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486B1 -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 Google Patents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486B1
KR100999486B1 KR1020100076482A KR20100076482A KR100999486B1 KR 100999486 B1 KR100999486 B1 KR 100999486B1 KR 1020100076482 A KR1020100076482 A KR 1020100076482A KR 20100076482 A KR20100076482 A KR 20100076482A KR 100999486 B1 KR100999486 B1 KR 10099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carrier
bed
mov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진
고철웅
김수택
조덕연
곽영찬
김동환
김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7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76Means for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4Stationary fixed means, e.g. fixed to a surface or b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6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converting a lying surface into a chair

Abstract

본 발명의 능동형 복합 캐리어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시트 및 상기 이동시트에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시트를 포함하는 베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따라서 회전하는 제1회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회전연결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Composite Recline Carrier Alternatively Fixing Rotation Axis According to Attachment/Detachment of Rotation Axis at Bed and Driving Axis at Carrier}
본 발명은 능동형 복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드의 이동에 따라 베드의 회전축과 캐리어의 동력축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의 경우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의 도움을 받아서 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나 환자나 노약자 간병시, 환자나 노약자가 이동을 해야 하는 경우 환자나 노약자의 하중에 의해서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이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자나 노약자의 이동을 돕는 다양한 이동용 캐리어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동용 캐리어 장치에 구비되는 베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베드의 형태가 변형되는 리클라인 베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리클라인 베드가 구비된 캐리어의 경우 베드의 등받이부 또는 발받이부를 수동으로 회전을 하여야 해서 환자가 위치한 경우, 환자의 하중에 의하여 회전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모터 등의 별도의 구동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베드에 구동원이 부착되어 전체 베드의 무게가 무거워져서 베드의 이동시 많은 힘이 필요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나아가 베드를 욕조 등 수분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동력원의 누전 등에 의한 위험이 존재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드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을 캐리어에 두고, 동력원가 베드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베드에 이동에 따른 동력원과 베드의 회전축의 착탈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베드의 회전을 제한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능동형 복합 캐리어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시트 및 상기 이동시트에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시트를 포함하는 베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따라서 회전하는 제1회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회전연결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이동시트에 고정되고 원주 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회전제한디스크 및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면서 회전축에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 후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홈과 착탈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회전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회전디스크가 상기 회전제한디스크 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디스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이동시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회전연결부와 상기 제2회전연결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디스크가 상기 회전제한디스크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홈에서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회전디스크의 지름보다 큰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디스크의 둘레부에는 상기 베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리브와 접촉하는 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연결부 및 상기 제2회전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홈에 착탈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이동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시트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능동형 복합 캐리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베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베드에 두지 않아서, 이동하는 베드의 하중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베드에 이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캐리어의 동력축과 베드의 회전축이 착탈되어 동력의 연결 및 차단을 위한 별도의 제어부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동력축과 회전축을 착탈시킬 수 있다.
셋째, 별도의 제어부 없이 베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베드의 회전을 제한 또는 해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1이동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베드가 이동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1이동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의 배면 사시도;
도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와 베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와 베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구동유닛, 동력전달유닛 및 제1회전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동력전달유닛 및 구동유닛의 분해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구동유닛과 동력전달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
