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804B1 -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3804B1 KR100763804B1 KR1020070037640A KR20070037640A KR100763804B1 KR 100763804 B1 KR100763804 B1 KR 100763804B1 KR 1020070037640 A KR1020070037640 A KR 1020070037640A KR 20070037640 A KR20070037640 A KR 20070037640A KR 100763804 B1 KR100763804 B1 KR 1007638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height
- bar
- adjust
- iron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철봉을 이동형으로 구성하여 어떠한 장소에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철봉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지지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이러한 지지대들이 모두 고정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철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철봉의 사용연령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철봉구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철봉운동을 할 수 있으며, 철봉구조물이 절첩식으로 구성되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철봉, 높이조절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에 끈길이조절장치를 부설한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고정사슬 연결부위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300,400,500 : 지지체 110,210,310,410,510 : 지지대
111 : 내관 112 : 외관
113,114 : 철봉높이조절공 115 : 고정핀
121 : 연결봉 122 : 고정대
130,230,330,430,530 : 철봉 140,240,340,440 : 바닥판
141,241,341,361,441 : 고무판 142,242,342,351,363,442 : 힌지
143,243,343,364,443 : 요철부 221,321,421,521 : 연결관
250 : 철봉높이조절끈 260 : 끈길이조절장치
350 : 연결봉 360 : 철봉높이조절판
362 : 지지대끼움홈 411 : 너트
450 : 철봉높이조절볼트 451 : 나사
452 : 회전손잡이 550 : 걸림고리
560 : 고정사슬 561 : 타원형 링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철봉을 이동형으로 구성하여 어떠한 장소에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철봉은 원형 파이프를 일정한 높이에 가로방향으로 지지시켜 이를 양손으로 파지하여 운동을 하는 운동기구의 한 종류로서, 야외에 설치할 때에는 양쪽에 수직으로 지지대를 고정한 상태에서 그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철봉을 고정 설치함이 보통이고,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양쪽 문틀에 고무재질로 된 지지판을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철봉을 고정함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기한 야외에 설치하는 일반적인 철봉이든 실내에 설치하는 간이 철봉이든 또는 기타 다른 구조의 철봉이든 대부분 철봉의 높이가 고정되어있어 사용자의 키 또는 운동능력에 따라 철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철봉의 양단부를 지지해주는 지지판에 철봉을 지지해주는 다단의 지지부를 구비하여 철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도 있으나, 이 역시 사용상 불편함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으로, 예를 들어 철봉이 높은 위치의 지지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키가 작은 사람이 자신의 신체에 맞게 철봉의 높이를 조절해주기 위해서는 발판 또는 의자 등을 받치고 올라선 후 철봉을 들어내어 다른 칸으로 옮겨야 하는 등 불편함이 큰 것이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2007-26844 호에서 벽체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각 연결봉의 자유단부와 바닥부에 세워지는 지지대의 상단 부에 가로방향으로 철봉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하고,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바닥부와 접촉시 미끄러지지 않는 바닥판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능력에 따라 철봉의 높이를 지지대를 벌려주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조절토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벽체에 붙여 접어놓을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출원 제 2007-26844 호에 따른 철봉은 그 높이의 조절이 용이하고, 철봉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지만 연결봉이 벽체에 고정되어 있어 항상 특정한 장소에 설치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어 철봉을 이용한 운동을 하고자 하면 철봉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할 수밖에 없어 사용상 불편함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측 지지대와 타측 지지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일측 지지대와 타측 지지대 사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철봉 구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어떠한 장소에서든 철봉 운동을 할 수 있고, 철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된 각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대(110)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봉(121)을 고정하면서 각 지지대(110)의 중간부 사이에 고정대(122)를 고정하여 측면상 "A"형상으로 구성한 지지체(100)를 2세트 이상 구비하고, 각 지지체(100)의 연결봉(121) 사이에 철봉(1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되, 각 지지체(100)의 지지대(110)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내관(111)과 외관(112)의 2중관식으로 각각 구성하고, 내관(111)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141)을 갖는 바닥판(14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힌지(142)로 고정하며, 내관(111)과 외관(112)에는 서로 대응되는 다수의 철봉높이조절공(113)(114)을 각각 형성하고, 내관(111)과 외관(112)의 철봉높이조절공(113)(114)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치된 각 철봉높이조절공(113)(114)을 통해 고정핀(115)을 관통시켜 내관(111)과 외관(112)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것으로 각 지지대(1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철봉(130)의 높이를 조절토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고무판(141)의 하면에는 바닥부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부(143)를 형성하게 된다.
