锻炼床
KR101488643B1 (ko) 전신 스트레칭 운동장치
CN211409861U (zh) 一种手足外科用脚部抬高装置
JP3124175U (ja) 腰椎牽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