도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구동유닛과 동력전달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1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옴니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전, 후, 좌, 우 방향 구동시 각 옴니휠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45도 주행시 각 옴니휠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캐리어의 회전주행시 각 옴니휠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능동형 복합 캐리어(1: 이하 '캐리어'라 한다.)는 메인 프레임(10), 제1이동부(20), 제1구동부(30), 제2이동부(40), 제2구동부(50), 베드(100), 옴니훨(200)을 포함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1이동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베드가 이동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1이동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0)은 캐리어(1)의 다양한 구성이 결합되는 메인 바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메인 프레임(10)의 하부에는 4개의 옴니휠(200)이 결합되어 캐리어(1)의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는 베드(100)가 메인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1)에서 이동한 환자를 욕조나 다양한 운동기구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10)과 베드(100) 사이에 베드(10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별도의 이동부를 구비하는 경우 베드(100)를 캐리어(1)에서 먼 거리까지 이동시킬 수도 있게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이동부(20,40) 및 구동부(30,50)을 통하여 베드(100)를 캐리어(1)에서 보다 먼 거리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제1이동부(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12) 및 베드(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이동부(10)의 제1가이드(12)를 따라 이동시, 베드(100)도 제2가이드(14)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을 하고, 제1이동부(1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베드(100)는 제1이동부(10)의 이동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가이드(14)는 메인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돌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드(100)는 후술하는 제2이동부(40)의 이동을 따라 이동을 하는 경우에도 제2가이드(14)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제1이동부(20)는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되고, 메인 프레임(10)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구동부(30)는 제1이동부(20)를 메인 프레임(10)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제1이동부(20)는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서 메인 프레임(10)이 형성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어(1)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평행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구동부(3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1이동부(20)를 이동시킬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볼스크류 타입의 제1구동부(30)가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제1이동부(20)를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구동부(30)는 제1이동부(20)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하는 제1이동부(20)의 하중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이동부(20)의 하부에는 제1가이드(12)에 결합되어 제1이동부(20)가 제1가이드(12)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이동부(2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제2이동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가이드(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이동부(40)는 제3가이드(24)의 안내를 받으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의 배면 사시도, 도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와 베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제2이동부와 베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7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제2이동부(40)는 제1이동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이동부(20)의 이동에 따라 이동을 한다. 그리고 제2이동부(40)는 제1이동부(2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2구동부(50)는 제2이동부(40)를 제1이동부(2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2이동부(40)는 제1이동부(20)의 상부에서 제1이동부(20)가 형성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이동부(20)가 이동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이동부를 통하여 베드(100)를 다단으로 이동시키면서 베드(100)를 캐리어(1)에서 보다 먼 거리까지 안정적으로 이동을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이동부(40)의 하부에는 제3가이드(24)에 결합되어 제2이동부(40)가 제3가이드(24)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3가이드홈(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구동부(50)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1구동부(30)와 같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구동부(50)는 제2이동부(40)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이동부(20)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하는 제2이동부(40)의 하중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제2이동부(40)에는 후술하는 베드(1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이동부(20) 및 제2이동부(40)의 이동을 따라 메인 프레임(1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이동한 베드(100)는 캐리어(1)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수발자는 캐리어(1)를 이용하여 환자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베드(100)를 캐리어(1)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까지 이동시킨 다음 간편하게 베드(1)만을 욕조, 운동기구, 침대 등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2이동부(40)와 베드(1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2이동부(4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개구홀(4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이동부(40)는 개구홀(40a)에 삽입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부재(44)를 더 포함한다.
한편, 후술하는 베드(100)에는 개구홀(40a)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부(110a)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4)는 연통된 제1개구홀(40a) 및 고정부(110a)사이의 공간에서 상, 하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베드(100)와 제2이동부(40)를 결합 또는 분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44)가 상부로 이동하면 고정부재(44)는 제1개구홀(40a) 및 고정부(110a)가 연통된 공간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베드(100)는 제2이동부(40)과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4)가 하부로 이동을 하면 고정부재(44)는 제1개구홀(40a)이 형성하는 공간에만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베드(100)는 제2이동부(40)에서 분리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캐리어(1)는 고정부재(4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후킹유닛(60)을 더 포함한다.
후킹유닛(60)은 제2이동부(4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부(62), 구동부(62)에 의하여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64) 및 회전 샤프트(64)에 의하여 회전하고, 회전을 하면서 고정부재(44)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6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고정부재(44) 및 2개의 후킹유닛(60)이 구비되고, 하나의 후킹유닛(60)이 2개의 고정부재(44)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이동부(40)의 하부에 하나의 구동모터(62)가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모터(62)의 회전을 따라 회전샤프트(64)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을 한다. 그리고 회전샤프트(64)의 각 고정부재(44)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2개의 이동부(66)가 결합된다. 결국 회전 샤프트(64)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이동부(66)가 각 고정부재(44)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이동부(66)는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 샤프트(64)의 회전을 따라 고정부재(44)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부(66)는 캠 형상으로 회전축(64)에서 일정 거리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4)에는 상기 캠 형상의 이동부(66)가 끼워지는 삽입홈(44a)이 형성된다.
