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839Y1 - 각도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839Y1
KR200454839Y1 KR2020080011641U KR20080011641U KR200454839Y1 KR 200454839 Y1 KR200454839 Y1 KR 200454839Y1 KR 2020080011641 U KR2020080011641 U KR 2020080011641U KR 20080011641 U KR20080011641 U KR 20080011641U KR 200454839 Y1 KR200454839 Y1 KR 200454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it
base plate
pai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590U (ko
Inventor
임채규
Original Assignee
임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규 filed Critical 임채규
Priority to KR2020080011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83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싯업 보드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를 개시한다. 싯업 운동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부에 배치되는 싯업 보드(1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싯업 보드(12)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또한 싯업 보드(12)를 지지하는, 싯업 보드(1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잭(2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단부와 싯업 보드(12)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 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 잭의 일 예로서 사용될 수 있는 스크류 잭(20)은 외주면에 수나산이 형성된 샤프트(206)와, 샤프트(206)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램(208)과, 일단부가 각각 램(208)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한쌍의 상부 및 하부 지지대(202 및 204)와, 이 지지대(202, 204)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대를 상호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브라켓(211 및 213)과, 상기 샤프트(206)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 커넥터(210)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06)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휠타입 렌치(230)를 구비한다.
싯업 보드, 운동기구, 각도 조절, 베이스,

Description

각도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 {SITUP-TYPE SPORTS EQUIPMENT CAPABLE OF ADJUSTING ITS ANGLE}
본 고안은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수행하는 싯업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싯업 보드의 기울기가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 및 컴퓨터에 익숙한 현대인들은 앉아 있는 시간이 많고, 운동이 부족하여 허리 디스크 도는 복부 비만의 문제에 심각히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척추를 교정하거나 복부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척추를 교정하거나 복부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기구의 대표적인 예로서 물구나무서기나 윗몸일으키기가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가 있다.
통상의 싯업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두 발을 고정하며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싯업 보드가 사용된다.
이 싯업 보드를 사용할 때 싯업 보드가 수평하게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윗몸의 자중이 작용하는 거리를 보다 길게 하여 효과적인 운동이 될 수 있도록 통상의 싯업 보드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종래 경사지게 설치된 싯업 보드는 경사진 상태에서 기울기 조절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된 싯업 보드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고정된 기울기에서 다리를 상체보다 위로 가게 하여 두발을 고정한 후 싯업 보드에 지지되면서 윗몸 일으키기를 하게 된다.
싯업 보드가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된 종래 싯업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윗몸일으키기를 할 때 특별한 위험이 없다. 그러나, 싯업 보드가 큰 기울기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하체를 상체보다 높은 위치가 되게 하여 발목을 발목 고정대에 거는 것은 매우 어렵고 힘들다. 또한, 하체가 상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인 불안정한 상태에서 발목을 발목 고정대에 걸게 되어 발이 안정적으로 걸려지지 못하고 이탈됨으로써 싯업 보드 아래로 굴러 떨어져 다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수평한 자세를 취한 이후에, 싯업 보드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여, 불필요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싯업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싯업 보드의 기울기가 설정된 이후에 사용자가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수행할 때 싯업 보드를 확실하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싯업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태양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는 싯업 보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싯업 보드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또한 싯업 보드를 지지하 는, 싯업 보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잭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부와 싯업 보드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 부재를 포함하는 싯업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잭은 외주면에 수나산이 형성된 샤프트와, 샤프트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램과, 일단부가 각각 램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한쌍의 상부 및 하부 지지대와, 좌측 및 우측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대를 상호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휠타입 렌치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잭은 하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과 상부를 싯업 보드에 힌지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지지판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 부재는 상부면 결합부를 갖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상부에 배치된 지지판과, 상기 고정판의 결합부와 힌지식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판의 하면에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과, 및 결합부에 형성된 구멍과 브라켓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핀을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싯업 보드가 어떠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어도, 베이스 플레이트는 싯업 보드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동 도중에 싯업 보드가 그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가 없어서,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을 방 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수평 위치에서 적절한 자세를 취한 이후에, 싯업 보드 옆에 설치된 휠타입 렌치를 돌려 적정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게다가, 휠타입 렌치를 이용하여 스크류 잭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싯업 보드의 기울기가 자유롭게 변경되기 때문에, 노약자도 쉽게 싯업 보드의 기울기를 원하는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휠타입 렌치는 싯업 보드의 양 측부에 마련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싯업 보드의 양 측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안전바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싯업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싯업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싯업 운동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부에 배치되는 싯업 보드(12)와, 상기 싯업 보드(12)의 상부 일단부에 설치된 발고정 부재(14)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싯업 보드(12)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또한 싯업 보드(12)를 지지하는, 싯업 보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잭(2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단부와 싯업 보드(12)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 부재(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싯업 보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잭은, 스크류 잭이나 유압식 잭, 공압식 잭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도 조절 구조의 다양한 잭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각도 조절용 잭의 일 예로서 스크류 잭(20)이 제시되고 있으며, 다만 이 스크류 잭(20)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류 잭(20)을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류 잭(20)은 각도 조절 기구로서, 외주면에 수나산이 형성된 샤프트(206)와, 샤프트(206)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램(ram; 208)과, 일단부가 각각 램(208)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한쌍의 상부 및 하부 지지대(202 및 204)와, 이 지지대(202 및 204)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대를 상호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브라켓(211 및 213)과, 상기 샤프트(206)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 커넥터(210)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06)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휠타입 렌치(2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잭(20)은 하부를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212)과 상부를 싯업 보드(12)에 힌지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지지판(222)을 구비한다(도 3참조). 지지판(222)은 그 하부에 마련된 힌지부(224)를 구비한다. 힌지부(224)는 스크류 잭(20)의 상부에 마련된 결합부(214)와 결합하고, 비도시된 핀에 의하여 상호 힌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스크류 잭(20)에 의하여 싯업 보드(12)가 경사 이동하여도, 지지판(222)이 싯업 보드의 경사 이동에 대응하여 경사 이동한다.