도면상에는 지지체(100)가 2세트 구비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각 지지대(110)에 구비된 고정핀(115)을 빼내고 내관(111)을 외관(112)에 삽입하거나 빼내는 방법으로 적정한 길이로 조정하면서 내관(111)과 외관(112)의 각 철봉높이조절공(113)(114)을 일치시키게 되며, 고정핀(115)을 철봉높이조절공(113)(114)의 사이로 통과시켜 고정하면 각 지지대(110)의 길이가 조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고, 각 지지대(110)의 길이가 조정되면 그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각 연결관(12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철봉(130)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게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철봉(130)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철봉 구조물 자체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철봉 구조물 전체를 들어 원하는 장소로 쉽게 옮겨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지지대(110)의 하부에는 고무판(141)을 갖는 바닥판(14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고무판(141)의 하부에는 요철부(143)가 형성되어 있어 철봉운동을 할 때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철봉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각 지지대(110) 사이의 각도는 철봉 운동을 할 때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25 ~ 45°정도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며, 각 고정대(122)는 용접과 같은 방법을 통해 각 지지대(110)의 사이에 고정되어 철봉 운동중 각 지지대(110) 사이의 각도를 유지하여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은 자명하다.
[제 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에 끈길이조절장치를 부설한 상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대(210) 상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관(221)을 고정하면서 각 연결관(221)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측면상 "∧"의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체(200)를 2세트 이상 구비하고, 각 지지체(200)의 연결관(221) 사이에 철봉(2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각 지지대(210)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241)을 갖는 바닥판(24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힌지(242)로 고정하고, 각 지지체(200)의 지지대(210) 사이에는 철봉높이조절끈(250)을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길이조절가능토록 연결하여 철봉높이조절끈(250)을 조절하여 각 지지대(21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철봉(230)의 높이를 조절토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철봉높이조절끈(250)의 고정부위 반대측은 지지대(210)에 그대로 묶어주도록 구성하거나, 지지대(210)에 별도의 끈길이조절장치(260)를 고정하여 철봉높이조절끈(250)의 길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무판(241)의 하면에는 바닥부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부(243)를 형성하게 된다.
도면상에는 지지체(200)가 2세트 구비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철봉높이조절끈(250)을 당겨주면 각 지지대(210) 사이의 각도가 좁아지면서 철봉(230)의 높이가 원상태보다 높아지게 되고, 철봉높이조절끈(250)을 풀어준 상태에서 각 지지대(210) 사이를 벌려주면 철봉(230)의 높이가 원상태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으로, 각 지지대(210) 사이의 각도를 원하는 만큼 조정한 후에는 철봉높이조절끈(250)을 반대측 지지대(210)에 묶어 고정하거나, 별도의 끈길이조절장치(260)를 통해 고정해주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게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철봉(230)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철봉 구조물 자체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철봉 구조물 전체를 들어 원하는 장소로 쉽게 옮겨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지지대(210)의 하부에는 고무판(241)을 갖는 바닥판(24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고무판(241)의 하부에는 요철부(243)가 형성되어 있어 철봉운동을 할 때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철봉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지지대(210)는 서로 접힐 수 있는 것이므로 철봉 운동을 모두 마친 후 각 지지대(210)를 접어주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제 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대(310) 상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관(321)을 고정하면서 각 연결관(321)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측면상 "∧"의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체(300)를 2세트 이상 구비하고, 각 지지체(300)의 연결관(321) 사이에 철봉(3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지지대(310) 중 일측 지지대(310)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341)을 갖는 바닥판(34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힌지(342)로 고정하고, 이 지지대(310)의 하부 일측에는 타측 지지대(310) 방향으로 연결봉(350)을 회전가능하게 힌지(351)로 연결하며, 하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판(36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다단의 지지대끼움홈(362)이 형성된 철봉높이조절판(360)을 연결봉(350)의 지지대 반대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363)로 연결하여 타측 지지대(310)를 철봉높이조절판(360)의 지지대끼움홈(362) 중 선택하여 끼워주는 것에 의해 각 지지대(31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철봉(330)의 높이를 조절토록 한 것이다.