한편, 이동부(66)의 회전운동에 따라 고정부재(44)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을 하기 위하여 삽입홈(44a)의 상, 하 방향의 폭(d1)은 이동부(66)의 상, 하 방향의 두께(d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구동유닛, 동력전달유닛 및 제1회전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동력전달유닛 및 구동유닛의 분해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구동유닛과 동력전달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 도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구동유닛과 동력전달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1내지 도14를 참조하면, 베드(100)는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이동시트(110) 및 회전시트(120,130)을 포함한다.
이동시트(110)는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동시트(110)는 메인 프레임(10)이 형성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이동을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어(1)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을 한다.
그리고 이동시트(110)는 메인 프레임(10)에 직접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시트(110)는 제2이동부(40)에 결합이 되어 제1이동부(20) 및 제2이동부(40)의 이동을 따라 메인 프레임(10)에서 원거리까지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시트(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이동부(40)의 고정부재(44)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부(110a)가 형성된다. 고정부(110a)는 고정부재(44)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44)의 상, 하 방향 이동을 따라 이동시트(110)는 제2이동부(40)에 고정이 되거나, 제2이동부(40)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시트(110)의 하부에는 메인 프레임(10)의 제2가이드(14)에 따른 베드(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100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이동부(20) 이동시 제1이동부(20)가 제1가이드(12)를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베드(100)가 제2가이드(14)를 따라 이동하면서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베드(100)의 환자 또는 노약자 등에 안정적인 구동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안내부(100a)에는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롤러(100b)가 구비될 수도 있다.
회전시트(120,130)은 이동시트(110)의 둘레부에 수평면 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어(1)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 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 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시트(120) 및 제2회전시트(130)를 포함한다.
제1회전시트(120)는 사용자의 등부분이 위치하는 등받이부 역할을 하고, 제2회전시트(130)는 사용자의 발부분이 위치하는 발받이부 역할을 한다. 제1회전시트(120) 및 제2회전시트(130)는 캐리어(1)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 우 방향으로 구비되는 회전축을 중심을 회전을 한다.
따라서 제1회전시트(120) 및 제2회전시트(130)의 회전에 따라 베드(100)는 좌석 형태 또는 베드 상태까지 변형이 가능하다. 나아가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최적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다시 베드(100)에 위치하는 경우 기억된 상태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각 사용자의 사용상태를 기억하여 해당 사용자 사용시 해당 사용자에 해당하는 자세에 따라 회전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회전시트(120,130)는 수동으로 회전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어(1)는 회전시트(120, 130)를 구동시키는 별도의 구동유닛(70) 및 동력전달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베드(100)는 메인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을 한다. 따라서 구동유닛(70)은 베드(100)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구동유닛(70)은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베드(100)의 하중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동력전달유닛(140)은 베드(100)의 이동에 따라 회전시트(120, 13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구동유닛(70)을 연결한다. 따라서 베드(100)가 메인 프레임(1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구동유닛(70)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시트(120,130)는 회전을 할 수 있고, 베드(1000가 메인 프레임(10)에서 이동하는 경우 구동유닛(70)의 동력이 회전유닛(120,130)으로 전달되지 않고 회전유닛(120, 130)는 고정된다.
한편, 구동부(70) 및 동력전달부(140)는 제1회전시트(120) 및 제2회전시트(130)에 공통적으로 결합이 되는 바, 이하 제1회전시트(120)에 결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구동유닛(70)은 구동부(72), 분리부(74) 및 제1회전연결부(76)을 포함한다.
구동부(72)는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1회전연결부(76)는 구동부(72)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서 회전을 하고, 후술하는 제2회전연결부(142)와 결합한 경우 제2회전연결부(142)로 구동부(72)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연결부(76) 및 제2회전연결부(142)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베드(100)의 이동에 따라 제1회전연결부(76) 및 제2회전연결부(142)가 결합되는 경우 제1회전연결부(76)의 회전을 따라 제2회전연결부(142)가 회전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회전연결부(76)에 삽입홈(76a)이 형성되고, 제2회전연결부(142)에 삽입홈(76a)에 끼워지는 돌출부(142a)가 형성된다.