스크류 잭(20)의 작동에 의하여 싯업 보드(12)의 기울기가 증가할 때, 스크류 잭(20)의 상부에 마련된 결합부(214)는 상부 브라켓(213)의 상부면에 형성된 슬 롯(215)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크류 잭(20)이 수직으로 이동하더라도, 결합부(214) 자체의 이동 및 힌지부(224)에 의하여 싯업 보드(12)가 원할하게 경사 이동할 수 있다.
스크류 잭(20)의 고정판(212)과 지지판(222)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지지판(222)에 볼트로 체결된다.
스크류 잭(20)은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에 마련된 램(208)이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브라켓(213)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램(208)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브라켓(213)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상부 브라켓(213)에 결합된 싯업 보드 역시 이에 대응하여 하방 또는 상방으로 경사 이동하게 된다. 램(208)의 내측 또는 외측 이동은 샤프트(206)의 단부에 결합된 휠타입 렌치(230)를 회전시키면, 랙과 피니언의 원리로 램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싯업 운동기구의 힌지 부재(4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싯업 보드(12)의 단부 사이에는 한 쌍의 힌지 부재(40)가 배치되어 있다. 힌지 부재(40)는 상부면 결합부를 갖는 고정판(402)과, 상기 고정판(402) 상부에 배치된 지지판(406)과, 상기 고정판(402)의 결합부와 힌지식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판(406)의 하면에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404)과, 및 결합부에 형성된 구멍(비도시)과 브라켓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407)에 삽입되는 핀(408)을 구비한다.
힌지 부재(40)의 고정판(402)과 지지판(406)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싯업 보드에 볼트로 체결된다.
전술한 구성의 싯업 운동기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싯업 운동기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싯업 보드의 기울기를 결정한다. 싯업 보드의 기울기가 결정되면, 사용자는 샤프트(206)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 커넥터(21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휠타입 렌치(230)를 회전시킨다.
샤프트(206)가 휠타입 렌치(230)에 의하여 회전되면, 렌치의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한 상의 램(208)은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한다. 램(208)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싯업 보드(12)의 기울기가 커지게 되면, 반대로 램(208)이 외측으로 이동하면, 싯업 보드(12)의 기울기가 작아지게 된다.