이때, 철봉높이조절판(360)의 지지대끼움홈(362)의 개수는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으나, 각 지지대(310) 사이의 안정적인 각도를 고려하여 4 ~ 10개 정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각 지지대(310) 사이의 간격 역시 지지대(310)의 길이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각 지지대(310)가 최대한 좁혀졌을 때 25°정도가 되고 각 지지대가 최대한 벌어졌을 때 45°정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고무판(341)(361)의 하면에는 바닥부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부(343)(364)를 형성하게 된다.
도면상에는 지지체(300)가 2세트 구비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고, 철봉높이조절판(360)의 지지대끼움홈(362)이 4개 구성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어떠한 구조물도 부착되지 않은 지지대(310)를 철봉높이조절판(360)의 지지대끼움홈(362)으로부터 빼내어 원래의 위치로부터 타측 지지대(310) 방향의 다른 지지대끼움홈(362)에 끼워주게 되면 지지대(310) 사이의 각도가 원래의 각도보다 좁아지면서 철봉(33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타측 지지대(310)와 반대 방향의 다른 지지대끼움홈(362)에 끼워주게 되면 지지대(310) 사이의 각도가 원래의 각도보다 벌어지면서 철봉(330)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게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철봉(330)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철봉 구조물 자체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철봉 구조물 전체를 들어 원하는 장소로 쉽게 옮겨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일측 지지대(310)의 하부에는 고무판(341)을 갖는 바닥판(34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또 철봉높이조절판(360)의 하부에도 고무판(361)이 고정되어 있고, 각 고무판(341)(361)의 하부에는 요철부(343)(364)가 형성되어 있어 철봉운동을 할 때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철봉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지지대(310)의 사이는 서로 접힐 수 있고, 또 연결봉(350)과 지지 대(310)의 사이, 연결봉(350)과 철봉높이조절판(360) 사이 역시 서로 접힐 수 있어 철봉 운동을 모두 마친 후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접어주게 되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제 4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대(410) 상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관(421)을 고정하면서 각 연결관(421)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측면상 "∧"의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체(400)를 2세트 이상 구비하고, 각 지지체(400)의 연결관(421) 사이에 철봉(4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각 지지대(410)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441)을 갖는 바닥판(44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힌지(442)로 고정하고, 각 지지체(400)의 지지대(410) 중간부 마주보는 부위에는 너트(411)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며, 양측에 나사(451)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에 회전손잡이(452)가 구비된 철봉높이조절볼트(450)의 양측을 지지대(410)의 각 너트(411)에 각각 삽입하여 회전손잡이(452)를 회전시켜 각 지지대(41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철봉(430)의 높이를 조절토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철봉높이조절볼트(450)의 양측에 형성되는 나사(451)는 서로 반대방향 으로 구성하여 철봉높이조절볼트(45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각 지지대(410)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고무판(441)의 하면에는 바닥부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부(443)를 형성하게 된다.