분리부(74)는 이동시트(110)의 이동에 따라 제1회전연결부(76)와 제2회전연결부(142)가 결합되는 경우, 후술하는 회전디스크(144)를 회전제한디스크(143)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유닛(140)은 제2회전연결부(142), 회전제한디스크(143), 회전디스크(144), 탄성부(146)을 포함한다.
제2회전연결부(142)는 회전축(120a)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회전연결부(142)가 제1회전연결부(76)과 결합되어 회전을 하는 경우 회전축(120a)도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제한디스크(143)은 이동시트(110)에 고정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회전디스크(144)와 결합하는 경우 회전디스크(144)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회전제한디스크(143)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회전축(120a)가 관통되게 된다. 그리고 이동시트(110)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제한디스크(143)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홈(143a)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디스크(144)는 회전축(120a)와 같이 회전을 하면서, 회전축(120a)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디스크(144)에는 회전디스크(144)의 전, 후 방향 이동에 따라 고정홈(143a)과 착탈되는 고정돌기(144a)가 형성된다.
즉 회전디스크(144)가 베드부(100)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 고정홈(143a)과 고정돌기(144a)는 분리되고, 회전디스크(144)는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축(120a)도 회전을 한다. 그리고 회전디스크(144)가 메인 프레임(10)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 고정홈(143a)에 고정돌기(144a)가 결합이 되고, 회전제한디스크(143)가 이동시트(110)에 고정됨에 따라 회전디스크(144)는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결국 회전축(120a)도 회전을 하지 않게 되고, 제1회전시트(120)는 일정 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이 된다.
회전디스크(144)의 회전축(120a) 이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여 회전축(120a)상을 이동시킬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디스크(144)의 이동을 위하여 동력전달유닛(140)은 탄성부(146)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유닛(70)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부(74)를 포함한다.
탄성부(146)는 회전디스크(144)와 제1회전시트(120)사이에 위치하며 회전디스크(144)가 회전제한디스크(143)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베드(100)가 메인 프레임(10) 상부에서 일정 거리 이동하여 위치하는 경우, 탄성부(146)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디스크(144)와 회전제한디스크(143)은 결합된 상태이고 제1회전시트(120)는 회전을 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회전시트(120)에는 탄성부(146)가 고정되는 고정부(120b)가 형성되고,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146)는 고정부(120b)에 고정되고, 회전디스크(144)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분리부(74)는 탄성부(146)의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회전제한디스크(143)와 회전디스크(144)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분리부(74)는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디스크(144)를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전제한디스크(143)과 회전디스크(144)를 분리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의 분리부(74)는 회전디스크(144)의 지름보다 큰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리브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디스크(144)에는 상기 리브와 접촉할 수 있는 플레이트가 둘레부에서 돌출 형성된다.
결국 베드(100)의 메인 프레임(10)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분리부(74)의 리브는 회전디스크(144)의 플레이트를 밀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회전디스크(144)가 베드(10)측으로 이동을 하면서 회전디스크(144)와 회전제한디스크(143)는 분리가 되고, 제1회전연결부(76) 및 제2회전연결부(142)로 전달된 동력은 회전축(120a)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1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옴니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저면도이다.
도15 및 도16을 참조하면, 옴니휠(200)은 메인 프레임(10)의 하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어 캐리어(1)가 전 방향으로 다양한 구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옴니휠(20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의 전방향 구동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옴니휠(200)은 제1회전축(210), 메인 허브(220) 및 피동롤러(230)을 포함한다.
제1회전축(210)은 메인 프레임(10)의 전방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 허브(220)는 제1회전축(210)에 제1회전축(210)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메인 허브(220)의 둘레에는 제1회전축(210)과 수직인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피동롤러(230)가 설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옴니휠(200)이 캐리어(1)의 전방과 일정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피동롤러(230)가 제1회전축(210)와 수직인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한다. 그리고 각 옴니휠(200)에는 각각 구동부가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구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각 옴니휠(200)의 제1구동축(210)이 각 옴니휠(200)의 메인 허브(2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캐리어(1)의 다양한 구동이 구현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전, 후, 좌, 우 방향 구동시 각 옴니휠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45도 주행시 각 옴니휠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캐리어의 회전주행시 각 옴니휠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옴니휠(200)의 정, 역회전에 따른 캐리어(1)의 주행을 설명한다.