싯업 보드(12)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 이동하는 경우에, 각조 조절 기구(20)의 상방에 마련된 지지판(222)은 싯업 보드(12)의 경사 이동에 대응하여 동일한 각도로 경사 이동하게 되어, 싯업 보드(12)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싯업 보드(12)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 부재(40) 역시 싯업 보드(12)의 경사 이동에 대응하여 동일한 각도로 경사 이동하게 되어, 싯업 보드(12)를 확실하게 지지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싯업 보드가 수평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싯업 보드 상방에서 편안한 자세를 잡은 이후에, 스크류 잭을 사용하여 싯업 보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게다가, 휠타입 렌치를 이용하여 스크류 잭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싯업 보드의 기울기가 자유롭게 변경되기 때문에, 노약자도 쉽게 싯업 보드의 기울기를 원하는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싯업 보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 잭을 사용하였지만 이 외에 유압식 잭, 공압식 잭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싯업 보드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허리 근육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하여, 싯업 보드가 소정 각도로 굴곡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보호 받고자 하는 보호범위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싯업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싯업 운동기구의 스크류 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크류 잭 상부에 결합되는 힌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싯업 운동기구의 힌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베이스 플레이트
12: 싯업 보드
14: 발고정 부재
20: 스크류 잭
40: 힌지 부재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부에 배치되는 싯업 보드(1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싯업 보드(12)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또한 싯업 보드(12)를 지지하는, 싯업 보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잭(2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단부와 싯업 보드(12)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 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잭(20)은, 외주면에 수나산이 형성된 샤프트(206)와, 샤프트(206)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램(208)과, 일단부가 각각 램(208)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한쌍의 상부 및 하부 지지대(202 및 204)와, 상기 상, 하부 지지대(202 및 204)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대(202 및 204)를 상호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브라켓(211 및 213)과, 상기 샤프트(206)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 커넥터(210)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06)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휠타입 렌치(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브라켓(211 및 213) 중 아래쪽 브라켓(211)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된 고정판(212)에 고정되며,
    상기 브라켓(211 및 213) 중 위쪽 브라켓(213)에는 결합부(214)가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214)는 상기 위쪽 브라켓(213)에 형성되는 슬롯(215)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214)는 상기 싯업 보드(12)에 고정된 지지판(222)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싯업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40)는 상부면 결합부를 갖는 고정판(402)과, 상기 고정판(402) 상부에 배치된 지지판(406)과, 상기 고정판(402)의 결합부와 힌지식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판(406)의 하면에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404)과, 및 결합부에 형성된 구멍과 브라켓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407)에 삽입되는 핀(40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싯업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싯업 보드의 상부 일단에는 발고정 부재(1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싯업 운동기구.
  4. 삭제
  5. 삭제
KR2020080011641U 2008-08-29 2008-08-29 각도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 KR200454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641U KR200454839Y1 (ko) 2008-08-29 2008-08-29 각도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641U KR200454839Y1 (ko) 2008-08-29 2008-08-29 각도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590U KR20100002590U (ko) 2010-03-10
KR200454839Y1 true KR200454839Y1 (ko) 2011-07-29

Family

ID=4419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641U KR200454839Y1 (ko) 2008-08-29 2008-08-29 각도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8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4360A (zh) * 2018-03-20 2018-08-17 温州伊诺韦特科技有限公司 一种有效缓解腿部酸痛的健身仰卧板
KR200487923Y1 (ko) 2018-03-28 2018-11-26 주식회사 이고진 복합 헬스기구
CN109999415A (zh) * 2019-03-15 2019-07-12 西安欧亚学院 一种健美操力量训练支撑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8159A1 (en) * 2014-08-01 2016-02-04 Cambelle Ltd Exercise devices and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343U (ja) * 1993-05-10 1994-11-22 株式会社トスカ工芸 昇降式運動座椅子2
KR0137123Y1 (ko) * 1996-12-31 1999-02-01 류완섭 전신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343U (ja) * 1993-05-10 1994-11-22 株式会社トスカ工芸 昇降式運動座椅子2
KR0137123Y1 (ko) * 1996-12-31 1999-02-01 류완섭 전신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4360A (zh) * 2018-03-20 2018-08-17 温州伊诺韦特科技有限公司 一种有效缓解腿部酸痛的健身仰卧板
KR200487923Y1 (ko) 2018-03-28 2018-11-26 주식회사 이고진 복합 헬스기구
CN109999415A (zh) * 2019-03-15 2019-07-12 西安欧亚学院 一种健美操力量训练支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590U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12238C (en) Glute press exercise machine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200454839Y1 (ko) 각도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
EP2537564B1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US10343005B2 (en) Exercise machine
IE54611B1 (en) Adjustable bench mounted leg lift exerciser
WO2009040848A1 (en) Mobile support for notebooks, portable computers and the like
TW482668B (en) Universal elevating leg rest assembly.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US11701545B2 (en) Glute press exercise machine
KR200487957Y1 (ko) 스쿼트머신
US11311773B2 (en) Balancing push up bar
JP2003265556A (ja) ベッドで使用する運動機器及び同機器のベッドへの設置構造
KR101414353B1 (ko) 절첩형 싯업 보드
US7892147B2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with alarm
KR20190042432A (ko) 복합운동 스쿼트머신
EP3181198B1 (en) Portable abs exercise device
US10463907B2 (en) Bench press apparatus with spotter platform
KR200315439Y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100763804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US20070238592A1 (en) Vertical sit-up exerciser
CA1212971A (en) Exercise bench
KR102610310B1 (ko) 투 웨이 로우 머신
KR101163759B1 (ko) 자기 체중을 이용한 척추 기립근 단련 기구
CN118159340A (zh) 平板支撑站立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