도면상에는 지지체(400)가 2세트 구비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철봉높이조절볼트(450)의 회전손잡이(45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철봉높이조절볼트(450)의 각 나사(451)가 회전되면서 각 너트(411)의 사이의 간격을 좁혀주어 각 지지대(410) 사이의 각도가 좁아지면서 철봉(430)의 높이가 원상태보다 높아지게 되고, 철봉높이조절볼트(450)의 회전손잡이(45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철봉높이조절볼트(450)의 각 나사(451)가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각 너트(411)의 사이의 간격을 넓혀주어 각 지지대(410) 사이의 각도가 커지면서 철봉(430)의 높이가 원상태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으로, 각 지지대(410) 사이의 각도를 원하는 만큼 조정한 후에는 철봉높이조절조절볼트(450)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면 각 지지대(410) 사이의 각도가 조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게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철봉(430)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철봉 구조물 자체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철봉 구조물 전체를 들어 원하는 장소로 쉽게 옮겨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지지대(410)의 하부에는 고무판(441)을 갖는 바닥판(440)이 회전가 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고무판(441)의 하부에는 요철부(443)가 형성되어 있어 철봉운동을 할 때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철봉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지지대(410)는 서로 접힐 수 있는 것이므로 철봉 운동을 모두 마친 후 철봉높이조절볼트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각 지지대(410) 사이의 각도를 최대한 좁혀주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제 5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고정사슬 연결부위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대(510) 상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관(521)을 고정하면서 각 연결관(521)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측면상 "∧"의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체(500)를 2세트 이상 구비하고, 각 지지체(500)의 연결관(521) 사이에 철봉(5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각 지지체(500)의 지지대(510) 중간부에는 걸림고리(550)를 각각 돌출 고정하며, 타원형의 링(561)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사슬(560)을 각 걸림고리(550)에 걸리도록 구성하여 각 지지 대(5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철봉(53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그 조절된 위치는 고정사슬(560) 중 선택된 부위를 걸림고리(550)에 걸어주어 고정토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상에는 지지체(500)가 2세트 구비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고정사슬(560)을 걸림고리(550)로부터 이탈시키고, 각 지지대(510)에 힘을 가하여 각 지지대(510) 사이의 각도를 좁혀주면 철봉(530)의 높이가 원래의 위치보다 높아지게 되고, 각 지지대(510) 사이의 각도를 넓혀주면 철봉(530)의 높이가 원래의 위치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으로, 각 지지대(510) 사이의 각도를 원하는 만큼 조정한 후에는 각 지지대(510)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고리(550)에 고정사슬(560)의 타원형 링(561)을 걸어 고정하면 각 지지대(510) 사이의 각도가 조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각 걸림고리(550)에 걸리는 고정사슬(560)의 타원형 링(561)은 각 지지대(51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각 걸림고리(550)의 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게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철봉(530)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철봉 구조물 자체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철봉 구조물 전체를 들어 원하는 장소로 쉽게 옮겨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지지대(510)는 서로 접힐 수 있는 것이므로 철봉 운동을 모두 마친 후 고정사슬(560)을 각 걸림고리(550)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각 지지대(510) 사 이의 각도를 최대한 좁혀주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철봉의 사용연령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철봉구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철봉운동을 할 수 있으며, 철봉구조물이 절첩식으로 구성되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대(110)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봉(121)을 고정하면서 상기 각 지지대(110)의 중간부 사이에 고정대(122)를 고정하여 측면상 "A"형상으로 구성한 지지체(100)를 2세트 이상 구비하고, 상기 각 지지체(100)의 연결봉(121) 사이에 철봉(1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되, 상기 각 지지체(100)의 지지대(110)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내관(111)과 외관(112)의 2중관식으로 각각 구성하고, 상기 내관(111)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141)을 갖는 바닥판(14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내관(111)과 상기 외관(112)에는 서로 대응되는 다수의 철봉높이조절공(113)(114)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내관(111)과 상기 외관(112)의 철봉높이조절공(113)(114)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치된 각 철봉높이조절공(113)(114)을 통해 고정핀(115)을 관통시켜 상기 내관(111)과 상기 외관(112)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것으로 상기 각 지지대(1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철봉(130)의 높이를 조절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대(210) 상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관(221)을 고정하면서 상기 각 연결관(221)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측면상 "∧"의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체(200)를 2세트 이상 구비하고, 상기 각 지지체(200)의 연결관(221) 사이에 철봉(2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상기 각 지지 대(210)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241)을 갖는 바닥판(24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각 지지체(200)의 지지대(210) 사이에는 철봉높이조절끈(250)을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길이조절가능토록 연결하여 상기 철봉높이조절끈(250)을 조절하여 상기 각 지지대(21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철봉(230)의 