도17을 참조하면, 캐리어(1)의 전방을 기준으로 각 옴니휠(200)이 정방향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1)는 전진주행을 한다. 그리고 각 옴니휠(200)이 역방향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1)는 후진주행을 한다.
그리고 우측 전방 및 좌측 후방 옴니휠(200)이 정방향 회전을 하고,좌측 전방 및 우측 후방의 옴니휠(200)이 역방향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1)는 좌측주행을 한다. 그리고 우측 전방 및 좌측 후방 옴니휠(200)이 역방향 회전을 하고,좌측 전방 및 우측 후방의 옴니휠(200)이 정방향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1)는 우측주행을 한다
도18을 참조하면, 좌측 후방 및 우측 전방 옴니휠(200)이 정항향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1)는 우측 전방 45도 방향으로 주행을 한다. 좌측 후방 및 우측 전방 옴니휠(200)이 역항향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1)는 좌측 후방 45도 방향으로 주행을 한다.
그리고 좌측 전방 및 우측 후방 옴니휠(200)이 정방향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1)는 좌측 전방 45도 방향으로 주행을 한다. 그리고 좌측 전방 및 우측 후방 옴니휠(200)이 역방향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1)는 우측 후방 45도 방향으로 주행을 한다.
도19를 참조하면, 좌측 옴니휠(200)이 정방향, 우측 옴니휠(200)이 역방향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1)는 제자리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주행을 한다. 그리고 좌측 옴니휠(200)이 역방향, 우측 옴니휠(200)이 정방향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1)는 제자리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주행을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4개의 옴니휠(200)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바, 각 옴니휠(200)의 정, 역 회전 나아가 각 옴니휠의 구동력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주행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캐리어(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베드(100)에 위치하기 전에 제1이동부(20), 제2이동부(40) 및 베드(100)는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회전연결부(142)의 돌출부(142a)가 제1회전연결부(76)의 삽입홈(76a)에 삽입되어 제1회전전달부(76)과 제2회전연결부(142)는 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분리부(74)의 리브가 회전디스크(144)의 플레이트를 밀고 있고, 이에 따라 회전디스크(144)의 고정돌기(144a)는 회전제한디스크(143)의 고정홈(143a)에서 분리된 상태이다.
결국 구동부(72)의 회전력은 제1회전연결부(76), 제2회전연결부(142)를 통하여 회전축(120a)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회전시트(120)는 일정 각도만큼 회전을 하게 되고, 제2회전시트(130)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일정 각도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 따라 사용자 또는 수발자는 베드(100)의 상태를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상태부터 누울 수 있는 상태까지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베드(100)가 메인 프레임(10)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구동부(30)의 구동에 따라 제1이동부(20)는 메인 프레임(10)의 좌, 우 일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1이동부(20)의 이동을 따라 제2이동부(40) 및 베드(100)도 이동을 하게 된다.
베드(100)의 이동을 따라 제1회전연결부(76)와 제2회전연결부(142)는 분리되고, 더 이상 구동부(72)의 동력이 제2회전연결부(142) 및 회전축(120a)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분리부(74)의 플레이트 역시 회전 디스크(144)의 플레이트와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146)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디스크(144)는 회전제한디스크(143)쪽으로 이동을 한다.
그리고 회전제한디스크(143)의 고정홈(143a)에 회전디스크(144)의 고정돌기(144a)가 끼워지면서 회전디스크(144)는 더 이상 회전을 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제1회전시트(120) 및 제2회전시트(130)는 이동한 각도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제2구동부(50)가 제2이동부(40)를 좌, 우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베드(100)는 제2구동부(50)의 이동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즉 베드(100)는 제1이동부(20)의 이동거리, 제2이동부(40)의 이동거리, 제1이동부(20)의 이동거리와 제2이동부(40)의 이동거리의 합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후킹 유닛(60)의 구동부(62), 회전샤프트(64) 및 이동부(66)의 구동에 따라 고정부재(44)는 제1개구홀(40a) 및 제1개구홀(40a)와 연통된 고정부(40a)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이동부(40)와 베드(100)를 결합 또는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수발자는 캐리어(1)와 베드(100)를 분리하여 운동기구, 욕조 등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캐리어 10: 메인 프레임
20: 제1이동부 30: 제1구동부
40: 제2이동부 50: 제2구동부
60: 후킹 유닛 64: 샤프트
66: 이동부 70: 제1회전연결부
100: 캐리어 110: 이동시트
120: 제1회전시트 130: 제2회전시트
140 : 동력전달유닛 142: 제2회전연결부
143: 회전제한디스크 144: 회전디스크
146: 탄성부 200: 옴니휠
210: 제1회전축 220: 메인허브
230: 피동롤러

Claims (6)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시트 및 상기 이동시트에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시트를 포함하는 베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따라서 회전하는 제1회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회전연결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유닛;
    을 포함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이동시트에 고정되고 원주 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회전제한디스크 및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면서 회전축에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 후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홈과 착탈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회전디스크가 상기 회전제한디스크 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디스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이동시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회전연결부와 상기 제2회전연결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디스크가 상기 회전제한디스크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홈에서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회전디스크의 지름보다 큰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디스크의 둘레부에는 상기 베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리브와 접촉하는 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연결부 및 상기 제2회전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동시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홈에 착탈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이동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시트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가 구비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KR1020100076482A 2010-08-09 2010-08-09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KR10099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482A KR100999486B1 (ko) 2010-08-09 2010-08-09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482A KR100999486B1 (ko) 2010-08-09 2010-08-09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486B1 true KR100999486B1 (ko) 2010-12-09

Family

ID=4351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482A KR100999486B1 (ko) 2010-08-09 2010-08-09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4322A (zh) * 2017-06-27 2017-09-22 苏州奥特科然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椅
CN112618192A (zh) * 2020-12-30 2021-04-09 广东博方众济医疗科技有限公司 轮椅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747B1 (ko) 1999-12-15 2003-09-13 최운한 환자 운반카
KR100954780B1 (ko) 2009-10-09 2010-04-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747B1 (ko) 1999-12-15 2003-09-13 최운한 환자 운반카
KR100954780B1 (ko) 2009-10-09 2010-04-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4322A (zh) * 2017-06-27 2017-09-22 苏州奥特科然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椅
CN112618192A (zh) * 2020-12-30 2021-04-09 广东博方众济医疗科技有限公司 轮椅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37715A1 (zh) 麦克纳姆轮、底盘和帮扶机器人
US20120095777A1 (en) Patient lift apparatus and patient lift service dispatch system
GB2482594A (en) Adjustable canopy mechanism and an infant carrier device having the same
ES2770430T3 (es) Dispositivo eléctrico montable/desmontable y silla de ruedas que incluye el mismo
CN111163739B (zh) 轮椅床
EP3589253B1 (en) Motor-driven chair steered by seat rotation
US20130007959A1 (en) Lift device including ring-shaped driving unit
CN204379606U (zh) 轮椅护理床
KR100999486B1 (ko)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US9027678B1 (en) Omni-directional remote-controlled mobility apparatus
KR20170090371A (ko) 착탈식 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KR102150594B1 (ko) 휠체어
JP2004321630A (ja) 電動車椅子
KR101019661B1 (ko) 구동축이 대각선 방향으로 정렬된 옴니휠이 구비된 능동형 복합 캐리어
KR101019658B1 (ko) 다단 이동되는 베드가 구비된 능동형 복합 캐리어
KR101967210B1 (ko) 전환 가능한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기
KR101310840B1 (ko) 콘트롤러 가변수단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US6257608B1 (en) Apparatus for propelling a wheel chair
KR200481549Y1 (ko) 휠체어용 테이블기구
JP6494853B1 (ja) 片手操作可能な車椅子
JP2013123556A (ja) ベッド
KR102157423B1 (ko) 유니트 체어
JP7108732B2 (ja) 方向転換補助装置
KR102543160B1 (ko) 휠체어용 전동장치
KR102546699B1 (ko)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의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