높이를 조절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대(210) 중 상기 철봉높이조절끈(250)의 고정부위 반대측에는 상기 철봉높이조절끈(250)의 길이를 조정해주도록 끈길이조절장치(260)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대(310) 상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관(321)을 고정하면서 상기 각 연결관(321)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측면상 "∧"의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체(300)를 2세트 이상 구비하고, 상기 각 지지체(300)의 연결관(321) 사이에 철봉(3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310) 중 일측 지지대(310)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341)을 갖는 바닥판(34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이 지지대(310)의 하부 일측에는 타측 지지대(310) 방향으로 연결봉(35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하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판(36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다단의 지지대끼움홈(362)이 형성된 철봉높이조절판(360)을 상기 연결봉(350)의 지지대 반대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타측 지지대(310)를 상기 철봉높이조절판(360)의 지지대끼움홈(362) 중 선택하여 끼워주는 것에 의해 상기 각 지지대(31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철봉(330)의 높이를 조절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대(410) 상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관(421)을 고정하면서 상기 각 연결관(421)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측면상 "∧"의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체(400)를 2세트 이상 구비하고, 상기 각 지지체(400)의 연결관(421) 사이에 철봉(4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상기 각 지지대(410)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441)을 갖는 바닥판(44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각 지지체(400)의 지지대(410) 중간부 마주보는 부위에는 너트(411)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며, 양측에 나사(451)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에 회전손잡이(452)가 구비된 철봉높이조절볼트(450)의 양측을 상기 지지대(410)의 각 너트(411)에 각각 삽입하여 상기 회전손잡이(452)를 회전시켜 상기 각 지지대(41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철봉(430)의 높이를 조절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대(510) 상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관(521)을 고정하면서 상기 각 연결관(521)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측면상 "∧"의 형 상으로 구성한 지지체(500)를 2세트 이상 구비하고, 상기 각 지지체(500)의 연결관(521) 사이에 철봉(5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상기 각 지지체(500)의 지지대(510) 중간부에는 걸림고리(550)를 각각 돌출 고정하며, 타원형의 링(561)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사슬(560)을 상기 각 걸림고리(550)에 걸리도록 구성하여 상기 각 지지대(5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철봉(53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그 위치를 상기 고정사슬(560)이 상기 걸림고리(550)에 걸리는 것에 의해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1961A KR20070108467A (ko) | 2007-03-29 | 2007-03-30 |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KR1020070031961 | 2007-03-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7754A KR20070047754A (ko) | 2007-05-07 |
KR100763804B1 true KR100763804B1 (ko) | 2007-10-12 |
Family
ID=3827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7640A KR100763804B1 (ko) | 2007-03-30 | 2007-04-17 |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380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8012B1 (ko) | 2013-03-20 | 2014-08-07 | 김태화 | 조립식 평행봉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07079A (zh) * | 2018-10-23 | 2019-01-01 | 张艺璇 | 一种调节高度的双杠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29948U (ko) | 1974-08-21 | 1976-03-04 |
-
2007
- 2007-04-17 KR KR1020070037640A patent/KR1007638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29948U (ko) | 1974-08-21 | 1976-03-04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8012B1 (ko) | 2013-03-20 | 2014-08-07 | 김태화 | 조립식 평행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7754A (ko) | 2007-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18518B1 (en) | Hand grip for tilting inversion exercise table | |
AU2011278243B2 (en) | An exercise device | |
US7179212B2 (en) | Omni-directional abdominal exerciser | |
US8535204B2 (en) | Exercise apparatus | |
US8475343B2 (en) | Push-up / chin-up exercise assembly | |
US10166432B2 (en) | Bed exercise apparatus | |
KR20170107871A (ko) | 도수치료장치 | |
KR100763804B1 (ko) |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
WO2018054223A1 (zh) | 设备位置调节装置 | |
US20050130816A1 (en) | Abdominal exerciser | |
KR200454839Y1 (ko) | 각도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 | |
WO2009109793A1 (en) | Exercise unit | |
KR20080070614A (ko) | 오십견 또는 육십견을 예방할 수 있는 조립식 간이 철봉 | |
KR20070108467A (ko) |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
US20220168611A1 (en) | Adjustable pull-up bar | |
KR101807402B1 (ko) | 절첩식 간이 텐트용 설치유닛 | |
KR20070108461A (ko) |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
KR101432434B1 (ko) | 도어 짐 | |
CN208651985U (zh) | 一种应用于家电安装的支撑座 | |
KR20120097561A (ko) |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
CN216877774U (zh) | 一种多功能体质锻炼设备 | |
CN219983847U (zh) | 一种背靠垫姿态可调节的健身凳 | |
KR200311144Y1 (ko) | 전통악기 받침대 | |
JP2003230446A (ja) | テーブルスタンド | |
KR101163759B1 (ko) | 자기 체중을 이용한 척추 기립근 단련 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